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25A - 차량의 카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25A
KR20210030125A KR1020190111690A KR20190111690A KR20210030125A KR 20210030125 A KR20210030125 A KR 20210030125A KR 1020190111690 A KR1020190111690 A KR 1020190111690A KR 20190111690 A KR20190111690 A KR 20190111690A KR 20210030125 A KR20210030125 A KR 2021003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
cowl
rear member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125A/ko
Publication of KR2021003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윈드쉴드글라스 하측에 위치한 탑카울멤버와;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로어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탑카울멤버, 리어로어멤버, 및 프런트로어멤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포함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카울 구조 {COWL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 하측에 구비되는 카울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카울은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 하측에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강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의 하측으로 모이는 빗물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저서는 안 될 것이다.
KR20-1998-0021617 U
본 발명은 신규 차종의 생산 시에, 별도의 새로운 금형 개발 등을 요구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카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차종에 손쉽게 공용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규 차종 개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하고,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차량의 카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카울 구조는,
프론트윈드쉴드글라스 하측에 위치한 탑카울멤버와;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로어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탑카울멤버, 리어로어멤버, 및 프런트로어멤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포함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카울멤버는 상기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 하단의 형상에 따라 커브를 형성하면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탑카울멤버와 리어로어멤버 사이에는,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부와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부를 연결하여, 차체 전방의 엔진룸과 후방의 승객룸을 구획하는 어퍼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는 각각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의 사이에는,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프론트로어멤버를 연결하며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어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패널에는 차체의 중앙부로부터 양쪽 횡방향을 따라 유선형으로 하향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배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카울 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1단면 형상이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어로어멤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2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런트로어멤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3단면 형상으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에서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커브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탑카울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의 사이에는,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경사진 단면 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로어패널이,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프론트로어멤버를 연결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의 차량 횡방향을 따라 경사진 단면 형상은,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어판넬의 배수부 전방측은 적어도 2개의 평면이 상기 리어로어멤버에 면접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탑카울멤버는,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면과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면을 연결하는 어퍼패널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제1단면 형상과, 상기 프런트로어멤버의 제2단면 형상, 및 상기 탑카울멤버의 제3단면 형상은 모두 서로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제1단면 면적, 프런트로어멤버의 제2단면 면적, 및 탑카울멤버의 제3단면 면적은, 제1단면 면적 > 제2단면 면적 > 제3단면 면적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울 구조는 신규 차종의 생산 시에, 별도의 새로운 금형 개발 등을 요구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카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차종에 손쉽게 공용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규 차종 개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카울 구조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로어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카울 구조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곡선을 포함한 제 1단면 형상(A)이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리어로어멤버(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2단면 형상(B)을 가지고,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론트로어멤버(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3단면 형상(C)으로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상측에서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커브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탑카울멤버(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카울 구조는,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차체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프론트로어멤버(3) 및 탑카울멤버(5)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이들 멤버들의 길이와 상대적 위치의 조정에만 의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차종에 적합한 카울 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프론트로어멤버(3) 및 탑카울멤버(5)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하고 있어서, 마치 하나의 튜브 또는 중첩된 다수의 튜브들로 이루어진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어 스페이스프레임(SPACE ERAME)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카울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로운 차종에 적용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춤과 더불어, 자체적으로 매우 튼튼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리어로어멤버와(1)와 프론트로어멤버(3) 및 탑카울멤버(5)는 차체의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탑카울멤버(5)를 상측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의 트러스 구조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카울이 더울 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탑카울멤버(5)와 리어로어멤버(1) 사이에는, 상기 탑카울멤버(5)의 하측부와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상측부를 연결하여, 차체 전방의 엔진룸과 후방의 승객룸을 구획하는 어퍼패널(9)이 구비된다.
즉, 상기 어퍼패널(9)은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상측면과 상기 탑카울멤버(5)의 하측면을 연결하므로, 상기 탑카울멤버(5)와 같이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커브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어퍼패널(9)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탑카울멤버(5)와 리어로어멤버(1)를 면접촉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1)가 구비된다.
상기 어퍼패널(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플랜지(11)를 구비하여 상기 탑카울멤버(5)와 리어로어멤버(1)를 연결하는 단면형상이며, 상기 탑카울멤버(5)를 따라 차체의 횡방향 으로 커브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탑카울멤버(5)와 리어로어멤버(1)의 길이 변화에 대하여는, 상기 어퍼패널(9)이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탑카울멤버(5)와 리어로어멤버(1)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상하방향의 길이 변화에 대해서는, 상기 어퍼패널(9) 단면의 상하방향의 길이만 변경하면 되므로, 이종 차종에 적용하기 위한 카울의 변화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3)의 사이에는,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경사진 단면 형상의 배수부(13)를 포함하는 로어패널(15)이,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프론트로어멤버(3)를 연결하며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배수부(13)는 차체의 중앙으로부터 양쪽 횡방향을 따라 유선형으로 하향 경사진 면을 형성하여, 차체의 전방 특히, 상기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7)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 등을 용이하게 차체의 좌우 하측방향으로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패널의 배수부 전방측은 적어도 2개의 평면이 상기 리어로어멤버(1)에 면접촉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로어멤버의 상측에 걸쳐지면서 면접촉하는 제1평면(17)과 상기 프론트로어멤버(3)의 후방측에 면접촉하는 제2평면(19)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2평면(19)은 상기 배수부(13)의 벽면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 2개의 평면이 상기 리어로어멤버(1)에 면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는 로어패널(15)의 단면 구조는, 상기 로어패널(15)과 프론트로어멤버(3)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로어페널(15)의 상측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하중을 상기 로어패널(15)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패널(15)도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3)에 결합되는 부분은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부(13)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단순한 원호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상기 로어패널(15)을 제작하기 위한 블랭크(BLANK)의 크기만 조절하면, 다양한 크기의 로어패널(15)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차종에 적용하기 위한 카울의 사양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제1단면 형상(A)과, 상기 프론트로어멤버(3)의 제2단면 형상(B), 및 상기 탑카울멤버(5)의 제3단면(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프론트로어멤버(3) 및 탑카울멤버(5) 각각의 위치 및 역할에 따라 보다 적합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각자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제1단면 면적, 프론트로어멤버(3)의 제2단면 면적, 및 탑카울멤버(5)의 제3단면 면적은, 제1단면 면적 > 제2단면 면적 > 제3단면 면적의 관계를 가지도록 하였다.
이는 차체 내에서 다른 부품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공간의 확보와 강성 확보의 균형을 도모한 결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어로어멤버(1)의 제1단면 면적을 가장 크게 하여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만, 가장 강한 강성을 확보하여, 상기 탑카울멤버(5)를 통해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7)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차체의 양쪽 A필러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작에 있어서 편의성을 위해 상기 리어로어멤버(1)와 프론트로어멤버(3)의 단면 형상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가직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리어로어멤버
3; 프런트로어멤버
5; 탑카울멤버
7;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
9; 어퍼패널
11; 플랜지
13; 배수부
15; 로어패널
17; 제1평면
19; 제2평면

Claims (11)

  1. 프론트윈드쉴드글라스 하측에 위치한 탑카울멤버와;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로어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탑카울멤버, 리어로어멤버, 및 프런트로어멤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을 포함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카울멤버는 상기 프론트윈드쉴드글래스 하단의 형상에 따라 커브를 형성하면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탑카울멤버와 리어로어멤버 사이에는,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부와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부를 연결하여, 차체 전방의 엔진룸과 후방의 승객룸을 구획하는 어퍼패널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는 각각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의 사이에는,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프론트로어멤버를 연결하며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어패널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어패널에는 차체의 중앙부로부터 양쪽 횡방향을 따라 유선형으로 하향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1단면 형상이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어로어멤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2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런트로어멤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곡선을 포함한 제3단면 형상으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에서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커브를 형성하며 설치되는 탑카울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로어멤버의 사이에는,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 경사진 단면 형상의 배수부를 포함하는 로어패널이,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프론트로어멤버를 연결시키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의 차량 횡방향을 따라 경사진 단면 형상은,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형성하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어판넬의 배수부 전방측은 적어도 2개의 평면이 상기 리어로어멤버에 면접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탑카울멤버는,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상측면과 상기 탑카울멤버의 하측면을 연결하는 어퍼패널에 의해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제1단면 형상과, 상기 프런트로어멤버의 제2단면 형상, 및 상기 탑카울멤버의 제3단면 형상은 모두 서로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어로어멤버의 제1단면 면적, 프런트로어멤버의 제2단면 면적, 및 탑카울멤버의 제3단면 면적은, 제1단면 면적 > 제2단면 면적 > 제3단면 면적의 관계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구조.


KR1020190111690A 2019-09-09 2019-09-09 차량의 카울 구조 KR20210030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90A KR20210030125A (ko) 2019-09-09 2019-09-09 차량의 카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90A KR20210030125A (ko) 2019-09-09 2019-09-09 차량의 카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25A true KR20210030125A (ko) 2021-03-17

Family

ID=7524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90A KR20210030125A (ko) 2019-09-09 2019-09-09 차량의 카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1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617U (ko) 1996-10-22 1998-07-15 김영귀 차체의 카울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617U (ko) 1996-10-22 1998-07-15 김영귀 차체의 카울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7329C (zh) 车身结构
CN100436231C (zh) 车辆前部结构
JP485310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8011719B2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JP4121461B2 (ja) 自動車両
CN101171158B (zh) 能量吸收部件和应用该部件的汽车车身
CN107074297A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CN101941464B (zh) 汽车的车身
CN102632927A (zh) 车体后部构造
JP6915592B2 (ja) 下部車体構造
US20040178652A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s
JP5346799B2 (ja) 車体上部構造
JP2008265536A (ja) 車体フロア構造
JP4682560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N103935402A (zh) 一种汽车前围
JP2006069268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WO2017202229A1 (zh) 高刚性车身框架
CN109562794A (zh) 车身构造
JPH0411581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210030125A (ko) 차량의 카울 구조
CN111806574A (zh) 一种仪表板横梁装配结构及具有该装配结构的汽车
CN105923054B (zh) 一种天窗总成与车身的连接结构
KR20220118169A (ko) 차량용 쿼터부 결합 구조
JPH09254815A (ja) ハイルーフ車の上部車体構造
KR20210123876A (ko) 차량의 차체 보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