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15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154A
KR20210029154A KR1020207036658A KR20207036658A KR20210029154A KR 20210029154 A KR20210029154 A KR 20210029154A KR 1020207036658 A KR1020207036658 A KR 1020207036658A KR 20207036658 A KR20207036658 A KR 20207036658A KR 20210029154 A KR20210029154 A KR 2021002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element
washing machine
drum
sensing device
loa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840B1 (ko
Inventor
마리우스 스투첼리
마티아스 요한손
라스 앤더손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프로페셔널 에이비 (퍼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프로페셔널 에이비 (퍼블)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프로페셔널 에이비 (퍼블)
Publication of KR2021002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드럼(3), 베이스 구조(7)(상기 베이스 구조는 상기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세탁기가 놓이도록 조정됨)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29, 31), 및 상기 드럼(3)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9)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제1 구조적 요소(11)는 제1 평면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하나에 연결되고, 제2 구조적 요소(13)는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일 표면(상기 일 표면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표면의 반대 표면임)에 부착되고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에 연결된다. 이는 하중 감지 설비가 촘촘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드럼,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세탁기가 놓이도록 조정된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 및 상기 드럼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의 하부 내의 프레임 내에 로드 셀(load cell)이 위치한 세탁기는 WO-2012/089442-A1에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 셀은 상기 드럼에 적재된 세탁물의 양을 재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탁 주기가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세탁기와 관련된 한 가지 문제는, 어떻게 세탁기가 더 효율적으로 적응 가능한 세탁 주기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를 다목적인 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하중 감지 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정의된 세탁기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세탁기에는, 상기 드럼 및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1 구조적 요소,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제2 구조적 요소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구조적 요소 및 상기 제2 구조적 요소는 각각 서로 평행한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라나 빔 로드 셀(planar beam load cell)일 수 있는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일 표면(상기 일 표면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표면의 반대 표면임)에 부착되고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에 연결된다.
이는 상기 하중 감지 장치에 의해 브리지(bridge)되는 제1 구조적 요소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 사이에 작은 틈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촘촘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개선된 하중 감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기 드럼과 상기 서스펜션 설비 사이의 하중의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세탁기의 더 적응성이 있는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조적 요소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 사이에 상기 하중 감지 장치가 탑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하중 감지 장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부착 플레이트(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표면에 부착됨)와 같은 부착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요소가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에 단단한 부착 지점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부착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 내에는 개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가, 상기 부착 부품이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닿지 않은 상태로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착 부품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나머지로부터 상기 하중 감지 장치를 약간 오프셋(offset)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를 향해 상기 하중 감지 장치가 약간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2 구조적 요소 내의 압인 리세스(stamped reces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설비와 상기 드럼 사이에는 세 개 이상의 상기 감지 장치가 위치한다.
이 맥락에서 다른 하중 감지 장치도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감지 장치는 플라나 빔 로드 셀일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문이 제공되고, 상기 문은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의해 매달려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하우징(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설비를 통해 지탱됨)에 상기 문을 부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문을 배열하기 위해 매달려있는 부품과 매달려있지 않은 부품 사이에 벨로우즈(bellows)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한 연결이 필요 없음을 뜻하며, 상기 하중 측정의 방해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드럼, 베이스 구조(상기 베이스 구조는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 상에 상기 세탁기가 놓임)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 및 상기 드럼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도 고려한다. 제1 구조적 요소는 상기 드럼에 연결되고, 제2 구조적 요소는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연결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드럼, 베이스 구조(상기 베이스 구조는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 상에 상기 세탁기가 놓임)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 및 상기 드럼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더 고려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 구조에서 봤을 때 상기 서스펜션 설비의 반대 편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세탁기를 더 다목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하중 감지 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세탁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상기 서스펜션 설비 내의 드럼 크래들(cradle)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 B 및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서스펜션 설비를 통하여 상기 세탁기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9는 서스펜션 설비의 상기 드럼 측에 배열된 하중 감지 장치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대개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탁기는 외부 하우징(19)를 포함하고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 7)(상기 베이스 구조는 일반적으로 바닥이지만,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랙(rack) 또는 또 다른 기계일 수 있음) 상에 놓인다. 상기 세탁기의 정면(21)에는, 드럼의 내부에 접근 가능한 문(23)이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상기 하우징(19) 내부의 회전 가능한 드럼(3)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를 도시한다.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3)은, 크래들(cradle) 설비를 상기 베이스 구조/바닥(7)에 놓이는 세탁기의 하부 부품(22)에 연결하는 댐퍼(damper, 29) 및 스프링(31)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설비(29, 31)에 의해 지탱되는, 상기 드럼 크래들 설비(27)에 의해 지탱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하우징(25) 내부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서리에 하나의 댐퍼/스프링 조립체가 사용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배송 시에는, 상기 크래들 설비(27)는 운송 잠금 플레이트(35)(상기 운송 잠금 플레이트는 상기 세탁기가 사용되기 전에 제거됨)에 의해 상기 하부 부품(33)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설비에는 적절한 스프링-질량 시스템 특성을 얻도록 웨이트(weight)(37)가 더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드럼(3)의 상기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문(23)은,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의해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문은 상기 세탁기의 상기 외부 하우징(19)이 아니라,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3)이 그 내부에서 움직이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25)에 부착된다. 이는 설명될 것과 같이, 하중 데이터의 수집을 방해하는 부품이 하나 적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만약 문이 벨로우(bellow)를 통해 상기 원통형 하우징(25)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위치하는 상기 외부 하우징(19)에 부착된다면,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의해 매달려 있는 부품과 매달려 있지 않는 부품 사이의 연결은, 일부 하중이 상기 하중 감지 장치를 통해서가 아니라 상기 벨로우를 통해 전달될 것이므로, 하중 측정을 악화시킬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상기 서스펜션 설비 내의 드럼 크래들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세탁기의 상기 드럼에 연결되고, 밴드(39)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는 제1 구조적 요소(11)가 위치한다.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크래들의 다른 부품을 형성하도록 굽혀질 수 있으나, 제1 부분 내의 제1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판금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 있다.
우측의 분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스펜션 설비(29, 31, 도2 참고)에 연결되는 제2 구조적 요소(13)가 제공된다.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 또한 판금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면(즉,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의 상기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연결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 및 제2 구조적 요소(13)는 하중 감지 장치(9)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상기 드럼의 하중을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하중 감지 장치(9)에 의해 브리지(bridge)되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와 제2 구조적 요소(13) 사이에는 갭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중 감지 장치(9)는 세 개 이상 사용되고, 도시된 경우에는 상기 세탁기의 상부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의 모서리에 네 개가 배열된다.
상기 서스펜션 설비(29, 31)의 상기 드럼(3) 측의 감지가 끝나면, 획득된 데이터가 서스펜션 설비의 간섭에 의해 블러(blur)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상기 드럼의 동적 하중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된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세탁기가 원심 작용 프로세스 중에 매우 정확하게 제어되어 개선된 공정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 B 및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우선,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를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설비는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는, 상기 하중 감지 장치가 통과하여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의 형태로 된 개구부(15)를 포함한다. 도시된 경우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 내의 구멍이지만, 기본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의 에지(edge)로부터의 절취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하중 감지 장치를 상기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3)의 측면 에지 주변에서 제1 구조적 요소에 연결하는 설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구조적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판금 플레이트 내에 구멍(15)을 가지는 도시된 실시예는, 연결 설비가 강함과 촘촘함을 양쪽 모두 가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상당한 하중을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단단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를 형성하는 데에 두꺼운 판금 조각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부착 부품이,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측면 상에 부착 플레이트(4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중 감지 장치(9)가 이 지점에서 상기 하중 감지 장치(9)가 크게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착 부품(4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는 개구부(43)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3)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연장보다 약간 더 넓어 상기 구조적 요소들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설비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 및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가 상기 하중 감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41)는 제1 볼트 세트(45) 또는 예를 들어 용접을 사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제2 볼트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를 통해 상기 부착 플레이트(4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플라나 빔 로드 셀(9)일 수 있고, 도 6에 표시되고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연결되는 볼트(47)를 위한 나사산 개구부(49), 및 볼트(57, 도 8 참고)를 사용하여 너트와 볼트 구성(53, 5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개구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 맥락에서 플라나 빔 로드 셀이 아닌 다른 하중 감지 장치를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 사이에 압전 셀(piezo electric cell)이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서스펜션 설비(29, 31)를 통하여 상기 세탁기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플라나 로드 셀의 형태인 하중 감지 장치(9)가 판금 플레이트의 형태인 제1 구조적 요소(11)를 마찬가지로 판금 플레이트 형태인 제2 구조적 요소(13)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이는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의 반대 편의 부착 플레이트(41)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41)의 위치에서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내에 압인 리세스(40)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이것이 부착된 지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로부터 약간 오프셋(offset)된다. 이는 상기 하중 감지 장치가 평평하더라도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프셋은 상기 하중 감지 장치 측의 또 다른 부착 플레이트를 사용해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41)은 볼트(45)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9)의 일단은 또 다른 볼트 세트(47)를 사용하여 상기 부착 플레이트(41) 및 상기 구조적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부착 플레이트(41)는 상기 구조적 요소들이 서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 내의 개구부(43) 내에 도달한다. 상기 개구부(43)는 상기 플레이트(41)보다 약간 커서, 상기 플레이트(41)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를 건드리지 않고 약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9)의 타단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 내의 개구부의 테두리를 고정하여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 부착되는 너트와 볼트 조합(53, 55)에 연결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 부착된 상기 볼트(53) 내의 나사산 개구부로 볼트(57)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도 9는 서스펜션 설비의 상기 드럼 측에 배열된 하중 감지 장치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드럼(3)을 포함하는 세탁기에서, 서스펜션 설비(29, 31)는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 7)(상기 베이스 구조는 상기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 상에 상기 세탁기가 놓임)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한다. 상기 드럼(3)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9)가 제공된다.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상기 베이스 구조(7)에서 봤을 때 상기 서스펜션 설비(29, 31)의 반대 편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위에 서술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및 개조될 수 있다.

Claims (11)

  1. 세탁기(1)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드럼(3);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 - 상기 베이스 구조는 상기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세탁기가 놓이도록 조정됨 - 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29, 31); 및
    상기 드럼(3)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9);를 포함하되,
    제1 구조적 요소(11)가 제1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하나에 연결되고,
    제2 구조적 요소(13)가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한 제2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서스펜션 설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의 일 표면 - 상기 일 표면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표면의 반대 표면임 - 에 부착되고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에 연결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는 개구부(15)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에 연결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감지 장치(9)는 부착 플레이트(41) -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의 상기 제1 구조적 요소와 마주보는 표면에 부착됨 - 와 같은 부착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에 부착된,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구조적 요소(11) 내에 개구부(43)가 배열된, 세탁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플레이트(41)는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 내의 압인 리세스(stamped recess)(40) 내에 위치하는, 세탁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설비와 상기 드럼 사이에 세 개 이상의 상기 감지 장치(9)가 위치하는, 세탁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9)는 플라나 빔 로드 셀(planar beam load cell)인, 세탁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문(23)이 제공되고, 상기 문은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23)은 하우징(25) -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3)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의해 매달려 있음 - 에 부착된, 세탁기.
  10. 세탁기(1)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드럼(3);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7) - 상기 베이스 구조는 상기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 상에 상기 세탁기가 놓임 - 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29, 31); 및
    상기 드럼(3)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9);를 포함하되,
    제1 구조적 요소(11)가 상기 드럼에 연결되고,
    제2 구조적 요소(13)가 상기 서스펜션 설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중 감지 장치(9)가 상기 제1 구조적 요소(11)와 상기 제2 구조적 요소(13) 사이에 끼워진, 세탁기.
  11. 세탁기(1)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드럼(3);
    베이스 구조(base structure)(7) - 상기 베이스 구조는 상기 세탁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 상에 상기 세탁기가 놓임 - 에 연동되어 상기 드럼을 지탱하는 서스펜션 설비(29, 31); 및
    상기 드럼(3)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중 감지 장치(9);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 감지 장치는 상기 베이스 구조에서 봤을 때 상기 서스펜션 설비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07036658A 2018-05-25 2018-05-25 세탁기 KR102547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63764 WO2019223877A1 (en) 2018-05-25 2018-05-25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154A true KR20210029154A (ko) 2021-03-15
KR102547840B1 KR102547840B1 (ko) 2023-06-26

Family

ID=6245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658A KR102547840B1 (ko) 2018-05-25 2018-05-25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20279B2 (ko)
EP (1) EP3802941A1 (ko)
JP (1) JP7165212B2 (ko)
KR (1) KR102547840B1 (ko)
CN (1) CN112135936A (ko)
AU (1) AU2018424296A1 (ko)
WO (1) WO201922387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790A (ja) * 2001-09-25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WO2010133510A1 (en) * 2009-05-22 2010-11-25 Arcelik Anonim Sirketi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749A (ja) 2003-05-28 2004-12-16 Tokico Ltd 荷重検出機能付ダンパ
EP1849905B1 (en) 2005-02-02 2008-11-19 Girbau, S.A. Washing machine support structure
KR101549009B1 (ko) 2009-03-19 201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US20110127091A1 (en) * 2009-11-27 2011-06-02 Shepherdson Robin Planar Beam Load Cell Assembly
CN103270210B (zh) 2010-12-27 2016-04-06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包括负载传感器的洗衣机
AU2013204355B2 (en) 2012-12-21 2016-10-27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Improved laundry appliance
CN103628277A (zh) 2013-09-23 2014-03-1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KR102390026B1 (ko) * 2015-03-20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3222768B1 (en) 2016-03-22 2019-03-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machine
CN107692944A (zh) 2016-08-08 2018-02-16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传感器装置和设有该传感器装置的用于洗涤的电器
JP2018061552A (ja) 2016-10-11 2018-04-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790A (ja) * 2001-09-25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WO2010133510A1 (en) * 2009-05-22 2010-11-25 Arcelik Anonim Sirketi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20279B2 (en) 2024-03-05
AU2018424296A1 (en) 2020-11-26
JP2021524779A (ja) 2021-09-16
CN112135936A (zh) 2020-12-25
JP7165212B2 (ja) 2022-11-02
EP3802941A1 (en) 2021-04-14
WO2019223877A1 (en) 2019-11-28
US20210207308A1 (en) 2021-07-08
KR102547840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6956B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US831258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ad in a washing machine
MXPA02010660A (es) Medio de absorcion de carga para elevadores de cable con dispositivo de medicion de carga integrado.
RU22455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ил, возникающих из-за дисбаланса ротора
JP6357659B2 (ja) 重量計測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調理器
EP1988206B1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sensor for load weight
KR20210029154A (ko) 세탁기
EP1953291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weight sensing means
ES2690983T3 (es)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un peso de carga de un sistema vibratorio de un aparato doméstico para el cuidado de prendas a lavar y aparato doméstico
CN108040469A (zh) 腹膜透析设备
CN108760007B (zh) 一种电子秤
JPS603524A (ja) 計量装置
CN215525021U (zh) 一种可安装对称件的试验台
EP2432927B1 (en)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CN114509142A (zh) 吊挂秤传感器装置及包括其的吊挂秤
EP1382733B1 (de) Waschmaschine mit einem Waschaggregat
CN213113951U (zh) 衣物处理设备
EP2818592B1 (en) Washing Machine
CN218115905U (zh) 一种箱体结构及衣物处理设备
CN218643004U (zh) 一种箱体结构及衣物处理设备
JP3975611B2 (ja) 電子天びん
CN210528302U (zh) 一种带有称重组件的起重机
CN210533535U (zh) 一种防尘防震分析天平
CN110894659B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机器可读存储介质及滚筒洗衣机
KR101139447B1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