KR20210038880A -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880A
KR20210038880A KR1020217002032A KR20217002032A KR20210038880A KR 20210038880 A KR20210038880 A KR 20210038880A KR 1020217002032 A KR1020217002032 A KR 1020217002032A KR 20217002032 A KR20217002032 A KR 20217002032A KR 20210038880 A KR20210038880 A KR 2021003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channel
elongate
bed
sub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우로 시라니 포르나시니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3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07Forming the rod with compressing means, e.g. ga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2Feeding arrangements for individual paper wrapp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35Multiple rod m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Landscapes

  • Belt Conveyors (AREA)
  • Paper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웹 재료 내에 코어(160, 560)를 래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 200, 300, 400, 500, 600)으로서, 래핑 메커니즘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는 세장형 형성 채널(212)을 갖는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110, 210, 310, 410));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2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120, 220, 320, 420, 520); 세장형 형성 채널(212)의 길이를 따라 이송 벨트(120, 220, 320, 420, 5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Description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본 발명은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reconfigurable wrapping mechanism), 래핑 메커니즘의 재구성 방법 및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로드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때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래핑된 로드(rods)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지지 요소, 에어로졸 냉각 요소, 및 마우스피스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할 때 형성된다.
래핑된 로드는 래핑 재료로 이루어진 웹과 코어를 ‘가니쳐(garniture)’로 알려진 조립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웹은 코어 주위에 래핑되고 시일된다. 가니쳐 조립체는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개방측을 갖는 세장형 형성 채널, 및 개방측의 적어도 일부에 가깝게 위치된 슈(shoe), 및 형성 채널의 오목면을 따라 형성 채널을 통해 구동되는 벨트를 갖는다. 웹은 벨트 상에 연행되어 형성 채널을 통해 흡인되고, 코어는 벨트 상에 위치된다. 형성 채널 및 슈는 협력하여 코어 주위에 웹을 래핑하고, 가니쳐의 적어도 일부분은 슈, 벨트 및 형성 채널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채널을 형성한다. 가열 요소가 슈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래핑된 웹의 중첩된 부분들 사이를 접착제로 열경화시킬 수 있다.
사용 시, 벨트와 형성 채널은 각각 마모되는데, 이는 제조된 래핑된 로드의 크기를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 제조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모된 벨트를 교체하고 마모된 형성 채널 조립체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제조 공정에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고 제조 효율을 감소시킨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웹 재료 내에 코어를 래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상기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갖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는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웹 재료 내에 코어를 래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래핑 메커니즘의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갖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고,
가니쳐 베드는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 주위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표면의 일부분을 제공하고,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세장형 형성 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래핑 메커니즘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의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가지되,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는,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 및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송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구동 메커니즘을 이용해, 세장형 형성 채널을 따라 이송 벨트 및 연행된 웹 재료를 구동시키는 단계;
연행된 웹 재료 상에 코어를 수용하는 단계; 및
코어를 웹 재료 내에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니쳐 베드는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 둘레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의 일부분을 제공하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베이스 하위-부재(base sub-member); 및
각각의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replaceable formation channel liner sub-member)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의 인접 에지들은 서로 맞물릴(interdigitated) 수 있다.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실질적으로 대칭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형성 채널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을 가질 수 있고,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중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핑 메커니즘은, 래핑된 코어, 코어 및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인접하게 제공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세장형 개방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슈를 포함할 수 있다.
래핑 메커니즘은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가니쳐 베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슈; 및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세장형 슈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가니쳐 베드.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래핑 메커니즘은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송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베이스 하위-부재; 및
각각의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분리하고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의 인접 에지들은 서로 맞물릴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서로 맞물리는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실질적으로 대칭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형성 채널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 및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중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래핑 메커니즘은,
래핑된 코어, 코어 및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인접하게 제공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세장형 개방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슈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가니쳐 베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슈; 및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세장형 슈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가니쳐 베드.
상기 방법은 더 좁은 형성 채널을 제공하도록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더 넓은 형성 채널을 제공하도록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이송 벨트를 교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해서 사용자의 입을 거쳐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장치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흡연 물품용 홀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 안으로 직접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물품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 안으로 직접 흡입 가능한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물품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 시에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일 수도 있고, 증기(예를 들면, 실온에서는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기체 상태에 있는 물질의 미립자)뿐만 아니라, 기체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접힌 웹(주름 웹이라고도 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접힌 웹은 균질화된 담배 재료, 예를 들어 TCL(담배 캐스트 리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래핑지에 래핑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표면적이 크고 흡인-저항이 낮은 요소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사용 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된 휘발성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해서 사용자가 흡입하기 전에 에어로졸 냉각 요소에 의해 냉각된다. 필터와 다른 마우스피스의 높은 흡인-저항과 반대로,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낮은 흡인-저항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부의 챔버와 캐비티도 에어로졸 냉각 요소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해서 사용자의 입을 거쳐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장치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흡연 물품용 홀더일 수 있다.
래퍼는 필터지의 래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래퍼는 궐련지이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는 다른 외부 래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형성 채널(formation channel)’은 웹 재료(web material)와 코어가 채널을 통과할 때 코어 주위에 웹 재료를 래핑하기 위한 채널을 기술하도록 사용된다. 사용 시, 웹 재료가 코어 주위에 점진적으로 래핑되는 형성 채널의 적어도 유입구 부분은 하류 단부를 향해 감소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사용 시, 래핑되지 않은 재료가 형성 채널 내로 도입되는 상류 단부에서, 채널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거나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형성 채널의 적어도 배출구 부분은 하류 단부를 향해 넓어지며, 예를 들어 하류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며, 하류 단부에서는 편평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reconfigurable garniture bed)’는 형성 채널을 제공하거나 형성 채널의 일부 길이를 제공하는 복합 구조물을 기술하도록 사용되며, 이는 마모, 다른 부품의 교체, 또는 둘 다를 보상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복합 구조물의 부품 중 하나는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 채널의 전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부품이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 채널의 전체 표면의 일부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재구성(reconfiguration)’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변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가니쳐 베드의 재구성하는 단계는 형성 채널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단계, 예를 들어, 가니쳐 베드를 변화시켜 더 좁거나 더 넓은 형성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 또는 각각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제거하는 것은 2개 이하의 고정 나사 또는 고정 볼트를 푸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복수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는 완전한 가니쳐 베드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형성 채널의 단면적이 가장 작은(또는 형성 채널의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르는 위치에서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복수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의 단면적은 가니처 베드의 단면적보다 적어도 10:1, 적어도 5:1, 또는 적어도 2:1의 비율만큼 더 작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 채널의 전체 표면의 일부 또는 형성 채널 길이의 일부 또는 일부분을 제공하는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 시,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각각은 이송 벨트와 접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 시, 이송 벨트는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각각을 가로질러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사용 시 밀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형성 채널의 가장 좁은 폭의 20% 미만만큼 이격될 수 있거나, 형성 채널의 가장 좁은 폭의 10% 미만만큼 이격되거나, 형성 채널의 가장 좁은 폭의 5% 미만만큼 이격될 수 있다). 밀접한 이격은, 구동된 이송 벨트가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와 인접한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들 사이에 개재된 임의의 갭을 가로질러 형성 채널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상대 이동을 제공하도록 메커니즘과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측방향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중앙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formation channel liner sub-member)’는,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 채널의 전체 표면의 일부 또는 형성 채널의 길이의 일부 또는 일부분을 제공하고,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가 교체될 때 유지되는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교체 가능한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이송 벨트(conveying belt)’는,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놓이고, 사용 시, 형성 채널을 따라 구동되어 래핑 재료의 웹과 코어를 연행하는 재료의 스트립이다. 이송 벨트는 가니쳐 벨트 또는 가니쳐로도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구동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은 형성 채널을 따라 이송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식 메커니즘이다. 이송 벨트는 무한 루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슈(shoe)’는, 사용 시, 형성 채널과 협력하여 코어 재료 주위에 래핑 재료를 래핑하는 부재로서, 가니쳐 베드의 형성 채널에 상보적인 표면을 제공하는 부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단면 상에서, 복수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는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베이스 하위-부재보다 작은데, 이는 (적어도 복수의 베이스 하위-부재를 포함하는) 가니쳐 베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이송 벨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복수의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사용 시, 이송 벨트는 벨트 장력 메커니즘, 예를 들어 인장 풀리(편향 아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풀리일 수 있음)에 의한 장력 하에 유지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교체하기 위해, 장력 메커니즘을 해제하여 이송 벨트를 느슨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는 동안 이송 벨트를 형성 채널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하며, 그 후에 벨트 장력 메커니즘을 다시 맞물리게 함으로써 이송 벨트를 형성 채널 내로 다시 위치시키고 다시 장력을 인가한다.
유리하게는, 가니쳐 베드는 가니쳐 베드, 이송 벨트, 및 슈(존재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도 재구성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 이송 벨트 및 슈 중 하나 이상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래핑 메커니즘의 주기적인 정비를 훨씬 더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래핑 메커니즘의 정지 시간을 감소시키고 제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니쳐 베드 또는 슈의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래핑 메커니즘을 재구성하면 당업자에 의한 재조립과 재정렬의 필요성을 없애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송 벨트는 공지된 가니쳐 베드보다 더 자주 교체된다. 공지된 형성 채널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내마모성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으로 가니쳐 베드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내마모성 재료에는 경화성 코팅,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탄소 코팅층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의 교체에 의해 가니쳐 베드의 편리한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면, 형성 채널은 내마모성이 덜한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니쳐 베드에 대한 마모의 보상은 가니쳐 베드의 재구성에 의해 늘어난다. 유리하게는, 내마모성이 덜한 재료로 형성 채널을 제공하면 이송 벨트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 정비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래핑 메커니즘의 전반적인 정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이송 벨트 및 가니쳐 베드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마모되었을 때 조차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이송 벨트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되기 전에 래핑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함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며, 도면 중:
Figure pct00001
도 1a는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2
도 1b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3
도 1c는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재구성 후의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4
도 2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2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5
도 3a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3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6
도 3b는 도 3a의 제3 재구성 가능 래핑 메커니즘의 가니쳐 베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Figure pct00007
도 4는 제4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의 가니쳐 베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Figure pct00008
도 5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5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체적으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유사한 특징부들은, 비록 100의 정수 배수의 증분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일부 경우에서도, 유사한 번호로 식별되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도면들에서, 100, 200, 300, 400 및 500은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을 나타내도록 사용되었다.
도 1a는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이송 벨트(120) 및 가니쳐 베드(110)를 갖는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이송 벨트(120') 및 가니쳐 베드(110')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재구성 후의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을 도시한다.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형성 채널(112)을 갖는 가니쳐 베드(110)를 갖는다. 이송 벨트(120)는 형성 채널(11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둘 다는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개방되고, 개방측은 세장형 슈(150)와 마주 본다.
도시된 가니쳐 베드(110)에서, 형성 채널(112)은 유입 섹션(112A), 중간 섹션(112B), 및 배출 섹션(112C)을 갖는다. 중간 섹션(112B)은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다. 유입 섹션(112A)은 형성 채널(112)의 유입구에서 멀어지면서, 중간 섹션(112B)을 향하는 방향으로 좁아진다. 배출 섹션(112C)은 배출구를 향해, 중간 섹션(112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어진다.
이송 벨트(120)는 무한 벨트일 수 있으며, 도 1a에는 이송 벨트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형성 채널(112)의 중간 섹션(112B) 내에 있는 부분이다. 벨트 구동 메커니즘(미도시)은 이송 방향(T)으로 형성 채널(112)를 따라 이송 벨트(120)를 구동하도록 제공된다. 슈(150)는 형성 채널(112)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단면 상에서 오목 면(152)을 갖는데, 이는 형성 채널(112)의 개방측과 마주 본다. 형성 채널(112), 이송 벨트(120) 및 슈(150)의 오목 면(15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재, 예를 들어 래핑지(1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160)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도 1a의 래핑 메커니즘(100)에는 존재하지만, 세장형 슈(150)는 선택적이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110)는 형성 채널(112)의 크기 조절(re-sizing)에 의해 재구성 가능하다.
가니쳐 베드(110)는, 형성 채널(212)의 부분을 각각 제공하는 가동식(moveable)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를 갖는 복합 구조물이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는 공통의 지지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 시, 이송 벨트(120)는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와 접촉하고, 이들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는, 상보성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도 1a~1c에는 미도시)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라이너 하위-부재 내에 제공된다.
형성 채널(112), 이송 벨트(120) 및 (존재하는 경우) 슈(150)의 오목 면(152)은 이송 벨트에 연행된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재, 예를 들어, 래핑지(1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160)를 형성하고 이송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사용 시, 벨트 구동 메커니즘은 (도 1a에 표시된) 이송 방향(T)으로 형성 채널(112)을 따라 이송 벨트(120)를 구동시키고, 래핑지(162)는 이송 벨트(120) 상에 수용되어 이를 따라 연장되고, 코어(160)는 래핑지 상에 수용되며, 래핑지는 코어 주위에 래핑된다. 이송 벨트(120)가 형성 채널(112A)의 유입 섹션(112A)과 중간 섹션(112B)을 따라 래핑지(162)와 코어(160)를 흡인함에 따라, 래핑지는 코어 주위에 점진적으로 래핑된 후, 래핑된 코어가 배출 섹션(112C)을 따라 형성 채널을 빠져 나간다. 형성 채널(112)을 따라 지나가는 동안 (예를 들어, 중간 섹션(112B)에서) 래핑지(162)가 코어(160) 주위에 실링된다.
도시된 재구성 가능한 래핑 조립체(100)에서, 도시된 슈(150)는 그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형성 채널(112)의 중간 섹션(112B)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래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슈(150)는 형성 채널(112)의 길이를 따라 가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슈(150)는 유입 섹션(112A)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 중간 섹션(112B)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 배출 섹션(112C)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형성 채널(112)의 인접 섹션(112A, 112B, 112C)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조하는 동안, 래핑지(162)가 코어(160) 둘레에 래핑되었으면, 이중층 영역(162D)이 슈(150)의 오목 면(152)을 따라 지나갈 수 있다(또는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층 영역(562B)이 형성 채널(512)의 오목 면을 따라 지나갈 수 있다).
이중층 영역(162D)의 층들 사이에 접촉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고, 이중층 영역을 이송 벨트(120)와 형성 채널(11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접촉시킴으로써 접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열경화성 접착제가 이중층 영역(162D)의 층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슈(150)의 오목 면(152)(또는, 도 5의 배열에서는 형성 채널(51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이중층 영역(162D)을 가열하여 층들 사이의 접착제를 건조시키거나 녹이는 가열 영역(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슈(150)의 오목 면(152)(또는 도 5의 배열에서는 형성 채널(512)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영역(미도시)이 임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사용하면, 이송 벨트(120)는 마모되어 얇아질 수 있고, 예를 들어 12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형성 채널(112)의 표면은 이송 벨트(120)에 의해 마모되어 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11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자동화된 모니터링 메커니즘(미도시)이 마모된 가니쳐 베드(110') 및 마모된 이송 벨트(120')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검출하는 경우(각각은 각각의 마모 공차 이내에서만 마모됨),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가 내향(또는 외향)(M-1, M-2 및 M-3) 이동되어 형성 채널(112')을 재구성하여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슈(150)가 내향(H) 이동하여 마모를 추가로 보상할 수 있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110-3’) 및 슈(150)는 코어(160)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벨트(120),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 또는 이송 벨트와 가니쳐 베드 섹션 둘 다의 마모가 검출되고 이송 벨트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는 내향(M-1, M-2 및 M-3) 이동되어 마모된 이송 벨트에 대해 보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향 이동하여 중간 섹션(112B)에 더 작은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벨트(120)의 마모가 검출되어 이송 벨트가 교체되는 경우, 가니쳐 베드의 하위-부재(110-1, 110-2 및 110-3)는 마모된 이송 벨트의 교체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외향(M-1, M-2 및 M-3)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향 이동하여 중간 섹션(112B)에 더 큰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형성 채널(112)의 기저부(예를 들어 중간 섹션(112B)의 기저부)의 위에 있는 슈(150)(존재하는 경우)의 높이(H)가 가니쳐 베드(110)의 재구성에 호응하여, 및 이송 벨트(120)의 마모에 호응하여 조정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이송 벨트 및 가니쳐 베드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마모되었을 때 조차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이송 벨트 또는 형성 채널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되기 전에 래핑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가니쳐 베드 기저부(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2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200)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는 도 1a의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과 대체로 유사하다.
제2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200)은, 가니쳐 베드(210)의 가동식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가 각각 복합 구조물이고, 기저부 하위-부재(210A-1, 210A-2 및 210A-2) 및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210B-1, 210B-2 및 210B-3)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커니즘(100)과 상이한데, 여기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는 각각의 기저부 하위-섹션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세장형 형성 채널(212)은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의 조립에 의해 제공된다.
형성 채널(212), 이송 벨트(220) 및 슈(250)의 오목 면(25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재, 예를 들어, 래핑지(2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260)를,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하고 이송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계속해서 사용하면, 이송 벨트(220)는 마모되어 얇아질 수 있고, 예를 들어 22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형성 채널(212)의 표면은 이송 벨트(220)에 의해 마모되어 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210B-1, 210B-2 및 210B-2)가 21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자동화된 모니터링 메커니즘(미도시)이 가니쳐 베드(210) 및 이송 벨트(2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마모를 검출하는 경우, 가니쳐 베드 기저부 하위-부재(210A-1, 210A-2 및 210A-3)가 내향 이동되어 형성 채널(212)을 재구성하여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슈(250)가 내향(H) 이동하여 마모를 추가로 보상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이송 벨트 및 가니쳐 베드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마모되었을 때 조차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이송 벨트 또는 형성 채널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되기 전에 래핑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가니쳐 베드 기저부 하위-부재(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들) 중 하나 이상을 교체함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도 3a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3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300)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가니쳐 베드(3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래핑 메커니즘(300)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형성 채널(312)을 갖는 가니쳐 베드(310)를 갖는다. 이송 벨트(320)는 형성 채널(31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둘 다는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개방되고, 개방측은 세장형 슈(350)와 마주 본다. 이송 벨트(320)는 무한 벨트일 수 있다. 벨트 구동 메커니즘(미도시)은 이송 방향(T)으로 형성 채널(312)을 따라 이송 벨트(320)를 구동하도록 제공된다.
슈(350)는 형성 채널(3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 상에서 오목 면(352)을 갖는데, 이는 형성 채널(312)의 개방측과 마주 본다. 형성 채널(312), 이송 벨트(320), 및 슈(350)의 오목 면(352)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래핑된 로드, 예를 들어, 래핑지(3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360)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제3 가니쳐 베드(310)는, 형성 채널(312)의 부분을 각각 제공하는 가동식 하위-부재(310-1 및 310-2)를 갖는 복합 구조물이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310-1 및 310-2)는 공통의 지지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하위-부재(310-1 및 310-2)는, 상보성 기저부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미도시)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 내에 제공된다.
형성 채널(312), 이송 벨트(320) 및 슈(350)의 오목 면(35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재, 예를 들어, 래핑지(3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360)를,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하고 이송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계속해서 사용하면, 이송 벨트(320)는 마모되어 얇아질 수 있고, 예를 들어 32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형성 채널(312)의 표면은 이송 벨트(320)에 의해 마모되어 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31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자동화된 모니터링 메커니즘(미도시)이 마모된 가니쳐 베드(310) 및 이송 벨트(4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검출하는 경우, 가니쳐 베드 기저부 하위-부재(310-1 및 310-2)가 내향(M-1 및 M-2) 이동되어 형성 채널(312)을 재구성하여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슈(450)가 내향(H) 이동하여 마모를 추가로 보상할 수 있다.
도시된 제3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300)에서, 가동식 보조 부재들(310-1 및 310-2)은 서로 평행하게 및 슈(350)의 이동(H)에 대해 수직으로 내향(또는 외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가니쳐 베드 섹션(310-1 및 310-2)의 각각과 슈(350)는 코어(360)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에 대해 방사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래핑 메커니즘의 가동식 부분들은 상이한 각도로(예를 들어, 대칭 배열로) 내향 이동하도록 대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이송 벨트 및 가니쳐 베드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마모되었을 때 조차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이송 벨트 또는 형성 채널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되기 전에 래핑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가니쳐 베드 기저부 하위-부재(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섹션(들) 중 하나 이상을 교체함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 채널 표면(312)에서,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310-1 및 310-2)(또는, 각각 기저부 하위-부재 및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갖는 복합형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의 마주 보는 에지들(314-1 및 314-2)은 톱니 형상의 서로 맞물린 배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가 내향(또는 외향)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마주 보는 에지들(314-1 및 314-2)을 따르는 톱니 형상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이송 벨트(320), 웹 재료 및 코어에 대한 지지를 강화한다. 마주 보는 에지는 상보적인 지그재그 형상의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 및 200)의 가동 섹션(110-1, 110-2, 110-3, 210-1 및 210-2)에는, 형성 채널 표면(112, 212)에서 이들의 마주 보는 에지를 따라 서로 맞물린 톱니 형상의 배열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가니쳐 베드 섹션(410-1 및 410-2)을 갖고, 도 3a 및 도 3b의 복합 가니쳐 베드(310)와 대체로 유사한 제4 복합 가니쳐 베드(410)를 도시한다.
도 4의 가니쳐 베드(410)는 상보적인 성곽 형상(castellated shape)을 갖는 서로 맞물린 마주 보는 에지(414-1 및 414-2)만큼 도 3a 및 도 3b의 가니쳐 베드(310)와 상이하다.
도 1a 내지 도 4의 형성 채널 조립체(100, 200, 300, 및 400)는 각각 형성 채널 표면의 일부를 제공하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섹션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가니쳐 베드는 각각 형성 채널 표면의 일부를 제공하는 더 많은 수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a에 도시된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 200, 300)은 세장형 슈(150, 250, 및 350)를 각각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세장형 슈는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마모되지 않은 상태의 제5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600)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는 도 1a 내지 도 1c의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과 대체로 유사하다.
제5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500)은 세장형 슈(150)가 생략된만큼 제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100)과 상이하다.
형성 채널(512) 및 이송 벨트(520)은 이송 벨트에 연행된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재, 예를 들어, 래핑지(562) 내에 래핑된 대체로 원통형 코어(560)를 형성하고 이송하도록 배열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사용 시, 벨트 구동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도 1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송 방향(T)으로) 형성 채널(512)을 따라 이송 벨트(520)를 구동시키고, 래핑지(562)는 이송 벨트(520) 상에 수용되어 이를 따라 연장되고, 코어(560)는 래핑지 상에 수용되며, 래핑지는 코어 주위에 래핑된다.
제조하는 동안, 래핑지(562)가 코어(560) 둘레에 래핑되었으면, 이중층 영역(562D)이 형성 채널(512)의 오목 면을 따라 지나갈 수 있다. 이중층 영역(562D)의 층들 사이에 접촉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고, 이중층 영역을 이송 벨트(520)와 형성 채널(51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접촉시킴으로써 접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열경화성 접착제가 이중층 영역(562D)의 층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형성 채널(512)의 오목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이중층 영역(562D)을 가열하여 접착제를 건조시키거나 녹이는 가열 영역(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형성 채널(512)에는 이중층 영역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영역(미도시)이 임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사용하면, 이송 벨트(520)는 마모되어 얇아질 수 있고, 예를 들어 52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510B)은 이송 벨트(520)에 의해 마모되어 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510W로 표시된 파선까지 다시 마모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자동화된 모니터링 메커니즘(미도시)이 마모된 가니쳐 베드(510) 및 마모된 이송 벨트(520)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검출하는 경우(각각은 각각의 마모 공차 이내에서만 마모됨),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510-1, 510-2 및 510-3)가 내향(또는 외향)(M-1, M-2 및 M-3) 이동되어 형성 채널(512)을 재구성하여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510-1, 510-2 및 510-3)는 코어(560)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벨트(520),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510-1, 510-2 및 510-3), 또는 이송 벨트와 가니쳐 베드 섹션 둘 다의 마모가 검출되고 이송 벨트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510-1, 510-2 및 510-3)는 내향(M-1, M-2 및 M-3) 이동되어 마모된 이송 벨트에 대해 보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향 이동하여 중간 섹션(512B)에 더 작은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벨트(520)의 마모가 검출되고 이송 벨트가 교체되는 경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510-1, 510-2 및 510-3)는외향(M-1, M-2 및 M-3) 이동되어 마모된 이송 벨트의 교체에 대해 보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향 이동하여 중간 섹션(512B)에 더 큰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면 벨트 및 가니쳐 베드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마모되었을 때 조차도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벨트 또는 형성 채널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되기 전에 래핑 메커니즘이 가동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품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면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재구성함으로써, 래핑된 코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과 단면적 모두를 더 작은 공차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도면들은 개략적이며 축척에 비례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항 전체에 걸쳐서, 단어들 “포함한다” 및 “함유한다” 및 이들의 변형들은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은 다른 모이어티, 첨가제, 구성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그리고 그렇지 않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단수형은 문맥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무한 물품이 사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는 맥락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복수형뿐만 아니라 단수형(singularity)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 구현예 또는 예와 함께 설명된 특징, 정수, 특성, 화합물, 화학적 모이어티 또는 그룹은 이와 호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측면, 구현예 또는 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모든 특징 및/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이러한 특징 및/또는 단계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한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술한 구현예의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 추상적 및 도면을 포함함)의 임의의 신규한 하나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또는 이에 따라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들의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이전에 출원되고 본 명세서로 공중의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모든 논문 및 문서에 독자의 주의를 기울이고, 이러한 모든 논문 및 문서의 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통합된다.

Claims (18)

  1. 웹 재료 내에 코어를 래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reconfigurable wrapping mechanism)으로서,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갖는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reconfigurable garniture bed)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고, 가니쳐 베드는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 둘레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의 일부분을 제공하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래핑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베이스 하위-부재(base sub-member); 및
    각각의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replaceable formation channel liner sub-member)를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또는 상기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의 인접 에지들은 서로 맞물리는(interdigitated), 래핑 메커니즘.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또는 상기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실질적으로 대칭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래핑 메커니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형성 채널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을 가지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중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래핑 메커니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핑된 코어, 코어 및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인접하게 제공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세장형 개방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슈(shoe)를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7. 제6항에 있어서,
    세장형 슈가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가니쳐 베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됨; 및
    가니쳐 베드가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세장형 슈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됨;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송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래핑 메커니즘.
  10. 웹 재료 내에 코어를 래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래핑 메커니즘 내의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갖는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고,
    가니쳐 베드는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 둘레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표면의 일부분을 제공하고,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세장형 형성 채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베이스 하위-부재; 및
    각각의 베이스 하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교체 가능한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형성 채널 라이너 하위-부재를 분리하고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또는 상기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의 인접 에지들은 서로 맞물리고, 상기 방법은 서로 맞물리는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또는 상기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실질적으로 대칭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형성 채널은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 축 및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갖고,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중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핑 메커니즘은
    래핑된 코어, 코어 및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인접하게 제공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세장형 개방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슈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세장형 슈가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가니쳐 베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됨; 및
    가니쳐 베드가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세장형 슈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됨;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여 더 좁은 형성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핑 메커니즘은 웹 물질을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가니쳐 베드를 재구성하여 더 넓은 형성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이송 벨트를 교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래핑 메커니즘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래핑된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래핑 메커니즘은:
    웹 재료를 연행하기 위해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형성 채널을 갖고, 세장형 형성 채널은 세장형 개방측을 갖는,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로서,
    가니쳐 베드는 복수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를 포함하고,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수직으로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 둘레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는 세장형 형성 채널 표면의 일부분을 제공하며,
    가니쳐 베드 하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재구성 가능한 가니쳐 베드; 및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송 벨트; 및
    세장형 형성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송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구동 메커니즘을 이용해, 세장형 형성 채널을 따라 이송 벨트 및 연행된 웹 재료를 구동시키는 단계;
    연행된 웹 재료 상에 코어를 수용하는 단계; 및
    코어를 웹 재료 내에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02032A 2018-08-03 2019-07-3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KR20210038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7372.0 2018-08-03
EP18187372 2018-08-03
PCT/EP2019/070626 WO2020025671A1 (en) 2018-08-03 2019-07-31 Reconfigurable wrapp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880A true KR20210038880A (ko) 2021-04-08

Family

ID=6316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32A KR20210038880A (ko) 2018-08-03 2019-07-31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90397B2 (ko)
EP (1) EP3829348A1 (ko)
JP (1) JP7444847B2 (ko)
KR (1) KR20210038880A (ko)
CN (1) CN112437613B (ko)
BR (1) BR112021001407A2 (ko)
WO (1) WO20200256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4861A (en) * 1944-07-18 1946-01-23 William Isl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rnitures for continuous-rod cigarette-making machines
DE2836030A1 (de) 1977-08-24 1979-03-01 Molins Ltd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stabfoermigen gegenstaenden
GB8609482D0 (en) * 1986-04-18 1986-05-21 Imp Group Plc Packaging arrangement
JP3273802B2 (ja) * 1992-02-13 2002-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製造機における巻たばこの巻径制御装置
GB0324525D0 (en) * 2003-10-21 2003-11-2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and smokable filler material therefor
US20110271968A1 (en) * 2010-05-07 2011-11-10 Carolyn Rierson Carpenter Filtered Cigarette With Modifiable Sensory Characteristics
DE102010051894A1 (de) * 2010-11-22 2012-05-24 Hauni Maschinenbau Ag Formatsystem und Formatteile für eine Strangherstellmaschine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US10064429B2 (en) * 2011-09-23 2018-09-0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ixed fiber produc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DE102012204442A1 (de) * 2012-03-20 2013-09-26 Hauni Maschinenbau Ag Formateinrichtung einer Strangmaschine
DE102012208450B4 (de) * 2012-05-21 2015-03-26 Hauni Maschinenbau Ag Strangformungsvorrichtung und Strangmaschine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US10285432B2 (en) * 2015-07-17 2019-05-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Rod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PL3358971T3 (pl) 2015-10-08 2022-12-12 Philip Morris Products S.A. Sposób regulacji średnicy podłużnego pręta
DE102016121618A1 (de) * 2016-11-11 2018-05-17 Hauni Maschinenbau Gmbh Strangherstell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rodukten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und zugehörige Formatgarni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4847B2 (ja) 2024-03-06
US11690397B2 (en) 2023-07-04
BR112021001407A2 (pt) 2021-04-27
WO2020025671A1 (en) 2020-02-06
CN112437613A (zh) 2021-03-02
CN112437613B (zh) 2023-07-25
EP3829348A1 (en) 2021-06-09
JP2021531770A (ja) 2021-11-25
US20210368857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2791B2 (ja) 実質的に平面の連続材料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017104B2 (ja) 複合タバコフィルタの製造装置及び方法
JP7407168B2 (ja) 再構成可能な巻き付け機構
JP2008503231A5 (ko)
JP5887646B2 (ja) マルチセグメントのフィルタロッドを製造するプロセスにおいてフィルタセグメントを移送するための装置
CA1321459C (en) Web corrug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38880A (ko) 재구성 가능한 래핑 메커니즘
US4432746A (en) Web segmenting apparatus
JPH03501950A (ja) スライス機械の供給装置
RU2795760C2 (ru) Реконфигурируемое обер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обернутого элемента, способ ре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ложа гарнитуры в оберточном устройств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обернутого элемента с помощью оберт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03090570A1 (fr) Dispositif de fabrication d'articles en forme de barre
WO202020168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od of aerosolisabl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rod of aerosolisable material
RU2787987C2 (ru) Способ ре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ложа гарнитуры в оберточном устройстве
US20240122232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7322152B2 (ja) エアロゾル発生材からなるストランドを搬送するためのコンベアおよび方法、エアロゾル発生材からなるロッド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KR2023007178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SE452706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matning av tobaksskerningsmaskiner
JP6660196B2 (ja) 刻み海苔を包装する包装装置及び包装方法
US202303293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KR20230071781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US1195114A (en) Means k
JP2023530236A (ja) マルチセグメント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械
EP421365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PL242475B1 (pl) Zespół czyszczący, maszyna do produkowania sztabek filtrowych i sposób czyszcze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