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28A -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28A
KR20210032028A KR1020190113209A KR20190113209A KR20210032028A KR 20210032028 A KR20210032028 A KR 20210032028A KR 1020190113209 A KR1020190113209 A KR 1020190113209A KR 20190113209 A KR20190113209 A KR 20190113209A KR 20210032028 A KR20210032028 A KR 2021003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efficiency
efficiency increasing
increa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이소정
조국형
Original Assignee
이기성
조국형
이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성, 조국형, 이소정 filed Critical 이기성
Priority to KR102019011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028A/ko
Publication of KR2021003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및 수직 방향에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절연막 모듈(1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충전용 배터리 사용 전동차 및 자동차와 발전용 배터리 장치 등에 사용되는 충전 배터리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Apparatus for rechargeable battery low efficiency prevention and life extens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용 배터리 사용 전동차 및 자동차와 발전용 배터리 장치 등에 사용되는 충전 배터리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등 이상 기후변화에 맞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자동차(EV) 및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효율 향상 등을 위한 중·대형 전력저장시스템(ESS)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적용할 수 있는 중·대형 전지뿐만 아니라 소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충전 배터리의 사용 시간에 따라 충전 배터리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3483(2012.12.11)호 "전원 공급 장치의 축전지 최적 효율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원 공급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of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n power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용 배터리 사용 전동차 및 자동차와 발전용 배터리 장치 등에 사용되는 충전 배터리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의 도포된 그래핀 혼합 용액으로 배터리에 미세 전자 이동의 발생 즉 미세 기전력 발생시킴으로써, 배터리 전압에 마그네슘 양단에 정전 용량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황산 이온의 농도 절하 발생인 배터리 양단자의 충방전으로 인한 부식의 황산 이온화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내부 양단자에 마그네슘과 그래핀의 자유전자 이동으로 양단자에 마그네슘과 그래핀이 도포된 상태에서 그래핀의 전자 이동을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전류 흐름을 개선시키도록 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는,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및 수직 방향에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절연막 모듈(1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충전 배터리(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은,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은,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배터리(170)로 전원을 공급시, 외부에서 공급받은 220V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충전 배터리(17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은,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을,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충전을 수행시,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의 그래핀과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마그네슘의 자유전자가 추가로 충전 배터리(170)에 인가되어, 충전 배터리(170) 양단의 전자의 충전을 보조를 개시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한 절연막 모듈(180)에 의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은, 충전용 배터리 사용 전동차 및 자동차와 발전용 배터리 장치 등에 사용되는 충전 배터리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은, 마그네슘의 도포된 그래핀 혼합 용액으로 배터리에 미세 전자 이동의 발생 즉 미세 기전력 발생시킴으로써, 배터리 전압에 마그네슘 양단에 정전 용량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황산 이온의 농도 절하 발생인 배터리 양단자의 충방전으로 인한 부식의 황산 이온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은, 배터리 내부 양단자에 마그네슘과 그래핀의 자유전자 이동으로 양단자에 마그네슘과 그래핀이 도포된 상태에서 그래핀의 전자 이동을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전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100)가 자가 발전기의 배터리 충전기로 작용하는 경우의 추가 구성요소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100)가 자가 발전기의 배터리 충전기로 작용하는 경우의 추가 구성요소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100)는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절연막 모듈(180), 자석 모듈(190)로만 구성되거나, 발전기(110),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전원 공급 스위치(140), 전류 조정용 부하(15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절연막 모듈(180), 자석 모듈(190), 제어부(10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구성시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전원 공급 스위치(140), 전류 조정용 부하(15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절연막 모듈(180), 자석 모듈(190), 제어부(100a)는 자가 발전기의 배터리 충전기와 대응될 수 있으며, 충전 배터리(170)는 자가 발전기의 배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00a)는 디지털 스위치에 해당하는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 전원 공급 스위치(140)에 대한 제어, 가변 부하에 해당하는 전류 조정용 부하(150)에 대한 저항값 조절, 발전기(110)에 의한 전원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배터리(170)는 일반적으로 200A 이하의 차량용 축전지뿐만 아니라 600A, 1000A, 1500A, 1800A, 2000A, 3000A 등과 같은 대용량 산업용 축전지(주로 통신용 장비나 무정전전원장치(UPS) 등에 활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대용량 산업용 축전지의 경우 2V의 단위 셀들을 직병렬 연결하여 원하는 수준의 축전지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개별 2V 단위 셀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하여 이러한 2V 단위 셀을 높은 효율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2V 셀들을 이용한 산업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충전 배터리(170)는 그 용량이 다양하며 그 용량 차이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전체 축전지의 크기와 용량은 대단히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 전압에 따라 축전지를 6개, 12개, 24개의 수로 직렬 연결하여 12V, 24V, 48V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전압과 용량에 대응할 수 있으며, 24개의 축전지를 연결하여 48V의 출력 전압을 구성한 경우이다. 따라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단순한 축전지 전체에 대한 수명 연장 방식을 적용할 경우 용량 차이에 의해 제공 펄스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거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2V 단위 셀이 제공하는 배터리 전원만으로 동작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단위 셀들의 직병렬 연결과 그 방전 혹은 충전 동작과 무관하게 항상 상기 배터리 충전기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황산화납의 생성 자체를 예방함과 아울러 생성된 황산화납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축전지의 수명은 물론이고 그 효율(내부저항)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발전기(110)는 충전 배터리(170)로 전원을 공급시, 외부에서 공급받은 220V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으며, 직류전압을 매끄러운 직류로 평한 뒤,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가 오프(Off)에서 온(On) 상태로 제어되고,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가 온(On)에서 오프(Off)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배터리(170)는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가 오프(Off)에서 온(On)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양극단자(+)에 형성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및 음극단자(-)에 형성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에 연결된 상태로 발전기(110)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가 온(On)에서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고,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가 오프(Off)에서 온(On)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는 양극단자(+)에 연결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음극단자(-)에 연결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과 각각 한 단씩 연결된 전류 조정용 부하(150)를 거쳐 외부 부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은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 및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는 충전 배터리(170)에서 전류 조정용 부하(150)로 흐르는 전기장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래핀 1 내지 2 중량부(g)에 전도성 그리스(500g)를 혼합하여 형성한 뒤, 내부의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를 함침시키는 용기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래핀은 산화 그래핀으로 나노유체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큰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 그래핀은 탄소의 단 분자 층으로써, 매우 뛰어난 전기적, 열적, 기계적 특성이 있으며, 특히 열 전도도가 약 5000Wm/K으로 탄소나노튜브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용매로서 전도성 그리스 500g에 산화 그래핀 1 내지 2g을 첨가하여 1 시간 이상 교반하여 얻어진 0.2 내지 0.4 질량 퍼센트의 산화 그래핀 용액을 나노 분산기에 도입하여 교반 속도를 36000 rpm으로 20 내지 30 분 동안 처리한다. 나노 분산기의 교반에 의하여 용매의 온도는 120 내지 145 ℃로 상승하며, 발생한 열 에너지로 인하여 산화 그래핀이 환원되는 동시에 응집현상을 억제하여 분산성을 높이게 된다. 환원처리가 완결된 환원된 그래핀을 X-선 광전자 분광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탄소-산소 간의 결합에 해당하는 128, 123 eV에서의 피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계적 혼합에 의하여 환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0.2 내지 0.4 질량 퍼센트의 환원된 그래핀 나노유체에서 열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순수한 용매의 열 전도도에 비하여 5 내지 7% 증가하였다. 또한, 얻어진 나노유체는 자연 방치하였을 경우에도 한 달 이상 침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열 계면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로, 전도성 그리스는 열 관리 해법에 있어서, 열-발생 반도체 부품의 불완전하게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존재하는 미시적인 공기-틈을 채워서 열 전달을 개선시키도록 하며, 예를 들면, 열-발생 반도체 부품, 예컨대 집적 회로 또는 트랜지스터와 방열판, 열 분산기(spreader) 및 다른 열 관리 부품 사이에 끼워지는 물질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전도성 그리스는 고도로 충전된, 점성 실리콘 또는 탄화수소 오일로, 매트릭스로서 실리콘 오일을 갖는 그리스는 화학적 공격에 대한 내성 및 넓은 작동 온도 범위를 포함하는 다수의 원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그리스는 과분지화된 올레핀성 유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열 그리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올레핀성 유체는 열-전도성 충전제인 그래핀와 조합되어, 종래의 이용가능한 열 그리스에 비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열 그리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에 포함된 그래핀과,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전자가 활발히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는 20mm(가로)×10mm(세로)×1mm(두께)의 마그네슘 재질의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 용기에 함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으로 (+) 단자 및 (-) 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 단자가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 및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와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 단자가 전원 공급 스위치(140)와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 밀도, 기대 수명 및 성능 신뢰성이 높아 대형전지의 전원으로도 응용이 확대되고 있는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에 포함된 마그네슘은 지각에 풍부하여 리튬금속에 비해 수십배 분의 일 수준으로 저렴하고, 마그네슘 금속의 용량밀도가 3,833 Ah/L, 2,205 Ah/kg으로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소재인 흑연(843 Ah/L) 뿐 아니라 리튬금속(2,062 Ah/L)과 비교했을 때도 2 배가량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슘 금속은 충·방전 시 수지상이 발달하지 않아 안전하고 효율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공기 중에 노출 시에도 안정하여 대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은 제 2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61) 및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62)를 포함하며, 각각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 및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와 동일한 구성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 단자는 전류 조정용 부하(150)와 연결되고,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 단자는 충전 배터리(170)의 (-) 단자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110)에서 충전 배터리(170)로 전원을 충전시에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을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충전을 수행시,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의 그래핀과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마그네슘의 자유전자가 추가로 충전 배터리(170)에 인가됨으로써, 충전 배터리(170) 양단의 전자가 신속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충전 배터리(170)의 방전 시 충전 배터리(170)의 전극판에 황산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황산화 현상에 따라 방전시 충전 배터리(170)의 전극판에 달라붙는 황산염이 충전시에도 이탈되지 않고 잔류하여 충전 배터리(170) 전극판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절연 특성에 의해 충전 배터리(170) 내부의 저항이 증가하며 이러한 내부 저항이 20% 이상 증가하게 되면 해당 충전 배터리(170)는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폐기되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은 황산화납 표면의 산화막에 대해서 그래핀과 마그네슘을 이용한 전자를 이용해 자극하여 충전 배터리(170)의 황산화납 생성을 예방하고 기 설정된 황산화납을 제거하기 위한 자극 전자를 제공하며, 제어부(100a)에 의한 전류 조정용 부하(150)의 저항값 조절을 통해 충전 배터리(170)로 제공되는 자극 전자의 양에 대한 조절을 통해 충전 배터리(170)의 수명을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충전 배터리(170), 절연막 모듈(180), 자석 모듈(190)에 의해 충전시 2 내지 3 배속으로 충전되는 효과가 나오며 충전은 지속적으로 약 18 내지 20시간 경과 후에는 배터리 성능이 100%의 전류가 완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류 조정용 부하(150)와 엔진이 연결시 엔진의 출력도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 7 내지 10% 정도의 부하절감 효과로 엔진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전동차, 자동차, 발전용 등의 배터리 전원 사용에 안정되고 충분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차, 자동차, 발전기 등의 구동의 모든 전자 장비를 안전하게 유도하여 최적의 엔진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년 사용된 충전 배터리(170)에 대해서 발전기(110),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전원 공급 스위치(140), 전류 조정용 부하(15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절연막 모듈(180), 자석 모듈(190), 제어부(100a)를 부착한 직후의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완충 시험에서 있어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활용한 충전 및 방전을 지속적으로 약 18 내지 20시간 경과 후에는 배터리 성능이 100%의 전류가 완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연막 모듈(180)은 수직 방향에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그래핀의 전자 이동을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전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절연막 모듈(180)이 절연성을 갖는 경우, 용량 소자에 해당하는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유전체로서 구조체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은 절연막 모듈(180)을 구성하는 절연재보다 유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 모듈(190)은 제 1 자석(191), 제 2 자석(192), 제 3 자석(193), 제 4 자석(19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1 자석(191)의 N극이 상향을 바라보고 S극이 하향을 바라보면서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제 1 자석(191)의 S극이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2 자석(192)의 N극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제 2 자극(192)의 S극이 절연막 모듈(18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3 자석(193)의 N극이 절연막 모듈(18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절역만 모듈(18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제 3 자석의 S극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4 자석(194)의 N극이 상향을 바라보고 S 극이 하향을 바라보면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를 구성하는 그래핀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제 2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61)를 구성하는 그래핀 각각에 의한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 및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62)에서의 전자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 모듈(190)의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자석(191 내지 194)은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상부 및 하부면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마치 하나의 자석과 같이 작용함으로써, 제 1 자석(191)의 N극에서 제공된 자기력이 제 4 자석(194)의 S극으로 수렴하는 방식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관통하는 환형의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를 구성하는 그래핀의 경우,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자기적 특성에 의해 공간이 선택적으로 응집되어 있는데, 제 1 자석(191) 및 제 2 자석(192)의 극성에 의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픽 혼합 용액 제공부(131)에 대해서 자기장의 순환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래핀의 파이 전자 구름과, 그리스 입자와 혼합된 그래핀의 파이 전자구름에 의해 양극으로부터 분출되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발생이 함으로써, 전자 발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제 2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61)를 구성하는 그래핀의 경우,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62)의 자기적 특성에 의해 공간이 선택적으로 응집되어 있는데, 제 3 자석(193) 및 제 4 자석(194)의 극성에 의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2 그래픽 혼합 용액 제공부(161)에 대해서 자기장의 순환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래핀의 파이 전자 구름과, 그리스 입자와 혼합된 그래핀의 파이 전자구름에 의해 양극으로부터 분출되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발생이 함으로써, 전자 발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a)는 발전기(110)에서 충전 배터리(170)로 전원을 공급에 따른 충전을 위해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를 오프(Off)에서 온(On) 상태,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에 대해서 온(On)에서 오프(Off) 상태로 제어한 뒤, 발전기(110)를 동작시켜 발전기(110)에서 발생한 직류 전류를 충전 배터리(170)로 충전한다(S11).
단계(S12) 이후,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을,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충전을 수행시,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의 그래핀과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마그네슘의 자유전자가 추가로 충전 배터리(170)에 인가되어, 충전 배터리(170) 양단의 전자의 충전을 보조를 개시한다(S12).
단계(S12) 이후,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한 절연막 모듈(180)에 의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그래핀의 전자 이동을 활성화하여 배터리의 전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S13).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1 자석(191)의 N극이 상향을 바라보고 S극이 하향을 바라보면서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상부면 중앙 영역에 제 1 자석(191)의 S극이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2 자석(192)의 N극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제 2 자극(192)의 S극이 절연막 모듈(180)의 항부면을 향하여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3 자석(193)의 N극이 절연막 모듈(18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절역만 모듈(18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제 3 자석의 S극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하부면을 향하여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상부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하부면 중앙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자석 모듈(190)을 구성하는 제 4 자석(194)의 N극이 상향을 바라보고 S 극이 하향을 바라보면서 위치할 수 있다.
단계(S13) 이후,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를 구성하는 그래핀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제 2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61)를 구성하는 그래핀 각각에 의한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 및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62)에서의 전자 발생을 유도한다(S14).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를 구성하는 그래핀의 경우,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자기적 특성에 의해 공간이 선택적으로 응집되어 있는데, 제 1 자석(191) 및 제 2 자석(192)의 극성에 의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1 그래픽 혼합 용액 제공부(131)에 대해서 자기장의 순환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래핀의 파이 전자 구름과, 그리스 입자와 혼합된 그래핀의 파이 전자구름에 의해 양극으로부터 분출되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발생이 함으로써, 전자 발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제 2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61)를 구성하는 그래핀의 경우, 제 2 마그네슘 플레이트(162)의 자기적 특성에 의해 공간이 선택적으로 응집되어 있는데, 제 3 자석(193) 및 제 4 자석(194)의 극성에 의해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의 제 2 그래픽 혼합 용액 제공부(161)에 대해서 자기장의 순환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래핀의 파이 전자 구름과, 그리스 입자와 혼합된 그래핀의 파이 전자구름에 의해 양극으로부터 분출되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발생이 함으로써, 전자 발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자석 모듈(190)의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자석(191 내지 194)은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의 상부 및 하부면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마치 하나의 자석과 같이 작용함으로써, 제 1 자석(191)의 N극에서 제공된 자기력이 제 4 자석(194)의 S극으로 수렴하는 방식으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관통하는 환형의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4) 이후, 제어부(100a)는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충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충전치 이상으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에 대해서 온(On)에서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120)에서 오프(Off)에서 온(On) 상태로 제어한 뒤, 충전 배터리(170)는 양극단자(+)에 연결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음극단자(-)에 연결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과 각각 한 단씩 연결된 전류 조정용 부하(150)를 거쳐 외부 부하로 전원 공급 제어한다(S15).
단계(S15) 이후,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및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충전 배터리(170)의 황산화납 표면의 산화막에 대해서 그래핀과 마그네슘을 이용한 전자를 이용해 자극하여 충전 배터리(170)의 황산화납 생성을 예방하고 기 설정된 황산화납을 제거하기 위한 자극 전자를 제공한다(S16).
단계(S16) 이후, 제어부(100a)에 의한 디지털 타입의 가변 저항에 해당하는 전류 조정용 부하(150)의 저항값 조절을 통해 충전 배터리(170)로 제공되는 자극 전자의 양에 대한 조절을 통해 충전 배터리(170)의 수명을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연장한다(S17).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100a : 제어부
110 : 발전기
120 : 충전 전원 공급스위치
130 :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
140 : 전원 공급 스위치
150 : 전류 조정용 부하
160 :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
170 : 충전 배터리
180 : 절연막 모듈
190 : 자석 모듈

Claims (6)

  1.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및
    수직 방향에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절연막 모듈(1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 배터리(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은,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은,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충전 배터리(170)로 전원을 공급시, 외부에서 공급받은 220V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충전 배터리(17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6. 충전 배터리(170)의 양극단자(+)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을, 충전 배터리(170)의 음극단자(-)에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170)에 대한 충전을 수행시, 제 1 그래핀 혼합 용액 제공부(131)의 그래핀과 제 1 마그네슘 플레이트(132)의 마그네슘의 자유전자가 추가로 충전 배터리(170)에 인가되어, 충전 배터리(170) 양단의 전자의 충전을 보조를 개시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 사이에 위치한 절연막 모듈(180)에 의해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과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충전효율 상승 모듈(130), 절연막 모듈(180), 제 2 충전효율 상승 모듈(160)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석 모듈(190)에 의한 자기 순환력은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KR1020190113209A 2019-09-14 2019-09-14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KR20210032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09A KR20210032028A (ko) 2019-09-14 2019-09-14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09A KR20210032028A (ko) 2019-09-14 2019-09-14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28A true KR20210032028A (ko) 2021-03-24

Family

ID=7525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09A KR20210032028A (ko) 2019-09-14 2019-09-14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028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143483(2012.12.11)호 "전원 공급 장치의 축전지 최적 효율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원 공급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of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in power supply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8633B (zh) 蓄電單元及太陽光發電單元
JP2004080984A (ja) 電池内蔵用負荷平準化
JP2012070612A (ja) 機械設備を駆動する電動装置、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KR20150108825A (ko) 2차 전지, 2차 전지 모듈, 2차 전지 및 2차 전지 모듈의 충전 방법, 2차 전지 및 2차 전지 모듈의 방전 방법, 2차 전지 및 2차 전지 모듈의 구동 방법, 축전 시스템, 및 축전 시스템의 구동 방법
JP2009089569A (ja) 電源システム
US20100330403A1 (en) Coupling waste heat into batteries
CN207896215U (zh) 电池及包括该电池的电子设备
JP2019526151A (ja) 金属めっきベースの電気エネルギー貯蔵セル
US20160111727A1 (en) Metal-Ion Battery with Offset Potential Material
Yasin et al. Battery-nanogenerator hybrid systems
US20110114397A1 (en) Power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2947980A (zh) 用于可再充电蓄电池的活性材料
JPH0896855A (ja) 2次電池の構成方法
JP2019522369A (ja) 自己充電および/または自己サイクリング電気化学セル
KR20210032028A (ko)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장치, 그리고 충전용 배터리 저효율 방지 및 수명 연장 방법
CN108054469A (zh) 电动汽车动力电池内外部联合加热-均衡一体化拓扑及方法
KR102291404B1 (ko) 하이브리드 배터리 충전 방법
JP2011138672A (ja) 電池システム加熱方法
Mondru et al. Batteries comparative analysis and their dynamic model for electric vehicular technology
JP7115835B2 (ja) 高度ハイブリッド電力システム向け燃料電池スタック
CN205985216U (zh) 一种锂离子电池组
Raj et al. A Review on Components of Electric Vehicle and Indian Scenario of Electric Vehicles
JP3949334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充放電回路
WO2023038110A1 (ja) 発電システム
JPS6319771A (ja) 鉛蓄電池の機能回復剤及び鉛蓄電池の機能回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