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766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766A
KR20210038766A KR1020190120871A KR20190120871A KR20210038766A KR 20210038766 A KR20210038766 A KR 20210038766A KR 1020190120871 A KR1020190120871 A KR 1020190120871A KR 20190120871 A KR20190120871 A KR 20190120871A KR 20210038766 A KR20210038766 A KR 2021003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data
display devic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해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766A/ko
Priority to US16/929,012 priority patent/US11238766B2/en
Publication of KR2021003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에 공급하고,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주기로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구동부; 및 제1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외부의 배터리 등의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변환함으로써 화소들을 구동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저전력 모드 등에서의 전력 손실 절감을 위한 연구 및 저전력 구동으로 인한 시인성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표시 장치는 대기 상태(또는 대기 모드)에서 저전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표시 장치의 대기 상태가 수 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이 때, 대기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가 열화되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들의 열화 속도가 주변의 다른 화소들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대기 상태(예를 들어, AOD(always on display) 모드 또는 AD(ambient display) 모드)에서 표시된 영상이 잔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1 모드의 진입 시마다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고,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모드가 종료될 때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위치의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위치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된 상기 화소부의 기준 좌표들 중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기준 좌표들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활성화된 상기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마지막 위치와 이후에 다시 활성화된 상기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의 첫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제1 모드가 재개될 때,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상기 제2 위치 데이터가 반영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를 시작으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준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정의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가 각각 매치되는 횟수들을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준 좌표들 각각에 대하여 카운팅된 값들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화소부는 상시 표시 영상(always on display)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하는 영상 시프트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주사 라인을 통해 주사 신호를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시프트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하는 시프트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업데이트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시작으로 상기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시프트부는, 상기 제1 영상이 시프트될 때마다 기 설정된 기준 좌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정의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프트 카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모드 동안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를 시작으로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은 상시 표시 영상(always on displ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제1 모드의 종료 시의 제1 영상의 위치를 기억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후 제1 모드의 재개 시 제1 영상이 표시되어야 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반복되더라도 시프트 시나리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의 표시를 위한 화소들의 누적 사용량이 비교적 균일해질 수 있고, 화소들의 열화 편차가 개선되어 제1 영상의 잔상이 방지 내지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1 영상의 시프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시프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시프트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화소부(100), 구동부(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화소부(100), 구동부(200), 및 메모리(300)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전원들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외부의 프로세서(10)로부터 공급되는 명령 및 데이터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평면 표시 장치,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투명 표시 장치, 헤드 마운트(head-mounted) 표시 장치, 웨어러블(wearable)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패드, TV,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표시 장치(10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부(100)는 복수의 주사 라인들(SL)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하고, 주사 라인들(SL) 및 데이터 라인들(DL)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번째(단, i는 자연수) 화소행 및 j번째(단, j는 자연수) 화소열에 위치하는 화소(PX)는 i번째 주사 라인(SLi) 및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PX)는 표시 장치(1000)에서 (i, j) 좌표의 화소로 지칭 및 인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부(100)는 화소(PX)들 각각에 발광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발광 제어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PX)에 2개 이상의 주사 라인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PX)들 각각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화소(PX)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는 무기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 또는 양자점을 이용하여 출사되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켜 발광하는 발광 소자(퀀텀닷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도 있다.
화소부(100)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 화소부(100)는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상시 표시 모드(또는, 대기 영상 표시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모드는 표시 장치(1000)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간단한 표시 정보(즉, 제1 영상)를 상시적으로 표시하는 모드(예를 들어, always on display [AOD] mode, 또는 ambient display mode)이다. 제1 모드에서는 저전력으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날짜, 시간, 배터리 잔량, 알림 등의 간단한 디스플레이 정보가 항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영상의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는 날짜, 시간, 배터리 잔량 등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가 활성화되어 제1 영상이 표시된다. 제1 모드는 사용자 측면에서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 확인을 위해 전자 기기(및 표시 장치)의 화면을 켜야 하는 수고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1000)의 소비 전력 측면에서는 정보 확인을 위한 표시 장치(1000)의 전원 온/오프의 반복에 따른 전력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는 제1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 주파수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약 1Hz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모드에서의 구동 주파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모드는 화소부(100)가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를 정상적으로 표시하는 구동 모드(예를 들어, 일반 영상 표시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 등에 의해 노멀(normal) 이미지(유효 영상) 또는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프로세서(1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출력되는 노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 또는 패널 구동부)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제1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제1 모드로 구동되는 동안 제1 영상을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시프트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제1 모드 종료 신호(MES)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PD1)는 메모리(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모드가 종료될 때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모드 구동 시의 제1 영상의 마지막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영상에 포함되는 소정의 화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영상을 정의하는 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좌측 최상단의 화소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위치 데이터(PD1)의 정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상은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시프트 시나리오는 제1 영상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위치들 각각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프트 시나리오는 제1 영상이 화소부(100) 전체를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 표시에 따른 화소(PX)들의 열화가 화소부(100) 전체에서 고루 진행될 수 있다.
제1 영상이 이동될 위치들은 화소부(100)의 소정의 기준 좌표들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의 특정 좌표(예를 들어, 제1 영상의 좌측 최상단 화소의 좌표)는 기준 좌표들 중 하나에 상응하도록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상의 특정 좌표는 기준 좌표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가 종료될 때 산출되는 제1 위치 데이터(PD1)는 기준 좌표들 중 하나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제1 모드에서 기준 좌표들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1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종래의 영상 시프트 기술은 제1 모드가 재개될 때마다(즉,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될 때마다) 초기화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시프트를 수행한다. 따라서, 제1 모드 진입 시,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영상이 표시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사용 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초기 시작 위치에 제1 영상이 가장 오랜 시간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초기 시작 위치에서의 화소 열화가 다른 부분의 열화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이에 따른 휘도 차이 및 표시 불량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열화 스트레스가 가장 많이 누적되는 상기 제1 영상의 초기 시작 위치에 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직전에 활성화된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의 마지막 위치와 이후에 다시 활성화된 제1 모드(현재의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첫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에 활성화된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의 마지막 위치와 이후에 다시 활성화된 제1 모드(현재의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첫 위치는 시프트 시나리오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 화소(PX)들 전체의 누적 스트레스가 전체적으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메모리(300)로부터 제1 위치 데이터(PD1)를 독출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직전에 활성화되었던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이 마지막으로 표시된 위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가 재개될 때, 구동부(200)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제1 영상에 상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에 반영하여 제1 영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부(100)는 제2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 데이터는, 제1 위치 데이터(PD1)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가 재개되면, 제1 영상은 제2 좌표를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가 종료된 후 재개 시, 화소부(100)는 시프트 시나리오 상 직전에 제1 영상이 표시되었던 위치 이후에 표시되어야 할 위치에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반복되더라도, 시프트 시나리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 동안 구동부(200)는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준 좌표(즉, 제2 좌표)를 시작으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제1 영상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주사 구동부(220), 데이터 구동부(240), 제어부(260), 및 영상 시프트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220), 데이터 구동부(240) 및 제어부(260)는 원 칩(one chip) 형태의 구동 회로 칩으로 집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220)는 화소부(100)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며, 데이터 구동부(240)와 제어부(260)가 원 칩 형태로 집적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구동부(200)의 구성 및 배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 구동부(220)는 제어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 신호(SCS)에 기초하여 주사 라인들(SL)에 주사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220)는 주사 신호(즉, 게이트-온 레벨을 갖는 주사 신호)를 화소(PX)들 전체에 동시에 제공하거나, 화소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 라인들(SL)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40)는 제어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제어 신호(DCS) 및 영상 데이터(IDATA2)에 기초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데이터 신호(데이터 전압)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240)는 디지털 형식의 영상 데이터(IDATA2)를 아날로그 형식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라인들(DL)을 통해 화소(PX)들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IDATA2)는 각 화소(PX)에 대응하는 계조 값을 포함한다.
제어부(260)는 외부의 프로세서(1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메인 클럭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제어 신호들(SCS, DCS) 및 영상 데이터(I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표시 장치(1000)의 타이밍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6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A1)를 시프트하는 영상 시프트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시프트부(270)의 구동에 의해 화소부(100)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이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시프트부(270)는 제1 모드에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할 수 있다. 도 1에는 영상 시프트부(270)가 제어부(26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영상 시프트부(270)는 제어부(26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화소(PX)들 각각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제어부(260) 및/또는 영상 시프트부(27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300)는 화소(PX)들의 누적 수명 정보, 열화 정보,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시나리오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00)는 시프트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기준 좌표들 각각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들에 제1 영상이 매치되는 누적 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에서 영상 표시에 사용되는 화소(PX)들의 누적 스트레스가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0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1 위치 데이터(PD1)의 정보, 열화 및 스트레스 등을 포함하는 사용량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 및/또는 프로세서(10)가 변경되거나 초기화되더라도, 저장된 제1 위치 데이터(PD1)에 의해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가 이전에 활성화되었던 제1 모드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 활성화에 따른 화소 별 열화 차이 및 이에 따른 제1 영상의 잔상이 방지 내지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제1 모드의 종료 시의 제1 영상의 위치를 기억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후 제1 모드의 재개 시 제1 영상이 표시되어야 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반복되더라도 시프트 시나리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IM1)의 표시를 위한 화소(PX)들의 누적 사용량이 비교적 균일해질 수 있고, 화소(PX)들의 열화 편차가 개선되어 제1 영상의 잔상이 방지 내지 개선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제1 영상의 시프트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모드(MODE1)에서 화소부(100)는 제1 영상(IM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IM1)은 기 설정된 주기로 시프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MODE1)에서 제1 영상(IM1)은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영상(IM1)은 기 설정된 제1 영역(DA1)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는 제1 영역(DA1)에 포함되는 화소(PX)들을 제1 영상(IM1)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1 영상(IM1)의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소부(10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IM1)의 영상 데이터는 제1 영역(DA1)에 포함되는 화소(PX)들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DA1)은 사각형 또는 소정의 다각형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영역(DA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DA1)은 제1 영상(IM1)을 커버하는 영역이면 충분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IM1)을 포함하는 제1 영역(DA1) 내의 소정의 화소(PX)의 좌표(이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라 함)는 제1 영상(IM1)의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제1 영상(IM1)(및 제1 영역(DA1))의 좌측 최상단에 위치하는 화소(PX)의 좌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의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모드(MODE1)가 종료될 때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IM1)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지시하는 화소의 위치 정보가 제1 위치 데이터(PD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IM1)(및 제1 영역(DA1))은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시프트 시나리오(SNR)에는 복수의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상(IM1)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를 기준으로 제1 영상(IM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프트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제1 기준 좌표(RC1) -> 제2 기준 좌표(RC2) -> 제3 기준 좌표(RC3) -> 제4 기준 좌표(RC4) -> 제5 기준 좌표(RC5) -> 제6 기준 좌표(RC6)의 순서로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6 기준 좌표(RC6)에 대응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다시 제1 기준 좌표(RC1)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따라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1 기준 좌표(RC1)에 대응하도록 제1 영상(IM1)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2 기준 좌표(RC2)에 대응하도록 제1 영상(IM1)이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3 기준 좌표(RC3)에 대응하도록 제1 영상(IM1)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IM1)은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4 기준 좌표(RC4), 제5 기준 좌표(RC5), 및 제6 기준 좌표(RC6)에 순차적으로 대응하도록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6 기준 좌표(RC6)에 대응하는 제1 영상(IM1)은,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다시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1 기준 좌표(RC1)에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시프트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즉,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따라 제1 내지 제6 위치 정의 화소 좌표들(RC1 내지 RC6)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IM1)의 시프트 동작은 지그재그 패턴, 나사선 패턴 등의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 데이터(PD1)는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 중 하나의 좌표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1 모드(MODE1)가 종료되는 시점에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IM1)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 중 하나의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3 기준 좌표(RC3)에 대응한 상태에서 제1 모드(MODE1)가 종료된 경우,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제3 기준 좌표(RC3)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모드가 재개되면,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제4 기준 좌표(RC4)에 대응하도록 제1 영상(IM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MODE1)에서 전체 화소(PX)들이 비교적 균등하게 사용(발광)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시프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시프트부(270)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 및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메모리(300)로부터 제1 위치 데이터(PD1)를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1 위치 데이터(PD1)는 직전에 활성화되었던 제1 모드의 종료 시 생성된 제1 영상(IM1)의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모드 개시 신호(MSS)는 제1 모드의 개시에 상응하여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에 제공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이용하여 제2 위치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위치 데이터(PD2)는 제1 모드의 재개 시에 제1 영상(IM1)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데이터(PD1)가 제3 기준 좌표(RC3)를 포함하는 경우,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는 제4 기준 좌표(RC4)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위치 데이터(PD2)는 시프트 업데이트부(274)에 제공될 수 있다.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는 제2 위치 데이터(PD2)를 이용하여 제1 영상(IM1)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ADD)를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기초하여 시프트할 수 있다.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는 제1 영상 데이터(ADD)를 제어부(도 1의 260) 또는 프로세서(도 1의 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시프트된 제1 영상 데이터(SADD)는 데이터 구동부(240)에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는, 제2 위치 데이터(PD2)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시작으로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따라 제1 영상(IM1)을 시프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변경(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IM1)에 포함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설정된 순서로 기준 좌표들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1 영상(IM1)을 시프트하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영상 시프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가 비활성화되면서 제2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 모드 종료 신호(MES)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모드 종료 신호(MES)는 시프트 업데이트부(274)에 공급될 수 있다.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는 제1 모드 종료 신호(MES)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새로운 제1 위치 데이터(PD1')로 결정할 수 있다. 새로운 제1 위치 데이터(PD1')는 메모리(30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제1 모드가 비활성화(또는, 종료)될 때마다 기입되는 새로운 제1 위치 데이터(PD1')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0)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직전에 저장된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시프트부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의 영상 시프트부(270')는 시프트 카운트부(276)를 제외하면, 도 3의 영상 시프트부(2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시프트부(270')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 시프트 업데이트부(274), 및 시프트 카운트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부(272)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메모리(300)로부터 제1 위치 데이터(PD1)를 로드하고,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이용하여 제2 위치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시프트 업데이트부(274)는 제2 위치 데이터(PD2)를 이용하여 제1 영상(IM1)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ADD)를 시프트 시나리오(SNR)에 기초하여 시프트할 수 있다.
시프트 카운트부(276)는 제1 영상(IM1)이 시프트될 때마다 기 설정된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 각각에 대하여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프트 카운트부(276)는 시프트된 영상 데이터(SADD)로부터 위치 정위 화소 좌표(PDC)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산출하고, 해당 기준 좌표에 대한 카운트 값(CRC)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 각각의 누적된 카운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6)의 누적된 카운트 값에 기초하여 화소부(100)의 스트레스 정도, 열화 편차 등이 추가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시프트부(270')는 상기 누적된 카운트 값에 기초하여 열화가 가장 늦게 진행되는 영역에 제1 영상(IM1)이 더욱 오랜 시간 또는 더욱 자주 표시되도록 제1 영상(IM1)의 시프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IM1)은 화소부(100) 내에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IM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프트 시나리오에는 복수의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7)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7)은 제1 영상(IM1) 각각의 중앙에 위치하는 화소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제1 영상(IM1)의 위치 정의 화소 좌표(PDC)는 기준 좌표들(RC1 내지 RC7)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6의 표시 장치(1000')는 영상 데이터의 시프트가 수행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도 1의 표시 장치(10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화소부(100), 구동부(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외부의 프로세서(10)로부터 공급되는 명령 및 데이터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부(100)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 화소부(100)는 제1 모드에서 상시 표시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노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200, 또는 패널 구동부)는 제1 모드 개시 신호(MSS)에 응답하여 제1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0)는 제1 모드 종료 신호(MES)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PD1)는 메모리(3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모드가 재개 또는 개시될 때, 메모리(300')는 제1 위치 데이터(PD1)를 프로세서(1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영상 데이터의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고, 시프트된 영상 데이터(SADD)를 구동부(200)(예를 들어, 구동부(200)에 포함되는 제어부(28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가 재개 또는 개시될 때, 프로세서(10)는 메모리(300')로부터 제1 위치 데이터(PD1)를 독출하고, 제1 위치 데이터(PD1)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로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시프트 동작이 프로세서(10)에서 수행되고, 제어부(280)는 시프트된 영상 데이터(SADD)를 데이터 구동부(240)의 구동에 부합하는 영상 데이터(I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에서 영상 시프트부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고, 영상 시프트 동작 수행을 위한 구동부(200)의 부담, 회로 복잡도, 사이즈 등이 저감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을 시프트하면서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노멀 영상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은 상시 표시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시 표시 영상은 날짜, 시간, 배터리 잔량 등의 간단한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2 영상이 표시(S700)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모드가 개시(S100)되는 경우, 메모리로부터 제1 위치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S200)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는 이전의 제1 모드가 종료될 때 표시되고 있던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치 데이터는 현재 제1 모드가 개시될 때 제1 영상이 최초로 표시될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데이터는, 제1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모드에서 제2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이 표시(S300)되고, 제1 모드 동안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를 시작으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제1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제1 영상이 시프트(S400)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모드가 종료(S500)될 수 있다.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1 위치 데이터가 생성되어 메모리에 저장(S600)될 수 있다. 새로운 제1 위치 데이터는 이후 제1 모드가 재개되면 새로운 제2 위치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제1 모드의 종료 시의 제1 영상의 위치를 기억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후 제1 모드의 재개 시 제1 영상이 표시되어야 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반복되더라도 시프트 시나리오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의 표시를 위한 화소들의 누적 사용량이 비교적 균일해질 수 있고, 화소들의 열화 편차가 개선되어 제1 영상의 잔상이 방지 내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로세서 100: 화소부
200: 구동부 220: 스캔 구동부
240: 데이터 구동부 260, 280: 제어부
270: 영상 시프트부 272: 위치 데이터 생성부
274: 시프트 업데이트부 276: 시프트 카운트부
300, 300': 메모리 1000, 1000': 표시 장치
PDC: 위치 정의 화소 좌표 PD1: 제1 위치 데이터
PD2: 제2 위치 데이터

Claims (20)

  1. 제1 모드에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에 상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고,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모드가 종료될 때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위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위치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된 상기 화소부의 기준 좌표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기준 좌표들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활성화된 상기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마지막 위치와 이후에 다시 활성화된 상기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의 첫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제1 모드가 재개될 때,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상기 제2 위치 데이터가 반영된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 동안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를 시작으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준 좌표들과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정의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가 각각 매치되는 횟수들을 카운팅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기준 좌표들 각각에 대하여 카운팅된 값들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화소부는 상시 표시 영상(always on display)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하는 영상 시프트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주사 라인을 통해 주사 신호를 상기 화소부에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시프트부는,
    상기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로드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시프트하는 시프트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업데이트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시작으로 상기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시프트부는,
    상기 제1 영상이 시프트될 때마다 기 설정된 기준 좌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상의 위치를 정의하는 위치 정의 화소 좌표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프트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 모드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1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1 모드 동안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를 시작으로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시프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1 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시프트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될 위치인, 제2 좌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은 상시 표시 영상(always on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90120871A 2019-09-30 2019-09-30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38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71A KR20210038766A (ko) 2019-09-30 2019-09-30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6/929,012 US11238766B2 (en) 2019-09-30 2020-07-1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71A KR20210038766A (ko) 2019-09-30 2019-09-30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766A true KR20210038766A (ko) 2021-04-08

Family

ID=7516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71A KR20210038766A (ko) 2019-09-30 2019-09-30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38766B2 (ko)
KR (1) KR202100387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534A (ko) * 2021-12-10 2023-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23223400A1 (ja) * 2022-05-17 2023-11-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ユニット、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114A (ko) * 2010-11-10 2012-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ㅊ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95051A (ko) 2014-02-12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KR102529270B1 (ko) * 2016-07-0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73689B1 (ko) 2016-09-29 202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aod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KR20180095409A (ko) 2017-02-17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N107491280B (zh) * 2017-08-22 2021-05-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更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8766B2 (en) 2022-02-01
US20210097912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476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US11341934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CN107945739B (zh) 有机el显示装置及有机el显示装置的驱动方法
KR102510460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90206315A1 (en) Compensa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Compensation Value Storage Unit
KR20140011388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200425013A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0787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구동 방법
KR2021003876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12954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20170067189A (ko)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9000486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5011175A (ja) 表示駆動装置、表示駆動方法、表示装置
CN102376244A (zh) 显示设备以及显示设备的像素驱动方法
KR2020012083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8060200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20210022824A (ko) 데이터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4472B1 (ko) 표시장치
KR10247139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6293320B1 (ja) 輝度補正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輝度補正プログラム
KR20080089247A (ko) 전기 광학 표시 장치의 묘화 회로, 전기 광학 표시 장치의묘화 방법, 전기 광학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N102831855A (zh) 图像处理装置、电光装置、电子设备及图像处理方法
JP2007072056A (ja) 電気光学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9014101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same
JP2006243223A (ja) 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駆動回路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