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228A - 수동 휠체어 스톱퍼 - Google Patents

수동 휠체어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228A
KR20210036228A KR1020190119833A KR20190119833A KR20210036228A KR 20210036228 A KR20210036228 A KR 20210036228A KR 1020190119833 A KR1020190119833 A KR 1020190119833A KR 20190119833 A KR20190119833 A KR 20190119833A KR 20210036228 A KR20210036228 A KR 2021003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ear
wheel
pair
stopp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언
Original Assignee
강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언 filed Critical 강재언
Priority to KR102019011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228A/ko
Publication of KR2021003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21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specific bra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의 하측에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 및 중단에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토퍼; 및 회전 가능한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는 각각 상기 스토퍼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토퍼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STOPPER ASSEMBLY, WHEEL ASSEMBLY, WHEEL CONTROLLER AND WHEELCHAIR}
본 발명은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회전하는 바퀴 또는 기어를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바퀴를 고정하기 위해 유압 등을 이용해 회전하는 바퀴를 압박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바퀴를 고정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회전하는 바퀴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바퀴 또는 기어가 한 쪽 방향으로만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퀴 또는 기어가 한 쪽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다른 한 쪽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거나 그 반대로도 가능하도록 바퀴 또는 기어가 한 쪽 방향으로만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 또는 선택될 수 있을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바퀴나 기어를 경사진 곳에서 사용하거나 특정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그 편의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3848호는 구동기어의 회전을 간섭하여 조향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스토퍼를 개시하고 있으나, 힌지와 두 개의 고정부만을 구성으로 하고 있어 맨손으로 작동하기 어렵고 스토퍼의 유연한 작용 및 사용 편의성 등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3848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경제적이고 기존 바퀴에 설치가 용이한 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양단의 하측에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 및 중단에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토퍼; 및 회전 가능한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는 각각 상기 스토퍼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토퍼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중심봉의 장방향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면의 상기 중심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3. 위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과 접하게 되는 상기 걸림부의 양단 중에서, 상기 힌지에 가까운 상기 걸림부의 일단은 회전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로부터 먼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회전하는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질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양단의 상측 또는 상기 날개의 양단의 하측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상기 스토퍼가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을 지나갈 수 있도록 완충 작동을 할 수 있는 완충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5. 위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기어 사이에 제2 탄성부재 고정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부 및 상기 걸림부 사이에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7. 위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누르개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8. 위 7에 있어서, 상기 누르개가 슬라이딩되는 범위를 정의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누르개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9. 위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스토퍼 조립체 및 이와 연동하는 휠을 포함하는, 휠 조립체.
10. 위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스토퍼 조립체, 상기 누르개와 연결된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과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휠 제어 장치.
11. 위 10의 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
본 발명의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는,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토퍼 조립체, 휠 조립체, 휠 제어 장치 및 휠체어는, 적은 힘으로도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제어 장치는 경제적이고 기존 바퀴에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경사진 길에서 전진, 후진 및 정지가 용이하여 안전하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및 휠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단의 하측에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 및 중단에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토퍼; 및 회전 가능한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는 각각 상기 스토퍼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토퍼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경제적이고 기존 바퀴에 설치가 용이할 수 있는 스토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도면들의 각 구성, 부재들의 사이즈, 면적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스토퍼 조립체(100)는 양단의 하측에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111), 및 중단에 상기 한 쌍의 걸림부(111)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기 한 쌍의 걸림부(11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스토퍼(110)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112)를 포함하는 스토퍼(110); 및 회전 가능한 중심봉(121), 및 상기 중심봉(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1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122)는 각각 상기 스토퍼(11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토퍼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10)는 힌지(112)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고, 걸림부(111) 중 어느 쪽이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어 걸리느냐에 따라 기어의 회전 가능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A 부분이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기어는 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B 부분이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기어는 반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해당 기어가 바퀴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되어 연동될 경우에는 바퀴의 회전 방향도 전술한 바와 같은 맥락으로 제어될 것이고, 이와 달리 해당 기어가 바퀴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되어 연동되는 기어와 연동될 경우에는 바퀴의 회전 방향은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제어될 것이며, 이는 최종적으로 연결된 기어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111)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과 접하게 되는 상기 걸림부(111)의 양단 중에서, 상기 힌지(112)에 가까운 상기 걸림부(111)의 일단은 회전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112)로부터 먼 상기 걸림부(111)의 타단은 회전하는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질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이 상기 걸림부(111)에 걸리도록 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제어부(120)는 중심봉(12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중심봉(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122)를 통해 스토퍼(11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음으로써 한 쌍의 걸림부(111)(A, B) 중 어느 하나가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122)는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 또는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후술하는 누르개(130)에 의한 스토퍼 제어부(12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스토퍼 제어부(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토퍼(11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날개(122)는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 또는 중심봉(121)과 수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122)는 중심봉(121)의 장방향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면의 중심봉(1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날개(122)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제어부(120)는, 스토퍼(11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한 쌍의 걸림부(111)(A, B) 중 어느 하나가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기어가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된 걸림부(111)가 기어의 철(凸)부분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역회전 한 후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토퍼 조립체(100)는 스토퍼(110)의 양단의 상측 또는 날개(122)의 양단의 하측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상기 스토퍼(110)가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을 지나갈 수 있도록 완충 작동을 할 수 있는 완충돌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돌기(113)를 포함함으로써, 스토퍼 조립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기어가 용이하게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돌기(113)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복원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토퍼 조립체(100)는 스토퍼(110)와 상기 기어 사이에 제2 탄성부재 고정부(116), 및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부(116) 및 상기 걸림부(111) 사이에 제2 탄성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탄성부재 고정부(116), 및 제2 탄성부재(115)를 더 포함함으로써, 스토퍼 조립체(100)의 위치 복원성과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토퍼 조립체(100)는 한 쌍의 날개(122) 중 어느 하나의 날개(122)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누르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르개(130)는 한 쌍의 날개(122)와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토퍼 조립체(100)를 조작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아울러, 한 쌍의 날개(122)의 크기나 날개(122)가 돌출된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본 발명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토퍼 조립체(100)는 가이드 프레임(132), 및 이탈방지홈(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32)은 누르개(13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를 정의함으로써 가이드 프레임(132)을 관통하여 배치된 누르개(130)는 가이드 프레임(132)에 형성된 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누르개(130) 또는 가이드 프레임(132)에 형성된 이탈방지 홈은 누르개(130)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1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은 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다른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며, 그 설명이 생략되었다고 해서 그 부분이 본 발명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며 그 권리 범위는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한 취지로 인정되어야 한다. 스토퍼 조립체(10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스토퍼 조립체(100) 및 이와 연동하는 휠을 포함함으로써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휠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휠 조립체는 바퀴가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수단에는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과 스토퍼 조립체(100)는 직접 연결되어 연동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스토퍼 조립체(100)와 상기 휠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의 기어가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스토퍼 조립체(100), 누르개(130)와 연결된 연결봉(220), 및 연결봉(220)과 연결된 컨트롤러(210)를 포함함으로써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경제적이고 기존 바퀴에 설치가 용이한 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휠 조립체는 바퀴가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수단에는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조립체(100)는 연결봉 결합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토퍼 조립체(100)가 연결봉(220)을 통해 컨트롤러(210)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컨트롤러(210)의 조작만으로 스토퍼 조립체(100)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400) 및 휠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휠 제어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기어 또는 바퀴의 회전 가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휠체어(400)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경사가 급하거나 경사진 길의 거리가 길 경우 사용자가 휠체어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기 쉽다. 전술한 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4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러(210)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400)의 바퀴 회전 가능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에서는 전진 방향으로만 바퀴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마치 자동 브레이크를 걸어놓은 것처럼 후진 방향으로 휠체어(400)가 밀리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사가 급하거나 긴 길도 도우미 없이 용이하게 휠체어(4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400)는 기존 휠체어의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스토퍼 조립체
110 : 스토퍼
111 : 걸림부
112 : 힌지
113 : 완충돌기
114 : 제1 탄성부재
115 : 제2 탄성부재
116 : 제2 탄성부재 고정부
120 : 스토퍼 제어부
121 : 중심봉
122 : 날개
130 : 누르개
131 : 이탈방지홈
132 : 가이드 프레임
133 : 연결봉 결합부
210 : 컨트롤러
220 : 연결봉
400 : 휠체어

Claims (11)

  1. 양단의 하측에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부, 및 중단에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기 한 쌍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스토퍼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토퍼; 및
    회전 가능한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는 각각 상기 스토퍼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토퍼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중심봉의 장방향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면의 상기 중심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의 요(凹)부분에 삽입될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과 접하게 되는 상기 걸림부의 양단 중에서,
    상기 힌지에 가까운 상기 걸림부의 일단은 회전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로부터 먼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회전하는 기어의 철(凸)부분에 의해 압박이 가해질 경우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는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양단의 상측 또는 상기 날개의 양단의 하측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상기 스토퍼가 상기 기어의 철(凸)부분을 지나갈 수 있도록 완충 작동을 할 수 있는 완충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기어 사이에 제2 탄성부재 고정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부 및 상기 걸림부 사이에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누르개를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누르개가 슬라이딩되는 범위를 정의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누르개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스토퍼 조립체.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스토퍼 조립체 및 이와 연동하는 휠을 포함하는, 휠 조립체.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스토퍼 조립체, 상기 누르개와 연결된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과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휠 제어 장치.
  11. 청구항 10의 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20190119833A 2019-09-25 2019-09-25 수동 휠체어 스톱퍼 KR20210036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33A KR20210036228A (ko) 2019-09-25 2019-09-25 수동 휠체어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33A KR20210036228A (ko) 2019-09-25 2019-09-25 수동 휠체어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28A true KR20210036228A (ko) 2021-04-02

Family

ID=7546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833A KR20210036228A (ko) 2019-09-25 2019-09-25 수동 휠체어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2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48Y1 (ko) 2005-07-29 2005-12-14 홍주표 승하강용 기어가 구비된 휠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48Y1 (ko) 2005-07-29 2005-12-14 홍주표 승하강용 기어가 구비된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786B2 (en) Multifunctional castor
EP3305470B1 (en) Switchable pliers and method for use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US10021257B2 (en) Operation panel for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5600858B2 (ja) スイッチ装置
KR20210036228A (ko) 수동 휠체어 스톱퍼
KR101858398B1 (ko) 가변형 조향 핸들 장치
EP3434244B1 (en) Auxiliary power device and wheelchair
US4299030A (en) Hand-operated shearing devices
CN103200854B (zh) 拖把绞拧器
US5167268A (en) Curtain-rope switch controller
GB2422881B (en) Stroller having a brake device
CN204264228U (zh) 制动装置及车架
CN103332179A (zh) 一种驻车手控阀锁止解除机构
US9429978B2 (en) Passive control stick
CN103085851A (zh) 婴儿车用的制动机构、婴儿车用的车轮保持机构及婴儿车
HUE032627T2 (en) Steering wheel layout
KR20020052287A (ko) 동력조향장치의 조향컬럼
CN205497545U (zh) 可调节理发长度的理发剪
JP7370054B2 (ja) 歩行型作業車両用の挟圧安全機構
TWI680709B (zh) 包括第一剪切部分及第二剪切部分的剪刀
CN204623733U (zh) 一种可调节的自行车龙头
EP3498964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KR102521585B1 (ko) 절단 도구의 보조 장치
TWI735827B (zh) 腳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