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264A -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 Google Patents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264A
KR20210034264A KR1020190115969A KR20190115969A KR20210034264A KR 20210034264 A KR20210034264 A KR 20210034264A KR 1020190115969 A KR1020190115969 A KR 1020190115969A KR 20190115969 A KR20190115969 A KR 20190115969A KR 20210034264 A KR20210034264 A KR 2021003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led module
light
traffic sign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553B1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신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신호
Priority to KR102019011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5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모듈부가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로 슬라이딩된 뒤 추가의 LED모듈부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도로의 차선 및 횡단보도 확장 등으로 도로의 폭 변화에 맞춰 다수개의 LED모듈부가 설치된 교통 표지판이나 투광부를 교체하지 않고 바로 LED모듈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기에 효율성 및 편리성이 증가하고, 기존의 교체 비용, 예산 등이 절감되어 실용성도 뛰어나며,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의 중앙부에 관통되고 양끝단부에 더블너트가 체결되어 견고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부가 관절볼트, 볼볼트 등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기능성 투광부의 전,후,좌,우 각도와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하기에 편리성 및 실용성이 뛰어나고, LED모듈부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는 하부의 도로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LED모듈부의 빛이 횡단보도에만 조사될 뿐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 눈에 비추지 않아 안전한 운전에 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Functional floodlight installed on traffic sign or prop}
본 발명은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모듈부가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로 슬라이딩된 뒤 추가의 LED모듈부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도로의 차선 및 횡단보도 확장 등으로 폭 변화에 맞춰 다수개의 LED모듈부가 설치된 교통 표지판이나 투광부를 교체하지 않고 바로 LED모듈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기에 효율성 및 편리성이 증가하고, 기존의 교체 비용, 예산 등이 절감되어 실용성도 뛰어난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교통표지판은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시각 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도로의 이용 가능 차종이나 사람의 통행, 이동 방법 및 방향 등을 제한하는 규제 표지판, 도로의 이용 방법이나 방향 등을 안내하는 지시 표지판, 도로의 상태를 비롯한 주의 사항을 알려주는 주의 표지판 등 매우 많은 종류의 표지판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도로 교통표지판은 주로 가로변에 입설된 지주 부착대나 도로 상부에 소정 높이로 수평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는데, 종래의 도로 교통표지판은 금속판재에 도형이나 문자 등 소정의 표시 내용이 도안된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주변이 밝은 주간에는 비교적 표지 내용 식별이 용이하나, 야간과 같이 어두운 때에는 표지판의 내용 식별이 어려웠고, 먼거리에서는 표지판이 설치된 것조차 알기 어려워 표지판으로서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야간에 도로 교통표지판을 비추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기도 했으나, 이는 표지판 전체 면을 비추는 조명의 반사광을 통해 표지판의 내용을 인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식별성이 향상되는 범위가 좁은 각도로 제한되고, 조명 강도를 높일수록 표지판 자체의 인지성은 높아지나 반사광으로 인해 내용 식별성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LED를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도안의 형태로 배열한 도로 교통표지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LED의 사용으로 식별 가능한 시야 범위가 넓고 원거리에서도 도안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표지판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이디는 배광 특성상 엘이디의 빛이 조사되는 중심부가 가장 조도가 높고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조도가 낮은데, 종래의 엘이디는 평판의 기판에 다수의 엘이디가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자리의 엘이디에 영향을 받는 조사지역의 조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즉, 엘이디의 조사각에 의해서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열된 엘이디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조사지역을 벗어나 손실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조사지역을 벗어나는 손실된 빛이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을 비추게 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결국, 엘이디는 조도도 중요하지만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광 빛이 일정범위의 조사지역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엘이디 가로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에 맞춰 엘이디가 설치되는 투광부도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547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LED모듈부가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로 슬라이딩된 뒤 추가의 LED모듈부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도로의 차선 및 횡단보도 확장 등으로 도로의 폭 변화에 맞춰 다수개의 LED모듈부가 설치된 교통 표지판이나 투광부를 교체하지 않고 바로 LED모듈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기에 효율성 및 편리성이 증가하고, 기존의 교체 비용, 예산 등이 절감되어 실용성도 뛰어난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의 중앙부에 관통되고 양끝단부에 더블너트가 체결되어 견고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부가 관절볼트, 볼볼트 등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기능성 투광부의 전,후,좌,우 각도와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하기에 편리성 및 실용성이 뛰어난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LED모듈부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는 하부의 도로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LED모듈부의 빛이 횡단보도에만 조사될 뿐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 눈에 비추지 않아 안전한 운전에 임할 수 있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어 빛을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맞춰 조사하는 기능성 투광부에 있어서,
LED모듈부가 결합되도록 일면에 제 1 결합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장홀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측면부로 구성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일면에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슬라이드홀에 연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제 1 결합홀에 결합되어 하부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는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LED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홀은 내측 프레임의 양측 측면부에 수평으로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의 끝단은 외측 프레임의 끝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직각홀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도록 평면상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에는 내측 프레임의 바닥부에 지지되는 바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LED모듈부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이 형성되어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폭에 따라 LED모듈부의 추가시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결합홀에 LED모듈부를 결합하여 내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LED모듈부 이외에 추가의 LED모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내,외측으로 왕복으로 슬라이딩시, 내측 프레임의 측면부가 삽입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홈이 측면부의 길이와 위치에 맞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는 LED모듈부가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양끝단부 외부로 슬라이딩된 뒤 추가의 LED모듈부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도로의 차선 및 횡단보도 확장 등으로 도로의 폭 변화에 맞춰 다수개의 LED모듈부가 설치된 교통 표지판이나 투광부를 교체하지 않고 바로 LED모듈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기에 효율성 및 편리성이 증가하고, 기존의 교체 비용, 예산 등이 절감되어 실용성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표시부와 기능성 투광부의 중앙부에 관통되고 양끝단부에 더블너트가 체결되어 견고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부가 관절볼트, 볼볼트 등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기능성 투광부의 전,후,좌,우 각도와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하기에 편리성 및 실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LED모듈부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는 하부의 도로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LED모듈부의 빛이 횡단보도에만 조사될 뿐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 눈에 비추지 않아 안전한 운전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투광부의 내측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투광부의 외측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투광부의 내측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투광부의 외측 프레임을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프레임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200)는 현위치의 도로에 대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빛을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조사하도록 LED모듈부(230)가 설치되되, 상기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맞춰 LED모듈부(230)의 수량과 빛의 조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0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에 사용되는 교통표지판의 표시부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더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주 부착대는 도 8에서처럼,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1)의 상부에 부착대(12)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부착대(12)의 일측에 본 발명의 기능성 투광부(20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투광부(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모듈부(230)가 결합되도록 일면에 제 1 결합홀(213)이 형성되는 바닥부(211)와, 상기 바닥부(211)의 전,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장홀의 슬라이드홀(214)이 형성되는 측면부(212)로 구성되는 내측 프레임(210)과;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21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일면에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슬라이드홀(214)에 연결되도록 관통홀(222)이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220)과;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제 1 결합홀(213)에 결합되어 하부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232)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232)는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LED모듈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바닥부(211)와 측면부(212)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단면상 "┗┛" 형태로 형성되고, 양끝단부가 외측으로 연통되는 구조이고, 상기 바닥부(211)에는 LED모듈부(230)가 결합되도록 제 1 결합홀(2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결합홀(213)은 바닥부(21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홀(213)과 제 1 결합홀(213) 사이 및 끝단면의 바닥부(211)에는 LED모듈부(230)가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연결홀(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홀의 슬라이드홀(214)은 내측 프레임(210)의 양측 측면부(212)에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홀(214)은 측면부(212)의 전면을 기준으로 측면부(21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된다. 즉, 두개의 슬라이드홀(214)이 측면부(212)의 전면 중앙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측면부(212)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홀(214)의 끝단 즉, 측면부(212)의 전면을 기준으로 두개의 슬라이드홀(214)의 양끝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된 직각홀(215)이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홀(214)은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외측 프레임(220)이 연결되는 홀로써, 외측 프레임(220)이 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슬라이드홀(214)을 따라 내측 프레임(21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220)이 슬라이드홀(214)의 끝단부에 위치한 뒤 슬라이드홀(214)의 직각홀(215)을 따라 외측 프레임(220)의 끝단부가 상측으로 들릴 수 있는 구조이다.
그렇기에 도 4에서처럼, 상기 두개의 외측 프레임(220)의 양끝단부는 상측으로 들릴 수 있기에 외측 프레임(220)에 설치되는 LED모듈부(230)의 빛 조사 각도가 확장되어 넓은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폭에 맞춰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22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내측 프레임(210)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도록 평면상 "⊂,⊃"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프레임(220)은 내측 프레임(210)의 형태에 맞춰 모서리부위가 직각이거나 곡선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내부에는 내측 프레임(210)의 바닥부(211)에 지지되는 바닥면(221)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에는 LED모듈부(230)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2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결합홀(223)은 바닥면(2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홀(223)과 제 2 결합홀(223) 사이 및 끝단부의 바닥면에는 LED모듈부(230)가 볼트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연결홀(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에는 도 5에서처럼, 외측 프레임(220)이 내측 프레임(210)의 내,외측으로 왕복으로 슬라이딩시, 내측 프레임(210)의 측면부(21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바닥면(221)에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24)은 측면부(212)의 위치에 맞춰 두개가 형성되는데 측면부(212)의 길이에 맞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은 내측 프레임(210)의 바닥부(211)의 상부에 지지되는데,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슬라이딩에 맞춰 바닥면(221)도 바닥부(211)의 상부를 슬라이딩되고, 그렇기에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 하부 또는 내측 프레임(210)의 바닥부(211) 상부에 레일(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반대측에는 레일에 체결되는 롤러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이 슬라이딩시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역할은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확장으로 인해 도로 또는 횡단보도 차선이 많아지면 전체적인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폭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LED모듈부(230)만으로는 커버할 수 없어 LED모듈부(230)의 추가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도로 또는 횡단보도 폭에 맞춰 많은 LED모듈부가 설치된 교통 표지판으로 교체 설치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을 절감하도록 LED모듈부의 추가시 외측 프레임이 내측 프레임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수평으로)되고, 상기 제 2 결합홀(223)에 LED모듈부(230)를 결합하여 내측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LED모듈부(230) 이외에 추가의 LED모듈부(2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이 내측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제 2 결합홀(223)과 내측 프레임(210)의 제 1 결합홀(213)은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에서 LED모듈부(230)가 상부에 구비된 제 2 결합홀(223)을 관통하여 제 1 결합홀(213)에 결합되는 구조이고, 상기 외측 프레임(220)이 내측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확장시에는 LED모듈부(230)가 탈거된 상태에서 확장된 뒤 제 1 결합홀(213)과 제 2 결합홀(223)에 각각 LED모듈부(230)가 결합되어 LED모듈부(230)를 추가로 설치하는 구조이다.
상기 LED모듈부(23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LED모듈부(230)는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체로 이루어진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는 광학렌즈(2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ED모듈부(230)의 몸체(231)는 내측 프레임(210)의 제 1 결합홀(213) 또는 외측 프레임(220)의 제 2 결합홀(223)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내측 프레임(210) 또는 외측 프레임(220)에 형성된 연결홀(240)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렌즈(232)는 도 6에서처럼, LED모듈부(230)의 몸체(231) 하부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광학렌즈(232)는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정면상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즉, 종래의 렌즈 빛이 부채꼴 형태로 확산되어 조사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광학렌즈(232)는 역 직각삼각형 형태이기에 빛이 일측은 수직으로 조사되고 타측을 확산되는 형태로 컷오프배광방식으로 조사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LED모듈부(230)의 빛이 횡단보도에만 조사될 뿐 차량의 운전자 눈에 비추지 않아 안전운전에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상기 기능성 투광부(200)의 전,후, 좌,우 각도 및 기능성 투광부(200)의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0)는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의 중앙부에 관통되고 양끝단부에 더블너트(310)가 체결되고, 그로 인해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를 견고하게 연결시키는데, 상기 연결부(300)는 장볼트로 이루어지고, 양끝단부에 너트(310)가 체결되는데, 상기 너트(31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더블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0)는 장볼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7에서처럼 장볼트의 중간부에 관절식으로 힌지 결합된 관절볼트로 되어 기능성 투광부(200)가 전,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장볼트의 중간부가 볼(ball)에 의해 연결되어 기능성 투광부(200)가 전,후,좌,후 등의 다방면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볼형태의 구조가 장볼트의 중간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표시부(100) 또는 기능성 투광부(200)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고, 다른 곳에는 더블나사(310)로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의 장볼트는 양끝단부 중 상단부는 표시부(100)의 덮개(12) 중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 체결되고, 하단부는 기능성 투광부(200)의 내측 프레임(210) 바닥부(211)에 체결되어 표시부(100)와 기능성 투광부(200)를 상호 연결시킨다.
100 : 표시부
200 : 기능성 투광부 210 : 내측 프레임
211 : 바닥부 212 : 측면부
213 : 제 1 결합홀 214 : 슬라이드홀
215 : 직각홀
220 : 외측 프레임 221 : 바닥면
222 : 관통홀 223 : 제 2 결합홀
224 : 슬라이드홈
230 : LED모듈부 231 : 몸체
232 : 광학렌즈 240 : 연결홀
300 : 연결부 310 : 너트

Claims (5)

  1.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어 빛을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맞춰 조사하는 기능성 투광부(200)에 있어서,
    LED모듈부(230)가 결합되도록 일면에 제 1 결합홀(213)이 형성되는 바닥부(211)와, 상기 바닥부(211)의 전,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장홀의 슬라이드홀(214)이 형성되는 측면부(212)로 구성되는 내측 프레임(210)과;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어 내측 프레임(21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일면에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슬라이드홀(214)에 연결되도록 관통홀(222)이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220)과;
    상기 내측 프레임(210)의 제 1 결합홀(213)에 결합되어 하부의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부면에 다수개의 광학렌즈(232)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렌즈(232)는 도로 또는 횡단보도에 컷오프배광방식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LED모듈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214)은 내측 프레임(210)의 양측 측면부에 수평으로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214)의 끝단은 외측 프레임(220)의 끝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직각홀(215)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은 내측 프레임(210)의 양끝단부 외부에 형성되도록 평면상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내부에는 내측 프레임(210)의 바닥부(211)에 지지되는 바닥면(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에는 LED모듈부(230)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223)이 형성되어 도로 또는 횡단보도의 폭에 따라 LED모듈부(230)의 추가시 외측 프레임(220)이 내측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결합홀(223)에 LED모듈부(230)를 결합하여 내측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LED모듈부(230) 이외에 추가의 LED모듈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220)의 바닥면(221)에는 외측 프레임(220)이 내측 프레임(210)의 내,외측으로 왕복으로 슬라이딩시, 내측 프레임(210)의 측면부(212)가 삽입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홈(224)이 측면부(212)의 길이와 위치에 맞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KR1020190115969A 2019-09-20 2019-09-20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KR10228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69A KR102283553B1 (ko) 2019-09-20 2019-09-20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69A KR102283553B1 (ko) 2019-09-20 2019-09-20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264A true KR20210034264A (ko) 2021-03-30
KR102283553B1 KR102283553B1 (ko) 2021-07-29

Family

ID=7526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969A KR102283553B1 (ko) 2019-09-20 2019-09-20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5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8B1 (ko) * 2010-01-19 2010-06-29 김덕수 도로 교통표지판
KR101197458B1 (ko) * 2012-02-16 2012-11-05 서울특별시 유지보수 발판이 구비된 도로 전광표지
KR101325477B1 (ko) 2013-08-12 2013-11-05 김덕수 교통 표지판
KR102040008B1 (ko) * 2019-05-08 2019-11-04 주식회사 한국신호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교통 표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8B1 (ko) * 2010-01-19 2010-06-29 김덕수 도로 교통표지판
KR101197458B1 (ko) * 2012-02-16 2012-11-05 서울특별시 유지보수 발판이 구비된 도로 전광표지
KR101325477B1 (ko) 2013-08-12 2013-11-05 김덕수 교통 표지판
KR102040008B1 (ko) * 2019-05-08 2019-11-04 주식회사 한국신호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교통 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553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183B2 (ja) 支柱取付け用照明装置
KR20110049098A (ko)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KR102231298B1 (ko) 스마트 횡단보도 등기구
US5426574A (en) Street-lamp with fog lighting device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941585B1 (ko) 자전거 전용도로용 조명기구
KR101053785B1 (ko) 광고판 투광등
KR102106380B1 (ko) 다기능 교통 표지판
KR102040008B1 (ko) 기능성 투광부가 설치되는 교통 표지판
KR200462749Y1 (ko) 도로 표지판 조립체
KR100900815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JP3806548B2 (ja) 路面標示装置
KR102050534B1 (ko) 낮은 도로 조명 장치
KR20210034264A (ko) 교통 표지판 또는 지주 부착대에 설치되는 기능성 투광부
KR100621839B1 (ko) 도로의 볼라드 구조
JP4127459B2 (ja) トンネル照明装置、道路照明装置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2319188B1 (ko) 횡단보도용 양면 표지판
KR200462855Y1 (ko) 방호울타리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KR101035738B1 (ko)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용 조명기구
CN210485499U (zh) 一种空间照明低位灯
KR101560142B1 (ko) 도로용 led모듈 조명장치
KR200357124Y1 (ko) 조명등 겸용 엘이디 횡단보도 표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