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207A -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207A
KR20210033207A KR1020190114661A KR20190114661A KR20210033207A KR 20210033207 A KR20210033207 A KR 20210033207A KR 1020190114661 A KR1020190114661 A KR 1020190114661A KR 20190114661 A KR20190114661 A KR 20190114661A KR 20210033207 A KR20210033207 A KR 2021003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ndenser
bypass
vacuum degre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688B1 (ko
Inventor
정훈
조종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6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9/00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 F01K9/02Arrangements or modifications of condensate or ai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나 냉각수의 온도와 상관없이 복수기가 미리 설정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기를 우회하여 냉각수로 유동시키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는, 복수기(21)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13)과,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포함하고, 그 제어방법은, 복수기(21)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A)가 입력되는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와, 냉각수를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S120)와,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와, 상기 측정진공도(A)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B)에 수렴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설치되는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제어하는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LING WATER BYPASS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VACUUM DEGREE OF THE CONDENS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나 냉각수의 온도와 상관없이 복수기가 미리 설정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기를 우회하여 냉각수로 유동시키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는 터빈을 작동시킨 증기를 다시 물로 응축시키는 복수기가 운용된다.
상기 복수는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입하여 상기 복수기의 내부에서 열교환한 후, 상기 냉각수는 방류된다.
상기 복수기는 내부가 일정한 진공도를 유지해야 한다. 외기 온도와 냉각수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가 낮아지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복수기를 설치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동절기에는 과도한 진공이 형성되어 터빈의 출구(복수기의 입구) 부근에서 습분이 발생한다. 상기 습분은 상기 터빈의 블레이드, 특히 마지막 단의 블레이드에서 상기 습분으로 인하여 침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는 설계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측면이나, 설비의안정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만약, 냉각수 펌프의 유량을 제어하지 않으면, 외기의 온도 또는 냉각수의 온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도 변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냉각수 펌프는 대부분 대용량으로서, 인버터구동을 통하여 유량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운전되는 냉각수 펌프의 수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기의 내부를 설계 진공도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터빈 제너레이터의 고진공 압력발생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9-0103536 A (2009.1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냉각수의 유량 중 일부를 우회시켜 복수기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설계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한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는, 복수기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기를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냉각수 우회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의 개도로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면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면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현재 개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라인에서 상기 냉각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점과 상기 복수기의 사이에 상기 복수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복수기 입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라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라인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의 하류에서 분기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와 상기 보조라인의 분기점 사이에는 냉각수 우회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보조라인의 분기점의 하류에는 냉각수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라인은 상기 보조라인에서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라인에 추가 냉각설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라인에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를 활용하는 해수활용설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가 입력되는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와, 냉각수를 상기 복수기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진공도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는 냉각수 우회 밸브를 제어하는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에 따라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를 정해진 개도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는,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는,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바이패스라인을 통하여 일부 유량을 바이패스시켜 복수기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미리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기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은 냉각수 우회 밸브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외기의 온도나 냉각수의 온도에 상관없이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는, 복수기(21)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13)과,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포함한다.
복수기(21)는 터빈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빈을 통과한 스팀을 물로 응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기(21)로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라인(11)이 통과하고, 메인펌프(23)가 냉각수를 상기 냉각라인(11)으로 유입시켜 상기 복수기(21)를 냉각시킨다. 상기 복수기(21)에서 열교환한 냉각수는 재순환되거나 방류된다. 다만, 상기 냉각수로 해수(海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재순환하는 경우, 다시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라인(13)은 상기 냉각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을 통하여 일부 냉각수를 우회시켜 상기 복수기(21)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기(21)의 냉각성능을 제어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냉각수 우회 밸브(31)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즉,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증가시킬수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의 양은 증가하고, 상기 복수기(21)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양은 감소한다. 또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감소시킬수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의 양은 감소하고, 상기 복수기(21)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양은 증가한다.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하는데, 상기 복수기(21)에서 측정된 진공도(A)를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B)와 비교하여,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에 상세히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은, 수동로 조작하거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MOV(Motor Operated Valve) 등을 이용하여 자동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부터 분기되게 보조라인(15)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라인(15)에 상기 냉각수를 활용하여 기타 설비를 냉각시키는 추가 냉각설비(4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는 해수(海水)를 활용하는 바, 상기 보조라인(15)에 상기 해수를 활용하는 해수활용설비(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라인(15)에 상기 보조라인(15)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서 사익 보조라인(15)이 분기되는 분기점(D2)의 하류에는 냉각수 차단밸브(33)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는, 상기 냉각라인(11)에서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의 분기점(D1)과 상기 복수기(21) 사이에 복수기 입구 밸브(25)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기(21)에 연결되는 냉각라인(11)의 압력손실에 비해 우회유량 형성을 위한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의 압력손실이 현저히 크면, 상기 우회유량 제어밸브(43)를 최대로 개방하여도,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낮추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의 분기점(D1)과 상기 복수기(21) 사이에 복수기 입구 밸브(25)를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상기 복수기 입구 밸브(25)의 개도를 줄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기(21)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낮출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의 압력손실 커서, 충분한 유량의 냉각수가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입되지 않는 현상이 해소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 우회 펌프(3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수 우회 펌프(35)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와 상기 보조라인(15)의 분기점(D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우회 펌프(35)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대시키고 상기 복수기(21)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줄어들도록 하여,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낮출 수 있다.
물론, 상기 바이패스라인(13)의 분기점(D1)과 상기 복수기(21) 사이에 복수기 입구 밸브(2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기 입구 밸브(25)와 상기 냉각수 우회 펌프(35)를 모두 적용하면, 의도하는 유량의 냉각수를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기(21)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A)가 입력되는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와, 냉각수를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S120)와,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와, 상기 측정진공도(A)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B)에 수렴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에 설치되는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제어하는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한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는 복수기(21)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A)가 입력된다. 상기 복수기(21)에 설치된 압력계(27) 등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입력받는다. 다만, 상기 복수기(21)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직접 진공도가 측정될 수도 있지만, 압력계(27) 등으로부터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압력을 입력받고, 이를 진공도로 변환할 수도 있다.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S120)는, 냉각수를 상기 복수기(21)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시킬지를 결정한다.
상기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S120)는 상기 측정진공도(A)와 상기 설정진공도(B)의 차이의 절대값(|A-B|)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C)와 비교하여,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냉각수를 우회시킬지를 결정한다. 상기 허용편차(C)는 3%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진공도(A)와 상기 설정진공도(B)의 차이의 절대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면(|A-B|>C),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기 측정진공도(A)와 상기 설정진공도(B)의 차이의 절대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다는 것은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측정진공도)가 미리 설정된 값(설정진공도)와 차이가 크다는 것이므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양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측정진공도(A)와 상기 설정진공도(B)의 차이의 절대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지 않으면(|A-B|≤C),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로 리턴되어, 처음부터 반복 수행된다.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는 상기 측정진공도(A)에서 상기 설정진공도(B)를 뺀 값(A-B)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C)와 비교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에서, 상기 측정진공도(A)에서 상기 설정진공도(B)를 뺀 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면(A-B > C),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가 수행된다. 상기 측정진공도(A)에서 상기 설정진공도(B)를 뺀 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다는 것(A-B > C)은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가 상기 설정진공도(B)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복수기(2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S130)에서, 상기 측정진공도(A)에서 상기 설정진공도(B)를 뺀 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지 않으면(A-B ≤ C),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가 수행된다.
상기 측정진공도(A)에서 상기 설정진공도(B)를 뺀 값(A-B)이 상기 허용편차(C)보다 크지 않다는 것(A-B ≤ C)은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가 상기 설정진공도(B)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복수기(2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는 상기 측정진공도(A)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B)에 수렴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제어한다.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와,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에 따라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를 정해진 개도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는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복수기(2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는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복수기(2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3)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1스텝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여기서 1스텝은 개도를 5%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S141)에서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직전 개도로부터 5% 증가되도록 조정하고,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S142)에서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의 개도를 직전 개도로부터 5% 감소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1스텝의 개도는 다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부터 다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S110) 내지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S140)가 반복 수행되면서, 상기 복수기(21) 내부의 진공도를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진공도(B)에 수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30초마다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에 따라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31)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기(21)의 진공도가 미리 설정된 진공도로 수렴하도록 한다.
11 : 냉각라인
13 : 바이패스라인
15 : 보조라인
21 : 복수기
23 : 메인펌프
25 : 복수기 입구밸브
27 : 압력계
31 : 냉각수 우회밸브
33 : 냉각수 차단밸브
35 : 냉각수 우회펌프
41 : 추가 냉각설비, 해수활용설비
43 : 제어밸브
S110 :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
S120 :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
S130 :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
S140 :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
S141 :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
S142 :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

Claims (22)

  1. 복수기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복수기를 우회하도록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를 제어하는 냉각수 우회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의 개도로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면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면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는 현재 개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에서 상기 냉각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점과 상기 복수기의 사이에 상기 복수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복수기 입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보조라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은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의 하류에서 분기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와 상기 보조라인의 분기점 사이에는 냉각수 우회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에서 상기 보조라인의 분기점의 하류에는 냉각수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은 상기 보조라인에서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에 추가 냉각설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라인에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를 활용하는 해수활용설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13. 복수기에서 측정된 측정진공도가 입력되는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와,
    냉각수를 상기 복수기를 우회하여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와,
    상기 측정진공도가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인 설정진공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는 냉각수 우회 밸브를 제어하는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기의 진공도에 따라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와 상기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는 상기 냉각수 우회 밸브를 정해진 개도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우회 판단 단계는,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진공도와 상기 설정진공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는,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을 미리 설정된 허용편차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면,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우회 냉각수 증가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량제어 판단 단계에서,
    상기 측정진공도에서 상기 설정진공도를 뺀 값이 상기 허용편차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우회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우회 냉각수 감소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량 제어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상기 복수기 진공도 입력단계부터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14661A 2019-09-18 2019-09-18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2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61A KR102624688B1 (ko) 2019-09-18 2019-09-18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61A KR102624688B1 (ko) 2019-09-18 2019-09-18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07A true KR20210033207A (ko) 2021-03-26
KR102624688B1 KR102624688B1 (ko) 2024-01-15

Family

ID=7525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661A KR102624688B1 (ko) 2019-09-18 2019-09-18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6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483A (ja) * 2001-05-15 2002-11-27 Toshiba Syst Technol Corp 復水器冷却水システム
JP2007049821A (ja) * 2005-08-10 2007-02-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電設備の発電量低減方法、及び発電設備運用方法
KR20090103536A (ko)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포스코 터빈 제너레이터의 고진공 압력발생 시스템
JP4398707B2 (ja) * 2003-11-21 2010-01-13 株式会社東芝 火力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483A (ja) * 2001-05-15 2002-11-27 Toshiba Syst Technol Corp 復水器冷却水システム
JP4398707B2 (ja) * 2003-11-21 2010-01-13 株式会社東芝 火力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7049821A (ja) * 2005-08-10 2007-02-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発電設備の発電量低減方法、及び発電設備運用方法
KR20090103536A (ko)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포스코 터빈 제너레이터의 고진공 압력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688B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7560B1 (ja) 抽気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の保安運転方法および装置
US20160298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and temperature within a pumped two-phase cooling distribution unit
JP2007064546A (ja) 廃熱回収設備
EP2913614B1 (en) Groundwater thermal storage system
TW201938965A (zh) 超純水的加熱方法
KR102624688B1 (ko) 복수기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냉각수 우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309194A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JP4937822B2 (ja) 復水器真空度制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
SA517390600B1 (ar) طريقة لتبريد ماكينة تربينية
JP6082620B2 (ja) ボイラの供給水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供給水量制御方法
US20190242382A1 (en) Air Compressor
JP2007262916A (ja) 復水蒸気タービンの復水器真空制御方法
US10907542B2 (en)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power generation device
US10253653B2 (en) Exhaust chamber cooling apparatus and steam turbine power generating facility
JP5313848B2 (ja) 送水圧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S60201008A (ja) プラント運転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42653B1 (ko) 열교환기의 유량조절장치
JP2001027104A (ja) 復水蒸気タービンの復水流量制御方法
KR100754490B1 (ko) 밀폐순환식 냉, 온수 공급 시스템
JPH08135411A (ja) 排熱利用発電所の制御装置
JPS6112195B2 (ko)
JP2001317305A (ja) タービン・発電機の制御方法と装置
KR200435767Y1 (ko) 발전소 복수기의 진공도 조절장치
CN112882512A (zh) 基于dcs控制的汽缸冷却装置及方法
JP2000097403A (ja) タービン駆動給水ポンプ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