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074A -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074A
KR20210038074A KR1020190120754A KR20190120754A KR20210038074A KR 20210038074 A KR20210038074 A KR 20210038074A KR 1020190120754 A KR1020190120754 A KR 1020190120754A KR 20190120754 A KR20190120754 A KR 20190120754A KR 20210038074 A KR20210038074 A KR 2021003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licate
soluble silicate
sodium carbonat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김준석
Original Assignee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074A/ko
Publication of KR2021003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병충해를 예방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비료로 사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성장을 촉진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을 배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공정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해시키는 용융공정; 상기 용융공정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응고시키는 냉각공정; 및 상기 냉각공정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분쇄하는 파쇄공정과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공정;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soluble silicate}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병충해를 예방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에 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킨 다음,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함으로써,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비료로 사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성장을 촉진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규산광물은 미네랄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셀레늄, 망간, 몰리브덴, 불소 등의 미량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규산염은 수질의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는 자정능력이 있는 청정제로 널리 알려져 있어 사용량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수용성 규산염은 수질의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는 자정능력과 농약성분 및 오염물질을 흡수해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하여 일상생활 용품에서부터 친환경 농업용 자재, 수처리제, 자동차, 의료, 화장품 및 바이오산업 등 다방면에 다양한 능력을 지닌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종래 친환경적으로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370호(수용성 규산염 및 그 제조방법)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규석과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물질을 1650℃이상 1700℃이하의 온도까지 올라가는 소성로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혼합물을 1650℃이상 1700℃이하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 및 가열한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순도가 낮고 불순물이 상당량 섞여 그 자체로는 상품성 떨어지는 저품위 규석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추고, 식용으로 이용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하여 비료로 사용하였을 시 토양 오염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종래 작물의 수확량을 높이고, 병충해를 예방하는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594호(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규산화합물 60~90 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20~40 중량부 및 인화합물 5~20 중량부를 1500~1700℃에서 공융시키고, 이를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불용성의 규산질 비료를 가용성 내지 액상으로 규산질 비료의 제조가 가능하고, 작물의 잎면 시비도 가능하여 병충해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작물의 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규산질의 공급과 함께 칼리 및 인산도 함께 공급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토양을 개량하는 규산환 비료를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927호(규산환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무기분말, 결합제 및 결합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비석, 벤토나이트, 맥반석, 랑베이나이트(Langbeinite) 및 흑운모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제는 액상 규산, 키토산, 부식산, 몰리브덴, 알긴산소다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제는 석고가루와, 전분가루 및 밀가루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직경 5mm 내지 30mm 크기의 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작물의 생산성, 스트레스 저항성, 내병성 증진 효과 및 토양개량 효과가 우수하면서 물리적 결속력이 우수하고, 정식시 작물과 동시에 투입하여 비료의 시비효율을 높이며, 작물로의 흡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물당 1~2개의 규산환 비료를 사용하여 시비량이 적고 간편하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에서 작물의 병충해를 예방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규산질 비료는 토양에 입제로 살포할 경우, 입자가 미세하기 때문에 쉽게 용해되어 작물에 흡수되기 전에 빗물로 흘러내리거나 지하로 침투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토양과 빗물에 쉽게 용해되는 속효성으로 다년생 작물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5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47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1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9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370호.
본 발명은 종래 수용성 규산염 및 그 제조방법의 선행기술에서 순도가 떨어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80~55 중량부에 탄산나트륨 45~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킨 다음, 냉각하여 제조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켜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함으로써,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비료로 사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성장을 촉진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을 배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공정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해시키는 용융공정; 상기 용융공정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응고시키는 냉각공정; 및 상기 냉각공정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분쇄하는 파쇄공정과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공정;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혼합공정은 규산광물 80~55 중량부에 탄산나트륨 45~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용융공정은 혼합공정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6~8 시간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에 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킨 다음,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함으로써,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비료로 사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연 규산광물 80~55 중량부에 탄산나트륨 45~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켜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함에 따라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얻을 수 있고, 제조공정과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혼합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기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은,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을 배합하는 혼합공정(100); 상기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해시키는 용융공정(200); 상기 용융공정(200)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응고시키는 냉각공정(300); 및 상기 냉각공정(300)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분쇄하는 파쇄공정(400)과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공정(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ⅰ) 파쇄공정
천연 규산광물(SiO₂) 중에서 고순도(99% 이상)로 규소가 함유된 석영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미립자(200 mesh)의 분말로 만든다.
ⅱ) 선별공정
파쇄기로 분쇄된 미립자의 규산광물 중에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기로 분리 제거하며, 여기서 선별기는 스크린 또는 드럼 선별기를 이용한다.
ⅲ) 혼합공정(100)
혼합기(10)의 탱크(11)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80 중량부와, 탄산나트륨 20 중량부를 넣고, 60분 정도 정밀하게 배합한다.
상기에서 혼합기(1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이 구성되며,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은 배출구(12)로 인출된 다음, 호퍼(13)와 스크류 컨베이어(14)를 통해 다음 공정의 전기로(20)로 이송된다.
ⅳ) 용융공정(200)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6시간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전기로(20)는 스크류 컨베이어(22)를 통해 용융탱크(21)의 내부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이 투입되며, 용융탱크(21)에는 다수개의 전기봉(23)이 설치되어 혼합물을 단시간에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용융탱크(21)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용융탱크(21)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기봉(23)은 몰리브덴(molybdenum) 소재로 제작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인다.
ⅴ) 냉각공정(300)
용융공정의 전기로(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전기로(20)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대차(30)에 담아 응고시키고, 이를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이 제조된다.
Ⅵ) 파쇄공정(400)
냉각공정에서 자연 냉각된 수용성 규산염을 파쇄기(40)에 투입하여 2mm의 크기로 분쇄한다.
Ⅶ) 포장공정(500)
파쇄공정에서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기(50)를 통해 용기에 일정량 담아 포장한다.
ⅰ) 파쇄공정
천연 규산광물(SiO₂) 중에서 고순도(99% 이상)로 규소가 함유된 석영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미립자(300 mesh)의 분말로 만든다.
ⅱ) 선별공정
파쇄기로 분쇄된 미립자의 규산광물 중에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기로 분리 제거하며, 여기서 선별기는 스크린 또는 드럼 선별기를 이용한다.
ⅲ) 혼합공정(100)
혼합기(10)의 탱크(11)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55 중량부와, 탄산나트륨 45 중량부를 넣고, 80분 정도 정밀하게 배합한다.
상기에서 혼합기(1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이 구성되며,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은 배출구(12)로 인출된 다음, 호퍼(13)와 스크류 컨베이어(14)를 통해 다음 공정의 전기로(20)로 이송된다.
ⅳ) 용융공정(200)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8시간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전기로(20)는 스크류 컨베이어(22)를 통해 용융탱크(21)의 내부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이 투입되며, 용융탱크(21)에는 다수개의 전기봉(23)이 설치되어 혼합물을 단시간에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용융탱크(21)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용융탱크(21)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기봉(23)은 몰리브덴(molybdenum) 소재로 제작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인다.
ⅴ) 냉각공정(300)
용융공정의 전기로(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전기로(20)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대차(30)에 담아 응고시키고, 이를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이 제조된다.
Ⅵ) 파쇄공정(400)
냉각공정에서 자연 냉각된 수용성 규산염을 파쇄기(40)에 투입하여 6mm의 크기로 분쇄한다.
Ⅶ) 포장공정(500)
파쇄공정에서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기(50)를 통해 용기에 일정량 담아 포장한다.
ⅰ) 파쇄공정
천연 규산광물(SiO₂) 중에서 고순도(99% 이상)로 규소가 함유된 석영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미립자(250 mesh)의 분말로 만든다.
ⅱ) 선별공정
파쇄기로 분쇄된 미립자의 규산광물 중에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기로 분리 제거하며, 여기서 선별기는 스크린 또는 드럼 선별기를 이용한다.
ⅲ) 혼합공정(100)
혼합기(10)의 탱크(11)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80 중량부와, 탄산나트륨 20 중량부 및 몰리브덴 0.1 중량부를 넣고, 60분 정도 정밀하게 배합한다.
상기에서 혼합기(1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이 구성되며,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은 배출구(12)로 인출된 다음, 호퍼(13)와 스크류 컨베이어(14)를 통해 다음 공정의 전기로(20)로 이송된다.
ⅳ) 용융공정(200)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7시간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전기로(20)는 스크류 컨베이어(22)를 통해 용융탱크(21)의 내부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이 투입되며, 용융탱크(21)에는 다수개의 전기봉(23)이 설치되어 혼합물을 단시간에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용융탱크(21)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용융탱크(21)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기봉(23)은 몰리브덴(molybdenum) 소재로 제작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인다.
ⅴ) 냉각공정(300)
용융공정의 전기로(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전기로(20)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대차(30)에 담아 응고시키고, 이를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이 제조된다.
Ⅵ) 파쇄공정(400)
냉각공정에서 자연 냉각된 수용성 규산염을 파쇄기(40)에 투입하여 5mm의 크기로 분쇄한다.
Ⅶ) 포장공정(500)
파쇄공정에서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기(50)를 통해 용기에 일정량 담아 포장한다.
ⅰ) 파쇄공정
천연 규산광물(SiO₂) 중에서 고순도(99% 이상)로 규소가 함유된 석영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미립자(250 mesh)의 분말로 만든다.
ⅱ) 선별공정
파쇄기로 분쇄된 미립자의 규산광물 중에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기로 분리 제거하며, 여기서 선별기는 스크린 또는 드럼 선별기를 이용한다.
ⅲ) 혼합공정(100)
혼합기(10)의 탱크(11)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80 중량부와, 탄산나트륨 20 중량부, 몰리브덴 0.3 중량부 및 마그네슘 0.3 중량부를 넣고, 60분 정도 정밀하게 배합한다.
상기에서 혼합기(1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이 구성되며,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은 배출구(12)로 인출된 다음, 호퍼(13)와 스크류 컨베이어(14)를 통해 다음 공정의 전기로(20)로 이송된다.
ⅳ) 용융공정(200)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7시간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전기로(20)는 스크류 컨베이어(22)를 통해 용융탱크(21)의 내부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이 투입되며, 용융탱크(21)에는 다수개의 전기봉(23)이 설치되어 혼합물을 단시간에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용융탱크(21)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용융탱크(21)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기봉(23)은 몰리브덴(molybdenum) 소재로 제작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인다.
ⅴ) 냉각공정(300)
용융공정의 전기로(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전기로(20)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대차(30)에 담아 응고시키고, 이를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이 제조된다.
Ⅵ) 파쇄공정(400)
냉각공정에서 자연 냉각된 수용성 규산염을 파쇄기(40)에 투입하여 5mm의 크기로 분쇄한다.
Ⅶ) 포장공정(500)
파쇄공정에서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기(50)를 통해 용기에 일정량 담아 포장한다.
ⅰ) 파쇄공정
천연 규산광물(SiO₂) 중에서 고순도(99% 이상)로 규소가 함유된 석영을 파쇄기로 분쇄하여 미립자(250 mesh)의 분말로 만든다.
ⅱ) 선별공정
파쇄기로 분쇄된 미립자의 규산광물 중에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기로 분리 제거하며, 여기서 선별기는 스크린 또는 드럼 선별기를 이용한다.
ⅲ) 혼합공정(100)
혼합기(10)의 탱크(11)에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 80 중량부와, 탄산나트륨 20 중량부, 몰리브덴 0.3 중량부 및 마그네슘 0.7 중량부를 넣고, 60분 정도 정밀하게 배합한다.
상기에서 혼합기(1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이 구성되며,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은 배출구(12)로 인출된 다음, 호퍼(13)와 스크류 컨베이어(14)를 통해 다음 공정의 전기로(20)로 이송된다.
ⅳ) 용융공정(200)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7시간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전기로(20)는 스크류 컨베이어(22)를 통해 용융탱크(21)의 내부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이 투입되며, 용융탱크(21)에는 다수개의 전기봉(23)이 설치되어 혼합물을 단시간에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용융탱크(21)는 지르코늄(Zirconium) 소재로 제작되며, 또한 용융탱크(21)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기봉(23)은 몰리브덴(molybdenum) 소재로 제작되어 내구성을 보다 높인다.
ⅴ) 냉각공정(300)
용융공정의 전기로(20)에서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전기로(20)의 배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대차(30)에 담아 응고시키고, 이를 자연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이 제조된다.
Ⅵ) 파쇄공정(400)
냉각공정에서 자연 냉각된 수용성 규산염을 파쇄기(40)에 투입하여 5mm의 크기로 분쇄한다.
Ⅶ) 포장공정(500)
파쇄공정에서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기(50)를 통해 용기에 일정량 담아 포장한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은 물에 잘 녹고, 액제나 또는 분제 비료로 사용하면 작물에 신속히 흡수되어 식물조직을 강하게 하여 병충해 예방과 동시에 냉해와 고온 건조피해 등을 예방하고, 식물의 광합성작용 효율을 증가시키는 한편 원활하게 하여 농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높이며, 토양 개량제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에 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를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융시킨 다음, 냉각하여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함으로써, 고순도의 수용성 규산염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식물이 필요로 하는 몰리브덴과 마그네슘 등이 포함됨에 따라 농작물이나 또는 원예작물 등의 비료로 사용하여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혼합기 11: 탱크
12: 배출구 13: 호퍼
14: 스크류 컨베이어 20: 전기로
21: 용융탱크 22: 스크류 컨베이어
23: 전기봉 30: 대차
40: 파쇄기 50: 포장기

Claims (3)

  1. 파쇄 선별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을 배합하는 혼합공정(100);
    상기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용해시키는 용융공정(200);
    상기 용융공정(200)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공기 중으로 용출하여 응고시키는 냉각공정(300); 및
    상기 냉각공정(300)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분쇄하는 파쇄공정(400)과 분쇄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장용기에 담는 포장공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공정(100)은,
    규산광물 80~55 중량부에 탄산나트륨 45~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융공정(200)은,
    혼합공정(100)에서 배합된 규산광물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전기로(20)에서 1,800℃ 이상의 고온으로 6시간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KR1020190120754A 2019-09-30 2019-09-30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KR20210038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54A KR20210038074A (ko) 2019-09-30 2019-09-30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54A KR20210038074A (ko) 2019-09-30 2019-09-30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74A true KR20210038074A (ko) 2021-04-07

Family

ID=7546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54A KR20210038074A (ko) 2019-09-30 2019-09-30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8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71A (ko) * 2021-06-30 2023-01-06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액상규산나트륨을 함유하여, 항균 및 탈취성능이 우수한 감염병 방역용 친환경성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염병 방역용 친환경성 소독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94B1 (ko) 2001-05-16 2004-01-16 신용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748B1 (ko) 2007-03-27 2008-07-07 주식회사 효석 규산질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규산질비료
KR101018168B1 (ko) 2008-04-11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광재 규산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927B1 (ko) 2013-05-03 2014-11-28 새턴바이오텍 주식회사 규산환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0370B1 (ko) 2013-06-27 2015-10-19 한국메탈실리콘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94B1 (ko) 2001-05-16 2004-01-16 신용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748B1 (ko) 2007-03-27 2008-07-07 주식회사 효석 규산질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규산질비료
KR101018168B1 (ko) 2008-04-11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광재 규산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927B1 (ko) 2013-05-03 2014-11-28 새턴바이오텍 주식회사 규산환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0370B1 (ko) 2013-06-27 2015-10-19 한국메탈실리콘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71A (ko) * 2021-06-30 2023-01-06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액상규산나트륨을 함유하여, 항균 및 탈취성능이 우수한 감염병 방역용 친환경성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염병 방역용 친환경성 소독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8641B9 (en) Compacted polyhalite and potash mixtur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334908A (en) Vitreous fertilizer compositions
CN102898237B (zh) 粉状盐碱地保水缓释肥
CA2808200C (en) Sulphur-based fertilizer composition with low rock phosphate content
IL277452B2 (en) Granules of polyhalite and potash
CN108251123A (zh) 一种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BR112021009934A2 (pt) polihalita compactada e um processo para produção da mesma
CN102816019B (zh) 一种油菜专用肥料
CN106348965A (zh) 一种增产提质腐植酸硅钙型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38074A (ko)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CN106220338B (zh) 一种用于生产圆颗粒矿物肥料的造粒崩解剂
KR20210074645A (ko) 수용성 규산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JP2009269800A (ja) Pk複合肥料
CN102093114A (zh) 一种麦饭石多元硅肥及其制备方法
KR20140131060A (ko) 규산환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4226B1 (ko) 수용성 규산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093899A (zh) 一种麦饭石生物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KR100756185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농업용 식물생육성장제의 제조제법
JP6967504B2 (ja) 肥料および栽培植物の生産方法
KR101523075B1 (ko) 잔디 예지물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비료
CN102464507A (zh) 稀土植物增长调节剂
JP2011250739A (ja) 植物栽培用の培土
JP2017079659A (ja) ピートモス入り焼土製造方法及びピートモス入り焼土
JP6375550B2 (ja) 非晶性肥料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533617B1 (ko) 암면을 이용한 질산칼슘과 규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