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723A -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723A
KR20210036723A KR1020190119112A KR20190119112A KR20210036723A KR 20210036723 A KR20210036723 A KR 20210036723A KR 1020190119112 A KR1020190119112 A KR 1020190119112A KR 20190119112 A KR20190119112 A KR 20190119112A KR 20210036723 A KR20210036723 A KR 20210036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icle size
average particle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894B1 (ko
Inventor
김성진
박현우
최준선
장형식
강현준
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89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91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8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부피 평균 입도와 수 평균 입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성형성 및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복합재{Carbon Nanotube Composite}
본 발명은 유동성 및 성형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소재는 소재의 모양에 따라 퓰러렌(Fuller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그래핀(Graphene), 흑연 나노 플레이트(Graphite Nano Plate) 등이 있으며, 이 중 탄소나노튜브는 1개의 탄소 원자가 3개의 다른 탄소 원자와 결합한 육각형 벌집 모양의 흑연 면이 나노 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린 거대 분자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속이 비어 있어 가볍고 전기 전도도는 구리만큼 좋으며, 열전도도는 다이아몬드만큼 우수하고 인장력은 철강에 못지 않다. 말려진 형태에 따라서 단층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대전 방지용 고분자 복합소재, 전자파 차폐용 고분자 복합소재, 방열 고분자 복합소재 및 고강도 고분자 복합소재 등 여러 가지 고분자 복합소재의 필러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소재의 상용화를 위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에 혼합하여 복합재를 제조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복합재의 점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복합재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복합재로부터 제조되는 제품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복합재 자체의 생산성 역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의 점도나 유동성을 가지면서도, 전도성을 부여하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종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5-0066211 A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성 및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수 평균 입도는 30 내지 180㎛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부피 평균 입도는 300 내지 700㎛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유동성 및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형태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전도성 역시 우수하여 전도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수 평균 입도는 30 내지 180㎛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부피 평균 입도는 300 내지 700㎛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탄소나노튜브를 복합재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점도 상승이 억제되어 우수한 유동성 및 성형성을 가지면서도, 본래 목적하는 전도성 역시 양호하여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는 수 평균 입도는 30 내지 180㎛일 수 있고, 부피 평균 입도는 300 내지 7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에 있어서, 상기 수 평균 입도는 탄소나노튜브 입자의 입도에 대한 수 분포도에서의 평균 입도 값을 의미하며, 상기 부피 평균 입도는 탄소나노튜브 입자의 입도에 대한 부피 분포도에서의 평균 입도 값을 의미한다. 상기 수 평균 입도와 부피 평균 입도는 구체적으로 입도 분석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의 평균 입도는 입도 분석장치(Mitcrotrac, bluewave)에 초순수를 순환시키는 조건에서 촉매 샘플을 투입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에 있어서, 상기 수 평균 입도는 30 내지 18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피 평균 입도는 300 내지 7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에 있어서, 수 평균 입도에 대한 부피 평균 입도의 비(부피 평균 입도/수 평균 입도)는 3 내지 1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2일 수 있다. 수 평균 입도와 부피 평균 입도의 각 값과, 비가 상술한 범위 밖일 경우에는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재의 점도가 크게 높아져 유동성 및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충분한 정도의 전도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있어서, 복합재에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는 인탱글형 또는 번들형일 수 있다. 상기 인탱글형(entangled type)은 복수개의 탄소 나노튜브가 방향성 없이 얽힌 구 또는 포테이토 형태의 2차 형상을 지칭하며, 상기 번들형은 복수개의 탄소 나노튜브가 일정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 또는 정렬된 다발(bundle) 혹은 로프(rope) 형태의 2차 형상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의 벌크 밀도는 5 내지 100kg/m3,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kg/m3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벌크 밀도가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위 부피 당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적어 충분한 전도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이보다 큰 경우에는 복합재의 유동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재에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는 제조해서 사용할 수 있고, 시판 중인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유동층 반응기를 통한 화학적 기상 합성법(CVD)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동층 반응기 내에 탄소원 가스 및 촉매를 투입하고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 가스는 고온 상태에서 분해되어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 함유 가스이고, 구체적인 예로 지방족 알칸, 지방족 알켄, 지방족 알킨, 방향족 화합물 등 다양한 탄소 함유 화합물이 사용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탄, 에탄, 에틸렌, 아세틸렌,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일산화탄소, 프로판, 부탄, 벤젠, 시클로헥산,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텐, 톨루엔, 자일렌, 큐멘, 에틸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아세틸렌,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소원 가스로 메탄, 에탄, 일산화탄소, 아세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프로판, 부탄 및 혼합물인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기 내로의 투입이 용이하고, 공정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촉매는 본 기술 분야에서 탄소나노튜브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성금속과 담지체의 복합구조로 이루어진 불균일계 촉매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담지촉매 또는 공침촉매 형태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 담지촉매를 사용되는 경우 벌크밀도가 공침촉매보다 높고, 공침촉매와 달리 10 미크론(micron) 이하의 미분이 적어 미세 입자의 뭉침 현상 발생을 억제 할 수 있으며, 유동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에 의한 미분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촉매 자체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 반응기 운전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촉매로 공침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촉매의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촉매 원료로 바람직한 금속염들의 가격이 낮아 제조원가상 유리한 측면이 있으며, 비표면적이 넓어 촉매활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층 반응기는 탄소나노튜브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이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충분한 전도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보다 많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베이스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복합재의 기본적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열가소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라미드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아릴렌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액정 수지, 폴리벤즈이미다졸 수지, 폴리파라반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비닐계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수지, 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디엔-시안화비닐-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에틸렌-디엔-프로필렌(EPDM))-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수지, 염소화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및 폴리(4-메틸-1-펜텐),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디카르복실산 성분 골격과 디올 성분 골격의 중축합체인 호모 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호모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디페닐레이트 등일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디올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중축합체로 정의된다. 디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다이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디올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타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베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나일론 수지, 나일론 공중합체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ε카프로락탐, ω도데카락탐 등의 락탐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아미드-6(나일론 6);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산에서 얻을 수 있는 나일론 중합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산)메탄, 비스(4-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아미노에틸피페리딘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과 아디프산, 세바킨산(sebacic acid), 아젤란산(azelaic acid), 테레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등의 중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나일론 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일론 공중합체로는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 6,10)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과 폴리라우릴락탐(나일론 12)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좋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 수지 이외에도,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난연제, 충격보강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산화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물 첨가제 및 드립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은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일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는 목적하는 효과에 따라 상술한 첨가제 중 적절한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복합재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혼합물을 단축 또는 2축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싱 롤 등 통상 공지의 용융 혼합기에 공급하여 대략 100 내지 500℃또는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혼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과 같은 벌크 밀도, 부피 평균 입도 및 수 평균 입도를 갖는 탄소나노튜브를 복합재 제조에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수지로는 동일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벌크 밀도(Kg/m3) 19 27 53 27.8 29.5 10
부피 평균 입도(㎛) 423.8 448.4 634 670.9 561.7 151.4
수 평균 입도(㎛) 107.2 41.9 162.5 134.7 200.4 25
부피 평균 입도/수 평균 입도 3.95 10.70 3.90 4.98 2.80 6.06
실험예 - 제조된 복합재의 물성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를 290℃ 온도 및 15kg/h 생산량 조건에서 압출하고, 290℃ 온도 및 사출 속도 30mm/s의 조건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압출 및 사출 시편에 대하여 표면 저항과 유동 지수를 측정하였다. 각 물성의 구체적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표면 저항: 표면 저항 측정기 SRM110을 이용하여 시편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2) 유동지수(g/10min): ASTM D1238 기준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물성 값을 하기 표 2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 저항(10^) 11~12 11~12 12 11~12 >12 11~12
유동 지수(g/10min) 18 26 21 25 16 12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는 유동성이 우수하여 성형성이 좋으면서도, 표면 저항 역시 낮아 우수한 전도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경우, 유동 지수가 떨어지거나, 표면 저항이 높아 우수한 성형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수 평균 입도는 30 내지 180㎛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부피 평균 입도는 300 내지 700㎛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수 평균 입도는 40 내지 170㎛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부피 평균 입도는 420 내지 650㎛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평균 입도에 대한 부피 평균 입도의 비(부피 평균 입도/수 평균 입도)는 3 내지 15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라미드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아릴렌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아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액정 수지, 폴리벤즈이미다졸 수지, 폴리파라반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비닐계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수지, 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디엔-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방향족 알케닐 화합물-디엔-시안화비닐-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수지, 시안화비닐-(에틸렌-디엔-프로필렌(EPDM))-방향족 알케닐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폴리올레핀, 염화비닐 수지, 염소화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KR1020190119112A 2019-09-26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KR10266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12A KR102666894B1 (ko) 2019-09-26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12A KR102666894B1 (ko) 2019-09-26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23A true KR20210036723A (ko) 2021-04-05
KR102666894B1 KR102666894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211A (ko)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211A (ko)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252B2 (en) Composite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WO2019087965A1 (ja)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射出成形体
KR101800486B1 (ko) 전도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KR101654405B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EP2104708A1 (en) Electro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e
JP5673542B2 (ja) 輸送用多層チューブ
JP2012201689A (ja) 液晶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102172152B1 (ko) 고내열성 탄소나노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
CN107108954B (zh) 含有碳纳米管的高强度聚合物
KR102666894B1 (ko)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JP2006137939A (ja) 燃料チューブ用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燃料チューブ
KR20210036723A (ko) 탄소나노튜브 복합재
EP4197969A1 (en) Low-density carbon nanotubes and composite comprising same
KR102043314B1 (ko)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EP4334383A1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and article
KR102025373B1 (ko) 탄소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3099B1 (ko) 탄소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124443B (zh) 可调节碳纳米管选择性的碳纳米管制备方法及包含由此制备的碳纳米管的复合材料
KR101755765B1 (ko) 카본나노튜브 함유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 평가방법
KR102038981B1 (ko) 카본나노튜브 함유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 평가방법
KR20160079195A (ko) 전도성이 향상된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