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83A -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83A
KR20210030183A KR1020190146205A KR20190146205A KR20210030183A KR 20210030183 A KR20210030183 A KR 20210030183A KR 1020190146205 A KR1020190146205 A KR 1020190146205A KR 20190146205 A KR20190146205 A KR 20190146205A KR 20210030183 A KR20210030183 A KR 20210030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drone
management server
venue
r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filed Critical 최성호
Publication of KR2021003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사장에서 사용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스의 필요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담당자와 관리자간의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장의 혼잡 지역을 확인하여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행사장의 이동 경로의 혼잡도를 파악하여 행사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드론; 및 행사장의 행사 진행을 관리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center using drone}
본 발명은 행사장에서 사용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스의 필요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담당자와 관리자간의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장의 혼잡 지역을 확인하여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행사장의 이동 경로의 혼잡도를 파악하여 행사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이 밀집하는 공공장소(예컨대, 전시장, 놀이공원, 회의장, 세미나장, 컨벤션센터, 박물관 등)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는 폐쇄된(예컨대, 입구 및/또는 출구가 구비된) 일정영역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쇄성과, 동일한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밀집하는 집중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폐쇄성과 집중성 등에 의해 상기 대중이 밀집하는 공공장소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는 기업 입장에서 자사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홍보를 특정 관심사를 갖는 그룹에게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순기능과, 상기 특정장소에 방문한 방문객(예컨대, 고객, 또는 바이어)에게 자사 제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판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순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특정 장소에 방문한 방문객 역시 상기 특정 장소에 방문한 다른 사람과 같은 관심사를 공유하거나 상호 교환할 수 있는 순기능과, 상기 관심사에 대한 최근동향을 확인하고 신제품을 즉시 구매하거나 구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순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대중이 밀집하는 공공장소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에서 기업들은 자사 제품을 홍보하기 위하여 부스라고 불리는 구획된 구역을 할당받게 되는데, 이러한 구획된 구역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08-00054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스의 필요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담당자와 관리자간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장의 혼잡 지역을 확인하여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행사장의 이동 경로의 혼잡도를 파악하여 행사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드론; 및 행사장의 행사 진행을 관리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스의 필요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담당자와 관리자간의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장의 혼잡 지역을 확인하여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행사장의 이동 경로의 혼잡도를 파악하여 행사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 진행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장 임대 배정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행사장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상담, 행사장 임대 견적서 요청, 신청 및 계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와 행사 진행 관리 서버 간의 실시간 연동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가 정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협력업체 담당자가 작업 및 설치 신고서를 작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차로 구역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에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용되는 교차로 구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들의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관리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100), 협력업체 단말기(102),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 세팅업체(132), 방제실(134), 다수의 카메라(136), 다수의 드론(138), 회계서버(140),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서버(142)를 포함한다.
먼저, 고객 단말기(100)는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PC, 이동 단말기, PDA 등과 같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행사를 계약하고자 하는 계약자는 이러한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여 행사장 임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의 접속은 인터넷 망(104)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계약자는 고객 단말기(100)에 행사장 진행을 위한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여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고, 회원가입을 하여 계약자 정보를 등록한다. 이후, 계약자는 회원가입 시 등록한 로그인(login) 정보로 행사장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장 임대에 대한 상담, 견적요청, 신청, 계약할 수 있다.
또한,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협력업체 담당자가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PC, 이동 단말기, PDA 등과 같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협력업체 담당자는 이러한 협력업체 단말기(102)를 통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여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작업신고서, 설치 신고서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의 접속은 고객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망(110)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접속할 수 있다.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와 연결되고, 고객 단말기(100)와 협력업체 단말기(102)로부터 소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해당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계약자와 협력업체가 회원가입 시 등록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인 정보에 따라 계약자 또는 협력업체의 접속을 확인한다. 즉, 일반 계약자들과 같은 고객들의 그룹인 고객 관리군과 협력 업체들의 그룹인 협력 업체 관리군을 구분시켜 저장한다. 이와 같이 고객 관리군과 협력 업체를 별도로 구분하는 이유는 동일한 행사장 홈페이지에 접속하더라도 고객이 접속했는지 협력 업체가 접속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메뉴 항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일반 고객이 접속한 경우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행사장 견적요청, 신청, 계약과 같은 임대 관련된 메뉴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협력 업체가 접속한 경우에는 작업 신고서 및 설치신고서 등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계약자로부터 견적 요청, 신청, 계약과 같은 요청이 있을 시에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이러한 사항을 전달하고,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행사일정과 같은 임대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동한다. 또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행사업체로부터 작업 신고서 또는 설치 신고서 등록 요청이 있으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이러한 사항을 전달한다.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행사장 임대에 관련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행사장 임대 관리 시 필요한 데이터 또는 행사장 임대 관리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면,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첫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전시장 및 회의실과 같은 행사장 임대에 대한 상담, 견적, 신청 계약 관리 기능을 가진다.
먼저, 상담 관리 기능이란, 소정의 계약자가 행사장 임대를 위한 문의 및 문의에 대한 관리자의 답변, 고려사항과 같은 상담에 관련된 모든 상담 내역을 관리하는 기능이다. 또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이러한 상담 관리에 필요한 상담 내역을 계약자별 또는 행사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견적 관리 기능이란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가 계약자로부터 소정의 행사장에 대한 견적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에 따라 임대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견적서를 작성하는 기능이다. 이때, 상기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는 전시장 및 회의실에 대한 요율표, 단가와 같은 임대료 산정에 필요한 정보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견적서 요청에 따른 견적서 작성 시 임대하고자 하는 행사장 임대료를 이와 같이 저장된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산정하여 관리자가 일일이 임대료를 계산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작성된 견적서는 견적을 요청한 계약자에게 이메일 전송과 같은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전송과 함께 견적서가 이메일로 발송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계약자가 미리 설정한 SMS로 발송됨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요청된 행사장 견적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에 따라 임대료를 자동으로 생성할 시 예외 임대 조건에 대한 반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예외 임대 조건의 예로는 규모할인, 월별할인 등과 같은 조건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신청 관리 기능이란 계약자에 의해 소정의 견적서에 포함된 행사장을 신청 요청이 있는 경우 신청 처리 및 신청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이다.
또한, 계약 관리 기능이란 소정 계약서에 대해여 계약자로부터 계약 동의가 있는 경우 해당 행사장에 대한 임대 계약 처리 및 계약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이다. 만약, 소정의 행사장 계약이 완료되면, 실시간으로 계약된 행사장 임대 계약 정보를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임대 일정 관리 기능을 가진다. 임대 일정 관리 기능이란 계약된 행사장에 대하여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와 실시간 연동하여 홈페이지에 행사 일정을 표시하도록 관리하는 기능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홈페이지 주최자 임대신청과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의 임대관리 정보가 실시간으로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의 임대관리에 의해 홈페이지 행사일정이 실시간 연동되도록 한다.
세 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임대 현황 관리 기능을 가진다. 임대 현황 관리 기능이란 행사장 임대 상황을 실시간으로 행사장 임대 배정판에 반영시켜 관리자가 임대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임대 현황 관리를 위해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행사장 임대 배정판을 기간별로 표시하고, 임대 단계별로 차별화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기능과 내부행사, 내부임대 업체 임대 배정 구분을 별도로 관리한다.
이와 같은 임대 현황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행사장 임대 배정판을 구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은 행사장 임대 배정판은 행사장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행사장 임대 배정판은 도 4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행사장 임대 배정판은 기간별로 행사장 각각에 대하여 가예약, 견적완료, 신청접수, 신청 승인, 계약완료 상황과 같이 임대 단계별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임대 단계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의실에 대해서는 전시홀과 같이 기간별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날짜별 시간대로 가예약, 견적완료, 신청접수, 신청 승인, 계약완료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행사장 임대 배정판은 내부 행사, 내부 행사업체 임대 배정 구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네 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주최자 고객 정보 관리 기능을 가진다. 주최자 고객 정보 관리 기능 이란 주최자 고객 접촉 이력 정보 관리와 홈페이지 주최자 회원 승인 및 고객 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다섯 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임대 정산 관리 기능을 가진다. 임대 정산 관리 기능이란 계약된 행사장에 대한 임대료 및 추가 임대에 따른 비용을 납부하였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기능이다.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회계 서버(140)로부터 계약자에 의해 행사장 임대료 정산 정보가 제공되면, 계약자별로 행사장 임대료 정산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여섯 번째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임대현황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임대현황 통계정보 제공 기능이란 전시장/회의실 계약일반, 할인현황, 납부현황, 행사 분야별, 전시장/회의실별 가동율, 기간별 가동율 등과 같은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통계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는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에서 상기에서 기술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와 행사장 임대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의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진행을 담당하는 홀 매니저와 룸 매니저와 같은 행사 지원 매니저들이 관리하는 서버로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부터 행사 계약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한다.
그러면, 행사 지원 매니저들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를 통해 행사 계약 정보를 확인하여 행사 진행을 위한 업체들에게 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를 구비하여 행사에 대한 임대 담당자와 행사 지원 담당자 간의 유기적인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행사지원 요청에 대한 신속한 접수 및 처리 결과 통보를 통해 고객 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 지원 및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이력관리를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해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 부스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136)을 통하여 행사장 부스의 치안 상태 등을 파악하거나, 다수의 드론(138)을 행사장 부스로 출동시켜 행사장 부스를 드론(138)에 구비된 드론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여 행사장 부스의 치안 상태를 파악하여 행사 지원 매니저들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의 교차로 구역등을 다수의 카메라(136)를 사용하여 감시하여 혼잡도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혼잡도가 일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드론(138)을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한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의 부스에서 드론 호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드론을 해당 행사장의 부스로 출동시킨다.
이때, 행사장의 부스에서는 필요한 부품을 요청할 수 있으며,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드론이 요청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에 더해서 행사장 부스에 도달한 드론(138)은 행사장의 행사자가 발성하는 음성을 음성 인식 기술로 인식하여 행사자가 요청하는 부품을 파악한 후에 해당 부품을 행사장 부스로 운반한다.
이러한 드론을 이동시킬 때에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다수의 카메라(136)를 이용하여 행사장의 이동 경로들을 촬영하여 혼잡도가 최소인 경로를 통하여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행사에 피해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첫번째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 진행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행사 진행 관리 기능이란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부터 계약된 행사장에 대한 행사장 임대 계약 정보가 수신되고, 행사 지원 매니저들로부터 행사 진행에 필요한 기관 즉, 셋팅업체(132)와 방제실(134)로 업무 지시 요구가 있으면, 해당 기관으로 업무 지시를 전달하는 기능이다. 이때, 셋팅업체(132)와 방제실(134)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와의 임대 배정 행사일정 정보 연계를 통한 홀 매니저와 룸 매니저와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게 하고, 행사 지원 상황에 따라 행사 정보를 관리한다. 본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셋팅업체를 두어 세팅지시를 세팅업체로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셋팅업체 대신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사업체 내부에 셋팅 담당자에게 세팅지시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 종료 후 사후 정산 정보를 행사 임대 관리 서버(120)로 제공한다.
두 번째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 지원 이력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행사 지원 이력 관리 기능으로는 전시장 또는 회의실 행사에 대한 지원 이력을 관리하는 기능이다.
먼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의 전시장 행사 지원 이력 관리로는 행사 협력업체, 신청정보, 부대시설 사용정보, 전시장 유틸리티(Utility) 작업 지시와 같은 행사지원 관련 정보들에 대한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전시 행사 종료 후에는 전시장 유틸리티 항목별 사용량 및 사용료 등의 관리비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의 회의실 행사 지원 이력 관리로는 회의실 룸 세팅 지시, 룸 유틸리티 작업 지시와 같은 행사 지원 관련 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회의실 룸 세팅 지시서에 대한 세팅업체와 정보 공유를 통한 효율적인 행사를 지원한다.
세 번째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협력업체 신고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협력업체 신고서 관리 기능이란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를 통해 협력 업체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신고서, 설치 신고서를 협력 업체별로 각각 구분하여 관리하고, 해당 신고서를 승인 처리하는 기능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행사장 홈페이지를 통한 전시장 작업 신고서 양식 및 전시 부스 설치 신고서를 온라인 접수 및 승인 처리하는 쌍방향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네 번째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 서비스로는 전시장/회의실 룸 매니저들에 의한 작업지시서 설정 시 관련 담당자에게 SMS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행사지원 상황에 신속 대응을 위한 PDA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섯 번째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 부스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136)를 통하여 행사장 부스의 치안 상태 등을 파악하거나, 다수의 드론(138)을 행사장 부스로 출동시켜 행사장 부스를 드론(138)에 구비된 드론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여 행사장 부스의 치안 상태를 파악하여 행사 지원 매니저들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의 교차로 구역등을 다수의 카메라(136)를 사용하여 감시하여 혼잡도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혼잡도가 일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드론(138)을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한다.
또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장의 부스에서 드론 호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드론을 해당 행사장의 부스로 출동시킨다.
이때, 행사장의 부스에서는 필요한 부품을 요청할 수 있으며,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드론이 요청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이에 더해서 행사장 부스에 도달한 드론(138)은 행사장의 행사자가 발성하는 음성을 음성 인식 기술로 인식하여 행사자가 요청하는 부품을 파악한 후에 해당 부품을 행사장 부스로 운반한다.
이러한 드론을 이동시킬 때에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다수의 카메라(136)를 이용하여 행사장의 이동 경로들을 촬영하여 혼잡도가 최소인 경로를 통하여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행사에 피해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회계서버(14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계약금, 중도금, 잔금, 사후 정산 비용이 입금되면 납부정보를 행사임대 관리 서버(120)와 ERP 서버(142)로 제공한다.
ERP 서버(142)는 전사적 자원관리를 위한 서버로서 기업의 기간 업무인 회계, 인사, 재무 등을 비롯해 생산, 구매, 재고, 주문과 같은 업무를 돕는 통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ERP 서버(142)는 회계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행사별 계약금, 중도금, 잔금, 사후 정산 비용을 입금 처리한다.
그러면, 이제 상기의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에서 행사장임대와 운영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행사장을 계약하고자 하는 계약자가 고객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행사장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행사장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상담, 행사장 임대 견적서 요청, 신청 및 계약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500단계에서 고객으로부터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502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접속을 요청한다. 이때,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한 요청은 고객이 단말기를 통해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요청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도 함께 전송한다.
이후,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접속 요청에 따라 504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인 페이지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메인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 고객 단말기(100)는 506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고객은 행사장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표시되는 메인 페이지를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고객이 508단계에서 행사장 상담을 위한 상담 내용을 입력하면, 고객 단말기(100)는 510단계에서 상담 내용을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511단계에서 상담 내용을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512단계에서 해당 고객에 대한 상담 내용을 행사 상담 정보 항목에 등록한다. 이후, 행사장 임대 관리자가 이와 같이 등록된 상담 내용을 확인하여 행사 문의에 대한 답변을 상기 상담 내용에 관련시켜 등록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고객에 대한 모든 상담 정보가 계약자별로 분류되어 저장시켜 계약자의 상담 내역 히스토리(history) 확인이 필요할 시 모든 상담 내역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514단계에서 고객이 행사장 임대 견적서를 요청하기 위한 내용이 입력되는 경우 고객 단말기(100)는 516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입력된 내용의 행사장 임대 견적서를 요청한다. 그러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517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수신한 행사장 임대 견적서를 요청한다.
이후, 행사장 임대 견적서 요청을 수신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518단계에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임대료 산정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임대료를 자동 산정한다.
이후, 520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관리자에 의해 작성된 견적서를 해당 고객의 메일로 발송하고, SMS로 견적서가 발송되었음을 알린다. 즉, 관리자는 자동 산정된 임대료를 바탕으로 임대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일일이 임대료를 계산하지 않고도 쉽게 임대료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522단계에서 고객에 의해 행사장 임대 신청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고객 단말기(100)는 524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행사장 임대 신청을 요청한다. 이때, 행사장 임대 신청 요청은 상기에서 제공된 견적서대로 행사장을 임대하기 위한 신청이다. 행사장 임대 신청 요청을 수신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525단계에서 요청된 행사장 임대 신청을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요청한다.
이와 같은 행사장 임대 신청 요청이 있으면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526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신청 처리 및 신청 정보를 등록한 후 528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신청 결과를 전송한다. 이때, 행사장 임대 신청 결과는 SMS 또는 메일로 송부할 수 있다.
한편, 530단계에서 고객에 의해 행사장 임대 계약 요청이 있으면, 고객 단말기(100)는 532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로 행사장 임대 계약을 요청한다. 그러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533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행사장 임대 계약을 요청한다.
이후,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534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계약 처리 및 계약 정보를 등록하고, 536단계로 진행하여 계약된 행사장 정보를 임대 배정판과 행사 일정에 반영시키도록 임대 배정판과 행사 일정을 업데이트 한다.
이후, 538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해당 고객이 설정한 메일 또는 SMS로 행사장 임대 계약 결과를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행사 임대 관리자가 행사장의 견적에서 계약에 이르기까지 행사장의 임대 정보를 행사장 임대 배정판에 의해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약에 따른 납부 정보를 행사별로 집계하여 미납 및 납부금액을 행사장 임대 관리자가 종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행사장 임대를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도 5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고객이 소정의 행사장 임대 계약을 한 경우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계약된 행사 정보와 추가임대 정보 및 부대장비 임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행사장 임대 계약이 있으면, 602단계에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계약된 행사장 임대 계약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604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행사장 임대 정보에 따라 방제실(134)로 해당 행사장 작업을 지시하거나 세팅업체(132)로 행사를 위한 세팅을 지시한다. 이때,작업 지시 또는 세팅 지시는 지시서와 SMS로 송부될 수 있다.
한편, 606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계약된 행사장에 대하여 추가 임대 정보가 발생하면, 608단계에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추가 임대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610단계에서 추가 임대 정보에 따라 방제실(134)로 작업 지시 또는 세팅업체(132)로 세팅을 지시한다.
이후,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612단계에서 종료된 행사가 있다면 종료된 행사에 대해 정산을 하여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종료 행사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전송한다.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616단계에서 종료 행사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저장하고, 납부 여부를 관리한다.
즉,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행사 종료 후 사후 정산을 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정산을 완료한 후 자동으로 행사 임대 관리 서버(120)에 등록하여 관리자가 추가 정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대 후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 간의 실시간 연동하여 매니징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대여 장비의 관리 및 행사장 세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행사 지원 매니저와 방제실의 실시간적인 업무 협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행사장 추가 설비 및 예치금에 대한 사후 정산기능으로 관리자가 행사 계약자에게 행사에 대한 추가 납입을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메일이나 SMS 그리고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약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제 행사 계약자가 계약한 행사장에 대하여 계약금, 중도금, 잔금, 사후 정산 비용을 회계 서버(140)로 입금하면 회계 서버(140)와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가 연동하여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가 정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700단계에서 행사 계약자가 계약금, 중도금, 잔금, 사후 정산 비용을 회계 서버(140)로 입금하면 회계 서버(140)는 702단계에서 ERP 서버(142)로 해당 행사장에 대한 입금처리를 요청하고, 704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로 해당 행사장 임대에 대한 비용 납부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ERP 서버(142)는 706단계에서 해당 행사장 임대에 대한 입금을 처리한다.
또한, 708단계에서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120)는 수신한 납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행사장 임대에 대한 비용납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정산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에 따라 협력업체가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를 통해 각 행사에 대한 준비, 철거 기간을확인하고, 각 기간에 맞춰 작업 및 설치 신고서를 작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800단계에서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협력업체 담당자로부터 행사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 요청이 있으면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에 접속 요청하고,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는 803단계에서 협력업체를 위한 메인 페이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수신한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때, 협력업체 담당자에 의해 각 행사에 대한 준비, 철거 기간을 확인 요청이 있으면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상기 각 행사에 대한 준비, 철거 기간 정보인 행사 정보를 행사 홈페이지 서버(110)로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행사 홈페이지 서버(110)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를 통해 행사 정보를 제공받아 협력업체 단말기(102)로 제공한다. 그러면,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수신한 행사 정보를 표시하여 협력업체 담당자가 각 행사에 대한 준비, 철거 기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805단계에서 협력업체 단말기(102)는 협력업체 담당자로부터 작업 신고서 또는 설치 신고서 작성 및 등록 요청이 있으면 808단계 및 809단계에서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110)를 통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로 작업 신고서 또는 설치 신고서 등록을 요청한다.
그러면,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810단계에서 수신한 작업 신고서 또는 설치 신고서를 등록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차로 구역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에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 구역의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카메라(136)와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36)는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카메라(136)는 소정의 영역을 구석구석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소정의 영역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13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136)의 내부에는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기를 포함하며, 송신기기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36)는 통행자일 경우 통행자의 행동을 인식할 수 있는 RGB-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객체가 통행자일 경우 통행자의 행동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카메라(136)로부터 영상을 공급받아 영상에서 코너 구역과 코너 구역 내에서 통행자의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면서 통행자가 설정된 교차로 구역 내에서 배회하는 동안에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고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한 다수의 통행자들이 일정수 이상이 되면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드론을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한다.
이러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는 구역지정부(131), 제어부(133) 및 드론 출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역지정부(131)는 카메라(136)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경로가 교차하는 각각의 교차로 구역을 지정하여 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역지정부(131)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제공되는 영상에서 각각의 교차로 구역을 설정한 후 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구역지정부(131)로부터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통행자가 탐지되면, 통행자가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한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한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보다 크면 배회자로 계수하며, 계수된 배회자가 일정수( 여기에서 일정수는 각각의 행사장의 상태에 따라 다르면 일예로 10명일 수 있다)가 되면 드론 출동부(135)에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드론 출동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면, 드론 출동부(135)는 드론(138)을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들의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한 행사 진행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경로들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레이저나, 적외선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경로들을 통행하는 통행자들을 감지하는 통행자 감지부(1)와, 상기 감지된 통행자들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경로 감시용 카메라(2)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통행자들의 얼굴을 인식하는 영상처리부(3)와, 상기 판별된 통행자들의 얼굴을 소정 시간간격으로 촬영한 영상의 픽셀 수 데이터를 가지고 통행자들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4)와, 상기 속도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속도와 통행중인 이동 경로들의 혼잡도를 분석해주는 정보분석부(5)와, 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혼잡도를 이용하여 행사장 부스에서 부품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에 최소 혼잡도가 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 경로 설정부(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행자들을 감지하는 통행자 감지부(1)는 레이저나, 적외선센서 등 대상체와 접촉하지 않고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경로 감시용 카메라(2)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거나, 점점 짧은 시간간격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설정은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경로 감시용 카메라(2)는 고정된 것일 수도 있고, 통행자 주행방향으로 트래킹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통행자 주행방향으로 트래킹을 할 경우에는 통행자의 얼굴의 위치를 판별할 때 해당 트래킹에 따른 보정을 행하게 된다.
상기 정보분석부(5)는 상기 속도계산부(4)를 통해 계산된 속도와 이동 경로에 통행중인 통행자들의 혼잡도, 점유율등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소정의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통행자들은 일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통행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통행자의 속도를 근거로 소정 이동 경로의 혼잡도 및 교통량등을 알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즉, 통행자가 통행자 감지부(1)에 최초감지되는 시점과 마지막으로 감지되는 시점을 지나가면 이에 따른 통행자의 속도와 거리, 시간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동 경로의 혼잡도, 점유율등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이동 경로 설정부(6)로 제공한다.
그러면, 이동 경로 설정부(6)는 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혼잡도를 이용하여 행사장 부스에서 부품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에 최소 혼잡도가 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동 경로들에 있어 혼잡도가 높은 경우에 통행자들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이때 공중으로 드론이 부품을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 설정부(6)는 최소 혼잡도가 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행사 진행 관리 서버(130)의 제어부(133)는 드론을 행사장 부스로 출동시킬 때에 도 9에서 산출한 다수의 교차로 구역들중에서 구역지정부(131)로부터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통행자가 탐지되면, 통행자가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한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한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보다 크면 배회자로 계수하며, 계수된 배회자가 최소인 교차로 구역을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고객 단말기
102 : 협력업체 단말기
110 : 무선망
120 :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
122 : 행사장 임대 관리부
129 : 데이터베이스
130 : 행사 진행 관리 서버
132 : 세팅업체
134 : 방제실
140 : 회계 서버
142: ERP 서버

Claims (15)

  1. 다수의 드론; 및
    행사장의 행사 진행을 관리하는 행사 진행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용하여 행사장의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행사장 부스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을 통하여 행사장 부스를 촬영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론을 행사장 부스로 출동시켜 행사장 부스를 상기 드론에 구비된 드론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여 행사장 부스의 상황을 파악하여 행사 지원 매니저들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행사장의 교차로 구역을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하여 혼잡도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혼잡도가 일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상기 드론을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공급받아 영상에서 코너 구역과 코너 구역 내에서 통행자의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면서 통행자가 설정된 교차로 구역 내에서 배회하는 동안에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고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한 다수의 통행자들이 일정수 이상이 되면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드론을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을 통해 이동 경로가 교차하는 각각의 교차로 구역을 지정하여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구역 지정부;
    상기 구역지정부로부터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통행자가 탐지되면, 통행자가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한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한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보다 크면 배회자로 계수하며, 계수된 배회자가 일정수가 되면 하기의 드론 출동부에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드론 출동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드론을 해당 교차로 구역으로 출동시켜 다른 지역으로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멘트를 발성시키거나 드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통행자들의 이동을 요청하는 광고를 표시하는 드론 출동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을 행사장 부스로 출동시킬 때에 다수의 교차로 구역들중에서 상기 구역지정부로부터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통행자가 탐지되면, 통행자가 설정된 감시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한 배회값과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측정한 배회값이 배회 시간에 대한 임계값보다 크면 배회자로 계수하며, 계수된 배회자가 최소인 교차로 구역을 통과하여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행사장의 부스에서 드론 호출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드론을 해당 행사장의 부스로 출동시키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행사장의 부스에서는 부품 배달을 요청하면, 상기 드론이 요청한 부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행사장의 행사자가 발성하는 음성을 음성 인식 기술로 인식하여 행사자가 요청하는 부품을 파악한 후에 해당 부품을 행사장 부스로 운반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론을 이동시킬 때에 다수의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사장의 이동 경로들을 촬영하여 혼잡도가 최소인 경로를 통하여 상기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적외선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경로들을 통행하는 통행자들을 감지하는 통행자 감지부;
    상기 감지된 통행자들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다수의 경로 감시용 카메라;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통행자들의 얼굴을 인식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판별된 통행자들의 얼굴을 소정 시간간격으로 촬영한 영상의 픽셀 수 데이터를 가지고 통행자들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
    상기 속도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속도와 통행중인 이동 경로들의 혼잡도를 분석해주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혼잡도를 이용하여 행사장 부스에서 부품 배달 요청이 있는 경우에 최소 혼잡도가 되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이동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행사장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행사장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고객 단말기;
    행사장 임대를 관리하는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 및
    상기 행사장 홈페이지를 관리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행사장 관련 정보 요청이 있으면 상기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로 상기 행사장 관련 정보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행사장 홈페이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는 상기 행사장 관련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등록 및 처리하고, 상기 행사장 관련 정보 요청이 행사장 계약 요청인 경우 계약 정보를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행사 진행 관리 서버는 상기 계약 정보가 전달되면 행사진행 담당 매니저들에게 알리고, 상기 매니저들로부터 행사에 대해 연계된 기관으로 업무지시 요청이 있으면 해당 기관으로 업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장 관련 정보는,
    행사장 상담, 견적 요청, 신청, 계약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장 임대 관리 서버는,
    소정의 계약자가 행사장 임대를 위한 문의 및 문의에 대한 관리자의 답변, 고려사항과 같은 상담에 관련된 모든 상담 내역을 등록 관리하고, 상기 상담 내역을 행사별 또는 고객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KR1020190146205A 2019-09-09 2019-11-14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KR20210030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1634 2019-09-09
KR1020190111634 201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83A true KR20210030183A (ko) 2021-03-17

Family

ID=7524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205A KR20210030183A (ko) 2019-09-09 2019-11-14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4008A (zh) * 2024-01-16 2024-04-09 浙江威星电子系统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数字孪生的智慧运动场馆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467A (ko) 2007-11-05 2008-01-14 주식회사 골든오일 행사장 부스 배치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467A (ko) 2007-11-05 2008-01-14 주식회사 골든오일 행사장 부스 배치 운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4008A (zh) * 2024-01-16 2024-04-09 浙江威星电子系统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数字孪生的智慧运动场馆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420B1 (en) Facility and resource access system
US20210343166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llocate unmanned aircraft systems
KR101719712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Bohn et al. Benefits and barriers of construction project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automated cameras
US20150120388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10181139B2 (en) Automated workspace usage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20070083424A1 (en) Portal for secure validation of parking and integrated services
US20150170445A1 (en) Managing vehicle parking
KR101693354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WO2019005497A1 (en) INVENTORY MANAGEMENT AND PARKING RESERVATION SYSTEM FOR FLEXIBLE PARKING SUBSCRIPTIONS
KR102095412B1 (ko) 업무용 부동산 거래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415139A (zh) 智能物业管理系统及其方法、装置
KR20210030183A (ko) 드론을 이용한 행사장 관리 시스템
KR101631544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시스템
KR101878597B1 (ko) 회원의 출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90056345A (ko) 부동산 관련 매매/분양/임대정보 실시간 온라인서비스프랜차이즈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187419B1 (ko) 문화예술공연 및 이벤트 참여자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02342617A (ja) 建設支援システム
KR102257343B1 (ko)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방법 및 시설 관리 통합 운용 서비스 시스템
CN111582638B (zh) 一种房地产行销业务线上管理系统
KR100959617B1 (ko) 웹 브라우저 기반 전광판 시스템
CN111798339A (zh) 一种智能化物业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101828855B1 (ko) 분양 영업 관리 시스템
KR101516527B1 (ko) 부동산 거래를 위한 부동산 거래 서버, 부동산 거래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2433980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