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764A - 매설함 구조 - Google Patents

매설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764A
KR20210037764A KR1020190119219A KR20190119219A KR20210037764A KR 20210037764 A KR20210037764 A KR 20210037764A KR 1020190119219 A KR1020190119219 A KR 1020190119219A KR 20190119219 A KR20190119219 A KR 20190119219A KR 20210037764 A KR20210037764 A KR 2021003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box
curvature
boxes
bo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043B1 (ko
Inventor
신준식
Original Assignee
신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식 filed Critical 신준식
Priority to KR102019011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0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방식의 전기함(배전함, 분전함 등)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함, 혹은 소방설비가 갖추어지는 소방함 등을 통칭하는 매설함의 구조를 개량하여 규격에 상관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디면서 별도의 버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개선된 매설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설함 구조{Buried box structure}
본 발명은 매설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방식의 전기함(배전함, 분전함 등)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함, 혹은 소방설비가 갖추어지는 소방함 등을 통칭하는 매설함의 구조를 개량하여 규격에 상관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디면서 별도의 버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개선된 매설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 산업용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및 공급시키도록 하는 전원분배기와 함께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 측으로만 선택적으로 전기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 및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는 분전반 또는 배전함을 구비하고 있다.
분전반은 통상 건축물을 시공시 벽면에 매설되는 분전함 내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리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같은 방식으로 배전함 등을 통칭하는 전기함, 그리고 통신선이 배선되는 통신함을 비롯하여 소방시설을 갖춘 소방함 등은 모두 벽체에 매설되는 타입의 매설함이다.
이러한 매설함을 벽체에 매립하려면 벽체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를 잡고 가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후 양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매설함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0)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체(20)이기 때문에 그대로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외측의 압력 증가로 비어있는 함체(20) 내부를 향해 둘레면, 뒷면 등이 밀려들면서 찌그러지는 변형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매설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개방부(10) 내부에 다수의 부목을 설치하여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있으나, 매 작업시마다 부목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일이 많고 번거로우며, 별도의 부목 자재가 소비되고 비용도 많이 든다.
뿐만 아니라, 매설함의 함체(20)는 규격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 그 규격에 맞는 부목을 모두 준비하는 것도 어렵고, 그 만큼 일이 많고 비용도 많이 든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88541호(2017년08월02일),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방식의 전기함(배전함, 분전함 등)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함, 혹은 소방설비가 갖추어지는 소방함 등을 통칭하는 매설함의 구조를 개량하여 규격에 상관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디면서 별도의 버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개선된 매설함 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0)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 본체(100)인 매설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함 본체(100)의 둘레면 및 배면은 외향 볼록한 형태로 곡률지게 구성되며; 상기 곡률은 둘레면 및 배면의 외측면에만 형성되고, 내측면은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의 곡률이 둘레면의 곡률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함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둘레면 또는 배면에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형 혹은 반원형상으로 요입된 요입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포밍부(1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포밍부(140)는 수평포밍부(142)와 수직포밍부(144)가 서로 교차되게 구성하여 격자 형태를 갖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설치되는 방식의 전기함(배전함, 분전함 등)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함, 혹은 소방설비가 갖추어지는 소방함 등을 통칭하는 매설함의 구조를 개량하여 규격에 상관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디면서 별도의 버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설함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함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함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함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함은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함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함 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0)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으로서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함 본체(100)의 둘레면 및 배면이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곡률을 외향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함 본체(100)의 내벽면까지 곡률을 갖는 것은 아니며, 내벽면은 수직, 수평하게 이루어지고, 그 외벽면에서만 덧살 형태로 볼록하게 곡률을 갖도록 성형된다.
이것은 주심포 양식에 적용된 것처럼 둘레면의 각 면 중심, 배면의 면 중심이 두께가 가장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하여 아치 원리(누르는 힘을 옆으로 분산시켜 하중을 줄이는 원리)가 적용되게 함으로써 외력(콘크리트 몰탈이 미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별도의 부목을 함 본체(100)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런데, 곡률을 무작정 크게 형성한다고 해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 곡률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응력 집중에 의한 함몰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함 본체(100)의 둘레면(4면)과 배면의 곡률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는데, 배면의 전방은 개방부(110)로서 비어 있기 때문에 더 강한 저항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즉, 배면의 곡률이 더 커야 한다.
그럼, 둘레면을 제1곡률면(120), 배면을 제2곡률면(130)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곡률면(120)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C:4.1mm, P:2.6mm, E:1.1mm를 유지하는 곡률을 갖도록 설계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C는 둘레면중 각 면의 중심 두께, P는 C로부터 20mm 떨어진 지점의 두께, E는 C로부터 35mm 떨어진 지점의 두께를 말하며, 설명을 위해 도시상 E가 에지부와 같이 과도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에지부가 아니며 E 지점 이후에는 모두 동일 두께를 가진다.
같은 개념으로, 제2곡률면(130)의 경우에는 C:4.5mm, P:2.9mm, E:1.1mm를 유지하는 곡률을 갖도록 설계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배면, 즉 제2곡률면(130)엔 포밍부(140)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밍부(140)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형(양각) 혹은 반원형상으로 요입된 요입형(음각) 양자 모두 가능하다.
특히, 상기 포밍부(140)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수평포밍부(142)와 수직포밍부(144)가 서로 교차되게 구성하여 격자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이러한 포밍부(140)는 포밍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포밍된 지점을 중심으로 그 상하좌우의 내구성을 더욱 강화시킨다.
때문에, 상기 포밍부(140)는 상기 함 본체(100)의 배면에만 한정되지 않고, 둘레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함 본체(100) 내부에서의 결로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조습기능을 갖는 폼시트(20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폼시트(200)는 함 본체(100)의 내벽면(102)에 홈부(104)를 프레싱하여 형성하고, 이 홈부(104)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폼시트(200)는 조습성을 갖춰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폼시트(200)는 알로펜(Allophane) 분말 25중량%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5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폼형 시트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알로펜 분말은 다공질의 알로펜 점토광물을 0.01mm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미분화시킨 것으로, 알로펜은 화산재의 풍화과정에서 생기는 점토광물로서 예외적으로 결정구조를 갖지 않는 이른 바, 비정질점토이다. 이것은 유기질 콜로이드 입자인 부식(腐植)과 결합하기 쉬워 새집증후군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를 흡수 제거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알로펜은 다공질의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뛰어난 조습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습벽지의 15배에 이르는 흡, 방습 능력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이러한 특성을 본 발명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여기에서, 조습이란 바싹 마르기도 하고 축축히 젖기도 하는 성질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한지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즉, 습도가 올라가면 흡습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습도가 내려가면 머금은 습기를 방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특성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ATO는 단열 및 차열성능 확보에 기여하고,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여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를 통해, 습기 발생시 폼시트(200)가 흡습하고, 너무 건조하면 습기를 방출하여 내부에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로 발생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100: 함 본체
110: 개방부
120: 제1곡률면
130: 제2곡률면
140: 포밍부

Claims (2)

  1.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10)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의 함 본체(100)인 매설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함 본체(100)의 둘레면 및 배면은 외향 볼록한 아치 형태로 곡률지게 구성되며;
    상기 곡률은 둘레면 및 배면의 외측면에만 형성되고, 내측면은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의 곡률이 둘레면의 곡률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함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 또는 배면에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형 혹은 반원형상으로 요입된 요입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포밍부(14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포밍부(140)는 수평포밍부(142)와 수직포밍부(144)가 서로 교차되게 구성하여 격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함 구조.
KR1020190119219A 2019-09-27 2019-09-27 매설함 구조 KR10227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19A KR102275043B1 (ko) 2019-09-27 2019-09-27 매설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19A KR102275043B1 (ko) 2019-09-27 2019-09-27 매설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64A true KR20210037764A (ko) 2021-04-07
KR102275043B1 KR102275043B1 (ko) 2021-07-08

Family

ID=7546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219A KR102275043B1 (ko) 2019-09-27 2019-09-27 매설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0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399B1 (ko) * 1995-01-10 1999-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기 기기 용기
KR200221006Y1 (ko) * 2000-05-29 2001-04-16 주식회사유평공영 저온을 필요로 하는 소도구함의 벽매입 구조
KR20170088541A (ko) 2016-01-25 2017-08-02 한웅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399B1 (ko) * 1995-01-10 1999-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전기 기기 용기
KR200221006Y1 (ko) * 2000-05-29 2001-04-16 주식회사유평공영 저온을 필요로 하는 소도구함의 벽매입 구조
KR20170088541A (ko) 2016-01-25 2017-08-02 한웅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043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136956U (zh) 一种便于建设、拆除的简易电缆沟
KR20210037764A (ko) 매설함 구조
CN102587588A (zh) 一种多功能混凝土垫块
CN205753091U (zh) 一种环网柜防潮防凝露基础系统
KR101275193B1 (ko) 지중용 또는 지상형 개폐기 및 변압기의 야생동물 및 습기침투 방지용 차폐막
CN108797933B (zh) 一种节能地热地板系统
KR102181671B1 (ko) 공동주택 설치용 정보통신 단자함 구조
CN205189155U (zh) 一种渗透型聚合聚苯板
JPS59119121A (ja) 床暖房ユニツト
CN205712621U (zh) 一种高强度岩板夹板
CN204311792U (zh) 一种防火墙
CN107492816B (zh) 通风式户外配电箱底座设备及其制备方法
CN201507066U (zh) 组合式复合板材单元结构
CN202467000U (zh) 一种多功能混凝土垫块
JP5483974B2 (ja) 建物
CN108316351A (zh) 一种便于建设、拆除的简易电缆沟
KR102515738B1 (ko) 상해방지 구조를 갖춘 소화기함체
CN204967039U (zh) 水泥阻燃配电箱
CN211830141U (zh) 一种具有防潮、防火和防小动物的电缆沟体
KR101466898B1 (ko) 단열 합성수지제 패널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0383100Y1 (ko) 철제 마루판구조
CN209805360U (zh) 一种防护等级高的母线槽组
CN219365416U (zh) 预留线槽的现浇模板
CN208918044U (zh) 一种聚合聚苯板
TWI813064B (zh) 可移動式櫃體及儲能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