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979A -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979A
KR20210030979A KR1020217004782A KR20217004782A KR20210030979A KR 20210030979 A KR20210030979 A KR 20210030979A KR 1020217004782 A KR1020217004782 A KR 1020217004782A KR 20217004782 A KR20217004782 A KR 20217004782A KR 20210030979 A KR20210030979 A KR 2021003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ing element
generating device
release mechanis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479B1 (ko
Inventor
시앙린 리
류밍 황
지아쥔 왕
지앙홍 취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토바코 그룹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토바코 그룹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상하이 뉴 토바코 프로덕트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97Heating of fluids for non specified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출 메커니즘(loosening mechanism) 및 공중 안개 발생 장치(aerial fog genera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출 메커니즘은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외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부징에 슬리브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공중 안개 형성 기재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 상에 제공되는 가압 메커니즘이 제공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이 축 방향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공중 안개 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공중 안개 발생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중 안개 형성 기재 및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프로세스에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공중 안개 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와 접촉한다. 상기 방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발열체로부터 상기 공중 안개 형성 기재를 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자는 상기 공중 안개 발생 장치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출 메커니즘(releasing mechanism)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전통적인 담배가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세계 각국의 관심을 끌고 있다. 담배 제조사들은 소비자에게 덜 해로운 담배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담배 소비재로서 저온 발열(low-temperature heating) 및 비 연소 (non-burning) 담배 제품이 점차 시장에서 환영 받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점점 더 많은 담배 소비자들에게 수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공개 특허 공보 CN106376975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챔버 케이스 및 상기 챔버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챔버 수용 공간을 갖는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챔버 수용 공간은 가열될 매체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챔버의 상부에는 필터 코튼(filter cotton)이 제공되며; 상기 챔버의 하부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실링 커버(sealing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커버의 하부는 침투부(penetrated part)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 커버 아래에 배치되고 가이드 홈(guide groove)과 가이드 홀(guide hole)을 갖는 에어 디플렉터(air deflector)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침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및 히터 하부 커버 및 히팅 세라믹 시트를 포함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하부 커버는 상기 에어 디플렉터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 세라믹 시트는, 상기 히터 하부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고, 상기 침투부를 통과하여 상기 챔버 수용 공간으로 침투한다.
중국 특허 공개 공보 CN103974640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 forming substrate)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재 내에 위치된 내부 히터 및 상기 기재 외부에 위치된 외부 히터를 모두 사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및 외부 히터 모두를 사용하면 내부 또는 외부 히터만 사용할 때 필요한 것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각각의 히터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히터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외부 히터를 작동하는 경우, 상기 기재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도록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장치의 외부 온도가 허용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히터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흡입(suctioning)을 완료한 후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빼내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히터에 달라붙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인출되기 어려우며, 이는 사용이 불편하고 소비자의 사용감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사용자가 흡입을 완료한 후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당기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히터에 달라붙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인출되기 어려우며, 사용이 불편하고 소비자의 사용감에 영향을 미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열체(heating body)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의 방출 메커니즘(releasing mechanism)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에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출 메커니즘은: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rotary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슬리브(sleeved)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제공되는 가압 메커니즘(pressing mechanism)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으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radial pressing force)을 인가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switching)할 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와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에 대해 제1 축 방향 위치(first axial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에 대해 제2 축 방향 위치(second axial position)을 가지고, 상기 제1 축 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 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할 때 상기 외부 케이스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그루브(groove)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볼록 부품(convex component)이며, 여기서 상기 볼록 부품은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향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향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는 제1 볼록부(first convex portion)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오목부(second concav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서로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2 볼록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제2 오목부의 형상에 매칭되고, 상기 제2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제1 오목부의 형상에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나사결합(screwed)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first through-hole)이 제공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축 단부의 개구(opening)에 더 가깝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부분(portion)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convex part)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만곡부(curved portion)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부분은 바(bar) 형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인접(abutted)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과 상기 볼록부 사이에 탄성력(elastic force)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은 제2 그루브(second groove)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 그루브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오목부(concave part)가 구비된 베이스(bas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를 통과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록부의 상기 후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상기 부분은 평평한 표면(flat surface)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상기 부분은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유연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홀(second through-hole)이 제공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제2 관통홀이 제공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이물질(debris)이 유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 방출(debris discharge) 구조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경사홀(incline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상기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경사홀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의 상기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발열체 주위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경사홀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면 및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제1면의 평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면의 평면은 상기 제1 면의 평면과 예각(acute angle)으로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예각은 30도 내지 60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본체부(body portion);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주면 주위에 배치되는 내부 라이닝(inner lining)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본체부는 서로 연결된 제1 환형 부품(first annular component) 및 제2 환형 부품(second annular compon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환형 부품은 상기 제1 환형 부품에 비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더 가깝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환형 부품은 요철 표면(bumpy surface)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detachably)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체; 전술한 상기 방출 메커니즘(release mechanis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를 제공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 상에 배치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로 삽입되도록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체부(body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는 수용부(accommodating portion)를 갖는 고정 시트(fixed seat)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기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고정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제4 관통홀 및 상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시트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제어 기판(circuit control board) 상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시트 상에 장착되는 제한부(limiting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한부 및 상기 수용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장착부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면은 원(circle) 형상이 아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first part) 및 제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3 부분(third part) 및 제4 부분(fourth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3 부분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부분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수용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관통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수용부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관통홀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다.
선택적으로, 와이어(wires)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through-hole)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발열체의 상기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회로 제어 기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연장부(first extension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연장부(second extension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회로 제어 기판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클램핑부(first clamping portion) 및 제2 클램핑 부(second clamping portion)이 제공된다;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클램핑부(third clamping portion) 및 제4 클램핑부(fourth clamping portion)가 제공되며, 상기 제3 클랭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클랭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상기 제3 클램핑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제4 클램핑부에 끼워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클램핑부, 상기 제2 클램핑부,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에 의해 정의되는 클램핑 공간(clamping space)은 상기 장착부를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에 대해 인접하는(abutted) 제한 부품(limiting component)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3 연장부(third extension portion)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에 끼워지는 삽입 단부(insertion end)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이물질이 유출되도록 하는 이물질 방출 통로(passage)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물질 방출 통로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이물질 방출 구조 및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고정 시트와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 사이의 축 방향 간격(axial interval)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상기 경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경사홀을 통해 상기 내부의 이물질이 방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경사홀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의 이물질을 상기 경사홀을 통해 방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발열체 주위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열체의 장착부가 장착되는 수용부를 갖는 고정 시트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고정시트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시트를 향하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부분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된 표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내주면들은 상기 발열체의 상기 외면에 끼워지고, 상기 제 부분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출 메커니즘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방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상기 방출 메커니즘은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슬리브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제공되는 가압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으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며;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할 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와 접촉한다.
사용자가 흡입(suctioning)할 때,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와 접촉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완료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빼내기 전에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축 방향 운동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할 것이다.
방사상 가압력(radial pressing force) 하에서, 한편으로, 내부 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외부 패키지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함께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와 상기 발열체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충분한 거리만큼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와 동시에 회전한 후, 즉,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상기 발열체에 대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이동시킨 후,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발열체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열체 상에 남아있는 에어로졸-형성 기재의 양은 더 적을 것이고, 이는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세정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하면, 발열체에 부착된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 사이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 동안에 상기 발열체로부터 방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상기 발열체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세척하는 것도 편리하다. 한편, 상기 발열체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없기 때문에, 상기 발열체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빼내는 동안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발열체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 안정성이 유지되고 상기 발열체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2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3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출 메커니즘의 회전부의 외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출 메커니즘의 제1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출 메커니즘의 제2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출 메커니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부품(heating components)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부품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고정 시트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고정 시트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발열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장착부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장착부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제한부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부품의 제한부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부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며,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기능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개발되는 다른 가능한 대안들(alternatives) 또는 변형들(modifications)을 커버하도록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다음 설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점을 혼동하거나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 중 일부는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된다. 충돌이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실시 예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발열체(heating body, 23)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1)의 방출 메커니즘(releasing mechanism, 10)을 제공하며,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10)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도록 사용된다. 그 중에서, 상기 방출 메커니즘(10)은 다음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outer case, 14) 및 내부 케이스(inner case, 11)를 포함하는 회전부(rotary portion, 101)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내부 케이스(11) 상에 슬리브(sleeved)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11) 상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1) 상에 제공되는 가압 메커니즘(pressing mechanism, 30)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도 1 및 도 3에서 z-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전달되어(도 1 및 도 3에서 x-방향으로 도시됨),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도 1에서 y-방향으로 도시됨)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할 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12)와 접촉한다.
사용자가 흡입(suctioning)할 때,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내부 케이스(11)의 내부 챔버(11a)에 배치되고, 발열체(23)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23)와 접촉하고,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완료한 후,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빼내기 전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상기 축 방향 운동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radial pressing force)를 인가하도록 상기 방출 메커니즘(30)을 구동할 것이다.
방사상 가압력 하에서, 한편으로, 내부 케이스(11)는 외부 케이스(14)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대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현편으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의 외부 패키지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와 함께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와 상기 발열체(23)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외부 패키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없으므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의 상기 외부 패키지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11)와 동시에 회전하는 동안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동기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충분한 거리만큼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11)와 동시에 회전한 후, 즉,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상기 발열체(23)에 대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이동시킨 후,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발열체로부터 당겨질 때, 상기 발열체(23) 상에 남아있는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더 적어질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세척하는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하면, 발열체(23)에 부착된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와 상기 발열체(23) 사이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 동안에 상기 발열체(23)로부터 방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상기 발열체(34)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세척하는 것도 편리하다. 한편, 상기 발열체(23)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없기 때문에,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빼내는 동안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발열체(23)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사이의 연결 안정성이 유지되고, 상기 발열체(23)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내부 케이스(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해 원주 방향(도 3에서 z-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스위칭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시계 방향(도 2에서 B-방향으로 도시됨) 회전을 수행하거나, 반시계 방향(도 2에서 A-방향으로 도시됨) 회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 회전 및 반시계 방향 회전을 교대로 수행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과정 동안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30)와 접촉하고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원주 방향 (도 3에서 z-방향으로 도시됨)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23)에 대해 제1 축 방향 위치(first axial position)을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23)에 대해 제2 축 방향 위치(second axial position)을 가지며, 상기 제1 축 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 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없이 상기 발열체(23)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하는 동안 상기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갖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축 방향 위치는 제2 축 방향 위치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내부 케이스의 회전 시,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발열체와 접촉하고, 상기 발열체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발열체만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위칭하는 동안 상기 발열체와 접촉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위칭하는 동안, 내부 케이스(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발열체(23)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체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만,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가 상기 원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발열체(23)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발열체(23)가 위치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발열체(23)가 위치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동안, 상기 발열체(23)는 회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에어로졸-형성 기재의 구체적인 유형은, 발열체(23)에 의해 가열된 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23)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가열될 수 있지만 연소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담배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형성 기재이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외부 패키지(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 층)에 의해 포장된다.
또한, 발열체(23)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체(23)는 원 형상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columnar shape)을 갖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체(23)는 사각형(quadrilateral), 삼각형(triangular) 또는 다각형(polygonal)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체(23)의 단면의 측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23)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사이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 중에 상기 발열체(23)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방출된다.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23)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열체(23) 상에 남아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이 적어,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세척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발열체(23)의 구체적인 재료는, 통전(energized) 후 열을 발생시켜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체(23)의 재료는 세라믹(ceramic)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케이스(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동기하여 회전하는 반면,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외부 케이스(14)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에어로졸-형성 기재와 발열체가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상기 내부 케이스와 동시에 회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원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과정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쉘(inner shell)이 외부 쉘(outer shell)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과정 동안 방사상 가압력을 받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4)의 내부면에는 볼록 부품(convex component, 141)이 제공되고 상기 볼록 부품(141)의 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세 개의 볼록 부품(141)이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주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도 3에서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그루브(first groove, 111)가 제공되며, 상기 제1 그루브(111)의 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세 개의 제1 그루브(11)가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상기 외주면 상에 제공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볼록 부품(141)들은 상기 제1 그루브(111)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동기하여(synchronously) 회전하는 반면,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외부 케이스(14)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된 볼록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볼록 부품(141)은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볼록 부품이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된 후 내부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한, 상기 볼록 부품의 연장 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매칭 형태는 상기 볼록 부품과 상기 제1 그루브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 케이스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한 다른 매칭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4)는 축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향하는 제1 단부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상기 외부 케이스(14)를 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부의 형상은 상기 제2 단부의 형상과 매칭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1 볼록부(first convex portion, 143) 및 제1 오목부(first concave portion, 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2 볼록부(second convex portion, 21) 및 제2 오목부(second concave portion, 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볼록부(143)의 형상은 상기 제2 오목부(22)의 형상과 매칭되고, 상기 제2 볼록부(21)의 형상은 상기 제1 오목부(144)의 형상과 매칭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록부(143)의 형상은 제2 오목부(22)의 형상에 매칭되고 제2 볼록부(21)의 형상은 제1 오목부(144)의 형상에 매칭되기 때문에, 축 방향을 따라(도 1에서 X 방향으로 도시됨) 제1 볼록부(143)는 제2 오목부(22)와 끼워질 수 있고 제2 볼록부(21)는 제1 오목부(44)와 끼워질 수 있다. 제1 볼록부(143)의 가장 높은 지점은 제2 오복부(22)의 가장 낮은 지점과 매칭되고 제2 볼록부(21)의 가장 높은 지점은 제1 오목부(144)의 가장 낮은 지점과 매칭되어,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볼록부(143)와 상기 제2 오목부(22) 사이의 갭(gap)이 생기지 않으며, 상기 제2 볼록부(21)와 상기 제1 오목부(144) 사이의 갭도 생기지 않는다.
사용자가 흡입할 때,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내부 케이스(11)의 내부 챔버(11a)에 배치되고, 발열체(23)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삽입된다. 이때, 제1 볼록부(143)는 제2 오목부(22)에 끼워지고 제2 볼록부(21)는 제1 오목부(144)에 끼워진다. 사용자가 흡입을 마치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인출되기 전에 외부 케이스(14)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1 볼록부(143) 및 상기 제1 오목부(144)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볼록부(143)의 가장 높은 지점은 상기 제2 오목부(22)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분리될 것이고, 상기 제2 볼록부(21)의 가장 높은 지점은 상기 제1 오목부(144)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상기 제1 볼록부(143) 및 상기 제1 오목부(144)는 상기 제2 볼록부(21) 및 상기 제2 오목부(2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것이고, 그 후 상기 제1 볼록부(143) 및 상기 제2 오목부(22) 사이 및 상기 제2 볼록부(21)와 상기 제1 오목부(144) 사이에도 상기 축 방향으로 갭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원주 방향 이동은 축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전달될 것이다.
제1 볼록부(143)가 제2 오목부(22)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제2 볼록부(21)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 케이스(14)는 축 방향으로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질 것이다. 상기 제1 볼록부(143)가 제2 볼록부(21)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오목부(22)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동등하게,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원주 방향 이동은 축 방향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형될 것이다. 상기 제1 볼록부(143)가 상기 제2 오목부(22)에 다시 끼워졌을 때, 상기 제2 볼록부(21)가 다시 상기 제1 오목부(144)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볼록부(143)와 상기 제2 오목부(22)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볼록부(21)와 상기 제1 오목부(144)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진행하므로, 상기 방사상 가압력이 상기 가압 메커니즘(30)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충분히 가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23)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생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단부 및 제2 단주 중 하나는 제1 볼록부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매칭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부는 제1 볼록부를 포함하고, 제2 단부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제1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제2 오목부의 형성에 매칭되고,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제2 오목부와 협력한다. 또한, 상기 제1 볼록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1 단부의 부분 및 상기 제2 오목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2 단부의 부분은 서로 매칭될 수 있는 평면 부분(flat-surface portion)들이다. 상기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이러한 매칭 형태는 또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을 상기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케이스(14)의 원주 방향 이동은 제1 볼록부(143)를 제2 오목부(22)와 매칭시키고 제2 볼록부(21)를 제1 오목부(144)와 매칭시킴으로써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된다.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이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는 한 다른 매칭 형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나사 결합되며, 이는 상기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중 하나에 그 외주면 상에 외부 나사산(external thread)이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그 내주면 상에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가 제공되는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외부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된다.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서, 내부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정되는 나선형 그루브(spiral grove)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는 볼록부(convex part)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나산형 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나선형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외부 케이스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볼록부는 상기 나선형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할 것이고,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원주 방향 이동은 축 방향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케이스(11)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내부 챔버(11a)와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12)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세 개의 제1 관통홀(12) 들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다른 양의 제1 관통홀이 선택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압 메커니즘(30)은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상기 내부 챔버(11a)에 제공되고, 축 방향(도 8에서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32)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단부(31)는 축 방향에서 상기 제2 단부(32)보다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개구(opening)에 더 가깝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단부(31)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32)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모두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32) 사이의 부분(portion)은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볼록부(33)는 상기 제1 단부(31) 및 상기 제2 단부(32)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볼록부(33)는 제1 관통홀(12)로부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을 향해 돌출된다.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은 볼록부(33)를 누를 것이다. 제1 단부(31)는 내부 케이스(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부(32)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에 유연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압착된 후 가압된 볼록부(33)는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단부(31) 및 상기 제2 단부(32) 사이의 부분을 구동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흡입된 후, 가압 메커니즘(30)을 조작하지 않고 흡연 제품을 빼내는 경우, 상기 흡연 제품의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와 외부 패키지 사이의 마찰력(friction force)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 사이의 접착력(adhesive force)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흡연 제품의 외부 패키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분리되어 발열체(34)에 달라붙게 된다. 이 경우, 볼록부(33)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해 이동하도록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23) 사이의 부분을 구동하도록 가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파쇄될 것이며, 이는 상기 발열체(23)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분리하여 상기 발열체(23)를 세척하는데 편리하다.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은 상부(top)에 더 큰 크기 및 하부(bottom)에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볼록부(33)는 초기 상태(initial state)에서 더 큰 내경을 갖는 외부 케이스(14)의 내벽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더 작은 내경을 갖는 외부 케이스(14)의 내벽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은 상기 볼록부(33)를 누를 것이다.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압 메커니즘(30)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이 상기 볼록부(33)를 가압할 수 있는 한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부(31) 및 볼록부(33) 사이의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 섹션(curved section)을 갖는 만곡부(curved portion, 35)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만곡부(35)는 3개의 곡선형 섹션이 구비된다. 상기 볼록부(33)가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 메커니즘(30)은 반경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것이다. 상기 만곡부(35)가 구비된, 상기 만곡부(35)의 만곡 구조는 상기 가압 메커니즘(35)에 의해 야기되는 탄성 변위(elastic displacement)를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만곡부(35)는 면형이 적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30)의 수명은 연장될 것이다. 상기 제2 단부 및 상기 볼록부 사이의 부분은 곡선이 아닌 막대(bar) 형상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단부와 볼록부 사이의 부분에는 전술한 만곡부가 제공되고, 제1 단부와 볼록부 사이의 부분은 곡선이 아닌 막대 형상이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전술한 만곡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상기 부분에도 전술한 만곡부가 제공된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상이 부분은 곡선이 아닌 막대 형상이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상기 부분도 곡선이 아닌 막대 형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볼록부(33)는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에 인접한다. 상기 볼록부(33)는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즉시 가압되므로,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즉시 방사상 가압력을 받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접하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33)가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에 인접할 때, 상기 볼록부(33)와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 사이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탄성력(elastic force)이 있다. 상기 탄성력 하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외부 케이스(1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외부 케이스(144)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축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없다. 이는 탄성력이 축 방향으로 제한 효과를 가져, 내부 케이스(11)에 대해 축 방향을 따라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등하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4) 및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탄성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외부 케이스(14) 및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초기 상태에서 볼록부와 외부 케이스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력이 없을 수 있다. 한편, 볼록부(33)와 외부 케이스(14)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력이 있어,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상기 볼록부(33)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도와서, 가압 메커니즘(30)은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더 인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에는 볼록부(33)가 배치되는 제2 그루브(second groove, 142)가 제공되며, 축 방향으로 추가 제한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상기 제2 그루브가 구비된,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볼록부(33)에 힘을 가하므로, 상기 볼록부(33)는 상기 내부 케이스(11)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방사상 가압력 하에서,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내부 케이스(11)는 원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것이고, 발열체(23)에 대해 이동하고, 이는 상기 발열체(23)를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분리하는데 유리하며,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23) 상에 적은 양으로 남아 있게 하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제2 그루브(142)의 내벽은 상부(top)에 더 큰 크기 및 하부(bottom)에 더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볼록부(33)는 초기 상태에서 더 큰 내경을 갖는 상기 제2 그루브의 내벽의 부분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볼록부(33)는 외부 케이스(13)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더 작은 내경을 갖는 상기 제2 그루브(142)의 내벽의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제2 그루브(142)는 상기 볼록부(33)를 가압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 그루브(142)의 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압 메커니즘(30)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2 그루브(142)가 상기 볼록부(33)를 가압할 수 있는 한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그루브(142)가 구비되어, 내부 케이스(11) 및 외부 케이스(14)는 볼록 부품(141) 및 제1 그루브(111) 없이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부(33)는 제2 그루브(142) 뒤에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33)는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그루브(14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며, 상기 제2 그루브(142)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볼록 부품 및 제1 그루브는 모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케이스(11)는 오복부(43)가 구비된 베이스(40)를 포함하고, 제2 단부(32)는 상기 오목부(43)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42)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40)를 통과한다. 상기 제2 단부(32)가 상기 오목부(43)에 삽입된 후에,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상기 볼록부(33)를 가압하는 동안 상기 제2 단부(32)는 상기 오목부(4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며, 이는 가압 메커니즘(30)의 어느 정도 자유도를 보장하고 외부 케이스(14)가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는 가압 메커니즘(30)을 구동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볼록부(33)의 후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34)이다. 오목면(34)의 디자인은, 가압 메커니즘(30)이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33)가 외부 케이스(14)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32) 사이의 부분은 평평한 표면(flat surface)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상기 오목면(34)과 상기 제2 단부(32) 사이의 부분은 평평한 표면일 수 있다. 상기 평평한 표면의 디자인은 상기 가압 메커니즘(30)과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의 접촉 면적(contact area)를 크게 할 수 있고 방사상 가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3개의 가압 메커니즘(30)이 제공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다른 양의 가압 메커니즘(30)이 선택될 수 있다.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후, 복수의 가압 메커니즘(30)이 제공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압력이 에어로졸-형성 기재 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내부 케이스(11)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에는 볼록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클램핑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을 인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케이스(11)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내부 챔버(11a)와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홀(13)이 제공된다. 발열체(23)는 상기 제2 관통홀(13)에 의해 노출된다. 상기 제2 관통홀(13)의 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제2 관통홀(13)이 제공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상기 제2 관통홀(13)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가 제거된 후, 브러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관통홀(13)을 통해 상기 발열체(23)를 세척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케이스(14)는 내부 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열체(23)가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에 대해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4)에 인가되는 힘은 볼록부(33)와 상기 외부 케이스(14)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어, 상기 외부 케이스(14)를 상기 내부 케이스(11)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4)가 분해된 후, 제2 관통홀(13)은 노출되어, 브러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발열체(23)를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출 메커니즘(10)은 상기 내부 케이스(11) 내의 이물질이 유출되도록 하는 이물질 방출 구조(structure for debris discharge)를 더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경사홀(inclined hole, 42)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42)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42)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고, 도 8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방출 구조는 베이스(40) 상에 제공되는 제3 관통홀(41)을 포함하고, 경사홀(42)은 상기 제3 관통홀(41)을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관통홀(41)은 발열체(23) 주위에 제공되고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23)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40) 외주면에는 상기 제3 관통홀(41)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홀(42)이 제공되며, 상기 경사홀(42)은 상기 제3 관통홀(41) 내의 이물질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경사홀(42)이 없이, 이물질이 상기 제3 관통홀(41)로 떨어지면 (상기 제3 관통홀(41) 내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어려울 것이다. 상기 경사홀(42)이 마련되어, 도 8에서 파선의 트랙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관통홀(41) 내의 이물질이, 세척이 용이한, 상기 경사홀(42)을 따라 유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 관통홀(41)은 상기 발열체 주위가 아닌 상기 베이스(40)의 다른 부분 상에 제공되나, 여전히 상기 경사홀에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홀(42)은 서로 대향하는 제1 표면(44) 및 제2 표면(4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면(44)은 후술하는 고정시트(fixed seat, 25)를 향하는 베이스(40)의 표면이고, 상기 제2 표면(45)는 베이스(40)를 향하는 후술하는 상기 고정시트(25)의 표면이다. 따라서, 제3 관통홀(41)과 연결되는 경사홀(42)의 이물질 방출 통로(passage for debris discharge)는, 상기 고정 시트(25)의 상부면과 상기 베이스(40)의 하부면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경사홀(42)의 이물질 방출 통로는 상기 고정 시트(25) 및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함께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물질 방출 통로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며, 즉,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모두가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관통홀(41)은 제1 표면(44)의 평면 상에 제공되고, 제2 표면(45)의 평면은 상기 제1 표면(44)의 평면과 예각(acute angle)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각은 30도 및 60도를 포함하는, 30도 내지 60도 범위이고, 43.5도 일 수 있다. 이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관통홀(41) 내의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42)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본체(body portion) 및 내부 라이닝(14b)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라이닝(14b)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본체의 내주면 주위에 제공된다. 도 6 및 도 7을 결합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본체는 서로 연결된 제1 환형 부품(first annular component, 14a) 및 제2 환형 부품(second annular component, 14c)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환형 부품(14c)은 상기 제1 환형 부품(14a) 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더 가깝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제1 환형 부품(14a), 상기 제2 환형 부품(14c) 및 내부 라이닝(14b)에 의해 함께 형성되며, 이는 상기 외부 케이스(14)를 형성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가공한 다음 조립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제1 환형 부품(14a), 상기 제2 환형 부품(14c) 및 상기 내부 라이닝(14b)의 연결 유형은, 3개의 부품들이 상기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접착 결합, 고정, 핫-멜팅, 용접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외부 케이스(14)의 내벽은 내부 라이닝(14b)의 내벽이고, 전술한 상기 외부 케이스(14)의 내벽 상의 구조는 상기 내부 라이닝(14b)의 내벽 상의 구조이다. 즉, 상기 내부 라이닝(14b)의 내벽에는 제2 그루브(142) 및 볼록 부품(141)이 제공된다. 상기 제2 환형 부품(14c)에는 전술한 제1 단부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환형 부품(14c)은, 상기 제2 환형 부품(14c)의 표면 상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요철 표면(bumpy surface)를 갖고,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2 환형 부품(14c)을 잡고 원주 방향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4)를 회전시키는데 유리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케이스는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전술한 방출 메커니즘(10) 상에 배치되는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발열체(23), 및 상기 발열체(23)가 제공되는 상기 장치의 본체부(2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더 제공된다.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장치의 본체부(2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상기 발열체(23)에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11)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발열체(23)는 정지 상태(rest state)로 유지될 것이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장치의 본체부(20)는 상기 발열체(23)와 동기하여 회전하지 않고 상기 내부 케이스(11)는 정지(rest)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어느 쪽이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도 1에서 Z 방향으로 도시됨)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본체부(20)에는 고정 시트(25)를 포함하는 가열 부품이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장치의 본체부(20)는 상기 발열체(23)의 장착부(27)가 장착되는 수용부(252)가 구비된 고정 시트(2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52)는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시트(25)는 축 방향(도 11에서 X 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상기 수용부(252) 및 제4 관통홀(253)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장착부(27)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체(23)는 상기 수용부(252)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253) 방향을 따라(도 12에서 C 방향으로 도시됨) 상기 제4 관통홀(253)을 통과한다. 상기 장착부(27)는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수용부(252) 상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시트(25)는 상기 발열체(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제어 기판(24) 상에 장착된다.
발열체(23)의 설치 방향은, 상기 발열체(23)가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수용부(252)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 시트(25)는,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한, 특정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조 공정 동안 조립이 편리하고 대량 생산이 달성될 수 있다. 가열 부품들은 전체적으로 조립 부품(assembly part)으로 조립되므로 부품들의 혼동 및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열체(23)의 장착부(27)의 내주면은 상기 발열체(23)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부(27)의 내주면은 상기 가열체(2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가열 부품들은 축 방향(도 10에서 x 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고정 시트(25)에 장착되는 제한부(limiting portion, 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7)는 상기 제한부(26)와 수용부(2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한부(26)는 상기 장착부(27)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장착부(27)의 축 방향 이동 및 원주 방향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23)의 축 방향 이동 및 원주 방향 이동 또한 제한되어, 상기 발열체(23)가 용이하게 장착 및 안정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장착부(27)와 수용부(252)의 단면이 원(circle) 형상이 아니므로, 상기 장착부(27)가 상기 수용부(252)의 수용 챔버(254) 내에 배치된 후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이 제한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27) 및 상기 수용부(252)는 다각형 단면(polygonal cross sections)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27) 및 상기 수용부(252)는 정사각형 단면(square cross sections)을 갖는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252)는 정사각형 수용 챔버(254)를 갖는다. 상기 장착부(27)가 상기 수용부(253)의 수용 챔버(254) 내에 배치된 후, 원주 방향 이동은 제한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252)로부터 제4 관통홀(253) 방향으로 (도 12에서 C 방향으로 도시됨), 상기 장착부(27)는 제1 부분(271) 및 제2 부분(2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271)은 상기 수용부(252)의 수용 챔버(254)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272)은 상기 제4 관통홀(253)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2 부분(272)의 외주면은 상기 제4 관통홀(253)의 내주면에 끼워진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분(271) 및 상기 수용부(252)의 단면은 원 형상이 아니고, 상기 제1 부분(271) 및 상기 수용부(252)의 수용 챔버(254)는 다각형 단면(polygonal cross section)들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분(271) 및 상기 수용부(252)의 수용 챔버(255)는 사변형 단면(quadrilateral cross section)들을 갖는다; 상기 제2 부분(272) 및 상기 제4 관통홀(253)은 원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2 부분(272) 및 상기 제4 관통홀(253)은 원 형상 단면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장착부(27)가 상기 수용부(252)에 배치된 후,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이 제한될 것이며, 상기 발열체(23)의 원주 방향 이동도 제한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수용부로부터 제4 관통홀 방향에서,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3 부분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부분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단면들은 원 모양이 아닌 다각형(polygon)과 같은 모양이다.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의 단면들은 원 형상일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의 단면들은 원 형상이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수요부에 배치된 후 상기 장착부의 원주 방향 이동이 제한될 것이며, 상기 발열체의 원주 방향 이동도 제한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가열 부품은 와이어(wires)를 더 포함한다. 장착부(27)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8)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제1 양극 와이어(231) - 그 일단은 회로 제어 기판(circuit control board, 24)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열체(23) 내의 저항 소자(resistance element,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됨 -; 제1 음극 와이어(233) - 그 일단은 상기 회로 제어 기판(2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열체(23) 내의 저항 소자에 연결됨-; 제2 양극 와이어(232) - 일단은 상기 회로 제어 기판(2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열체(23) 내의 온도 검출 요소(temperature sensing element)에 연결됨-; 제2 음극 와이어(234) - 그 일단은 상기 회로 제어 기판(2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열체(23) 내의 상기 온도 검출 요소에 연결됨-;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열 부품의 가열 회로(heating circuit) 및 온도 검출 회로(temperature sensing circuit)가 별도로 제공되어, 개별 제어가 용이하고, 상호 간섭이 적으므로, 가열 및 온도 제어가 보다 정확 해진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장착부(27)에는 제1 양극 와이어(231), 제1 음극 와이어(233), 제2 양극 와이어(232) 및 제2 음극 와이어(234)가 통과하는 관통홀(28)이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27)에는 발열체(23) 주위에 제공되는 관통홀(273)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273)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부(27)의 제1 부분(271) 및 제2 부분(272)을 관통한다. 상기 제1 부분(271) 및 상기 제2 부분(272)의 내주면은 각각 상기 발열체(23)의 외부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부분(271)의 내주면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23)와 이격된다. 반경 방향 간격(radial interval, 29)이 제공되어, 상기 발열체(23)와 상기 장착부(27)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양호한 단열이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 시트(25)는 회로 제어 기판(2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시트(25)는 분해가 용이한 상기 회로 제어 기판(2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시트(25)는 제1 연장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연장부(251)는 축 방향(도 11에서 X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연장되는, 제4 관통홀(2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수용부(252)의 부분 상에 제공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한부(26)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장부(261)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회로 제어 기판(24)은 반경 방향을 따라(도 9 및 도 10에서 Y 방향으로 도시됨) 제1 연장부(251) 및 제2 연장부(261)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연장부(251) 및 상기 제2 연장부(261)에 각각 연결되며, 이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242)이 상기 제1 연장부(251)와 상기 제2 연장부(261)에 의해 클램핑(clamped)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251) 및 제2 연장부(261)는 각각 제어 회로 기판(2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연결은, 분해가 쉬운, 볼트 연결(bolted connection)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 기판(24)을 향하는 제1 연장부(251)의 부분에는 축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클램핑부(first clamping portion, 257) 및 제2 클램핑부(second clamping portion, 256)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클램핑부(257) 및 상기 제2 클램핑부(256)는 반경 방향(도 11에서 Y 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회로 기판(24)을 향하는 상기 제2 연장부(261)의 부분에는 축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3 클램핑부(262) 및 제4 클램핑부(263)가 제공된다. 상기 제3 클램핑부(262) 및 상기 제4 클램핑부(263)는 반경 방향(도 16에서 Y 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클램핑부(262) 및 상기 제4 클램핑부(263)는 상기 제1 클램핑부(257)와 상기 제2 클램핑부(256)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클램핑부(257)는 제3 클램핑부(262)에 끼워지고, 제2 클램핑부(256)는 제4 클램핑부(263)에 끼워지므로, 고정 시트(25) 및 제한부(26) 사이의 연결은 안정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클램핑부(257), 제2 클램핑부(256), 제3 클램핑부(262), 제4 클램핑부(263)에 의해 정의되는 클램핑 공간(clamping space)은 장착부(27)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회로 제어 기판(24)을 향하는 제2 연장부(261)의 부분에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27)에 인접하는 제한 부품(limiting compoenent, 264)가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한 부품(264)은 발열체(23)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발열체(23)에 인접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한 부품(264)은 제3 클램핑 부분(262) 및 제4 클램핑 부분(263)에 각각 평행하고, 상기 제3 클램핑 부분(262) 및 상기 제4 클램핑 부분(264) 사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클램핑 공간 및 제한 부품(262)의 제공으로, 상기 장착부(27)의 축 방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발열체(23)의 축 방향 이동 또한 제한되어, 장착이 용이하다.
제한 부품, 제1 클램핑부, 제2 클램핑부, 제3 클램핑부 및 제4 클램핑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 요구사항들이 충족되는 한 다른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클램핑부, 제2 클램핑부, 제3 클램핑부 및 제4 클램핑부에 의해 정의되는 클램핑 공간이 장착부를 수용할 수 있고; 제한 부품은 발열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장착부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시트(25)는 제3 연장부(255)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연장부(255)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4 관통홀(25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수용부(252)의 부분 상에 제공되고, 반경 방향(도 12에서 y 방향으로 도시됨)을 따라 제1 연장부(25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연장부(261)에는 삽입 단부(insertion end, 265)가 제공된다. 도 10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단부(265)는 상기 제1 연장부(251)와 상기 제3 연장부(255) 사이에 축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3 연장부(255)-와 축 방향으로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 시트(25)와 상기 제한부(26)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단부(265)에는 저항부(resisting portion, 265a)가 제공되고,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251)과 상기 제3 연장부(255)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단부(265)의 상기 저항부(265a)는 축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255)에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 시트(25) 및 상기 제한부(26)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방출 메커니즘(10)의 내부 케이스(11) 내의 이물질이 유출되도록 하는 이물질 방출 통로(passage for debris discharge)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장치의 본체부(20)는 축 방향으로 방출 메커니즘(10)의 베이스(40)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의 본체부(20)의 고정 시트(25)는 축 방향(도 8에서 X 방향으로 도시됨)으로 상기 방출 메커니즘(10)의 상기 베이스(40)로부터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이물질 방출 통로는, 축 방향으로, 전술한 방출 메커니즘(10)의 이물질 배출 구조와 장치 본체부(20)의 고정 시트(25) 및 방출 메커니즘(10)의 베이스(40) 사이의 축 방향 간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고정 시트(25) 주위에 제공되며,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고정 시트(25)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경사홀(inclined hole, 42)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42)은 내부 케이스(11)내의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42)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베이스(40)의 외주면에는 발열체(23) 주위에 제공되는 제3 관통홀(41)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홀(42)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3 관통홀(41)은 상기 발열체 주위가 아닌 상기 베이스(40)의 다른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경사홀에 연결된다.
경사홀(42)이 제공되어, 도 8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경사홀(41) 내의 이물질은 고정 시트(25) 와 베이스(40) 사이의 축 방향 간격(axial interval)으로 유입된 후 상기 경사홀(42)을 따라 유출되어, 세척이 용이하다.
도 8 내지 도 10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장치의 본체부(20)는 발열체(23)의 장착부(27)가 장착되는 수용부(252)를 갖는 고정 시트(25)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수용부(252)는 상기 장착부(27)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고정 시트(25)는 축 방향으로 상기 방출 메커니즘(10)의 베이스(4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40)를 향하는 상기 고정 시트(25)의 부분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시트(25)를 향하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10)의 부분(제1 표면 (44)으로 표시됨)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된 표면(제2 표면(45)으로 표시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방출 통로는 상기 고정 시트(25), 상기 베이스(40)의 하부 표면(44), 상기 제3 관통홀(41) 및 경사홀(42)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시트(25) 및 상기 베이스(40)가 함께 이물질 방출 통로를 형성한다.
제2 표면(45)의 평면은 상기 제1 표면(44)의 평면과 예각(acute angle)로 설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각은 30 및 60도를 포함하여, 30도 내지 60도 범위이고, 또한, 43.5도 일 수 있다. 이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관통홀(41) 내의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42)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유리한다. 방출 메커니즘(10)의 베이스(50)가 장치의 몸체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 상기 베이스(40) 및 상기 고정 시트(25)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radial interval)이 있게 되어, 외부 케이스(14)는 상기 내부 케이스(11)의 원주 방향 이동을 구동한다. 상기 베이스(40)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고정 시트(25) 주위에서 마찰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40) 및 상기 고정 시트(25)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이물질이 상기 베이스(40)와 상기 고정 시트(25)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작아야 하고, 이상적으로는 힘이 가해지지 않고 끼워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효과를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수정 및 변경들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진 모든 동등한 수정 또는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Claims (58)

  1. 발열체(heating body)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방출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에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출 메커니즘은: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rotary portion)-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슬리브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배치됨-;
    상기 내부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가압 메커니즘(pressing mechanism) - 상기 외부 케이스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은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으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radial pressing force)을 인가함-;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할 때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발열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에 대해 제1 축 방향 위치(first axial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발열체에 대해 제2 축 방향 위치(second axial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제1 축 위치는 상기 제2 축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스위칭할 때 상기 외부 케이스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그루브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볼록(convex) 부품이며, 상기 블록 부품은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향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를 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는 제1 볼록부(first convex portion)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오목부(second concav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1 볼록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교대로 제공되는 제2 볼록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제2 오목부의 형상에 매칭되고 상기 제2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제1 오목부의 형상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나사결합(screw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이 제공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축 단부의 개구에 더 가깝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에 방사상 가압력(radial pressing force)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convex part)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만곡부(curved portion)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하나 사이의 부분은 막대(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대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과 상기 볼록부 사이에 탄성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내벽은 제2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 그루브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오목부(concave part)가 구비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후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상기 부분은 평평한 표면(flat sur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은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0. 제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유연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내부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홀이 제공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2 관통홀이 제공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이물질(debris)이 유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 방출(debris discharge)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경사홀(inclined hole)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상기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5. 제24항에 있어서,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경사홀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의 상기 이물질이 상기 경사홀을 통해 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발열체 주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홀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면 및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제1 면의 평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면의 평면은 상기 제1 면의 평면과 예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예각은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2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본체부(body portion),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 주위에 배치되는 내부 라이닝(inner linn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본체부는 서로 연결된 제1 환형 부품(first annular component) 및 제2 환형 부품(second annular component)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환형 부품은 상기 제1 환형 부품에 비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형 부품은 요철 표면(bumpy surfac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32.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메커니즘.
  33.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상기 발열체;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 상에 배치된 상기 에어로졸-형성 기재로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가 장착되는 수용부(accommodating portion)를 갖는 고정 시트(fixed seat)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제4 관통홀 및 상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제어 기판(circuit control board)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시트 상에 장착되는 제한부(limiting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한부 및 상기 수용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장착부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면은 원 형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3 부분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부분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4 관통홀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수용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4 관통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수용부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관통홀의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2. 제33항에 있어서,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상기 장착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발열체의 상기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회로 제어 기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회로 제어 기판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클램핑부 및 제2 클램핑부가 제공되며;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3 클램핑부 및 제4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 부는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상기 제3 클램핑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클램핑 부는 상기 제4 클램핑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 상기 제2 클램핑부, 상기 제3 클램핑부 및 상기 제4 클램핑부에 의해 정의되는 클램핑 공간(clamping space)은 상기 장착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9. 제45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제어 기판을 향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에 대해 인접하는 제한 부품(limiting component)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제3 연장부에 끼워지는 삽입 단부(insertion end)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1.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내의 이물질이 유출되도록 하는 이물질 방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출 통로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이물질 방출 구조 및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고정 시트와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 사이의 축 방향 간격(axial interval)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방출 구조는 상기 경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경사홀을 통해 상기 내부의 이물질이 방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출을 위한 구조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제3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경사홀에 연결되고, 상기 경사홀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의 상기 이물질을 상기 경사홀을 통해 방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발열체 주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발열체의 장착부가 장착되는 수용부를 갖는 고정 시트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기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고정 시트의 부분에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시트를 향하는 상기 방출 메커니즘의 부분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된 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내주면은 각각 상기 발열체의 상기 외면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내부면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발열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17004782A 2018-08-07 2018-11-26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73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91826.X 2018-08-07
CN201810891826.XA CN108783605B (zh) 2018-08-07 2018-08-07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PCT/CN2018/117387 WO2020029477A1 (zh) 2018-08-07 2018-11-26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979A true KR20210030979A (ko) 2021-03-18
KR102573479B1 KR102573479B1 (ko) 2023-08-31

Family

ID=6407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782A KR102573479B1 (ko) 2018-08-07 2018-11-26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016385B2 (ko)
EP (1) EP3818856B1 (ko)
JP (1) JP7157870B2 (ko)
KR (1) KR102573479B1 (ko)
CN (1) CN108783605B (ko)
PL (1) PL3818856T3 (ko)
WO (1) WO2020029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605B (zh) 2018-08-07 2024-02-13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KR20220045227A (ko) * 2019-08-21 2022-04-12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에어로졸 생성 장치, 충전대 및 전기 시스템
TW202133746A (zh) * 2019-10-02 2021-09-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
CN112335944A (zh) * 2020-11-18 2021-02-09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气雾发生装置
KR102637742B1 (ko) * 2020-11-25 2024-02-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2239509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発生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3175864A1 (ja) * 2022-03-17 2023-09-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4018031A1 (en) * 2022-07-21 2024-01-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055A (ko) * 2011-12-30 2014-10-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온도 분포를 가진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170121149A (ko) * 2014-12-23 2017-11-01 후이저우 킴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담배
US20180103687A1 (en) * 2012-01-31 2018-04-1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cigarette
CN108013513A (zh) * 2018-02-05 2018-05-1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烤烟器、烤烟型电子烟以及烤烟烟支拔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25B1 (ko) * 2011-07-21 2013-07-11 신종수 전자담배
CN104023568B (zh) * 2011-10-25 2017-05-31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加热器组件的浮质生成装置
AU2012342570B2 (en) 2011-11-21 2016-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Eje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1454125B1 (ko) * 2013-10-08 2014-10-27 박선순 집적형 전자 담배
CN205865988U (zh) 2016-08-05 2017-01-11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烟嘴、雾化器及其电子烟
CN106376975B (zh) 2016-09-18 2023-10-31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气雾产生装置及其使用方法
CN206994432U (zh) 2017-05-27 2018-02-13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器
CN207561380U (zh) * 2017-10-13 2018-07-03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烤烟器以及烤烟型电子烟
CN107890141B (zh) * 2017-11-28 2024-02-06 绿烟实业(深圳)有限公司 带提取器的加热不燃烧烟具
CN107713009B (zh) * 2017-11-29 2024-02-1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轴向转动取烟的电加热装置
CN207492067U (zh) 2017-11-29 2018-06-15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轴向转动取烟的电加热装置
CN108175128B (zh) * 2018-01-09 2020-12-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烤烟器、烤烟型电子烟以及烤烟烟支拔出方法
CN207940349U (zh) 2018-01-22 2018-10-09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及发烟制品
CN108451028A (zh) 2018-01-22 2018-08-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CN108354230A (zh) * 2018-02-11 2018-08-03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一种气雾产生装置及其气雾发生棒的提取装置
CN108158043B (zh) * 2018-03-09 2023-07-11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步法实现卷烟与发热体分离并清洁发热体的卷烟电加热装置
CN108244711A (zh) * 2018-03-12 2018-07-06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便于烟支取出的多级分离式电加热装置
CN208286371U (zh) * 2018-03-30 2018-12-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气雾产生装置的松脱机构
CN108323821A (zh) * 2018-03-30 2018-07-27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容纳机构和气雾产生装置
CN108720090B (zh) 2018-08-07 2024-06-25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加热组件及气雾产生装置
CN108783605B (zh) 2018-08-07 2024-02-13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CN208837103U (zh) * 2018-08-07 2019-05-10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CN108851248A (zh) 2018-08-07 2018-11-23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气雾产生装置
CN208837101U (zh) * 2018-08-07 2019-05-10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055A (ko) * 2011-12-30 2014-10-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온도 분포를 가진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180103687A1 (en) * 2012-01-31 2018-04-1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cigarette
KR20170121149A (ko) * 2014-12-23 2017-11-01 후이저우 킴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담배
CN108013513A (zh) * 2018-02-05 2018-05-1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烤烟器、烤烟型电子烟以及烤烟烟支拔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83605B (zh) 2024-02-13
EP3818856B1 (en) 2023-10-04
KR102573479B1 (ko) 2023-08-31
EP3818856A4 (en) 2021-12-15
US12016385B2 (en) 2024-06-25
EP3818856A1 (en) 2021-05-12
WO2020029477A1 (zh) 2020-02-13
US20210298359A1 (en) 2021-09-30
EP3818856C0 (en) 2023-10-04
CN108783605A (zh) 2018-11-13
JP7157870B2 (ja) 2022-10-20
JP2021532755A (ja) 2021-12-02
PL3818856T3 (pl)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479B1 (ko) 방출 메커니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416544B1 (ko)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CN106488713B (zh)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EP3287018B1 (en) Electronic cigarette, atomizing device and atomizing component thereof
KR102406337B1 (ko) 초음파 분무식 전자 담배
EP3162228B1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US9480286B2 (en) Electronic cigarette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thereof
JP7250161B2 (ja) 電子タバコ用霧化コア及びアトマイザー
US20160366940A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atomization control method
CN109496130A (zh) 烟弹、电池组件和电子烟
CN208941050U (zh) 雾化器及电子烟
US20160345625A1 (en) Electronic cigarette
EP3788892B1 (en) Exothermal vaporizer
EP3395190B1 (en) Aerosol generation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n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220240589A1 (en) Atomizer for electronic cigarette
CN112741370B (zh) 一种雾化装置以及电子烟
KR20160130342A (ko) 전자담배의 무화기
CN109717513A (zh) 电加热发烟系统
CN108851248A (zh) 一种气雾产生装置
CN110384257B (zh) 雾化装置、电子烟及电子烟的控制方法
CN110558613A (zh) 气雾产生装置及电子烟
KR20140001106U (ko) 무화기용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화 장치
EP3850970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N207767544U (zh) 雾化器及电子烟
KR102389826B1 (ko) 분리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