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778A - 전동 공구 부착 부분 - Google Patents

전동 공구 부착 부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778A
KR20210029778A KR1020217000920A KR20217000920A KR20210029778A KR 20210029778 A KR20210029778 A KR 20210029778A KR 1020217000920 A KR1020217000920 A KR 1020217000920A KR 20217000920 A KR20217000920 A KR 20217000920A KR 20210029778 A KR20210029778 A KR 20210029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ool
tool attachment
gear wheel
magnet
detachab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006B1 (ko
Inventor
퍼 잉게마 포르스베르그
보즈텍 말리노브스키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2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7/00Hand-driven gear-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4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using a magnetic or electr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공구를 위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상부 하우징 부분 및 상부 하우징 부분과 상호 연결된 하부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긴 하우징 부분, 전동 렌치의 출력 축에 연결하기 위한 입력 기어 휠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1 단부에 배열된다. 상기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출력 연결부를 가진 출력 기어 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2 단부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 기어 휠이 입력 기어 휠의 회전을 출력 기어 휠로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 내부에 배열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자석이 긴 하우징 부분 내에 배열되고, 상기 자석은 강자성 입자를 수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공구 부착 부분
본 발명은 전동 공구로부터 조인트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에 관한 것이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일반적으로 연결할 조인트의 볼트 또는 너트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동 공구를 이용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 이용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크로우풋(crowfoot), 전방 부품 부착부 또는 오프셋 부착부라고도 한다. 하기 설명에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이라고 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입력 기어 휠로부터 출력 기어 휠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 휠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 휠은 일반적으로 기다란 하우징 내에서 치접(teeth against teeth)된 상태로 직선 열을 따라 위치한다. 하우징 벽의 두께 및 부착 부분의 길이는 기어 휠들의 폭의 합에 해당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의 크기는 중요한 특징이다. 따라서, 작은 기어 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기어 휠은 큰 기어 휠보다 마모에 더 민감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전동 공구 부착부들의 단점에 의하면, 전동 공구 부착부가 마모에 민감하여 전동 공구 부착부가 오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할 수 있는 개선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이 필요하다.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부착 부분에 비해 내구성이 증가된 부착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동 공구를 위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에 관한 청구항 제1항을 따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상부 하우징 부분 및 상부 하우징 부분과 상호 연결된 하부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긴 하우징 부분, 전동 렌치의 출력 축에 연결하기 위한 입력 기어 휠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1 단부에 배열된다. 상기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출력 연결부를 가진 출력 기어 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2 단부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 기어 휠이 입력 기어 휠의 회전을 출력 기어 휠로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 내부에 배열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자석이 긴 하우징 부분 내에 배열되고, 상기 자석은 강자성 입자를 수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은 하부 하우징 부분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은 상부 하우징 부분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은 2개의 기어 휠들 사이의 연결면(inference)하에서 하부 하우징 부분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자석은 기어 휠들이 하부 하우징 부분 내에 맞물리는 영역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자석은 기어 휠이 상부 하우징 부분 내에 맞물리는 영역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긴 하우징은 분리 가능한 캡을 포함하고, 자석은 분리 가능한 캡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가능한 캡은 입력 기어 휠 아래에 배열되고, 자석은 분리 가능한 캡 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한 캡은 상부 하우징 부분과 하부 하우징 부분을 함께 고정하는 장치의 일부분이고, 자석은 분리 가능한 캡 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어댑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헤드, 및 입력 기어 휠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헤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랜지를 가진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은 각각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부를 가지며, 분리 가능한 캡은 슬리브와 결합하여 인터페이스 헤드 및 분리 가능한 캡을 긴 하우징 부분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은 어댑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헤드는 입력 기어 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은 각각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부를 가지며, 분리 가능한 캡은 슬리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 및 분리 가능한 캡은 입력 기어 휠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는 상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에 의해 형성된 긴 하우징 속으로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 가능한 캡은 자석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캡 표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캡 표면은 입력 기어 휠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을 도시한다.
도 2는 필수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가진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전동 공구 부착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J-J 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분리 가능한 캡이 제거된다.
도 4b는 분리 가능한 캡의 해당 섹션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할 때,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예가 도시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을 포함하는 기다란 하우징(11, 12)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11)은 하부 하우징 부분(12)과 상호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동 렌치와 같은 전동 공구를 위한 부착 부분은, 나사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동 공구를 이용할 수 없는 제한된 공간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부착 부분의 크기가 중요하다. 작은 기어 휠은 큰 기어 휠보다 마모에 더 민감하다.
예시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동일한 정밀도 및 토크 용량을 갖는 종래기술의 부착 부분과 비교하여 마모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아래 설명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에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긴 하우징(11, 12) 내에 배열된 입력 기어 휠(22) 및 출력 기어 휠(23)을 포함한다. 입력 기어 휠(22)은 긴 하우징(11, 12)의 제1 단부에 배열된다. 출력 기어 휠(23)은 상기 하우징(11, 12)의 제2 단부에 배열된다.
입력 기어 휠(22)은 하나 이상의 중간 기어 휠을 통해 출력 기어 휠(23)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기어 휠(22)의 회전을 출력 기어 휠(23)로 전달하도록 배열된 3개의 중간 기어 휠(24, 25, 26)이 있다.
출력 기어 휠(23)은 출력 연결부(23a)를 포함한다. 출력 연결부(23a)는 렌치 비트, 나사 비트, 너트 또는 나사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자석(13)을 포함한다. 자석(13)은 긴 하우징(11, 12) 내에 배열된다. 자석(13)은 하우징(11, 12) 내에서 강자성 입자를 수집하도록 배열된다. 자석(13)은 강자성 입자를 수집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기어 휠(22, 23, 24, 25, 26)의 마모를 발생시키는 상기 입자는 긴 하우징(11, 12)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어 휠(22-26)의 마모를 감소되고 부착 부분(10)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13)은 하부 하우징 부분(12) 내에 배열된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에 의하면,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강자성 입자가 자석에 의해 더 쉽게 수집될 수 있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13)은 2개의 기어 휠(22-26)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아래에, 즉 2개의 연결 기어 휠(22-26)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하부 하우징 부분(12) 내에 배열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13)은 상부 하우징 부분(11) 내에 배열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종종 이용될 때 주위로 이동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자성 입자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이 뒤집힌 위치에 있을 때 자석에 의해 수집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상부 하우징 부분(11) 내에 배열된 자석(13)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 내에 배열된 자석(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은 긴 하우징(11, 12)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분리 가능한 캡 내에 배열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점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캡을 제거할 때 자석(13)이 청소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한 캡은 입력 기어 휠(22) 아래에 배열된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한 캡은 상부 하우징 부분(11)과 하부 하우징 부분(12)을 함께 고정하는 장치의 일부분이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점에 의하면, 상호 연결된 하부 하우징 부분(12)으로부터 상부 하우징 부분(11)을 분해하지 않고 자석(13)이 청소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긴 하우징(11, 12) 내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 여러 개의 자석들을 포함한다.
도 2에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이 도시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분리 가능한 캡(1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하부 하우징 부분(12) 상에 배열된 상부 하우징 부분(11)을 가져서, 부착 부분(10)의 내부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분리 가능한 캡(14)은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의 선 J- J를 따라 본 단면도이며 분리 가능한 캡(14)을 가지지 않고, 도 4b는 분리 가능한 캡(14)의 해당 단면을 도시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은 각각 관통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이 서로 조립될 때 상부 하우징 부분 및 하부 하우징 부분은 정렬된다. 관통 개구부는 기다란 하우징 부분(11, 12)의 제1 단부에 배열된다. 관통 개구부는 입력 기어 휠(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관통 개구부가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16)를 포함한다. 예시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또한 인덱싱 어댑터와 같은 어댑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헤드(17)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6)는 인터페이스 헤드(17)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핑 플랜지(18)를 갖는다. 분리 가능한 캡(14)은 분리 가능한 캡(14)을 슬리브(16)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캡(14)이 나사 연결에 의해 슬리브(16)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헤드(17), 상부 하우징 부분(11), 하부 하우징 부분(12) 및 분리 가능한 캡(14)은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헤드와 슬리브가 일체 구성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캡(14)은 또한 상기 예에서 슬리브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16)는 상호 연결된 상부 하우징 부분(11)과 하부 하우징 부분(12)의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된 원주 방향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입력 기어 휠(22)은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에 의해 형성된 기다란 하우징 내부에 배열된 중간 기어 휠(24-26)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슬리브(16) 및 분리 가능한 캡(14)은 입력 기어 휠(22)이 배열되는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이 장착된 상태를 가질 때 분리 가능한 캡(14)은 입력 기어 휠(22)에 인접하게 배열된 내부 캡 표면(14a)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캡 표면(14)은 하나 이상의 자석 개구부(19)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자석 개구부(19)는 분리 가능한 캡(1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자석 개구부(19)는 각각의 자석(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석(13)은 하나 이상의 자석 개구부(19)에 억지 끼워맞춤(press fit)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내부에서 입력 기어 휠(22)로부터 강자성 입자가 자석(들)(13)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도 2-4b에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자석(13)이 분리 가능한 캡(14) 내에 배열된다. 그러나, 분리 가능한 캡(14)은 2개 이상의 자석(13) 또는 2개 미만의 자석(13)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자석 개구부(19)와 동일한 갯수의 자석(13)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은 2개의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하기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5)

  1. 전동 공구를 위한 전동 공구 부착 부분으로서,
    -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상부 하우징 부분(11)과 상호 연결된 하부 하우징 부분(12)을 포함하는 긴 하우징 부분(11,12),
    - 전동 렌치의 출력 축에 연결하기 위한 입력 기어 휠(22)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1 단부에 배열되며,
    - 출력 연결부(23a)를 가진 출력 기어 휠(23)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어 휠은 하우징의 제2 단부에 배열되며,
    - 입력 기어 휠(22)의 회전을 출력 기어 휠(23)로 전달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11,12) 내부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기어 휠(24,25,26)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에 있어서,
    자석(13)이 긴 하우징 부분(11,12) 내에 배열되고, 상기 자석은 강자성 입자를 수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3)은 하부 하우징 부분(12)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3)은 상부 하우징 부분(11)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3)은 2개의 기어 휠(22-26) 사이의 인터페이스 하에서 하부 하우징 부분(12)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11, 12)은 분리 가능한 캡(14)을 더 포함하고, 자석(13)은 분리 가능한 캡(14)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캡(14)은 입력 기어 휠(22) 아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캡(14)은 상부 하우징 부분(11)과 하부 하우징 부분(12)을 함께 고정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8. 제7항에 있어서, 어댑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헤드(17), 및 입력 기어 휠(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헤드(17)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랜지(18)를 가진 슬리브(16)를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은 각각 슬리브(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부를 가지며, 분리 가능한 캡(14)은 슬리브(16)와 결합하여 인터페이스 헤드(17) 및 분리 가능한 캡(14)을 긴 하우징 부분(11, 12)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9. 제7항에 있어서, 어댑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헤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헤드는 입력 기어 휠(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16)를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은 각각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부를 가지며, 분리 가능한 캡(14)은 슬리브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6) 및 분리가능한 캡(14)은 입력 기어 휠(22)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부 하우징 부분(11) 및 하부 하우징 부분(12)에 의해 형성된 긴 하우징 속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캡(14)은 자석(13)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캡 표면(14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3. 제12항에 있어서, 내부 캡 표면(14a)은 입력 기어 휠(22)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은 여러 개의 자석(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15. 제14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자석(13)은 긴 하우징 부분(11, 12)의 다른 위치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부착 부분(10).
KR1020217000920A 2018-07-12 2019-06-20 전동 공구 부착 부분 KR102596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850892A SE542281C2 (en) 2018-07-12 2018-07-12 Power tool attachment part
SE1850892-9 2018-07-12
PCT/EP2019/066333 WO2020011509A1 (en) 2018-07-12 2019-06-20 Power tool attachment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778A true KR20210029778A (ko) 2021-03-16
KR102596006B1 KR102596006B1 (ko) 2023-11-01

Family

ID=6700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920A KR102596006B1 (ko) 2018-07-12 2019-06-20 전동 공구 부착 부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31250B2 (ko)
EP (1) EP3820648B1 (ko)
JP (1) JP7416752B2 (ko)
KR (1) KR102596006B1 (ko)
CN (1) CN112423936B (ko)
SE (1) SE542281C2 (ko)
WO (1) WO2020011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9907B (zh) * 2020-12-18 2024-04-16 阿特拉斯·科普柯工业技术公司 用于动力工具的扭矩传递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96Y1 (ko) * 1989-04-10 1992-10-12 가부시끼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샤구쇼 자성체를 구비한 유압공구
US20130180364A1 (en) * 2012-01-16 2013-07-18 Michael Edward Galat Fastener Installation Tool With Quick Change Key
KR20170009877A (ko) * 2014-05-28 2017-01-25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자석을 가진 펄스 유닛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439Y2 (ko) * 1972-06-26 1976-08-19
US20080006422A1 (en) 2005-07-05 2008-01-10 Black & Decker Inc. Cylinder support for powered hammer
CN2930984Y (zh) * 2006-04-10 2007-08-08 马庆友 一种可用于设有膨胀端的五金件的配套扳手
CN202149195U (zh) * 2011-07-29 2012-02-22 长沙中传机械有限公司 带磁性屑末吸附环的风力发电机组减速器
GB2491246B (en) * 2012-05-21 2013-05-15 Adey Holdings 2008 Ltd Separator device
US10099350B2 (en) * 2015-05-01 2018-10-16 Raytheon Company Rotary tool
CN205171581U (zh) * 2015-11-26 2016-04-20 汤海波 一种行星齿轮减速机驱动装置
US9981366B2 (en) * 2016-02-22 2018-05-29 Malco Products, Inc. Cleanable reversible socket and driver
CN108818380A (zh) * 2017-06-29 2018-11-16 曹嘉洋 一种低扭力多用机电化扳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96Y1 (ko) * 1989-04-10 1992-10-12 가부시끼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샤구쇼 자성체를 구비한 유압공구
US20130180364A1 (en) * 2012-01-16 2013-07-18 Michael Edward Galat Fastener Installation Tool With Quick Change Key
KR20170009877A (ko) * 2014-05-28 2017-01-25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자석을 가진 펄스 유닛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31250B2 (en) 2023-08-22
EP3820648B1 (en) 2022-08-03
US20210283752A1 (en) 2021-09-16
KR102596006B1 (ko) 2023-11-01
CN112423936A (zh) 2021-02-26
SE1850892A1 (en) 2020-01-13
SE542281C2 (en) 2020-03-31
EP3820648A1 (en) 2021-05-19
WO2020011509A1 (en) 2020-01-16
CN112423936B (zh) 2022-08-30
JP7416752B2 (ja) 2024-01-17
JP2021524388A (ja)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6905B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CN101657297B (zh) 工具机,特别是手持式工具机
KR102637875B1 (ko) 전동 공구용 부착 부분 및 공구 조립체
WO2007048435A1 (de) Handwerkzeugmaschine
EP3484661B1 (de) Absaughaube für werkzeugmaschine
US8544368B2 (en) Magnetic device adapted for being assembled with a socket
US20150314427A1 (en) Power tool attachment part
KR20140079377A (ko) 마모부 및 그 지지체간의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기계 시스템, 건설 중장비 기계 버킷, 및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
KR102596006B1 (ko) 전동 공구 부착 부분
DE102017201565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DE112012005919B4 (de) Elektrisches Kraftwerkzeug mit Lüfterrad
DE112014001040T5 (de) Elektrowerkzeug
DE102017201567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JP6240001B2 (ja) 雄端子
DE102020104295A1 (de) Kraftwerkzeug
DE102017201563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DE102017201560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EP2954231A1 (de) Getriebe und lageranordnung
EP2353211B1 (en) Cable joint protector
KR200412128Y1 (ko) 볼트 체결 공구
JP2002066937A (ja) 多機能レンチソケット
JPS593823Y2 (ja) 2重防振ハンドル
CN111836931B (zh) 材料收集设备
KR101438276B1 (ko) 볼트 캡 및 볼트 캡 핸들러, 그리고 볼트 캡 세트
KR101537664B1 (ko) 공작기계용 체결홈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