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937A -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937A
KR20210030937A KR1020217001616A KR20217001616A KR20210030937A KR 20210030937 A KR20210030937 A KR 20210030937A KR 1020217001616 A KR1020217001616 A KR 1020217001616A KR 20217001616 A KR20217001616 A KR 20217001616A KR 20210030937 A KR20210030937 A KR 2021003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packet
data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917B1 (ko
Inventor
웨이웨이 왕
리시앙 쉬
홍 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9/01012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32718A1/en
Publication of KR2021003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05Buffering arrangements using dynamic buffer spa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4세대(4G) 시스템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을 융합하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스마트 소매, 보안 및 안전 서비스와 같은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재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방법은, 제2 노드가 제1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노드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는 단계; 및 재송신될 패킷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홉 네트워크(multi-hop network)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또한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System)" 통신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송신률(data rate)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무선파(radio wave)의 전파 손실을 감소시키고 송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 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to-Device(D2D) communication),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 수신 단 간섭 제거(reception-end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액세스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설정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to-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 의료 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사물 통신(Machine-to-Machine, M2M) 등의 기술은 5G 통신 기술이 빔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서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중 홉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제안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주제가 최근에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사용자가 앵커 노드(anchor node)와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경로가 (이전 경로에서 새로운 경로로) 변경될 때, 새로운 경로는 사용자를 서빙하는 이전 경로의 일부 릴레이 노드(relay node)를 포함할 것이며, 이러한 릴레이 노드에 의해 수신되고 사용자에 송신되지 않는 패킷은 앵커 노드에 의해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중 홉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와 앵커 노드 간의 통신 경로가 변경될 때, 불필요한 데이터 패킷의 재송신을 줄이기 위한 관련된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앵커 노드가 노드 간의 정보 상호 작용을 통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정보를 획득하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재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방법은, 제2 노드가 제1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 캐싱된(cached)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데이터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노드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는 단계; 및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노드가 제1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노드가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순차적으로 포워딩(forwarding)되는 제1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노드에 의해 수신된 제1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수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RLC 계층의 데이터 패킷의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새롭게 정의된 RLC 계층의 데이터 패킷 타입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데이터 패킷 또는 새롭게 정의된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패킷의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MAC 계층의 데이터 패킷의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F1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평면에 의해 정의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및 제어 평면의 메시지에 포함되는 송신 포맷 중 하나에 따라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시지는 데이터 패킷이 위치되는 노드의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이 속하는 베어러의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이 속하는 사용자 및 베어러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 정보, 무선 링크 중단/재개(radio link outage/resume)의 인디케이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중단/재개의 인디케이션, 무선 링크 중단/재개가 발생하는 링크의 식별 정보, 노드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이용 가능한 캐시의 크기 정보, 노드의 원하는 송신 데이터 속도 정보,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 정보, 목적지 노드의 식별 정보,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다음 홉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노드가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이전 홉 노드가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기 수신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무선 링크의 경로가 변경되었다는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또한 데이터 재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방법은,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캐싱된 데이터 패킷,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데이터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제2 노드로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제1 노드가 제3 노드로부터 제1 노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메시지는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제1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제1 노드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제1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제1 노드가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계속 서빙하는 노드의 식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의 식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및 제1 노드가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로컬(local)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노드가 제4 노드로부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방법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획득된 정보에 따라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는 단계; 및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제2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재송신 장치가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장치는 제1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으로서, 상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 캐싱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데이터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 유닛;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도록 구성된 재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재송신 장치가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장치는,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및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제 1 노드에서 캐싱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데이터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홉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방법은 무선 링크를 따라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무선 링크에서의 노드는 수신된 메시지를 포워딩하거나 노드 자신의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여 무선 링크에서의 다음 홉 노드로 송신하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를 재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를 앵커 노드로 송신한 후, 앵커 노드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홉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데이터 재송신 방법은 이전 홉 노드로부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를 재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포워딩하거나 현재 노드 자신의 상태에 따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여 다음 홉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앵커 노드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메시지를 앵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상응하는 네트워크 노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노드 간의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용자와 앵커 노드 간의 통신 경로가 변경될 때 앵커 노드가 앵커 노드에 의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아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새로운 경로의 노드에 캐싱된 데이터 패킷이 앵커 노드에 의해 다시 재송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홉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간의 시그널링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 동안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 동안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송신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링크 중단 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송신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b는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송신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송신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도시하는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사용자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자로서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 또는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하나의 노드의 다음 홉 노드는 하나의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노드이다. 또한, 업링크에서, 노드 1이 앵커 노드를 향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는 노드 1의 상위 레벨 노드(노드 1보다 앵커 노드에 더 가까운 노드)이다. 다운링크에서, 노드 1이 사용자를 향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는 노드 1의 하위 레벨 노드(노드 1보다 사용자에 더 가까운 노드)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사용자는 릴레이 노드 또는 최종 사용자일 수 있다.
기존 메커니즘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기지국(소스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소스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었지만 사용자에 올바르게(correctly)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는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될 필요가 있고, 타겟 기지국에 의해 재송신될 필요가 있다. 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기지국의 하나의 분산 유닛(소스 분산 유닛)에서 동일한 기지국의 다른 분산 유닛(타겟 분산 유닛)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중앙 유닛은 사용자에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타겟 분산 유닛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나서 타겟 분산 유닛은 데이터를 사용자에 송신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IAB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앵커 노드와 사용자 간의 경로 상의 릴레이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앵커 노드는 사용자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패킷을 재송신할 필요가 있으며, 즉, 앵커 노드는 원래의 경로로 송신되었지만 아직 사용자에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재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설계는 다중 홉 네트워크를 고려하지 않는다.
본 주제(topic)의 주요 목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홉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것이다. 도면은 앵커 노드(도너 노드)와 2개의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하며, 모든 사용자는 궁극적으로 앵커 노드와 통신한다. 이러한 아키텍처에서, 릴레이 노드는 사용자 데이터의 집성(aggregation) 및 분리를 담당할 수 있다. 사용자 N1~Nx와 사용자 M1~My가 데이터를 앵커 노드(Donor Node)로 송신하면, 사용자 N1~Nx는 릴레이 노드 1을 통해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릴레이 노드 1과 릴레이 노드 2 사이에서, 사용자 N1~Nx의 데이터는 릴레이 노드 1에서 릴레이 노드 2로 송신되는 데이터로 집성될 수 있고; 사용자 M1~My는 릴레이 노드 2를 통해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릴레이 노드 2와 앵커 노드 사이에서, 사용자 M1~My의 데이터와 릴레이 노드 1로부터의 데이터(즉, 사용자 N1~Nx의 집성된 데이터)는 릴레이 노드 2에서 앵커 노드로 송신되는 데이터로 집성될 수 있다. 앵커 노드가 데이터를 사용자 N1~Nx와 사용자 M1~My로 송신하면, 앵커 노드는 사용자 N1~Nx와 사용자 M1~My의 집성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 2로 송신하고, 릴레이 노드 2는 사용자 M1~My에게 송신되는 데이터와 릴레이 노드 1로 송신되는 데이터인 집성된 데이터와 구별하여, 데이터를 각각 이들 사용자와 릴레이 노드 1에 송신한다. 릴레이 노드 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릴레이 노드 1는 사용자 N1~Nx에게 송신되는 데이터를 구별하여 데이터를 각각 상응하는 사용자에 송신한다. 이러한 아키텍처에서, 앵커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고(기지국은 완전한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한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으로 구성된 기지국일 수 있으며,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은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함), 또한 기지국의 중앙 유닛(central unit, CU)일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고(기지국은 완전한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한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으로 구성된 기지국일 수 있으며,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은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함), 또한 기지국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일 수 있으며, 릴레이 노드는 또한 사용자가 다른 노드(예컨대, 다른 기지국 및 다른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지국의 중앙 유닛와 분산 유닛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CU는 적어도 RRC(Radio Resource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프로토콜 계층 등을 가지며, 또한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를 포함할 수 있다. DU는 RLC(Radio Link Control Protocol), MAC(Medium Access Control) 및 물리적 계층 등을 갖는다. 표준화된 공용 인터페이스(standardized public interface) F1은 CU와 DU 사이에 있다. F1 인터페이스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 F1-C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 F1-U로 분류된다. F1-C의 전송 네트워크 계층은 IP를 기반으로 전송된다. 더욱 안정적인 전송 시그널링을 위해, SCTP 프로토콜은 IP를 통해 추가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은 F1AP이다. SCTP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의 안정적인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F1-U의 전송 계층은 UDP/IP이고, GTP-U는 UDP/IP를 통해 PDU(User Plane Protocol Data Unit)를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관련된 프로세스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단계 1: IAB 네트워크에서, 노드 1은 메시지 1을 노드 2로 송신한다. 노드 1과 노드 2는 모두 릴레이 노드일 수 있거나, 노드 1은 릴레이 노드이고, 노드 2는 앵커 노드이거나(앵커 노드는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임), 노드 1은 기지국의 분산 유닛이고, 노드 2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이거나, 노드 1은 기지국의 중앙 유닛이고, 노드 2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이거나, 노드 1은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이고, 노드 2는 릴레이 노드이다.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PDCP PDU일 수 있거나 다른 포맷(예컨대, RLC PDU, MAC PDU 등)에 있을 수 있는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며,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으며,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자신의 상황에 따른 판단을 통해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는 또한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관련된 정보(예컨대,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에 따라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거나, 또한 자신의 상황과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관련된 정보(예컨대,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통해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는 다음과 같은 가능한 표현 형식을 가질 수 있다(다음과 같은 형식은 단지 예이다).
◆ 형식 1: 데이터 패킷의 최소 식별 + 데이터 패킷의 최대 식별
◆ 형식 2: 데이터 패킷 + 비트맵의 최소 식별(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캐싱된 데이터 패킷/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에 대한 것인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캐시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손실된 데이터 패킷/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
◆ 형식 3: 데이터 패킷의 최소 식별 + 데이터 패킷의 수
◆ 형식 4: 데이터 패킷 + 비트맵의 최대 식별(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캐싱된 데이터 패킷/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캐시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손실된 데이터 패킷/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각각의 비트의 값은 비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 패킷이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로 성공적으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
◆ 형식 5: 데이터 패킷의 최대 식별 + 데이터 패킷의 수
◆ 형식 6: 데이터 패킷의 식별이 연속적이지 않을 때, 복수의 데이터 패킷 범위가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범상술한 수는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각각의 범위는 범상술한 최소 식별 및 범상술한 최대 식별, 또는 범상술한 최소 식별 및 데이터 패킷의 수, 또는 범상술한 최대 식별 및 데이터 패킷의 수, 또는 범상술한 최소 식별 및 비트맵, 또는 범상술한 최대 식별 및 비트맵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 형식 7: 데이터 패킷의 최대 및/또는 최소 식별, 식별은 자신의 상황에 따른 판단을 통해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관련된 정보(예컨대,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거나, 또한 자신의 상황과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관련된 정보(예컨대,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통해 노드 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술한 형식에서, 데이터 패킷의 최대/최소 식별은,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최대/최소 식별이 재송신될 모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거나, 또한 순차적으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이 1, 2, 3, 5, 6 및 7인 경우, 순차적으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3/1(시퀀싱된(sequenced) 데이터 패킷 1, 2, 3에서, 최대 식별은 3이고, 최소 식별은 1임) 및/또는 7/5(시퀀싱된 데이터 패킷 5, 6, 7에서, 최대 식별은 7이고, 최소 식별은 5임)일 수 있고, 재송신될 모든 데이터 패킷에서의 최대/최소 식별은 7/1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이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최대/최소 식별은 캐싱된 모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거나, 또한 순차적으로 캐싱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싱된 데이터 패킷이 1, 2, 3, 5, 6 및 7인 경우, 순차적으로 캐싱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3/1(시퀀싱된 데이터 패킷 1, 2, 3에서, 최대/최소 식별은 3/1임) 및/또는 7/5(시퀀싱된 데이터 패킷 5, 6, 7에서, 최대/최소 식별은 7/5임)일 수 있고, 캐싱된 모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7/1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이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최대/최소 식별은 손실된 모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거나, 또한 순차적으로 손실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실된 데이터 패킷이 1, 2, 3, 5, 6 및 7인 경우, 순차적으로 손실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3/1(순차적으로 손실된 데이터 패킷 1, 2, 3 중에서 최대/최소 식별은 3/1임) 및/또는 7/5(순차적으로 손실된 데이터 패킷 5, 6, 7 중에서, 최대/최소 식별은 7/5임)일 수 있고, 손실된 모든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7/1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이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의 최대/최소 식별은 순차적으로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거나, 또한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 1, 2, 3, 5, 6 및 7인 경우, 순차적으로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3/1일 수 있고,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간의 최대/최소 식별은 7/1이다. 순차적으로 사용자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의 상술한 최대 식별은 TS38.425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전달/송신된 NR PDCP 시퀀스 번호를 지칭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이 (DU ID, IAB Node ID, C-RNTI 등과 같이) 위치되는 노드의 식별 정보
■ 데이터 패킷이 (C-RNTI, DU UE F1AP ID, CU UE F1AP ID 등과 같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
■ 데이터 패킷이 (DRB ID, SRB ID 등과 같이) 속하는 베어러 식별
■ 데이터 패킷이 속하는 사용자 및 베어러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예를 들어, UE 베어러 특정 ID)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상술한 정보에 대해, 이것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캐싱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손실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고; 이것이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는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이다. 메시지 1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캐싱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손실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또한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상술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즉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 또는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 무선 링크 중단/재개(radio link outage/resume)의 인디케이션
■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중단/재개의 인디케이션
■ 상술한 "무선 링크 중단/재개" 및/또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중단/재개"가 발생하는 링크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예컨대, 링크의 수신단 노드의 식별 정보, 링크의 송신단 노드의 식별 정보, 링크의 앵커 노드에 가까운 노드의 식별 정보, 링크의 앵커 노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노드의 식별 정보, 링크가 위치되는 경로의 앵커 노드에 대한 경로의 수의 정보, 및 링크가 위치되는 경로에서 사용자에 대한 경로의 수의 정보 등).
■ 노드 2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더욱이, 인디케이션 정보는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베어러의 식별뿐만 아니라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전체 노드 2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낼 수 있다.
■ 노드 1에서 이용 가능한 캐시의 크기 정보(이용 가능한 캐시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하나의 사용자의 하나의 베어러 또는 전체 노드를 지칭할 수 있음).
■ 노드 1이 노드 2가 데이터를 노드 1로 송신할 것으로 예상하는 속도(rate)의 정보(속도 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하나의 사용자의 하나의 베어러 또는 전체 노드를 지칭할 수 있음).
■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과 같이 노드 1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 정보는 노드 1이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이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이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1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 궁극적으로 메시지 1을 수신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메시지 1의 목적지 노드의 식별 정보.
■ 노드 2가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 노드 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노드 2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2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음),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개개의 다른 노드에 의해 보고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다른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또한 다른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음),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노드 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노드(즉, 다음 홉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노드 2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더욱이, 노드 2가 더 이상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지 않으면, 노드 상의 캐싱된 패킷은 재송신될 패킷에 속한다. 노드 2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면, 노드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더욱이,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에 대해, 이의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더욱이, 더 이상 사용자를 서빙하지 않는 노드에 대해, 이의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 노드 1이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되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메시지 1을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사용자와 앵커 노드 간의 통신 경로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단계 1 전에, 선택적으로, 프로세스는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0: 노드 1은 노드 3으로부터 메시지 2를 수신한다. 노드 3은 앵커 노드일 수 있고, 또한 릴레이 노드일 수 있고, 또한 기지국의 분산 유닛일 수 있거나, 또한 기지국의 중앙 유닛일 수 있다. 노드 3은 노드 2와 동일한 노드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2와 상이한 노드일 수 있다. 메시지 2는 주로 노드 1을 설정하여 노드 1의 동작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노드 1이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 노드 1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1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음),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각각의 다른 노드에 의해 보고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이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또한 다른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음),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노드 1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노드(즉, 다음 홉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노드 1이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더욱이,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베어러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전체 노드 1이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낼 수 있다
■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과 같이 노드 1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는 노드 1이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이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 1이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 1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과 같이 다른 노드(예를 들어, 노드 2)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에 대한 정책 정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는 다른 노드가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가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 노드 1이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더욱이, 노드 1이 더 이상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지 않으면, 노드 상의 캐싱된 패킷은 재송신될 패킷에 속한다. 노드 1이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면, 노드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더욱이,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에 대해, 이의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
■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더욱이, 더 이상 사용자를 서빙하지 않는 노드에 대해, 이의 캐시의 패킷은 재송신될 필요가 있다.
■ 노드 1이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되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노드 1이 손실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정보.
■ 노드 1이 손실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정보.
더욱이, 단계 1 전에, 선택적으로, 프로세스는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a: 노드 1이 노드 4로부터 메시지 3을 수신하는 단계이며, 여기서 메시지 3은 메시지 1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정보의 내용은 노드 4에 의해 생성된다. 메시지 3을 수신한 후, 노드 1은 메시지 3의 내용에 따라 메시지 1의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노드 4는 앵커 노드, 릴레이 노드,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일 수 있다. 노드 4는 노드 2와 동일한 노드일 수 있거나, 노드 2와 상이한 노드일 수 있다.
상술한 단계 0 및 단계 a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0은 단계 a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a는 단계 0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단계 1 후에, 선택적으로, 프로세스는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2: 노드 2가 단계 1에서 수신된 메시지 1을 앵커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메시지 1은 앵커 노드에 직접 송신될 수 있거나, 또한 중간 노드를 통해 앵커 노드로 포워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1은 송신 프로세스 동안 노드 2 또는 다른 노드에 의해 업데이트되거나 단순히 포워딩될 수 있다.
더욱이, 단계 2 후에, 선택적으로, 프로세스는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단계 3: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캐싱한 노드(예컨대, 노드 2 또는 다른 노드 또는 앵커 노드, 또는 상술한 단계에 포함된 노드 1/2/3/4 중 임의의 노드)가 데이터 패킷을 사용자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이 앵커 노드에 의해 송신되면, 이는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송신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노드 2 또는 다른 노드 또는 앵커 노드에 의해 재송신될 것으로 판단되는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패킷이 송신될 때,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노드(노드는 릴레이 노드일 수 있거나 또한 사용자일 수 있음)는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된 데이터 패킷인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상술한 단계의 각각은 독립적인 단계일 수 있으며, 즉, 이러한 단계는 다른 단계와 함께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단계 a/0/1/2/3는 모두 수행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임의의 두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3은 단계 a를 수행한 직후에 수행되거나, 단계 3은 단계 1을 수행한 직후에 수행된다.
상술한 단계 1에서, 메시지 1은 노드 1에 의해 노드 2로 직접 송신될 수 있거나, 노드 1에 의해 하나 이상의 노드(또는 릴레이 노드)를 통해 노드 2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메시지 1을 단순히 포워딩할 수 있거나, 메시지 1을 업데이트한 다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0에서, 메시지 2는 노드 3에 의해 노드 1로 직접 송신될 수 있거나, 노드 3에 의해 하나 이상의 노드(또는 릴레이 노드)를 통해 노드 1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메시지 2를 단순히 포워딩할 수 있거나, 메시지 2를 업데이트한 다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a에서, 메시지 3은 노드 4에 의해 노드 1로 직접 송신될 수 있거나, 노드 4에 의해 하나 이상의 노드(또는 릴레이 노드)를 통해 노드 1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메시지 3을 단순히 포워딩할 수 있거나, 메시지 3을 업데이트한 다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2에서, 수신된 메시지 1은 노드 2에 의해 앵커 노드로 직접 송신될 수 있거나, 노드 2에 의해 하나 이상의 노드(또는 릴레이 노드)를 통해 앵커 노드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메시지 1을 단순히 포워딩할 수 있거나, 메시지 1을 업데이트한 다음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3에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캐싱한 노드(예컨대, 노드 2 또는 다른 노드 또는 앵커 노드)는 데이터를 사용자에 직접 송신할 수 있거나,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캐싱한 노드(예컨대, 노드 2 또는 다른 노드 또는 앵커 노드)는 하나 이상의 노드(또는 릴레이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자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에 포함된 메시지 1/2/3의 내용은 다음의 송신 포맷 중 하나로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 RLC 계층의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됨
■ 새롭게 정의된 RLC 계층의 데이터 패킷 타입에 포함됨
■ 새롭게 정의된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 헤더에 포함됨(예컨대, 새롭게 정의된 적응 계층, TR38.874 참조)
■ MAC 계층의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됨
■ F1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평면에 의해 정의된 다운링크 데이터 포워딩 상태(DL Data Delivery Status) 또는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DL USER DATA)에 포함됨, TS38.425 참조
■ 제어 평면의 메시지에 포함됨
상술한 포맷은 단지 예이며, 다른 송신 포맷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프로세스의 효과는, 앵커 노드가 사용자와 통신하는 경로가 (이전 경로에서 새로운 경로로) 변경되거나, 사용자와 통신하는 앵커 노드가 (앵커 노드 1에서 앵커 노드 2로, 또는 앵커 노드 1의 분산 유닛 1에서 앵커 노드 1의 분산 유닛 2로) 변경될 때, 앵커 노드가 새로운 경로에서 재송신되거나 앵커 노드 2 또는 앵커 노드 1의 분산 유닛 2에 의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인 것으로 간주되는 이유는 데이터 패킷이 이전 경로에서 송신되기 시작했지만 사용자에 송신되지 않았거나, 데이터 패킷이 앵커 노드 1 또는 앵커 노드 1의 분산 유닛 1에 의해 송신되었지만 사용자에 송신되지 않았다는 것임).
상술한 프로세스의 효과를 더 설명하기 위해, 예로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인 주로 메시지 1에 포함된 정보에 대해 복수의 예를 결합하여 추가의 설명이 이루어진다. 다른 타입의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포함된 정보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추론될 수 있다.
핸드오버의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과 통신하는 경로는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 릴레이 노드 1 → 릴레이 노드 2 → 릴레이 노드 3 → 사용자이다. 이러한 경로에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데이터 패킷 1~10을 송신했으며, 데이터 패킷 8, 9, 10은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캐싱되고, 데이터 패킷 5, 6, 7은 릴레이 노드 1에 캐싱되고, 데이터 패킷 3, 4는 릴레이 노드 2에 캐싱되며, 데이터 패킷 1, 2는 릴레이 노드 1에 캐싱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가 앵커 노드와 통신하는 경로가 변경되도록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즉, 경로는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 릴레이 노드 1 → 릴레이 노드 2 → 릴레이 노드 4 → 사용자가 된다. 새로운 경로의 유일한 변경은 릴레이 노드 3이 핸드오버 전의 경로에 비해 릴레이 노드 4가 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릴레이 노드 3에 캐싱된 패킷 1, 2는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의해 사용자에 재송신될 필요가 있다. 재송신될 패킷을 앵커 노드에 알리기 위해, 릴레이 노드 2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이 1과 2임을 릴레이 노드 1에 알릴 것이다(이는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단계 1의 메시지 1에 포함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와 동일함).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후, 릴레이 노드 1은 재송신될 패킷의 정보를 자신의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할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예에서, 릴레이 노드 1은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는 릴레이 노드 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으로 단순히 포워딩하고, 마찬가지로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정보를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데이터 패킷 1, 2를 사용자에 재송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전히 도 4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도 4와의 차이점은 릴레이 노드 1에 캐싱된 데이터 패킷이 1, 5, 6 및 7이라는 것이다. 릴레이 노드 2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이 1과 2임을 릴레이 노드 1에 알린다(이는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단계 1의 메시지 1에 포함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와 동일함).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후, 릴레이 노드 1은 캐시에 여전히 데이터 패킷 1이 있음을 발견하고, 릴레이 노드 1에 의해 앵커 노드로 송신된 메시지는 재송신될 패킷이 패킷 2임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되는 메시지는 패킷 2로서 재송신될 패킷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으로, 앵커 노드는 패킷 2를 재송신하고, 릴레이 노드 1은 패킷 1을 재송신한다.
무선 링크 중단의 경우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통신을 위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사이에는 2개의 경로가 설정되며, 경로 1은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 릴레이 노드 1 → 릴레이 노드 2 → 릴레이 노드 3 → 사용자이고, 경로 2는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 릴레이 노드 4 → 릴레이 노드 5 → 릴레이 노드 3 → 사용자이다. 경로 1에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데이터 패킷 1~10을 송신했고, 데이터 패킷 8, 9, 10은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캐싱되고, 데이터 패킷 5, 6 및 7은 릴레이 노드 1에 캐싱되고, 데이터 패킷 3, 4는 릴레이 노드 2에 캐싱되며, 패킷 1, 2는 릴레이 노드 1에 캐싱된다. 앵커 노드는 경로 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사용자에 송신하지 않는다. 경로 1에서 릴레이 노드 1과 릴레이 노드 2 사이의 링크가 중단될 때, 앵커 노드는 경로 2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 1은 재송신될 패킷이 5, 6, 7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으로 송신할 수 있다(이러한 메시지는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단계 1의 메시지 1과 동일하고, 포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와 동일함). 메시지 1을 수신한 후,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메시지 1이 업데이트될 필요가 없음을 발견한 다음, 메시지 1을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포워딩한다. 앵커 노드는 경로 2를 통해 데이터 패킷 5, 6 및 7을 사용자에 송신할 것이다. 더욱이, 릴레이 노드 1은 메시지 1에서 다음 홉 노드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1, 2, 3, 4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데이터 패킷 1, 2, 3, 4는 또한 재송신될 패킷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앵커 노드는 또한 데이터 패킷 1, 2, 3 및 4를 재송신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정의된 메시지는 재송신될 패킷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에 대해 주로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된 메시지(예컨대, 메시지 1/2/3)에 포함된 내용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기 위한 판단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사용을 가질 수 있다.
1. 메시지 1에 포함된 정보의 다른 사용의 예:
● 예 1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무선 링크 중단/재개의 인디케이션
■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중단/재개의 인디케이션
■ 상술한 "무선 링크 중단/재개" 및/또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중단/재개"가 발생하는 링크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무선 링크 중단/재개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채널 품질이 양호해 졌음), 또한 상술한 중단/재개가 무선 링크의 업링크 또는 무선 링크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를 지칭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중단/재개가 발생한 무선 링크(예컨대, 두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노드의 가능한 동작 중 하나는 상술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 송신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사용자와의 다른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사용자는 릴레이 노드 또는 최종 사용자일 수 있음).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이미 설정된 다른 링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사용자는 릴레이 노드 또는 최종 사용자일 수 있음)와 통신한다.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적은 무선 링크의 상태를 다른 노드에 통지하고, 또한 사용자와 통신하여 링크를 변경하는 것이다(사용자는 릴레이 노드 또는 최종 사용자일 수 있음).
● 예 2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
■ 데이터 송신이 중지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더욱이, 인디케이션 정보는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데이터가 속하는 베어러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노드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인디케이션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노드 1은 상술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노드 2에 송신한다. 노드 1은 다른 노드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도록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후에 이러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노드 1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링크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할 때 이러한 인디케이션을 송신할 수 있거나, 노드 1은 이용 가능한 캐시가 없을 때 이러한 인디케이션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목적은 다른 노드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송신을 줄이는 것이다.
● 예 3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송신 노드에서 이용 가능한 캐시의 크기 정보(이용 가능한 캐시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하나의 사용자의 하나의 베어러 또는 전체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 수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에 의해 예상된 속도 정보(속도 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또는 하나의 사용자의 하나의 베어러 또는 전체 노드에 대한 것일 수 있음)
노드 1에 의해 노드 2로 송신된 메시지 1이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노드 2는 이용 가능한 캐시의 상술한 크기 정보에 따라 노드 1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 2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술한 속도 정보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노드 1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결정한다. 이러한 두 정보의 부분의 목적은 수신 노드가 데이터 송신의 수와 속도를 제어하여 노드의 혼잡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 예 4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
■ 송신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 정보, 예를 들어,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은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이며; 더욱이,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노드 1에 의해 노드 2에 송신된 메시지 1이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노드 2는 노드 1에 송신된 데이터가 모두 노드 1에 의해 캐싱되는지, 이의 일부만 캐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 2는 노드 1에 송신된 데이터가 노드 1에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의 목적은 수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 노드에 송신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 예 5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수신 노드가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 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이며,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각각의 다른 노드에 의해 보고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이며,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노드 1에 의해 노드 2로 송신된 메시지 1이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수신 노드가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및/또는 "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가 포함될 때, 노드 2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보고를 수행하고, 보고는 노드 2가 정보를 다른 노드에 송신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및/또는 "각각의 다른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가 포함될 때, 노드 2가 상술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노드인 경우, 노드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보고를 수행하고, 보고는 노드 2가 정보를 다른 노드에 송신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노드는 보고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며, 추가로 노드는 수신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의 목적은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보고를 수행하도록 수신 노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 예 6 - 메시지 1은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수신 노드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노드 1에 의해 노드 2로 송신된 메시지 1이 상술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 노드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때, 일 실시예에서, 수신 노드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도록 나타내어지는 경우, 수신 노드는 데이터를 캐시에 계속 저장하거나, 수신 노드는 캐시내의 데이터가 재송신될 필요가 없다고 간주할 것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노드가 사용자를 서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경우, 수신 노드는 캐시내의 데이터를 삭제할 것이나, 수신 노드는 캐시 내의 데이터가 재송신될 필요가 있다고 간주할 것이며, 더욱이, 수신 노드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다른 노드로 송신할 것이고, 또한, 수신 노드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다른 노드에 알릴 것이다.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및/또는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이 포함되는 경우, 수신 노드는 사용자를 계속 서빙할지를 판단하고, (캐시에서 관련 데이터를 삭제하고, 캐시에서 관련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판단 결과에 따라 캐싱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거나, 재송신될 데이터의 보고를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후, 노드 2는 이를 다른 노드로 송신한다. 상술한 정보의 목적은 수신 노드가 (캐시에서 관련 데이터를 삭제하고, 캐시에서 관련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캐싱된 데이터의 처리를 결정하거나 재송신될 데이터의 보고를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다.
2. 메시지 2에 포함된 정보의 다른 사용의 예:
● 예 7 - 메시지 2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수신 노드가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 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이며,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 각각의 다른 노드에 의해 보고된 데이터와 관련된 상술한 정보가 지칭하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이며,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타입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 수신 노드의 동작은 예 5를 지칭할 수 있고; 예 7 - 메시지 2는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
■ 데이터 송신이 중지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이며, 또한, 인디케이션 정보는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중지 송신이 속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데이터가 속하는 베어러의 식별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한 노드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낼 수 있다.
수신 노드의 동작은 예 2를 지칭할 수 있다:
● 예 8 - 메시지 2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수신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 예를 들어,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은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나타내어진 캐시 정책은 다른 노드가 수신된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노드가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거나, 또한 노드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에 수신되고 올바르게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은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베어러의 식별, 또는 정책이 지칭하는 사용자의 식별 및 베어러의 식별을 더 나타낼 수 있다.
노드 3에 의해 노드 1로 송신된 메시지 2가 "수신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노드 1은 상술한 설정 정보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메시지 2가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노드 1은 다른 노드의 캐시 정책 정보를 획득하여, 관련 데이터의 송신 또는 캐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가 다른 노드가 노드 1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캐싱할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노드 1은 송신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후, 노드 1은 정보를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의 목적은 수신 노드가 데이터를 송신 노드로 송신하거나 캐싱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돕는 것이다.
● 예 9 - 메시지 2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수신 노드가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를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수신 노드의 동작은 예 6을 지칭할 수 있다.
3. 메시지 3에 포함된 정보의 다른 사용과 메시지 3의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의 예는 예 1~6을 지칭할 수 있다.
4. 상술한 메시지 1/2/3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 패킷 타입: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캐싱된 패킷, 손실된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또는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정보는 주로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정보는 또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서 이미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삭제하여, 더 많은 캐시를 해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다른 노드에 의해 캐싱되지 않고 노드에 의해 이미 캐싱되는 데이터 패킷을 다른 노드로 송신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노드가 상술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캐싱한 경우에 상술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캐싱하지 않은 경우에, 노드는 상술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상술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데이터 패킷이 송신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다른 노드에 알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캐싱된 패킷을 갖지 않음을 다른 노드에 알릴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노드가 상술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캐싱한 경우에 상술한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가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캐싱하지 않은 경우에 노드는 상술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캐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는 상술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 포워딩할 수 있다.
■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가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는, 일 실시예에서,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는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재송신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양태는 3개의 노드, 즉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및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되는 릴레이 노드를 포함한다. 3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는 본 개시의 제1 양태에서 정의된 노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되는 릴레이 노드는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릴레이 노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의해 액세스된 릴레이 노드로 송신된 사용자의 데이터 패킷은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 사이의 링크(Link 1) 상에서 손실될 수 있거나, 또한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과 릴레이 노드 사이의 링크(링크 2) 상에서 손실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데이터 패킷은 하나의 사용자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일 수 있거나, 하나의 노드에 대한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기존 메커니즘에 따르면,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제1 메시지에 의해 손실된 데이터 패킷(예컨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에 대해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는 또한 제2 메시지에 의해 손실된 데이터 패킷(예컨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식별 정보)에 대해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알릴 수 있다. 릴레이 노드와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이 서로 보고되는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두 노드가 동일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보고하는 경우,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두 노드의 보고를 각각 수신한 후에 손실된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할 것이다. 이러한 반복된 재송신은 네트워크의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능한 한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방법 1: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설정 정보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송신하고, 설정 정보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손실된 패킷이 보고가 중지됨을 나타내는 정보; 및
■ 상술한 중지된 보고가 지칭하는 사용자 무선 베어러의 식별 정보.
정보를 수신한 후,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더 이상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에 보고하지 않는다.
■ 방법 2: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보고된 정보에 따라 릴레이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수정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이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손실된 데이터 패킷(예컨대,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과 관련된 정보가 제1 메시지에서의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되었음을 발견하면,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수신된 제2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음으로써, 제1 메시지에서 보고된 손실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더 이상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1, 2, 3이고, 시퀀스 번호 1, 2가 제1 메시지에 보고된 경우,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제2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손실된 패킷 시퀀스 번호 1,2를 더 이상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 방법 3: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캐싱된 데이터 패킷에 따라 릴레이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보고된 메시지는 최종적으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될 것임), 릴레이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제2 메시지에서 보고된 손실 데이터 패킷이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서 캐싱되었음을 발견하는 경우,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수신된 제2 메시지를 수정하여,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서 이미 캐싱된 데이터를 손실된 데이터 패킷으로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1, 2, 3이고, 데이터 패킷 1 및 2가 이미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서 캐싱된 경우,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제2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고,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 3만을 보고할 수 있으며, 데이터 패킷 1 및 2는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재송신될 수 있다.
■ 방법 4: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인디케이션 정보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송신하며, 인디케이션 정보는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에 의해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인디케이션 정보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으로 송신한다. 특히, 다음의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 단계 a1: 릴레이 노드는 제2 메시지를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으로 송신하며, 메시지는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 단계 a2: 앵커 노드의 중앙 유닛은 데이터 패킷의 재송신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으로 송신하며, 메시지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 시퀀스 번호는 단계 a1에서 수신된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손실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일 수 있거나, 제2 메시지에 나타내어진 손실된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새로운 시퀀스 번호일 수 있고;
◆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이전의 시퀀스 번호;
◆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새로운 시퀀스 번호, 시퀀스 번호를 수신한 후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일 실시예에서, 시퀀스 번호에 따라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찾아서 재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상술한 이전의 시퀀스 번호에 따라 캐싱된 데이터 패킷을 찾은 다음, 새로운 시퀀스 번호를 데이터 패킷에 추가한 후,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으며;
■ 단계 a3: 앵커 노드의 분산 유닛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한다.
상술한 단계에서, 단계 a1은 선택적 단계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송신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장치(700)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제2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700)는 수신 유닛(710), 결정 유닛(720) 및 재송신 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700)에서, 수신 유닛(710)은 제1 노드(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의 캐싱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의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 패킷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 유닛(720)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송신 유닛(730)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710)은 하나 이상의 노드(예를 들어, 제1 노드와 다른 릴레이 노드)에 의해 순차적으로 포워딩되는 제1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수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송신 장치(800)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데이터 재송신 장치(800)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제1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재송신을 위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 및 송신하거나 다른 릴레이 노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재송신 장치(800)는 획득 유닛(810) 및 송신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재송신 장치(800)는 수신 유닛(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800)에서 획득 유닛(810)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810)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로컬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장치(800)는 획득 유닛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획득된 정보에 따라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송신 유닛(820)은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제2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800)에서, 송신 유닛(820)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는 재송신될 데이터 패킷, 재송신되지 않을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의 캐싱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에서의 캐싱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사용자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 제1 노드의 다음 홉 노드에 성공적으로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손실된 패킷 및 손실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800)에서, 수신 유닛(830)은 데이터 재송신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메시지는, 장치가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보고할 필요가 있는 다른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장치가 데이터 송신을 중지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장치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캐싱하는 정책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제1 노드가 계속 서빙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계속 서빙하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사용자를 더 이상 서빙하지 않는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 및 제1 노드가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9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900)는 ROM(read only memory)(9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부(908)로부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903)에 적재된(loaded)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적절한 동작 및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처리 유닛(CPU)(901)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9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또한 RAM(903)에 저장된다. 처리 유닛(901), ROM(902) 및 RAM(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905)는 또한 버스(904)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의 구성 요소: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906); 예를 들어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907);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부(908); 및 LAN 카드,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하는 통신부(909)는 I/O 인터페이스(905)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909)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드라이버(910)는 또한 필요에 따라 I/O 인터페이스(905)에 연결될 수 있다.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이동식 매체(911)는 필요에 따라 드라이버(910)에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그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저장부(908)에 설치된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도면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반송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명령어는 통신부(909)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설치될 수 있고/있거나, 이동식 매체(911)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명령어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901)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통신 시스템의 제1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3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IAB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는, IAB 네트워크의 도너(donor) 중앙 유닛(CU: central unit)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백홀 경로 상의 다음 홉 노드(next hop node)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노드.
  6. 통신 시스템의 제2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는 제3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IAB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노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는, IAB 네트워크의 도너(donor) 중앙 유닛(CU: central unit)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노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백홀 경로 상의 다음 홉 노드(next hop node)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노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노드.
  11. 통신 시스템의 제3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는, IAB 네트워크의 도너(donor) 중앙 유닛(CU: central unit)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노드.
  13. 통신 시스템의 제1 노드의 방법에 있어서,
    제3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통신 시스템의 제2 노드의 방법에 있어서,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는 제3 노드로부터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통신 시스템의 제3 노드의 방법에 있어서,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노드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사용 가능한 버퍼 크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노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01616A 2018-08-09 2019-08-09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465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08378 2018-08-09
CN201810908378.X 2018-08-09
CN201910116831.8 2019-02-14
CN201910116831.8A CN110830182B (zh) 2018-08-09 2019-02-14 数据重传的方法和装置
PCT/KR2019/010121 WO2020032718A1 (en) 2018-08-09 2019-08-09 A method and a device for data re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937A true KR20210030937A (ko) 2021-03-18
KR102465917B1 KR102465917B1 (ko) 2022-11-10

Family

ID=6954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616A KR102465917B1 (ko) 2018-08-09 2019-08-09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89356B2 (ko)
EP (1) EP3811540A4 (ko)
KR (1) KR102465917B1 (ko)
CN (1) CN110830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2898B (zh) * 2018-10-19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处理方法和装置
US20220159768A1 (en) * 2019-02-25 2022-05-19 Apple Inc. Uplink (ul) retransmission and radio link failure (rlf) recovery in a multi-hop relay network
CN113872735B (zh) * 2020-06-30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5846A1 (en) * 2006-09-20 2010-07-01 Takao Yamaguchi Replay transmission device and replay transmission method
KR20110120828A (ko) * 2010-04-29 2011-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80022699A (ko) * 2015-06-30 2018-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백홀 네트워크들에서의 트래픽 플로우 이전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273A (ja) * 2002-04-08 2003-10-24 Rikogaku Shinkokai パケット中継装置、パケット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パケット中継方法
US7730196B2 (en) * 2004-12-03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transfer of messages using reliable messaging protocols for web services
CN1801687B (zh) * 2005-09-08 2013-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非应答机制的数据帧重传方法和系统
KR100982688B1 (ko) * 2006-09-13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홉 단위 재전송을 적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패킷 버퍼링 장치 및 방법
WO2009031866A2 (en) * 2007-09-08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e to response of retransmission in a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7044B1 (ko) 2008-06-25 2016-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어 엔티티의 전송 상태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유닛 재전송 방법
US8306061B2 (en) 2008-06-25 2012-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transmitting data unit using delivery status information
GB0813476D0 (en) 2008-07-23 2008-08-27 Vodafone Plc Relay connectivity
US20110261747A1 (en) * 2010-04-02 2011-10-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via a relay node
JP5488944B2 (ja) 2010-06-17 2014-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リソース割当ての制御方法
CN101931517B (zh) * 2010-08-12 2012-12-26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混合自动重传请求的自适应中继和速率选择方法
KR101796271B1 (ko) * 2011-04-27 2017-11-10 주식회사 팬택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US20130210471A1 (en) * 2012-02-10 2013-08-15 Cc Technologies Inc. Short range and low frequency text messaging system
CN103379651B (zh) * 2012-04-13 2016-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CN102685780B (zh) * 2012-05-16 2015-02-04 姚国良 一种无线传感器网络信道接入和批量数据传输方法
WO2014000172A1 (en) * 2012-06-27 2014-01-03 Qualcomm Incorporated Low overhead and highly robust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9049233B2 (en) * 2012-10-05 2015-06-02 Cisco Technology, Inc. MPLS segment-routing
CN103781123B (zh) * 2012-10-25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缓存状态报告发送与接收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9674098B2 (en) * 2013-07-02 2017-06-06 Intel Corporation Credit flow control for ethernet
US20150133122A1 (en) * 2013-11-08 2015-05-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3647722B (zh) * 2013-11-19 2018-05-04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信誉的链路拥塞控制方法
CN104270324B (zh) * 2014-10-16 2017-06-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适用于受限卫星网络的拥塞控制方法
US10069727B2 (en) * 2015-04-17 2018-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acket retransmission processing
US9918252B2 (en) * 2015-05-15 2018-03-13 Mediatek Inc. Rate adaptation for LTE-WLAN aggregation
US10517051B2 (en) 2016-03-09 2019-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7196085A2 (ko) 2016-05-11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해 하향링크 방송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8282825B (zh) 2017-01-05 2019-12-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0461021B (zh) * 2018-02-13 2020-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度请求取消方法及设备
CN110312285B (zh) * 2018-03-27 2023-0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US10785699B2 (en) * 2018-03-28 2020-09-22 Apple Inc. Next generation node-B (GNB)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relay in new radio (NR) networks
US11064417B2 (en) * 2018-05-10 2021-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oS and hop-aware adaptation layer for multi-hop integrated access backhaul system
US10827547B2 (en) * 2018-05-11 2020-1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and measurements for integrated access backhau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0636555B (zh) * 2018-06-21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调度的方法及装置
WO2019241958A1 (zh) * 2018-06-21 2019-1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令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0636628B (zh) * 2018-06-21 2023-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1109399B2 (en) * 2018-06-29 2021-08-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hop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s
US20200037200A1 (en) * 2018-07-25 2020-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ing by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32129A1 (ja) * 2018-08-08 2020-02-13 京セラ株式会社 中継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5846A1 (en) * 2006-09-20 2010-07-01 Takao Yamaguchi Replay transmission device and replay transmission method
KR20110120828A (ko) * 2010-04-29 2011-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80022699A (ko) * 2015-06-30 2018-03-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백홀 네트워크들에서의 트래픽 플로우 이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6126* *
3GPP R2-18103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0182A (zh) 2020-02-21
EP3811540A1 (en) 2021-04-28
US11889356B2 (en) 2024-01-30
EP3811540A4 (en) 2021-09-15
CN110830182B (zh) 2023-08-01
US20210184994A1 (en) 2021-06-17
KR102465917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811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fronthaul interface,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for a U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for a UE, data forward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116533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 entities in cloud LAN environment
KR102615567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202869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outing data packet, an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ata packet transmission
US202202484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heterogeneous network
CN116528402A (zh) 用于管理会话以改变用户平面功能的方法和装置
US11470658B2 (en) Method for data offloading, method for DRB identifier allocating, method for resource releasing, and device
CN113228734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流量控制的方法和装置
CN112005566A (zh) 5g无线网络系统中超可靠服务冗余传输的方法和装置
KR102465917B1 (ko) 데이터 재송신 방법 및 장치
US118773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199541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GB2554661A (en) HARQ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US202302840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511868A (ja) Rrc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装置、端末デバイス、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US20240129802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data retransmission
KR1025254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30403625A1 (en) A data packet transmission mechanism and device
US202103294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cket deletion on basis of lower layer transmission result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55717A (ko)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노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