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461A -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461A
KR20210038461A KR1020210034724A KR20210034724A KR20210038461A KR 20210038461 A KR20210038461 A KR 20210038461A KR 1020210034724 A KR1020210034724 A KR 1020210034724A KR 20210034724 A KR20210034724 A KR 20210034724A KR 20210038461 A KR20210038461 A KR 2021003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display
ratio
target scre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류
웨이 샹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스크린 프로젝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속성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는,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여 타깃 스크린과 보다 더 매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타깃 스크린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타깃 스크린 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충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정보의 표시 효율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SCREEN PROJ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본 출원은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 프로젝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기기는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은 차량에는 모두 맵 등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이 장착되어 있다. 동시에 차량에 다른 차량용 기기도 장착할 수 있고, 차량용 기기는 차량 머신 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중 스크린에 스크린 프로젝션을 수행한다.
기존의 스크린 프로젝션 수단에서, 프로젝션할 화면을 스크린 중심에 직접 분포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표시할 콘텐츠를 스크린의 중심 부분에 압출하는 것으로, 스크린 중 잔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낭비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돌출적이지 않아, 사용자 체험에 불리하다.
본 출원은 종래의 기술에서 스크린 프로젝션을 수행할 시 스크린 중 잔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낭비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조정 모듈;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측면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제1 측면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있어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속성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는,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여 타깃 스크린과 보다 더 매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타깃 스크린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타깃 스크린 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충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정보의 표시 효율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첨부 도면은 본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기기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기기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설정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 사항이 포함되며,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현재, 차량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도 점점 더 풍부해지고 있다. 특히,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 표시 방식은 보다 더 직관적이고, 표시 콘텐츠도 보다 더 풍부하다.
여기서, 차량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차량 머신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차량 머신 단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송신한다. 차량 머신 단부는 예를 들어, 차량용 컴퓨터일 수 있다.
동시에, 차량 머신 단부외에, 차량에 다른 전자기기도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차량 출고 시 장착되거나,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후기에 장착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전자기기는 차량 머신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차량 머신 단부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스크린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콘텐츠의 불확정성으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완전한 스크린 프로젝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프로젝션할 화면을 스크린 중심 부분에 직접 분포시키고, 구체적으로, 표시할 콘텐츠를 스크린의 중심 부분에 압출하며, 구체적으로, 스크린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의 중심 부분에 압출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스크린 중 잔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낭비하고,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돌출적이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볼 때, 그중에 대부분 공백 영역이 존재하고, 실제 프로?Ъ풩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비교적 작음으로 하여 사용자 체험이 좋지 않다.
본 출원에 따른 방안에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하고, 스크린 프로젝션을 수행할 경우,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 및 상기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타깃 스크린에 획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에 따른 방안에서, 스크린 자체의 속성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더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타깃 스크린 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 및 전자기기(12)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차량 머신 단부(예를 들어, 차량용 컴퓨터이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12)는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드라이빙 리코더,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전자기기(12)는 스크린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자기기(12)를 작동시켜, 필요한 정보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기기(12)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프로젝션된 상태에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할 정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다른 프로?Ъ피?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기기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1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1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직접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프로?Ъ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B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기기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12)는 차량 머신 단부(13)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과 연결된다. 전자기기(12)는 차량 머신 단부(13)에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다시 차량 머신 단부(13)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송신하며, 따라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11)에 프로?Ъ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도 1, 도 2A, 도 2B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301)는 스크린 프로?Ъ퓽? 수행할 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스크린 프로?Ъ퓽? 수행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스크린 프로?Ъ? 상태로 설정된 후, 전자기기는 단계(30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깃 스크린은, 프로젝션할 스크린을 의미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차량에 적용하면, 타깃 스크린은 도 1,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바, 상기 속성 정보는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고,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가 타깃 스크린과 직접 연결되면, 타깃 스크린 부분으로부터 이 속성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전자기기가 차량 머신 단부를 통해 타깃 스크린과 연결되면, 전자기기는 차량 머신 단부 부분으로부터 이 속성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즉 스크린 이미지의 정밀도를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량을 의미한다. 스크린의 포인트, 라인 및 면이 모두 픽셀에 의해 조성된 것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이 많을 수록, 화면이 더 정밀하고, 동일한 스크린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도 더 많다.
여기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더 설정할 수 있으며, 상이한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는 상이할 수 있다. 템플릿의 해상도는 이미지 해상도를 의미하고, 단위 인치에 포함된 픽셀 포인트 수이다.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는 상이하고, 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도 상이할 수 있다. 전자기기에 다수의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개, 3개 등 개수의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템플릿은 비교적 넓은 타깃 스크린에 적용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템플릿은 정상적인 타깃 스크린에 적용된다.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이의 종회비를 결정할 수 있고, 종횡비에 따라 타깃 스프린이 비교적 넓은 스크린인지 여부를 측정하며, 다시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기록할 수 있으므로, 프로?Ъ피? 때마다 본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타깃 스크린 식별자와 디스플레이 템플릿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록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템플릿은 고정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메뉴 부분에 포함된 각각의 버튼, 다시 예를 들어 타이틀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포넌트 등이다. 이러한 컴포넌트도 디스플레이할 콘텐츠에 속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템플릿은 메뉴 컴포넌트(41), 버튼 컴포넌트(42), 디스플레이 컴포넌트(43), 타이틀 컴포넌트(44)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가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템플릿은 다수의 메뉴 컴포넌트(41)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버튼 컴포넌트(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4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의해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경우, 3개의 메뉴 컴포넌트(41)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는 3개의 메뉴 컴포넌트(4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포함된 컴포넌트 타입은 동일할 수 있고, 구체적인 컴포넌트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단계(302), 속성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결정된 후, 상기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 및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 비율은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타깃 스크린의 사이즈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사이즈의 타깃 스크린에 대해 모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하면, 디스플레이 템플릿 개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다수의 사이즈의 타깃 스크린을 동일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동일한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다수의 타깃 스크린과 대응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직접 사용하여 타깃 스크린에 정보를 표시하면, 정보가 완전히 표시되지 않거나, 타깃 스크린에 공백 영역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또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 및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또한 스케일링 비율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현재의 타깃 스크린에 적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사이즈의 타깃 스크린에 대해,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설정하지 않았지만, 타깃 스크린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타깃 스크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상이한 사이즈의 타깃 스크린에 대해 모두 개성화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링 비율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할 경우, 스케일링 비율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포함된 각각의 컴포넌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에 보다 더 부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템플릿 중 컴포넌트의 길이, 폭에 스케일링 비율을 동시에 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적응되게 조정한 후, 이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변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스케일링 비율을 기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타깃 스크린 식별자와 디스플레이 템플릿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기록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 식별자와 스케일링 비율의 대응관계도 기록함으로써, 프로?Ъ악? 경우, 이러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한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는 또한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직접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로 설정한 후, 전자기기는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수행할 수 있어,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기록한다.
타깃 스크린을 제어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경우,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 및 스케일링 비율을 직접 획득하거나,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직접 획득할 수 있으며, 다시 획득된 정보로 스크린 프로젝션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 프로젝션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킨다.
단계(303),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한다.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프로젝션하여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명령을 송신하여,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음성,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작동 등 방식을 통해 전자기기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내부 로직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긴급 뉴스가 있는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긴급 뉴스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303) 및 단계(301) 내지 단계(302)의 수행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먼저 단계(303)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는 먼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이면,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수행한 후 다시 단계(304)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먼저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수행한 다음 단계(303)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기기를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전자기기는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반하여 단계(304)를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301) 내지 단계(302) 및 단계(303)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로 이미 설정된 후, 전자기기는 사용자 조작 또는 자체 로직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고, 동시에 전자기기는 단계(301) 내지 단계(302)를 수행한 후 다시 단계(304)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04),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획득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배치하고, 이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타깃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획득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컴포넌트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설정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중의 각각의 컴포넌트의 사이즈는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조정된 것이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51)에는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내장된다.
또한, 전자기기가 타깃 스크린과 직접 연결되면,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내장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송신하여, 상기 타깃 스크린에 직접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적용 시, 전자기기가 차량 머신 단부를 통해 타깃 스크린과 연결되면, 전자기기는 차량 머신 단부에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내장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송신하여, 차량 머신 단부가 타깃 스크린을 다시 제어하여 구체적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기반으로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가 수행되어, 디스플레이 효과가 타깃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보다 더 부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설정된 기기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기기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은,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속성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은,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여 타깃 스크린과 보다 더 매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타깃 스크린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타깃 스크린 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충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정보의 표시 효율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601)에서,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음성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도 1, 도 2A, 도 2B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인식하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말한 음성 명령을 문자 명령으로 변환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명령을 백그라운드 서버에 송신하여, 백그라운드 서버가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피드백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단계(602),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전자기기는 현재 상태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단계(603)를 수행하고, 아니면, 자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전자기기 자체는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또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획득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603)에서,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해상도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타깃 스크린은 프로젝션할 스크린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차량에 적용하면, 타깃 스크린은 도 1,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해상도 정보는 m*n와 같은 구체적인 해상도 값일 수 있는 바, m은 타깃 스크린이 횡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를 나타내고, n은 타깃 스크린이 종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를 나타낸다.
실제 적용 시, 스크린의 해상도는 상이하며, 동일한 타입셋팅을 가진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이이 디스플레이 효과도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를 사용하여 최종 타입셋팅 결과를 결정함으로써, 타깃 스크린과 매칭되는 타입셋팅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해상도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해상도 정보가 m*n이면,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가 m/n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종횡비와 기설정된 비의 값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또한 기설정된 비의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을 통해 타깃 스크린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큰 타깃 스크을 하나의 타입으로 분류하고,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 타깃 스크린을 다른 하나의 타입으로 분류한다.
또한, 기설정된 비의 값을 통해 타깃 스크린을 두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하나는 비교적 넓은 스크린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스크린이다. 이로써 타깃 스크린 자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상기 타깃 스크린에 보다 더 부합되도록 한다.
기설정된 비의 값은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1일 수 있다.
단계(605)에서,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크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606)에서,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한다.
실제 적용 시, 제1 템플릿 및 제2 템플릿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이한 특성을 가진 타깃 스크린에 각각 적용한다. 여기서, 제1 템플릿의 종횡비는 제2 템플릿의 종횡비보다 크고, 상기 종횡비는 템플릿의 해상도에 따라 계산된 종횡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템플릿의 해상도가 m’*n’이면, 상기 템플릿의 종횡비는 m’/ n’이다.
여기서, 제1 템플릿의 종횡비가 더 크므로, 종횡비가 비교적 큰 스크린에 적합하다. 따라서,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크면, 제1 템플릿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2 템플릿의 종횡비가 작으므로, 종횡비가 비교적 작은 스크린에 적합하다. 따라서,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가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2 템플릿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는 상기 스크린의 형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비교적 넓거나, 정사각형과 유사하다. 상이한 종횡비에 따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타깃 스크린에 보다 더 적합한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에 따라 적합한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선택함으로써,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디스플레이 효과는 상기 스크린과 보다 더 매칭될 수 있다.
이밖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는 제1 템플릿 및 제2 템플릿이 설정되며, 2개의 기설정된 템플릿이 차지하는 메모리가 비교적 작아, 그중에서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템플릿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스크린 프로젝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제1 템플릿의 해상도는 1280*480이고; 제2 템플릿의 해상도는 854*480이다. 제1 템플릿의 해상도는 비교적 넓은 스크린에 적용되고, 제2 템플릿은 정상적인 스크린에 적용된다. 기설정된 비의 값을 사용하여 타깃 스크린을 분류할 경우, 두 타입의 스크린을 획득할 수 있는 바, 하나의 비교적 넓은 스크린은 제1 템플릿에 적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정상적인 스크린은 제2 템플릿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607)에서,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해상도 정보는 2개의 값을 포함할 수 있는 바, 하나는 횡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를 나타내는 횡방향 해상도이고, 다른 하나는 종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를 나타내는 종방향 해상도이다. 타깃 스크린의 횡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횡방향에서 포함하는 픽셀 수를 사용하여, 횡방향 비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타깃 스크린의 종방향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픽셀 수,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방향에서 포함하는 픽셀 수를 사용하여,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타깃 스크린의 횡방향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횡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횡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타깃 스크린의 종방향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종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한다.
또한,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이면,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 및 제1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하고;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이면,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 및 제2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한다. 이로써,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통해, 타깃 스크린과 디스플레이 템플릿 사이의 가로세로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가로세로 관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 템플릿이 타깃 스크린에 보다 더 적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타깃 스크린의 해상도 정보가 m*n이고,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가 m’*n’이면, 횡방향 비의 값 rW=m/ m’이고, 종방향 비의 값 rH= n/ n’이다.
단계(608),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 중 작은 값을 스케일링 비율로 결정한다.
실제 적용 시, 횡방향 비의 값과 종방향 비의 값 중 작은 값을 스케일링 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링 비율은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rW가 더 작다고 가정하면, 상기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rW배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템플릿 전체의 크기는 m* n’× m/ m’으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rW가 더 작으면,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횡비가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보다 크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때 우선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가로 변을 타깃 스크린과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어, 타깃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충분히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템플릿 중 콘텐츠가 타깃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rH가 더 작으면,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종횡비보다 크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때 우선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세로 변을 타깃 스크린과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어, 타깃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충분히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템플릿 중 콘텐츠가 타깃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 횡방향 비의 값과 종방향 비의 값이 같으면, 그 중 어느 하나의 비의 값을 스케일링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비의 값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스케일링 처리를 수행하던지 결과는 모두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템플릿 및 제2 템플릿에 대해 상이한 조정 방식 및 디스플레이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단계(609A 내지 610A) 및 단계(609B 내지 610B)를 참조할 수 있다.
단계(609A)에서,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이면,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제1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가변 컴포넌트의 크기, 고정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1 템플릿에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배치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가변 컴포넌트로 정의한다. 고정 컴포넌트는 페이지 넘기기 버튼, 태그 등 고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하여 고정 컴포넌트, 가변 컴포넌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고정 컴포넌트 사이의 영역은 고정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하여 고정 영역의 크기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컴포넌트와 고정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은 타깃 스크린의 실제 경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고정 컴포넌트, 가변 컴포넌트 및 고정 영역의 길이 및 폭을 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컴포넌트 또는 고정 영역의 길이 및 폭에 스케일링 비율을 각각 곱하여, 제1 템플릿 중 컴포넌트와 고정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스케일링 비율을 통해 제1 템플릿 중 컴포넌트, 영역에 대해 처리함으로써, 제1 템플릿 중 각각의 부분이 변형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610A)에서,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를 타깃 스크린의 주변 위치에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가변 컴포넌트에 설정하며, 가변 컴포넌트의 위치를 타깃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 설정하고;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고정 컴포넌트와 가변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한다.
실제 적용 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 또는 차량 머신 단부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신할 경우,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타깃 스크린이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레이아웃 정보는 각각의 컴포넌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 정보는 타깃 스크린 주변에 설정되고, 가변 컴포넌트의 레이아웃 정보는 타깃 스크린 중심 위치에 위치한다. 전자기기는 또한 각각의 컴포넌트의 크기, 고정 영역의 크기를 송신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조정된 크기이다.
여기서, 레이아웃 정보는 고정 컴포넌트와 가변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이 타깃 스크린의 실제 남은 공백 영역을 따르도록 조정하는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백 영역은 고정 컴포넌트, 가변 컴포넌트, 고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일 경우, 결정된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콘텐츠(71)를 중심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콘텐츠(71)를 중심으로 주변에 공백 영역을 균등하게 나누어,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71)가 보다 더 돌출되도록 한다. 핵심 콘텐츠가 상주 영역과 달리, 핵심 정보를 강조하는 역할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이러한 방식은 이러한 픽셀 포인트에 대해 비교적 합리적으로 분할하고 사용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적응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단계(609B),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이면,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제2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2 템플릿에서, 디스플레이 콘텐츠, 페이지 넘기기 버튼, 태그 등 콘텐츠를 배치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고정 컴포넌트로 정의한다.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하여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고정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은 컴포넌트 간격으로 정의되고, 즉 횡방향 거리를 포함하거나 종방향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하여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고정 컴포넌트,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컴포넌트 길이 및 폭에 스케일링 비율을 각각 곱하고, 각각의 컴포넌트 간격에 스케일링 비율을 곱하여, 제2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와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스케일링 비율을 통해 제1 템플릿 중 컴포넌트, 영역에 대해 처리함으로써, 제1 템플릿 중 각각의 부분이 변형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610B)에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1 고정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한다.
실제 적용 시, 전자기기는 타깃 스크린 또는 차량 머신 단부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신할 경우, 레이아웃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타깃 스크린이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레이아웃 정보는 각각의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템플릿 중 각각의 고정 컴포넌트의 상대 위치에 따라,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고정 컴포넌트는 주변 위치에 설정되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고정 컴포넌트는 중간 위치에 설정된다. 전자기기는 또한 각각의 고정 컴포넌트,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송신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조정된 크기이다.
여기서, 레이아웃 정보는 타깃 스크린 중 실제 남은 공백 영역에 따라, 컴포넌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컴포넌트 간격이 이러한 공백 영역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공백 영역은 고정 컴포넌트, 컴포넌트 간격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즉 타깃 스크린은 전자기기에 의해 결정된 디스플레이 효과에 따라, 공백 영역을 결정하고, 다시 공백 영역에 따라 컴포넌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일 경우, 결정된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방식을 통해, 스크린의 종횡비가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변형되거나 분산될 확률이 더 작으며, 이 경우 풀 레이아웃에 적합함으로써, 타깃 스크린 중 디스플레이 영역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는,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91);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조정 모듈(92);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93);을 포함한다.
여기서, 템플릿 결정 모듈(91), 조정 모듈(92), 디스플레이 모듈(93)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는,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 정보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 속성 정보,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조정 모듈;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타깃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는,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여 타깃 스크린과 보다 더 매칭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통해 타깃 스크린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타깃 스크린 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충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정보의 표시 효율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의 구체적인 원리 및 구현 방식은 모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 상기 속성 정보는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결정 모듈(91)은,
상기 해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를 결정하는 비율 결정 유닛(911);
상기 종횡비와 기설정된 비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 유닛(912); 및,
템플릿 결정 유닛(913);을 포함하되, 템플릿 결정 유닛(913)은,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크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 템플릿의 종횡비는 상기 제2 템플릿의 종횡비보다 크다.
선택 가능하게, 비율 결정 유닛(911), 비교 유닛(912), 템플릿 결정 유닛(913)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템플릿의 해상도는 1280*480이고;
상기 제2 템플릿의 해상도는 854*480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정 모듈(92)은,
상기 타깃 스크린의 상기 해상도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하는 비의 값 결정 유닛(921); 및,
상기 횡방향 비의 값, 상기 종방향 비의 값 중 작은 값을 상기 스케일링 비율로 결정하는 스케일링 비율 결정 유닛(922);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비의 값 결정 유닛(921)은 스케일링 비율 결정 유닛(922)과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비의 값 결정 유닛(921)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깃 스크린의 횡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횡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횡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종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1 템플릿이면, 상기 조정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가변 컴포넌트의 크기, 고정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정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주변 위치에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가변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상기 가변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 설정하며;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고정 컴포넌트와 상기 가변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2 템플릿이면, 상기 조정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2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정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1 고정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3)은 구체적으로,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장치는,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다면 템플릿 결정 모듈(91)은 상기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판단 모듈(94)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전자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 프레임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장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문에 표시된 부재, 이들의 연결 및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문에서 설명되거나 및/또는 요구되는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및 고속 인터페이스 및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재는 상이한 버스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고, 또한 공통 마더보드에 설치되거나 수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명령을 처리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은, 외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에 GUI의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모리 내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요되면,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를 다수의 메모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기는 일부 필요한 동작(예를 들어, 서버 어레이, 한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으로 사용됨)을 제공한다. 도 11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1101)를 예로 한다.
메모리(1102)는 본 출원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본 출원에 따른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1102)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템플릿 결정 모듈(91), 조정 모듈(92) 및 디스플레이 모듈(93))과 같은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2)에 저장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1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기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밖에, 메모리(11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다른 비일시적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소자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102)는 프로세서(11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되는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기기는,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11에서는 버스를 통한 연결을 예로 한다.
입력 장치(11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캐릭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포인팅 스틱, 하나 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볼, 조이스틱 등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1104)는 디스플레이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어, LED) 및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주문형 ASIC(주문형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주문형 또는 일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을 상기 저장 시스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로 지칭되기도 함)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고, 또한 고급 프로세스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사용하여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LD))를 의미하고, 기계 판독 가능 신호인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 신호”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 및 키보드 및 포인팅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및 상기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한다. 다른 타입의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센서 피드백(예를 들어, 예를 들어,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은 백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로 사용됨), 또는 미들웨어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인 바,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엔드 부재, 미들웨어 부재,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망(WAN),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인터랙션한다. 대응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또한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재배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기재된 각 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해결수단이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본문은 여기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 교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에 있어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해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종횡비와 기설정된 비의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크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템플릿의 종횡비는 상기 제2 템플릿의 종횡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플릿의 해상도는 1280*480이고;
    상기 제2 템플릿의 해상도는 854*4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스크린의 상기 해상도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횡방향 비의 값, 상기 종방향 비의 값 중 작은 값을 상기 스케일링 비율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스크린의 상기 해상도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스크린의 횡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횡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횡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종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1 템플릿이면,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가변 컴포넌트의 크기, 고정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주변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가변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상기 가변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고정 컴포넌트와 상기 가변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2 템플릿이면,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2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1 고정 컴포넌트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상기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타깃 스크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 모듈;
    상기 속성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대해 조정하는 조정 모듈; 및,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 템플릿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템플릿 결정 모듈은,
    상기 해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횡비를 결정하는 비율 결정 유닛; 및,
    상기 종횡비와 기설정된 비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 유닛;을 포함하며,
    템플릿 결정 유닛은,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크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1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종횡비가 상기 기설정된 비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타깃 스크린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제2 템플릿인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제1 템플릿의 종횡비는 상기 제2 템플릿의 종횡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타깃 스크린의 상기 해상도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횡방향 비의 값, 종방향 비의 값을 결정하는 비의 값 결정 유닛; 및,
    상기 횡방향 비의 값, 상기 종방향 비의 값 중 작은 값을 상기 스케일링 비율로 결정하는 스케일링 비율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의 값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깃 스크린의 횡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횡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횡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의 종방향 해상도와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의 종방향 해상도의 비의 값을, 상기 종방향 비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1 템플릿이면,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가변 컴포넌트의 크기, 고정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주변 위치에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가변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상기 가변 컴포넌트의 위치를 상기 타깃 스크린의 중심 위치에 설정하며;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고정 컴포넌트와 상기 가변 컴포넌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템플릿이 상기 제2 템플릿이면,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제2 템플릿 중 고정 컴포넌트의 크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1 고정 컴포넌트에 설정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 중 나머지 공백 영역에 따라 상기 컴포넌트 간격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전자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34724A 2020-05-13 2021-03-17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038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01573.0 2020-05-13
CN202010401573.0A CN111596878B (zh) 2020-05-13 2020-05-13 投屏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461A true KR20210038461A (ko) 2021-04-07

Family

ID=7218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24A KR20210038461A (ko) 2020-05-13 2021-03-17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8071B2 (ko)
KR (1) KR20210038461A (ko)
CN (1) CN111596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8236A (zh) * 2020-09-10 2022-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接入方法及相关装置
CN114489529A (zh) * 2020-10-23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投屏方法及其介质和电子设备
CN112616078A (zh) * 2020-12-10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投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473205B (zh) * 2021-07-01 2023-04-07 西安数拓网络科技有限公司 应用投放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686405A (zh) * 2021-07-31 2023-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5426516A (zh) * 2022-08-31 2022-12-02 联想(北京)有限公司 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5911A (ja) 1999-06-21 2001-01-12 Toshiba Corp 文字入力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8129702A (ja) * 2006-11-17 2008-06-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7961202B2 (en) * 2007-10-26 2011-06-14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visual appearance of at least one window when a resolution of the screen changes
JP5927900B2 (ja) * 2011-12-22 2016-06-0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WO2015038151A1 (en) * 2013-09-13 2015-03-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reen orientation
JP6377028B2 (ja) * 2015-08-05 2018-08-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648511A (zh) * 2016-12-16 2017-05-10 竞技世界(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分辨率的自适应显示方法及装置
JP2019219628A (ja) * 2018-06-22 2019-12-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8984253A (zh) * 2018-06-29 2018-12-11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界面显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9144443A (zh) * 2018-07-20 2019-01-04 重庆宝力优特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多屏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10893A (zh) * 2018-09-04 2019-03-01 广州优视网络科技有限公司 显示图片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508162B (zh) * 2018-10-12 2021-08-13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投屏显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9783181B (zh) * 2019-01-31 2019-12-20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屏幕适配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19387A (ja) 2021-08-12
CN111596878A (zh) 2020-08-28
CN111596878B (zh) 2023-06-20
JP7258071B2 (ja)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8461A (ko) 스크린 프로젝션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9535890B2 (en) Flexible control in resizing of visual displays
US11588961B2 (en) Focusing lighting module
KR20210052404A (ko)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20120096344A1 (en) Rendering or resizing of text and images for display on mobile / small screen devices
JP7269265B2 (ja) 映像フレームの伝送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可読記憶媒体
JP7230093B2 (ja) スマートバックミラー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US20210149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le storage medium
JP2021099887A (ja) 音声認識によるページ操作方法、装置、機器、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12102417B (zh) 确定世界坐标的方法和装置
US2023012311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11566913B2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R navigation
CN112740161A (zh) 终端、用于控制终端的方法以及其中记录有用于实现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
KR102223554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0997356B1 (en) Computing device user interface having auto-grouping of data columns
CN111797933B (zh) 模板匹配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553661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P4024217A1 (en) Sampling target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214093A1 (en) Paging content for user interface display
CN112558849A (zh) 一种图形模型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23553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14969398A (zh) 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90115401A (ko) 링크 뷰 방법, 링크 뷰 장치 및 링크 뷰 프로그램
CN117671210A (zh) 视角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35845A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