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883A - 결속용 밴드 - Google Patents

결속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883A
KR20210034883A KR1020190116773A KR20190116773A KR20210034883A KR 20210034883 A KR20210034883 A KR 20210034883A KR 1020190116773 A KR1020190116773 A KR 1020190116773A KR 20190116773 A KR20190116773 A KR 20190116773A KR 20210034883 A KR20210034883 A KR 2021003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ortions
groove forming
coupling groove
form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신우금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금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금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883A/ko
Publication of KR2021003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결속용 밴드는 상호간에 결속됨으로서, 대상물을 묶는 제 1, 2 결속부를 포함하고, 제 1, 2 결속부는, 각각 그 몸체상에 형성되어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로서,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속용 밴드{Binding band}
본 발명은 결속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배추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배추를 묶는 작업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배추를 묶는 작업은 포기마다 양손으로 결속 끈을 잡고, 허리를 구부려, 겉잎이 부러지지 않게 쓸어 모아, 결속 끈을 조여서 당기고, 풀어지지 않게 매듭지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결속 끈을 매듭짓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배추의 외관이 상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손쉽게 매듭을 지을 수 있는 결속용 밴드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매듭구조를 개선한 결속용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결속력을 향상시킨 결속용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결속용 밴드는 상호간에 결속됨으로서, 대상물을 묶는 제 1, 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결속부는, 각각 그 몸체상에 형성되어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결속부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타측인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측면에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2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측면에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결속부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로서, 상기 제 1, 2 결속부와 가까워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2 결속부가 안착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너비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2 안착면; 상기 제 2 결속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속돌기로서, 상기 제 1, 2 안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너비보다 좁은 제 2 너비의 폭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속부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안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 2 삽입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2 안착면에 상호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2 안착면에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안착면을 연결하는 스토퍼면으로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그 너비가 상기 상기 제 1, 2 결합홈형성부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가 각각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는, 상기 제 2 너비가 상기 제 2 결속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결속부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타측인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2 측면에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결속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인딩구조를 개선함으로서, 대상물을 결속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손쉽게 대상물의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속구조를 개선함으로서, 대상물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속용 밴드는 결속과 결속해제동작을 통해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에 의해 대상물이 묶이는 동작에 대한 도면.
도 6는 도 5의 C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일부확대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의 확대도이다.
결속용 밴드(1)는 대상물(t, 도 5 참고)을 묶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속용 밴드(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속용 밴드(1)는 제 1, 2 결속부(10, 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는 상호간에 결속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는 중간부(5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는 그 몸체상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각각 복수의 제 1, 2 결속부(10, 20)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상호간에 끼움결합됨으로서, 제 1, 2 결속부(10, 20)가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결속부(10)에 있는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 중 어느 하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는, 도 6에서와 같이 제 2 결속부(20)에 있는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형성부(12)가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제 1, 2 결속부(10, 20)와, 중간부(50)는 대상물(t)을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대상물(t)의 둘레의 크기에 따라 결합되는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를 달리할 수 있다. 대상물(t)의 둘레가 클수록 결속용 밴드(1)의 단부에 가까운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끼리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대상물(t)의 둘레가 작을 수록 결속용 밴드(1)의 중간부(50)와 가까운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끼리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결속부(10, 20)가 각각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 1 결속부(10)는 하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를 포함하고, 제 2 결속부(20)는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결속부(10)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는 제 2 결속부(20)의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제 1, 2 결속부(10, 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결속부(10, 20)는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측면(S1)과, 제 1 측면(S1)의 타측인 제 2 측면(S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각각 제 1, 2 측면(S1, S2)에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속부(10)의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는 제 1 측면(S1)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결속부(20)의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는 제 2 측면(S2)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결속부(10)의 제 1 측면(S1)과, 제 2 결속부(20)의 제 2 측면(S2)이 마주하되, 제 1, 2 결속부(10, 20)가 교차되도록 위치시킴으로서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를 결속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제 1, 2 결속부(10, 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결속부(10, 20)의 길이방향을 제 1 방향이라 할 때,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용 밴드(1)에 의해 묶이는 대상물(t)에 의한 장력의 방향과,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방향을 수직하게 함으로서,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속용 밴드(1)는 중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50)는 제 1, 2 결속부(10, 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결속부(10, 20)는 중간부(5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50)는 대상물(t)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중간부(50)는 그 내측면으로 대상물(t)이 안착되고, 제 1, 2 결속부(10, 20)가 대상물(t)을 감싸도록 둘러쌀 수 있다. 이후,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가 상호간에 결속됨으로서, 결속용 밴드(1)를 통해 대상물(t)을 묶을 수 있다.
중간부(50)는 제 1, 2 결속부(10, 2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부(50)는 제 1, 2 측면이 형성하는 폭보다 작은 폭을 형성하는 제 3, 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면(S3)은 제 1 측면(S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 4 측면(S4)은 제 2 측면(S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중간부(50)는 중앙부분이 제 1, 2 결속부(10, 20)와 연결되는 단부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부(50)는 제 1 지점보다 제 1, 2 결속부(10, 20)와 가까운 제 2 지점에서의 폭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4 측면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4 측면은 오목면으로 명명될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3, 4 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서, 중간부(50)의 중앙부에서 제 1, 2 결속부(10, 20)와 가까워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결속용 밴드(1)를 통해 대상물(t)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결속용 밴드(1)의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1, 2 삽입부(14, 24, 도 3, 4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삽입부(14, 24)는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제 1, 2 결속부(10, 20)가 결속될 때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삽입부(14)는 제 2 결합홈형성부(22)로 삽입되며, 제 2 삽입부(24)는 제 1 결합홈형성부(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의 길이(X)와 제 1, 2 삽입부 너비(Y)의 합이 제 1, 2 결속부(10, 20)의 폭(W)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의 길이(X)는 제 1, 2 삽입부의 너비(Y)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2 삽입부는 안정적으로 마주하는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제 1, 2 안착면(31, 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안착면(31, 32)의 길이는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의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2 안착면(31, 32)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가 결속시에, 제 1, 2 안착면(31, 32)은 삽입되는 결속부가 안착되도록 안착공간(3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의 너비는 제 1, 2 안착면(31, 32)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삽입부가 안착공간(34)에 안착될 때, 삽입부의 일단부는 이후 설명하는 스토퍼면(40)과 마주하고, 타단부는 결속돌기(36)와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홈형성부는 결속돌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돌기(36)는 결합홈형성부간에 결합시,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속돌기(36)는 결합홈형성부의 단부에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돌기(36)는 결속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구(36a)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2 안착면(31, 32)사이에 형성되는 안착공간(34)의 폭이 제 1 너비(w1)로 형성될 때, 한 쌍의 결속돌기(36)는 제 1 너비(w1)보다 좁은 제 2 너비(w2)의 폭으로 삽입구(36a)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너비(w2)는 제 1, 2 결속부(10, 20)의 두께와 같거나 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결속부(10)가 제 2 결속부(20)에 결합될 때,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의 한 쌍의 결속돌기(36)가 탄성적으로 벌어짐으로서, 제 1 삽입부(14)가 벌어진 제 2 결합홈형성부(22)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의 한 쌍의 결속돌기(36)가 탄성적으로 벌어짐으로서, 제 2 삽입부(24)가 벌어진 제 1 결합홈형성부(12)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0, 20)가 결합이 완료되면, 한 쌍의 결속돌기(36)는 탄성적으로 복귀하게 되고, 제 1, 2 결속부(10, 20)의 두께보다 작은 제 2 너비(w2)의 폭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서,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제 1, 2 안착면(31, 32)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삽입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제 1, 2 안착면(31, 32)사이의 안착공간(34)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안착공간(34)으로 삽입된 삽입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어, 삽입부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착공간(34)에 삽입된 삽입부가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한 쌍의 결속돌기(36)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한 쌍의 결속돌기(36)가 형성하는 삽입구(36a)를 통해 삽입된 삽입부(14, 24)를 접촉 또는 지지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한 쌍의 결속돌기(36)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도 6과 같이 안착공간(34)으로 삽입된 삽입부(14, 24)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38)는 한 쌍의 결속돌기(36)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돌기(38)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38)는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돌기(38)는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 1, 2 안착면(31, 3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복수의 지지돌기(38)는 제 1, 2 안착면(31, 32)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스토퍼면(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면(40)은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시에, 삽입부의 삽입방향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스토퍼면(40)은 제 1, 2 안착면(31, 32)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면(40)은 삽입부가 안착공간(34)에 위치할 때, 삽입부가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서 제 1, 2 결속부(10, 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결속용 밴드의 결속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에 의해 대상물이 묶이는 동작에 대한 도면, 도 6는 도 5의 C의 확대도이다.
결속용 밴드(1)의 제 1, 2 결속부(10, 20)와, 중간부(50)가 대상물(t)을 감싸도록 도 5와 같이 배치시킨다.
이후 대상물(t)의 개수 또는 크기에 따라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 중 대응되는 결합홈형성부들을 결속시킨다.
도 6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12) 중 결속되는 제 1 결합홈형성부(12)에는 제 2 삽입부(24)가 삽입되며, 또한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22) 중 결속되는 제 2 결합홈형성부(22)에는 제 1 삽입부(14)가 삽입된다.
제 1, 2 삽입부들은 한 쌍의 결속돌기(36)를 지나 안착공간(34)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 1, 2 결속부(10, 20)가 결속된다.
결속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의 확대도이다.
결속용 밴드(100)는 제 1, 2 결속부(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10, 120)는 상호간에 결속될 수 있다. 제 1, 2 결속부(110, 120)는 중간부(5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12, 122)는 제 1, 2 결속부(110, 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결속부(110, 120)는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측면(S1)과, 제 1 측면(S1)의 타측인 제 2 측면(S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12, 22)는 제 1, 2 측면에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대상물(t)의 둘레의 크기에 따라 결합되는 제 1, 2 결합홈형성부(112, 122)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제 1, 2 결속부(110, 120)의 교차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밴드의 일부확대도이다.
결속용 밴드(200)는 지지홈(214a, 224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214a, 224a)은 각각 삽입부(214, 224)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214a, 224a)은 제 1, 2 삽입부(214, 224)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214a, 224a)은 제 1, 2 삽입부(214, 224)가 각각 제 2 결합홈형성부(22)와 제 1 결합홈형성부(12)에 삽입될 때 지지돌기(38)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홈(214a, 224a)은 지지돌기(38)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2 결속부(10, 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결속용 밴드 10 : 제 1 결속부
12 : 제 1 결합홈형성부 14 : 제 1 삽입부
20 : 제 2 결속부 22 : 제 2 결합홈형성부
24 : 제 2 삽입부 31, 32 : 제 1, 2 안착면
34 : 안착공간 36 : 결속돌기
38 : 지지돌기 40 : 스토퍼면
50 : 중간부 S1, S2, S3, S4 : 제 1, 2, 3, 4 측면

Claims (14)

  1. 상호간에 결속됨으로서, 대상물을 묶는 제 1, 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결속부는,
    각각 그 몸체상에 형성되어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를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결속부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타측인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측면에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2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측면에 상호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결속용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결속부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로서, 상기 제 1, 2 결속부와 가까워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2 결속부가 안착되도록 그 사이에 제 1 너비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2 안착면;
    상기 제 2 결속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속돌기로서, 상기 제 1, 2 안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 너비보다 좁은 제 2 너비의 폭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부는,
    상기 안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결합홈형성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안착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 2 삽입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2 안착면에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결속용 밴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제 1, 2 안착면에 교번되게 배치되는 결속용 밴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결속용 밴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안착면을 연결하는 스토퍼면으로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그 너비가 상기 상기 제 1, 2 결합홈형성부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결속용 밴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가 각각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결속용 밴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는,
    상기 제 2 너비가 상기 제 2 결속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결속용 밴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결속부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타측인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결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2 측면에 교번되게 배치되는 결속용 밴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2 결합홈형성부는,
    상기 제 1, 2 결속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속용 밴드.
KR1020190116773A 2019-09-23 2019-09-23 결속용 밴드 KR20210034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73A KR20210034883A (ko) 2019-09-23 2019-09-23 결속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73A KR20210034883A (ko) 2019-09-23 2019-09-23 결속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83A true KR20210034883A (ko) 2021-03-31

Family

ID=7523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73A KR20210034883A (ko) 2019-09-23 2019-09-23 결속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8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8103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CN107734966B (zh) 钓鱼线引导件、包括其的钓鱼竿及用于钓鱼线引导件的坯件
CN105491916A (zh) 夹具和固定用线
KR101222113B1 (ko) 스프링 조립체
JPS63170098A (ja) プラスチック紙はさみ
US8998758B2 (en) Chain
KR20210034883A (ko) 결속용 밴드
WO2014034876A1 (ja) 変形爪矯正具
JP2011506881A (ja) 揺動継手式チェーンのためのリンク
JP2015220919A (ja) 電線固定構造
JP2014524648A (ja) 2つのフランジを有する端子ブロック
JP3114599B2 (ja) 結束バンド
KR101282232B1 (ko) 프레임용 조인트
US6095450A (en) Pivot for a winding device
TWI680237B (zh) 運動導引裝置
WO2021070608A1 (ja) 板材連結機構
JP7075266B2 (ja) 電線固定具
KR101889597B1 (ko) 사일런트 체인
JP4892563B2 (ja) 結束方法および結束具を補助する結束補助具
KR200344205Y1 (ko) 가시철망용 클립
JP7207213B2 (ja) プロテクタ接続部材、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ハーネス
US20090293984A1 (en) Hand Tool
JP2009094374A (ja) 部材組立構造および部材組立方法
JP3118260U (ja) ダクト用コーナーピース
JP202017303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