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594B1 -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594B1
KR100415594B1 KR10-2001-0026646A KR20010026646A KR100415594B1 KR 100415594 B1 KR100415594 B1 KR 100415594B1 KR 20010026646 A KR20010026646 A KR 20010026646A KR 100415594 B1 KR100415594 B1 KR 10041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po
carbonate
weight
parts
s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705A (ko
Inventor
신용
Original Assignee
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050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55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용 filed Critical 신용
Priority to KR10-2001-002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5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3/00Fertilisers produced by pyrogenic processes from phospha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산화합물,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및 인화합물을 공융시키고 분쇄하여 제조되는 가용성 규산질비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규산질 비료는, 작물에 신속하게 흡수되어 수확량을 높이고 병충해를 예방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다.

Description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licate fertiliz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규소(Silicon : Si)는 암석권에 많이 존재하고 풍화작용에 의하여 토양용액에 녹아 나온다. 토양용액중의 규소는 Si(OH)4(모노실리신산)의 형태로 극미량 녹아나와 pH 2 ∼ 9에서 존재한다. 식물에 의하여 흡수되는 규소의 형태는 Si(OH)4이며 토양중의 Si/Al 또는 Si/Fe의 비가 클수록 식물에 의한 규소의 흡수가 증가한다.
규소의 작물에 대한 효과는 수확량과 품질에서 나타난다. 규소의 작물에 대한 생리적 작용은 가용성 규산이 뿌리에 흡수되면 잎이나 줄기의 표피세포중에 침적되어 규질화(珪質化)시킴으로서 식물체가 튼튼해진다는 것이다. 특히 도열병, 깨씨무늬병, 이화명충병 및 그밖의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커진다. 토양에서 자라는 작물은 그 종류에 따라 규소의 함량이 각각 다르며, 규소를 축적하는 식물과 축적하지 않는 식물로 나눌 수 있다. 벼와 같은 화본과 및 속새와 같은 습지식물은 건물중에 10 ∼ 15%의 SiO2를 함유하고, 곡류, 사탕무와 같은 많은 쌍자엽식물등 육지에서 자라는 식물은 약간 낮은 약 1 ∼ 3%의 SiO2를 함유한다고 한다. 근류를 형성하는 콩과식물과 같은 쌍자엽식물은 SiO2를 거의 축적하지 않기 때문에 약 0.5%이하의 SiO2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규소는 식물의 생장 및 병충해에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규소 및 규산, 토양에 많이 존재하는 칼슘실리케이트(CaSiO3)는 물에 거의 녹지 않기 때문에 이를 비료로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아직까지 수용성 규산질비료는 개발된 바 없고, 칼슘실리케이트(CaSiO3)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형태의 규산질 비료가 사용되어 왔다.
1. 예를들면, 특허공개공보 1996-4297호에 의하면, 제철산업이나 철강산업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광재(鑛滓)(광재의 주성분이 칼슘실리케이트임)에 발효부산 폐액을 혼합하고 반응시입상 유기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2. 특허공개공보 제 1984-4046호에 의하면, 공장에서 산출되는 각정 산업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여기에 인산을 가하여 반응시켜서 규인비료(CaO + MgO/SiO2)의 형태로 된 규산질 비료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이 CaO 와 MgO 및 SiO2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면, 역시 물에 불용성인 CaSiO3및 MgSiO3가 생성되어 이들 칼슘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실리케이트도 물에 불용임으로, 규산질비료로서의 효과가 아주 느리게 서서히 나나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규산질 비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를 본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함으로써 작물이 신속하게 흡수하여 수확량을 높이고 병충해를 예방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가용성의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물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액상의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용성 규산질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상의 규산질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규산은 식물의 필수 원소는 아니지만 벼는 규산을 대량 흡수하고 있어 본 발명의 액상 비료를 줄 경우 평균 10%의 증수효과가 있으며, 특히 벼의 도열병 상습지나 질소시비량을 늘릴 경우 약 50%까지 증수됨을 확인하였다. 흡수된 규산은 세포에 들어가 규화세포를 형성하여 도열병등의 병해니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또는 도복성을 강화하고 경엽의 수광태세(收光態勢)를 좋게하여 등숙보합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어서 증수로 연결되며 특히 쌀의 맛이 좋아진다.
또한 벼가 규산을 충분히 흡수하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져서 도복을 방지하고 아랫잎까지 햇빛을 많이 받아 탄소동화작용이 잘 되고 세찬 바람이 불어도 벼가 잘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식물이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인산성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고 알칼리성이므로 산성토양의 개량에도 적합하다. 또한 알칼리금속중에서 칼륨을 사용한 경우에는 칼리비료로서도 작용하게 되어 대단히 유익하다.
논토양의 규산질 함량은 130 ∼ 180ppm이 적당한데 우리나라의 논의 규산 함량은 평균 72ppm으로 97.2%의 논이 규산질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규산질비료의 사용을 소홀이 한 결과 1980 ∼ 1988년에 88ppm이던 논의 규산함량이 1995년도에는 72ppm으로 낮아져 쌀증산과 미질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1997년도부터 정부는 농민들에게 토양개량제인 규산질비료를 무상으로 지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벼잎과 줄기가 빳빳하게 자라므로 햇빛을 아래잎까지 고르게 받고 바람이 잘 통하여 튼튼하게 자라게 된다. 이 때문에 도열병이 발생하더라도 잘 번식하지 못하고이화명충, 벼멸구등 병충해 에 버티는 힘이 강함으로 피해가 훨씬 적고 농약을 덜 사용하게 되어 인체에 더욱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규산의 결핍증상으로오는 식물의 폐단은 식물이 축 늘어지고 잎이 마르며, 식물체가 시드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규산의 부족으로 오는 증상이다.
화본과, 초본과 곡류의 잎에는 환사반점(環死斑點)이 생기고 규산농도가 낮아지면 지상부의 망간(Mn), 철(Fe) 및 다른 무기영양소가 농축되어 망간과 철의 독성이 생기기도 한다.
식물체내의 규산의 주형태는 실리카겔(silica gel)인데 이것은 수화성 비결정 실리카(hydrated amorphous silica:SiO2. nH2O)의 형태로, 벼에는 전체 규산중 90 ∼ 95%가 이와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
이상은 규산이 작물에 미치는 방대한 영역의 일부를 기술하였다. 규산질비료가 작물에 대한 효능과 효과에 대하여서는 농학계 및 농업계를 통틀어 공인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정부에서도 막대한 국가예산을 보조금 형식으로 지출하면서 까지 노력하여 왔지만 기금까지 이의 일반적 사용상태는 극히 미약한 처지이다.
이처럼 모든 작물에 다대한 효능이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 사용상태가 저조한 이유는 무엇인가 ?
규산질 비료는 불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물에 녹지 않아서 전체적인 효능효과가 결여되었고, 시비시기가 첫갈이 할 때에만 가능하여 잎면시비에 의한 조절기능이 없어서 결핍현상에 대처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등의 이유 때문에 현실적으로 규산의 필요성은 잘 알면서도 농업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농작물에 이처럼 다대한 효능이 입증된 규산을 순도 높게 가용성 분말 또는 액상으로 농축하여 즉효성을 발휘하게 하는 연구를 오랜동안 행하여 왔다.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을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규산화합물,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및 인화합물을 공융시키고 분쇄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 분쇄된 공융화합물을 물로 수비시켜서 액상의 규산질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산화합물은 천연의 규석광물, CaSiO3, MgSiO3,Na2SiO3,K2SiO3또는 SiO2에서 선택된 규산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즉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리튬에서 선택된 탄산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화합물은 H3PO4, H3PO3, P2O3, P2O5, Na3PO4, NaH2PO4, Na2HPO4, K3PO4, KH2PO4,K2HPO4, Li3PO4, Li2HPO4, LiH2PO4,Na3PO3, NaH2PO3, Na2HPO3, K3PO3, KH2PO3,K2HPO3, Li3PO3, Li2HPO3또는 LiH2PO3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인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규산화합물 1종이상 및 탄산염 1종이상 및 인화합물 1종이상을 용해로에서 약 1500 ∼ 1700℃(약 1600 ∼ 1650℃가 가장 적합하다.)에서 공융시킨다음 냉각시켜서 얻어진 고형물을 분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이 분쇄물을 물로 용출시켜서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규산화합물 60 ∼ 90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M2CO3) 20 ∼ 40중량부,및
인화합물 5 ∼ 20중량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용융시키면 다음과 같은 주요 화학반응에 의하여 공융혼합물이 제조된다.
1) CaSiO3+ M2CO3+ M3PO4(또는 M3PO3)M2SiO3+ CaO + M3PO4(또는
M3PO3)+ CO2
2) MgSiO3+ M2CO3+ M3PO4(또는 M3PO3)M2SiO3+ CaO + M3PO4(또는
M3PO3)+ CO2
3) SiO2+M2CO3+ M3PO4(또는 M3PO3)M2SiO3+ M3PO4(또는 M3PO3)+ CO2
4) CaSiO3+ M2CO3+ P2O5(또는 P2O3)M2SiO3+ CaO + M3PO4(또는
M3PO3)+ CO2
5) MgSiO3+ M2CO3+ P2O5(또는 P2O3)M2SiO3+ CaO + M3PO4(또는
M3PO3)+ CO2
6) SiO2+M2CO3+ P2O5(또는 P2O3)M2SiO3+ M3PO4(또는 M3PO3)+ CO2
(상기식에서 M은 알카리금속이다. 식 4), 5) 및 6)에서는 정확한 화학식량으로 표시하지 않았음.)
본 발명에서는 인화합물을 첨가하면 인 화합물이 규석류와 공융 및 화학반응한 후에 알칼리금속의 실리케이트가 대단히 잘 용해하여 수용액으로 하기 용이하다.
또한 이 조성물은 규산질 비료로서 뿐만아니라 인비나 알칼리금속으로 칼륨을사용할 경우에는 카리비료로서도 역할을 하게 되어 대단히 유익하다.
용융로는 전기용융로를 사용하여 전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킬 수도 있고, 평노용융로를 사용하여 오일을 연료로 사용하여 용융시킬 수도 있다.
액상 규산질 비료의 제조는 용융로에서 공융시켜서 가용성의 공융물질을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자도 약 100 ∼ 350멧쉬로 분쇄한 다음, 물로 수비시켜서 용해된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수비는 가압부에서 가압부내의 온도 약 120 ∼ 150℃에서 3 ∼ 10시간 행한다.
다음에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분쇄한 규석 80kg, 무수 탄산나트륨 30kg 및 오산화인 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 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액상 규산질 비료는 액상 규산화합물 13 ∼ 50%(중량)이고 중금속으로서 비소(As) 2ppm이하, 납(Pb) 15ppm이하, 카드뮴(Cd) 2ppm이하, 수은(Hg) 0.2ppm이하이며 pH는 10.5 ∼ 12.0이다.
실시예 3
분쇄한 규석 80kg, 탄산칼륨 30kg 및 70% 인산 17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4
분쇄한 규석 80kg, 무수 탄산나트륨 30kg 및 K3PO4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5
분쇄한 규석 70kg, 탄산나트륨 30kg 및 K2HPO4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6
분쇄한 규석 80kg, 탄산칼륨 35kg 및 K3PO3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7
분쇄한 규석 80kg, 탄산나트륨 30kg 및 Na3PO4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8
분쇄한 규석 80kg, 탄산나트륨 30kg 및 H3PO410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9
분쇄한 규석 80kg, 탄산리튬 25kg 및 K3PO4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 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0
분쇄한 규석 80kg, 탄산나트륨 30kg 및 Na2HPO410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1
Na2SiO380kg, 탄산나트륨 30kg 및 H3PO410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2
K2SiO385kg, 탄산칼륨 25kg 및 KH2PO412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3
석영(SiO2) 80kg, 탄산나트륨 30kg 및 Na2HPO410kg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전기로에 넣고 1600 ∼ 1650℃로 12시간 공융시킨다. 공융된 액체상태의 용해물을 꺼내어 냉각 및 응결시킨다음 분쇄기로 입자도 200 ∼ 300멧쉬로 분쇄하여 20kg씩 폴리에틸렌 포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액상 규산질 비료는 액상 규산화합물 13 ∼ 50%(중량)이고 중금속으로서 비소(As) 2ppm이하, 납(Pb) 15ppm이하, 카드뮴(Cd) 2ppm이하, 수은(Hg) 0.2ppm이하이며 pH는 10.5 ∼ 12.0이다.
실시예 15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8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0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분쇄물을 가압부에 물 100리터당 40kg을 넣고 20℃ ∼ 130℃의 온도에서 6 ∼ 7시간 용출시킨다. 가압부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한다.
실험예 1
액상 규산질 비료의 시비(잎면시비)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액상 규산질 비료 500ml를 물 300 ∼ 500리터에 희석하여 시비한다. 분무기나 조로등 어떠한 살포방법도 가능하여 작물의 뿌리까지 스벼들도록 흡족하게 살포한다. 본 발명의 액상 규산질 비료 500ml를 200평에 시비한다. 묘종등 작물이 어릴때에는 물 400리터 이상으로 희석하여 살포한다. 비가 온 후에는 약하게 다시 시비하여 준다.
이렇게 하여 벼에 시비한 결과 벼잎마름병이 없어졌고, 예년에 비하여 약 10%이상 증수되었으며, 고추의 탄저병발생지역에 시비한 결과 고추의 탄저병이 소실되었고, 충해가 없어졌으며, 작황이 좋아졌고, 수박에 시비한 결과 당도가 높아지고 병충해의 발생이 없었다.
본원발명에 의하여 불용성의 규산질비료를 가용성 내지 액상으로 규산질비료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고, 본 발명의 규산질비료는 잎면시비도 가능하며 병충해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작물의 증산이 가능하며, 규산질의 공급과 함께 칼리 및 인산도 함께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규산화합물 60 ~ 90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20 ~ 40중량부 및 인화합물 5 ~ 20중량부를 1500 ~ 1700℃에서 공융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 가용성 규산질 비료.
  2. 규산화합물 60 ~ 90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20 ~ 40중량부 및 인화합물 5 ~ 20중량부를 1500 ~ 1700℃에서 공융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고, 여기에 물을 가하고 수비하여 제조된 액상 규산질 비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규산화합물은 천연의 규석광물, CaSiO3, Na2SiO3, K2SiO3또는 SiO2에서 선택된 규산화합물이고,
    알칼리금속의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리튬에서 선택된 탄산염이고,
    인화합물은 H3PO4, H3PO3, P2O3, P2O5, Na3PO4, NaH2PO4, Na2HPO4, K3PO4, KH2PO4,K2HPO4, Li3PO4, Li2HPO4, LiH2PO4,Na3PO3, NaH2PO3, Na2HPO3, K3PO3, KH2PO3,K2HPO3, Li3PO3, Li2HPO3또는 LiH2PO3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인화합물인 가용성 또는 액상 규산질 비료.
  4. (삭제)
  5. 규산화합물 60 ~ 90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20 ~ 40중량부 및 인화합물 5 ~ 20중량부를 1500 ~ 1700℃에서 공융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여 가용성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6. 규산화합물 60 ~ 90중량부,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20 ~ 40중량부 및 인화합물 5 ~ 20중량부를 1500 ~ 1700℃에서 공융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고, 여기에 물을 가하고 수비하여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규산화합물은 천연의 규석광물, CaSiO3,Na2SiO3, K2SiO3또는 SiO2에서 선택된 규산화합물이고,
    알칼리금속의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리튬에서 선택된 탄산염이고
    인화합물은 H3PO4, H3PO3, P2O3, P2O5, Na3PO4, NaH2PO4, Na2HPO4, K3PO4, KH2PO4,K2HPO4, Li3PO4, Li2HPO4, LiH2PO4,Na3PO3, NaH2PO3, Na2HPO3, K3PO3, KH2PO3,K2HPO3, Li3PO3, Li2HPO3또는 LiH2PO3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인화합물인 가용성 또는 액상 규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26646A 2001-05-16 2001-05-16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46A KR100415594B1 (ko) 2001-05-16 2001-05-16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46A KR100415594B1 (ko) 2001-05-16 2001-05-16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705A KR20020087705A (ko) 2002-11-23
KR100415594B1 true KR100415594B1 (ko) 2004-01-16

Family

ID=2770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646A KR100415594B1 (ko) 2001-05-16 2001-05-16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222B1 (ko) * 2015-11-04 2017-11-24 주식회사 코시플러스 인을 포함한 액상 규산질 비료의 신규 제조방법
WO2018084274A1 (ja) * 2016-11-06 2018-05-11 株式会社パークフォレスト ケイ酸塩を含有するウコギ科植物用肥料
KR20210038074A (ko) 2019-09-30 2021-04-07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53B1 (ko) * 2014-05-19 2015-12-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해수 양식장 기반의 통합 에너지화 시스템
KR102143300B1 (ko) * 2019-11-29 2020-08-10 백낙영 액상 무수규산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제, 웃자람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KR102143302B1 (ko) * 2019-12-06 2020-08-10 백낙영 황 함유 농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농자재
CN114085116A (zh) * 2021-12-15 2022-02-25 陕西艾格肥业有限公司 一种硅基肥料的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75A (ko) * 1983-07-22 1985-03-16 하인리히 벡커, 베르하르드 벡크 1,2-디아릴-3-아졸릴프로판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243992A (ja) * 1991-01-29 1992-09-01 Nippon Chem Ind Co Ltd 溶成複合肥料
JPH07289077A (ja) * 1994-04-28 1995-11-07 Dojiyou Hozen Kenkyusho:Kk 農・園芸用土
JPH09268092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Chem Ind Co Ltd コロイド状珪酸含有液体肥料
JPH10212190A (ja) * 1997-01-30 1998-08-11 Mitsubishi Materials Corp 複合珪酸質肥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7785A (ja) * 1999-03-15 2000-09-29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KR20000067618A (ko) * 1999-04-30 2000-11-25 김태한 식물생장촉진 및 저장성개선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1233690A (ja) * 1999-12-14 2001-08-28 Kyoei Kogyosho:Kk 有機質肥料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75A (ko) * 1983-07-22 1985-03-16 하인리히 벡커, 베르하르드 벡크 1,2-디아릴-3-아졸릴프로판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243992A (ja) * 1991-01-29 1992-09-01 Nippon Chem Ind Co Ltd 溶成複合肥料
JPH07289077A (ja) * 1994-04-28 1995-11-07 Dojiyou Hozen Kenkyusho:Kk 農・園芸用土
JPH09268092A (ja) * 1996-03-29 1997-10-14 Nippon Chem Ind Co Ltd コロイド状珪酸含有液体肥料
JPH10212190A (ja) * 1997-01-30 1998-08-11 Mitsubishi Materials Corp 複合珪酸質肥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7785A (ja) * 1999-03-15 2000-09-29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KR20000067618A (ko) * 1999-04-30 2000-11-25 김태한 식물생장촉진 및 저장성개선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1233690A (ja) * 1999-12-14 2001-08-28 Kyoei Kogyosho:Kk 有機質肥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222B1 (ko) * 2015-11-04 2017-11-24 주식회사 코시플러스 인을 포함한 액상 규산질 비료의 신규 제조방법
WO2018084274A1 (ja) * 2016-11-06 2018-05-11 株式会社パークフォレスト ケイ酸塩を含有するウコギ科植物用肥料
KR20210038074A (ko) 2019-09-30 2021-04-07 명전바이오 주식회사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705A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200B1 (en) Fertilising composition
EP3713900B1 (en) Npk-si-humate fertilizer, method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11662121A (zh) 一种缓释型掺混肥
CN110498717A (zh) 一种矿源黄腐酸钾水溶肥料及其制作方法
WO2013098573A1 (en) Soil and plant conditioner products
CN107892634A (zh) 一种改良土壤的棉花专用液体套餐肥及制备方法和施用方法
CN111592413A (zh) 一种高效果蔬掺混复合肥及其制备方法
AU2012278015A1 (en) Use of aminocarboxylates in agriculture
CN107162725A (zh) 一种水溶液体富硒肥料的制备方法
US4321078A (en) Slow release fertilizer composition
KR100415594B1 (ko) 규산질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320364A (zh) 一种改性含磷液体肥及其制备方法
CN102515924A (zh) 一种无氯复合肥生产方法
CN101948344A (zh) 大葱专用平衡肥
CN112552104A (zh) 一种蔬菜用环保水溶性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671985A (zh) 一种塔式熔体造粒稳定性氮肥及其制备方法
US11299436B2 (en) NPK-Si fertilizer, method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11875431A (zh) 一种水溶性肥料及其制备方法
EP2225187B1 (en) Preparation of a potassium phosphate based composition
US4038064A (en) Foliar applications of urea-polyphosphate-potassium solutions to crops
KR100756185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농업용 식물생육성장제의 제조제법
KR100835890B1 (ko) 중합인산염을 이용한 인산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CA2403953A1 (en) Improved solubility fertilizer compounds and compositions
KR19980025259A (ko) 게르마늄 명반석 복합비료 조성물 및 그 비료의 제조방법
KR102358075B1 (ko) 규소와 천일염을 이용한 수용성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