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998A - 낙상사고방지 침대 - Google Patents

낙상사고방지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998A
KR20210027998A KR1020190109172A KR20190109172A KR20210027998A KR 20210027998 A KR20210027998 A KR 20210027998A KR 1020190109172 A KR1020190109172 A KR 1020190109172A KR 20190109172 A KR20190109172 A KR 20190109172A KR 20210027998 A KR20210027998 A KR 2021002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de rail
backrest
user
fall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정가영
Original Assignee
조병욱
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욱, 정가영 filed Critical 조병욱
Priority to KR102019010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7998A/ko
Publication of KR2021002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47C20/1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 A47C20/1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using telescopic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등받이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레일부; 및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키는 사이드 레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이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낙상사고방지 침대{Fall prevention bed}
낙상사고방지 침대가 개시된다.
낙상사고는 환자 안전사고 중 매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특히 고령자 낙상사고는 골절, 뇌출혈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지어 사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병원, 요양원, 양로원 등의 고령자, 환자 등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를 위해 다양한 낙상사고방지 장치 및 방법이 고안되었으며, 침대 위의 이용자가 침대에 떨어지지 않도록 돕는다.
낙상 사고 방지를 위한 종래 기술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48148A호 "낙상 보호장치" 등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용자가 침대에 올라가면 사이드 레일이 자동으로 올라가는 낙상사고방지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등받이 지지대를 음성 인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낙상사고방지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침대 위의 이용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침대 하단에 온도,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들을 구비한 낙상사고방지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등받이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레일부; 및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키는 사이드 레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이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사이드 레일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센서부는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존재 유무가 판별되면,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사이드 레일의 승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기립 동작을 유도하는 등받이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부 구동부는; 등받이부의 등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요소; 및 등받이부의 다리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이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이용자의 욕창 방지를 위한 온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온습도 조절부는, 온습도 센서; 및 등받이부의 아래에 위치한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에 의하면, 이용자가 침대에 존재함을 감지하여 사이드 레일의 승강을 자동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는 등받이 음성 명령 인식을 통해 몸이 불편한 이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에 의하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프레임, 등받이부, 온습도 조절부 등이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사이드 레일부를 나타낸다.
도 3(a)는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등받이부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온습도 조절부의 팬들의 배치를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10)를 나타내며,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프레임(100), 등받이부(200), 온습도 조절부(400), 팬(410)이 도시된다. 도 2는 일 측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레일부(300)를 나타내며,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10)는 프레임(100), 프레임(100) 상에 배치되는 등받이부(200),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레일부(300) 및 사이드 레일부(3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기본 틀 또는 다리 등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100) 및 등받이부(200)의 부분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볼트 및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러한 프레임(100) 및 등받이부(200)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 레일부(300)는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이드 레일을 승강시키는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가 사이드 레일부(30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는 스태핑모터 또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부(300)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외력에 의한 수동형으로 승강 및 하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에 의해 자동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레일부(300)는 이용자의 존재 유무 감지를 바탕으로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용자가 낙상사고방지 침대(10) 위에 올라가면 센서부(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사이드 레일부(300)가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레일부(300)의 승강에는 이용자의 외력이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낙상사고를 당할 만한 상황을 빠르게 방비하기 위해 사이드 레일부(300)의 승강 및 하강에 걸리는 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가 되도록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5초일 수 있다.
낙상사고방지 침대(10)는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는 사이드 레일부(3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압력센서(FSR 센서 등) 또는 초음파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존재 유무가 판별될 수 있다.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동작에 관한 신호가 감지되고, 그 신호가 낙상사고방지 침대(10) 내에 장착된 MCU(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그 다음, MCU(미도시)에서 모터드라이브(미도시)로 신호가 전달되고, 모터드라이브(미도시)를 통해 사이드 레일 구동부(310)의 구동요소들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은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측면도로서, 프레임(100), 등받이부(200), 등받이부 구동부(210), 등받이부 구동부(210)의 제1 구동요소(211) 및 제2 구동요소(212)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평소 때의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등받이부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의 낙상사고방지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등받이부 구동부(210)는 등받이부(200)의 기립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등받이부 구동부(210)는 등받이부의 등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요소(211) 및 등받이부의 다리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요소(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요소(211)를 통해 등받이부(200)의 등 지지대가 기립될 수 있음으로써, 이용자의 누워있는 상태에서 앉아 있는 상태로의 자세 전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요소(212)를 통해 등받이부(200)의 다리 지지대가 회동될 수 있음으로써, 이용자의 다리 자세 변화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동요소들(211,212)은 스태핑모터 또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낙상사고방지 침대(10)는 이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이용자의 음성 신호가 인식되고, 그 신호가 낙상사고방지 침대(10) 내에 장착된 MCU(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그 다음, MCU(미도시)에서 모터드라이브(미도시)로 신호가 전달되고, 모터드라이브(미도시)를 통해 등받이부 구동부(210)를 구성하는 구동요소들(211,212)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등받이부(200)는 등받이부의 등 지지대 및 등받이부의 다리 지지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팔 지지대도 포함할 수 있다. 각 지지대들이 등받이부 구동부(210)의 구동요소들(211,212)에 의해 회동될 수 있고 등받이부(200)가 이용자의 하중을 받치도록 등받이부 구동부(210)의 출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10)의 등받이부의 등 지지대 및 등받이부의 다리 지지대 간의 각도가 최대 80도까지 되도록 각 지지대들이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부 구동부(210)의 구동요소들(211,212)은 최대 75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구동요소들(211,212)로 인해 최대 150kg의 환자도 이 낙상사고방지 침대(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낙상상고방지 침대(10)의 평면도로서, 프레임(100), 온습도 조절부(400), 온습도 조절부(400)에 포함된 팬(410)들이 도시된다. 온습도 조절부(400)의 팬(410)들은, 이용자(특히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낙상사고방지 침대(10)는 이용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미도시)는 낙상사고방지 침대(10)의 온도 또는 습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온도 또는 습도의 신호가 인식되고, 그 신호가 낙상사고방지 침대(10) 내에 장착된 MCU(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그 다음, MCU(미도시)에서 모터드라이브(미도시)로 신호가 전달되고, 모터드라이브(미도시)를 통해 온습도 조절부(400)를 구성하는 팬들(410)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사고방지 침대(10)는 등받이부 움직임 구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부 움직임 구현부는 등받이부(200)의 좌우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 구동부(210)는 등받이부(200)의 기립 동작을 구현하여 이용자의 앉는 자세 이동을 도와 침대에서 내려가는 동작 등을 도와주는 반면에, 등받이부 움직임 구현부(미도시)는 등받이부(200)의 좌우 움직임을 유발함으로써 누워있는 이용자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이용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낙상사고방지 침대
100 : 프레임
200 : 등받이부
210 : 등받이부 구동부
211: 제1 구동요소
212: 제2 구동요소
300 : 사이드 레일부
310 : 사이드 레일 구동부
400: 온습도 조절부
410: 팬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등받이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레일부; 및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키는 사이드 레일 구동부;
    를 포함하고,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이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이드 레일부를 승강시키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사이드 레일을 승강시키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센서부는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압력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존재 유무가 판별되면, 사이드 레일 구동부는 사이드 레일의 승강 동작을 실행하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기립 동작을 유도하는 등받이부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 구동부는;
    등받이부의 등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요소; 및
    등받이부의 다리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요소;
    를 포함하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욕창 방지를 위한 온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온습도 조절부는,
    온습도 센서; 및
    등받이부의 아래에 위치한 복수의 팬;
    을 포함하는, 낙상사고방지 침대.

KR1020190109172A 2019-09-03 2019-09-03 낙상사고방지 침대 KR20210027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72A KR20210027998A (ko) 2019-09-03 2019-09-03 낙상사고방지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72A KR20210027998A (ko) 2019-09-03 2019-09-03 낙상사고방지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98A true KR20210027998A (ko) 2021-03-11

Family

ID=7514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172A KR20210027998A (ko) 2019-09-03 2019-09-03 낙상사고방지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7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08A (ko) * 2020-01-02 2021-07-1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방지 침대
KR20220067268A (ko) * 2020-11-17 2022-05-24 이상한 사용자 자세 기반 낙상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08A (ko) * 2020-01-02 2021-07-1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방지 침대
KR20220067268A (ko) * 2020-11-17 2022-05-24 이상한 사용자 자세 기반 낙상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2571B2 (en) Patient movement detection system for a bed including a load cell mounting assembly
US8398171B2 (en) Lift chair
US8336134B2 (en) Bed with mobile lift docking
KR100684646B1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승강 제어방법
US10786408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ATE494874T1 (de) Sitz mit senkrecht-stellvorrichtung und verstellbarer rückenlehne
US20090282616A1 (en) High/low bed
JP2009515581A (ja) ベッドの制御手順
KR20210027998A (ko) 낙상사고방지 침대
US20070180620A1 (en) Safety device for lift beds
JP4564127B2 (ja) ベッド用転落防止装置
US2680855A (en) Attachment for lifting invalids in and out of bathtubs
KR20160055642A (ko) 와상형 매트리스 조립체
JP5419222B2 (ja) ベッド高さ制御システム
KR20220111261A (ko) 상태 판정 방법, 상태 판정 장치, 상태 판정 시스템, 상태 판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20210338505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JP5363871B2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マットの制御方法
TWI549642B (zh) 馬桶扶手之感測抬升裝置
KR20230125453A (ko) 환자의 자세를 추정하여 사이드 레일을 제어하는 의료용 침대
US6986310B2 (en) Transporter for vertical movement and lateral transfer of persons having impaired or no self-locomotion
JPH09192175A (ja) 挟み込み防止機能を備えたベッド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3315527B2 (ja) 昇降装置
JP2005177313A (ja) ベッド装置
JP6505780B2 (ja) 入浴補助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05030A (ja) 在離床判別装置およびこの在離床判別装置を備える電動昇降ベ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