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952A -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 Google Patents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952A
KR20210027952A KR1020190109066A KR20190109066A KR20210027952A KR 20210027952 A KR20210027952 A KR 20210027952A KR 1020190109066 A KR1020190109066 A KR 1020190109066A KR 20190109066 A KR20190109066 A KR 20190109066A KR 20210027952 A KR20210027952 A KR 2021002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logistics
input
incote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490B1 (ko
Inventor
이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러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러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러노트
Priority to KR102019010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52A/ko
Priority to KR1020210145109A priority patent/KR10239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은 수입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해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이 할당되는 입찰 슬롯 할당 단계, 수입 물류 및 통관 업체의 입찰을 전자적으로 참여 받고,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에 대해 시간 순으로 입찰을 참여시키는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METHOD FOR INTRODUCING FOR INTERNATIONAL FREIGHT LOGISTICS AND CUSTOMS CLEARANCE}
본 발명은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총 비용에 대한 실시간 견적 조회가 가능하고, 업체를 소개할 수 있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글로벌 무역이 보다 대중화 되면서, 제한된 기업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수출입 업무들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상거래 시스템이 수출입 업무를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화물을 배송하는 경우 다양한 방식과, 절차가 필요한데, 이러한 방법들은 아직까지는 완전히 온라인화로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어 화물 배송 운임의 경우, 같은 지점 간의 배송임에도 각 물류 사마다 각각 다른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업체들 중 나의 조건에 맞는 업체에 대한 빠른 조회 및 가격 견적기능은 아직까지 자동화 되고 있지는 않다.
더군다나, 하나의 제품을 수출입하는 데에는 물류, 통관,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절차가 필요한데, 총 비용을 하나의 과정에서 자동으로 정산하는 시스템은 아직까지는 개발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입찰이 가능하고, 전체 물류 비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은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해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이 할당되는 입찰 슬롯 할당 단계, 수입 물류 및 통관 업체의 입찰을 전자적으로 참여 받고,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에 대해 시간 순으로 입찰을 참여시키는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찰 등록 단계는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 선택 단계,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과 같은 운송 수단을 선택하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 및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경유지를 입력하는 목적지 입력 단계, 운송되는 화물의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 수단 선택 단계는 물류사의 판단으로 타 운송 수단으로 제안할 수 있는 선택 옵션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되는 화물의 컨테이너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는,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과 같은 컨테이너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 및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DRY 컨테이너, REEFER 컨테이너, OPENTOP 컨테이너 FLAT RACK 컨테이너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종류 선택 단계, 컨테이너의 크기 및 수량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크기 및 수량 선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화물 품목 정보, HS-CODE, 상품가액정보, 중량, 위험물 여부, 적하 보험 가입 필요 여부 및 컨테이너의 설정 온도 정보, 개폐율, 2단 적재 여부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 수단 선택 단계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되거나,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이 선택된 경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화물 총 중량 및 화물 총 부피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화물 포장 상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찰에 대한 인코텀즈를 결정하는 인코텀즈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코텀즈 입력 단계는 인코텀즈가 결정된 경우 직접 입력하는 인코텀즈 직접 선택단계 및 인코텀즈가 결정되지 않거나, 인코텀즈를 모르는 경우 인코텀즈를 가이드 하는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를 포함하고,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는, 출발지가 내륙인 경우 출발지에서 화물을 적재할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1 단계, 출발지가 항구인 경우, 컨테이너 물류 유형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컨테이너(LCL)가 선택된 경우 상세 출발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소량화물(LCL)이 선택한 이후,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이 선택된 경우 수출지에서 작업 의무자를 입력 받는 제4 단계, 인코텀즈 가이드 제4 단계에서 CFS에서 CY(Container Yard)까지 운송하는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5단계,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상세 도착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6단계,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BAF(Bunker Adjustment Factor) 또는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을 지불하는 주체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7단계, 도착지가 수입지 항구 또는 공항 경우 수출자가 도착지까지 화물보험을 가입했는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 인코텀즈 가이드 제6 단계는 목적지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찰 등록 단계의 서비스 선택 단계에서 통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화물 품목 정보, HS-CODE, CIF 가격 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패킷리스트 정보, 커머셜 인보이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찰 슬롯 할당 단계에서,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한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은 추가적인 옵션에 의하여 그 개수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에서, 물류 및 통관 업체 중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입찰 슬롯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자적인 입찰에 참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은 업체별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 받는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 입력된 조건에 대한 운임 유효 기간이 유효한 업체 리스트 및 상기 해당 업체의 상기 입력된 조건에 대한 운임 정보가 조회되는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 업체를 선택하여 견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는 견적 의뢰서 작성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가 이미 진행된 경우, 견적 의뢰서 작성 단계는 작성된 입찰 카드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는,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 중 운송 수단을 선택하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 운송 수단이 해상 운송인 경우,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 및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경유지를 입력하는 목적지 입력 단계 및 운송 수단 선택 단계,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 목적지 입력 단계에 해당하는 상세 운임과 운임 유효 기간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는, 항구별 부대비용을 입력할 수 있는 부대비용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부대비용은 운송 수단 선택 단계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FCL)이 선택된 경우, 컨테이너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고, 부대비용은 운송 수단 선택 단계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이 선택된 경우, R.TON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고, 부대비용은 운송 수단 선택 단계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된 경우, C/W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항구별, 도착 지역별, 컨테이너 물류 유형별, 컨테이너 종류 및 크기 별, 부피별, 중량별 내륙 운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내륙 운송료를 계산하는 내륙 운송료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에서는 내륙 운송료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내륙 운송료를 포함한 최종 운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복잡한 물류 및 통관 조건을 지정되는 프로세스에 따라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 견적 요청이 가능하다.
같은 조건에 대해 복수개의 업체들의 견적을 보고 입찰을 진행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입찰을 보고자 하는 입찰인은 입찰 슬롯을 추가로 더 구매하기만 하면, 더 많은 입찰들을 보고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입찰 참여 업체의 경우 특별한 권한을 획득하는 경우 슬롯의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류비용, 관세비용, 국내 운송료 등 물류에 필요한 포괄적인 비용에 대한 견적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원가 계산에 보다 현실적인 수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입찰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컨테이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인코텀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인코텀즈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코텀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입찰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 중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다른 도면에서라도 참조 부호를 참고할 수 있는 경우에는 현재 도면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경우에도 다른 도면에 기재된 도면부호를 첨부하여, 다른 도면에서 추가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기재하였다.
입찰을 통한 중개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입찰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찰 중개 방법은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S100), 상기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해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이 할당되는 입찰 슬롯 할당 단계(S200), 물류 및 통관 업체의 입찰을 전자적으로 참여 받고, 상기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에 대해 시간 순으로 입찰을 참여시키는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S300)를 포함한다.
후술될 입찰 등록을 위한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입찰을 등록하면(S100), 1차적으로 기재한 항목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개별적인 하나의 입찰 카드를 생성한다.
이렇게 누적된 입찰 카드는 물류 및 통관을 진행하는 업체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업체에서 입찰 카드를 클릭하면, 입찰의 상세 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물류 및 통관을 진행하는 업체에서는 최종 가격이나 조건을 기재하여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입찰 카드에는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입찰 슬롯은 3개일 수 있다. 하나의 입찰 카드에는 시간 순서대로 3개의 업체에서 입찰 참여가 가능하고, 3개의 업체에서 입찰을 마친 경우 추가적으로 다른 업체에서는 입찰 참여가 불가능하다. 단, 특정한 권한을 부여 받은 물류 및 통관을 진행하는 업체가 입찰 지원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견적을 제출한 이후, 수출입자가 업체 3곳으로 선정하면 수출입자의 정보가 기재된 상세사항을 물류 및 통관을 진행하는 업체가 확인할 수 있다.
입찰을 신청한 수출입업자는 입찰에 참여한 업체 중 마음에 드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후의 진행 단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중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출입업자와 입찰에 선정된 업체의 회사 정보를 교환하여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중개를 진행할 수 있다.
입찰을 등록을 위한 입력 방법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찰을 등록하기 위한 입력 방법(S100)은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 받는 서비스 선택 단계(S110),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과 같은 운송 수단을 선택 받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및 상기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를 입력 받는 목적지 입력 단계(S130), 상기 운송되는 화물의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 단계(S100) 이전에 인코텀즈가 확정 되었는지의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인코텀즈가 확정된 경우에는 인코텀즈를 먼저 선택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인코텀즈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물류 및 통관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참고함과 동시에, 부가적인 정보를 입력 받아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 기능을 활용하여 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에 후술한다.
서비스 선택 단계(S110)에서는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 받는다. 물류 및 통관 서비스는 물류와 통관 작업을 턴키로 의뢰하는 서비스이고, 물류 서비스와 통관 서비스는 각각 물류 서비스와 통관 서비스 만을 의뢰하는 서비스이다. 각각의 서비스에 따라 입력정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가장 먼저 의뢰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통관과 물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하나의 과정으로 중복적인 의뢰나 입력작업 없이 일괄적으로 서비스 의뢰가 가능하다.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에서는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과 같은 운송 수단을 선택 받는다. 운송 수단은 배를 이용하는 해상 운송과 항공기를 이용하는 항공 운송이 있다. 경우에 따라 물류사에 일임하여, 선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물류사의 판단으로 타 운송 수단으로 제안할 수 있는 선택 옵션을 더 추가하여 기본적인 운송 수단을 먼저 선택하고, 더 유리한 조건이 있는 경우 물류사의 제안을 요청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기타 다른 운송수단이 있는 경우 이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목적지 입력 단계(S130)에서는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및 상기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를 입력 받는다. 필요에 따라서 경유지를 더 입력할 수 있다. 출발지와 도착지는 출발지 및 도착지 국가를 선택하고, 해당 국가의 항구 또는 내륙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경유하는 국가 및 항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 입력되는 출발지 및 도착지의 구체적인 상세 정보들은 추후 운송비에 대해 내륙 운송비를 추가할 것인지의 여부 및 인코텀즈를 가이드 할 때에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 받는 서비스 선택 단계(S110)에서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는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중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는 물류 서비스를 포함하므로, 물류를 진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 받지만, 수입 통관 서비스의 경우에는 각 국가의 수입처 정보만을 전달받으면 충분하므로, 최종적으로 도착지 항구 또는 공항 정보(S130)와 화물과 관련되는 화물 상세 정보만(S140)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서비스 선택 단계(S110)에서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운송 수단 선택단계(S120)에서 해상과 항공 중 운송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류사의 추천으로 더 좋은 조건의 추천 운송 수단을 제안하도록 하는 옵션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항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를 생략하고, 화물 상세정보 입력단계(S140)으로 진행되며, 운송 수단 선택단계(S120)에서 해상을 선택한 경우에는 목적지 입력단계(S130) 이후에 운송되는 화물의 컨테이너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S150)을 진행한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컨테이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S150)는,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S151);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DRY 컨테이너, REEFER 컨테이너, OPENTOP 컨테이너, FLAT RACK 컨테이너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종류 선택 단계(S153); 및 컨테이너의 크기 및 수량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크기 및 수량 선택 단계(S155)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S151)에서는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중에 선택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FCL(Full Container Loads)은 화주 1인의 화물로 컨테이너 1개를 가득 채운 컨테이너를 의미하고, LCL(less than container load)은 화주 한 사람의 화물로 컨테이너 1개를 채울 수가 없어 여러 화주의 화물을 1개 컨테이너에 같이 싣게 되는 컨테이너 화물을 의미 한다.
만일,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컨테이너 종류 선택 단계(S153)에서 DRY 컨테이너, REEFER 컨테이너, OPENTOP 컨테이너, FLAT RACK 컨테이너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DRY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온도에 민감하지 않은 화물을 수송 및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컨테이너이다. REEFER 컨테이너는 냉동 컨테이너라고도 불리며, 자체 냉동기를 보유하는 냉장/냉동 기능을 가지는 컨테이너다. OPENTOP 컨테이너는 천장을 개방한 형태의 컨테이너로써, 개방된 천장을 통해 기계류나 판유리, 강제품과 같은 중량화물이 주로 수송 된다. FLAT RACK 컨테이너 드라이 컨테이너의 지붕과 벽을 없앤 후 기둥과 버팀대만을 둔 컨테이너이다.
각각의 컨테이너를 선택한 이후 구체적인 컨테이너의 크기와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S155). 컨테이너의 크기는 각 컨테이너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DRY 컨테이너는 20FEET, 40FEET, 40HQ의 옵션을, REEFER 컨테이너는 20RF, 40RF의 옵션을, OPENTOP 컨테이너는 20OT, 40OT의 옵션을, FLAT RACK 컨테이너는 20FR, 40FR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에서 화물의 상세정보를 입력한다. 화물의 상세 정보는 물류 유형이나 컨테이너 유형에 따라 다른 상세정보를 입력 받는다.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는 컨테이너 유형/크기/수량 및 화물 품목 정보, HS-CODE, 상품가액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는다. 또한, 화물의 중량, 화물이 위험물인지의 여부, 적하 보험 가입이 필요한지의 여부, 2단 적재 여부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만일 화물이 위험물인 경우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입력 받는다. 만일 REEFER 컨테이너를 선택한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개폐율 및 최저 설정 온도, 최고 설정 온도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는다. 만일 OPEN TOP, FLAT RACK 컨테이너를 선택한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상세 패킹리스트를 첨부 파일로 입력 받는다. 또한 제공된 양식을 사용하여, 입력자로 하여금 해당 양식에 값들을 입력한 후 서비스에 일괄적으로 업로드하고, 각 항목의 값을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입력하게 하는 자동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엑셀 시트나, xml 파일 등 다양한 양식의 템플릿 또는 파일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되거나,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S151)에서 상기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이 선택된 경우, 마찬가지로 화물 포장유형 및 화물 품목 정보, HS-CODE, 상품가액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는다. 또한 화물이 위험물인지의 여부, 적하 보험 가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입력 받고, 만일 화물이 위험물인 경우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s,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입력 받는다. 또한 2단 적재가 불가한 상품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추가적으로 화물 총 중량 및 화물 총 부피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화물 포장 상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다.
화물의 총 중량 및 부피와 관련된 정보는 화물 총 중량 및 총 부피를 직접 입력하거나, 화물 각각의 중량 및 부피 정보를 입력하여 계산된 총 중량 및 총 부피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입찰 등록 단계의 서비스 선택 단계(S110)에서 상기 통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에서는 화물 품목 정보, HS-CODE,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가격 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패킷리스트 정보, 커머셜 인보이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다.
패킷리스트 정보 및 커머셜 인보이스 정보가 양식에 맞게 입력된 경우 상기 화물 품목 정보, HS-CODE, CIF 가격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인코텀즈를 결정하고 입력하는 방법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인코텀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인코텀즈(Incoterms, ICC rules for the us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terms)는 국제상업회의소가 제정하여 국가 간의 무역거래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무역거래조건에 관한 해석 규칙이다. 무역거래에 가격과 책임에 있어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위험과 비용의 분기점을 제시하며, 무역의 거래조건에 발생될 수 있는 분쟁예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 조건으로는 FCA - Free Carrier (운송인 인도조건), FAS - 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조건), FOB - Free on Board (본선 인도조건), CFR - Cost and Freight (운임포함인도), CIF -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보험료 포함인도), CPT - Carriage Paid To (운송비 지급인도), CIP - Carri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 보험료지급인도), EXW - Ex Works (공장인도), DAT - Delivered At Terminal (도착터미널인도), DAP - Delivered At Place (도착장소인도), DDP - Delivered Duty Paid (관세지급인도) 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코텀즈가 결정된 경우에는 직접 인코텀즈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S161). 이 경우, 선택된 인코텀즈 조건에 따라 체크하여야 할 사항들을 부가적으로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S165)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에서 입찰을 등록하기 위해 인코텀즈 가이드를 이용하여 인코텀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인코텀즈가 결정되지 않거나, 상기 인코텀즈를 모르는 경우 인코텀즈를 가이드 하는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S163)가 진행된다.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S163)는, 출발지가 내륙인 경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화물을 적재할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1 단계(S163a), 상기 출발지가 항구인 경우, 컨테이너 물류 유형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S163b),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상세 출발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S163c),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소량화물(LCL)이 선택한 이후,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이 선택된 경우 수출지에서 작업 의무자를 입력 받는 제4 단계(S163d),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4 단계에서 작업의무자가 수출자인 경우, CFS에서 CY(Container Yard)까지 운송하는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5단계(S163e),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상세 도착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6단계(S163f),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BAF(Bunker Adjustment Factor) 또는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을 지불하는 주체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7단계(S163g), 상기 도착지가 수입지 항구 또는 공항인 경우 수출자가 도착지까지 화물보험을 가입했는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8단계(S163h)를 포함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출발지를 기준으로 인코텀즈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1 단계(S163a)에서는 출발지가 내륙인 경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화물을 적재할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다. 수출 출발지에서 상품을 운송 수단에 적재할 의무가 수출자에 있는 경우에는 FCA 조건이 선택되며, 수입자인 경우에는 EXW 조건이 선택된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S163b)에서는 출발지가 항구인 경우에 적용되며, 컨테이너 물류 유형을 입력 받는다. 컨테이너 물류 유형이 FCL인 경우 FOB 조건이 선택되며, LCL인 경우에는 FOB 또는 FCA 조건이 선택된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S163c)에서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이 선택된 경우 상세 출발지를 입력 받는다. 상세 출발지는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또는 CY(Container Yard)가 선택될 수 있다. CFS가 선택된 경우 FCA 조건이 선택되며, CY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FOB 조건이 선택된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4 단계(S163d)에서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소량화물(LCL)이 선택한 이후, 제 3단계에서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이 선택된 경우 수출지에서 작업 의무자를 입력 받는다. 이때에는 수출자 또는 수입자가 선택될 수 있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5단계(S163e)에서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4 단계에서 작업 의무자가 수출자인 경우, CFS에서 CY(Container Yard)까지 운송하는 내륙운송(Drayage Charge)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다. 이때에는 수출자 또는 수입자가 선택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착지를 기준으로 인코텀즈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6단계(S163f)에서는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상세 도착지를 입력 받는다. 상세 도착지는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또는 CY(Container Yard)가 선택될 수 있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7단계(S163g)에서는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BAF(Bunker Adjustment Factor) 또는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을 지불하는 주체를 입력 받는다. 이때에는 수출자 또는 수입자가 선택될 수 있다. 인코텀즈 가이드 제8단계(S163h)에서는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수출자가 도착지까지 화물보험을 가입했는지를 입력 받는다. 화물 보험을 가입한 경우 CIF 조건이 선택되며, 아닌 경우에는 CFR 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인코텀즈 가이드 제8단계(S163h)에서 상기 도착지가 공항인 경우 수출자가 도착지까지 화물보험을 가입했는지를 입력 받는다. 화물 보험을 가입한 경우 CIP 조건이 선택되며, 아닌 경우에는 CPT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인코텀즈 가이드에 의해 인코텀즈가 결정된 경우에도 조건에 따라 체크하여야 할 사항들을 부가적으로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S165)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과정에서 이미 입력한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S163b),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S163c),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6 단계(S163f)는 상기 목적지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입력 기능은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입찰을 통한 중개 방법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입찰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찰자와 업체 모두 유리한 조건을 부여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조건들은 특별회원제도 또는 유료 서비스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찰 슬롯 할당 단계(S200)에서는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한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은 추가적인 옵션에 의하여 그 개수가 확장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옵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별회원제도나 유료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독 결제 조건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각 조건에 따라 슬롯의 추가 또는 슬롯의 제한 해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서 입찰자는 더 많은 수의 입찰을 받아 볼 수 있고, 더욱 더 유리한 조건을 살펴볼 수 있다.
상기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S300)에서는 상기 수입 물류 및 통관 업체 중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상기 입찰 슬롯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자적인 입찰에 참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권한은 별도의 유료 서비스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기능 이외에도 업체는 타 업체의 입찰 내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 및 입찰 평균가 확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한 중개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은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이며, 업체별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 받는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 입력된 조건에 운임 유효 기간이 유효한 업체 리스트 및 및 상기 해당 업체의 상기 입력된 조건에 대한 운임 정보가 조회되는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S500), 상기 업체를 선택하여 견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는 견적 의뢰서 작성 단계(S600)를 포함한다.
업체별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 받는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에서 상세한 정보를 입력 받고, 업체별로 상세 운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입력된 조건에 대한 상세 운임 정보가 입력되고, 운임 유효 기간이 유효한 업체 리스트가 조회된다(S500). 이때에 적용되는 조건은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 운송 시간에 관한 정보, 전체 운임 비용에 대한 정보가 사용 될 수 있다.이때에는 해당되는 정보가 없거나 운임 유효일이 만료된 업체들은 조회 리스트에서 배제될 수 있다. 이렇게 적용되는 조건과 업체별 상세 운임 정보를 활용하여 업체 리스트에는 운임 가격이 같이 계산되고(S510), 업체 리스트에 제공될 수 있다(S500).
이렇게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업체를 대상으로, 업체를 선택하여 견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업체에게 견적을 의뢰할 수 있다(S600). 견적 의뢰 작성 단계(S600)는 수입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S100)가 이미 진행된 경우 작성된 입찰 카드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중 자동 견적 생성을 통해 중개하는 방법 중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는,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 중 운송 수단을 선택하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 상기 운송 수단이 해상 운송인 경우,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S420),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및 상기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를 입력하는 목적지 입력 단계(S430) 및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 목적지 입력 단계에 해당하는 상세 운임과 운임 유효 기간을 입력하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특히 운임 유효 기간은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세 운임 정보에 활용될 수 없는 조건이며, 국제 물류에서 상세 운임의 변동성이 크게 존재하는 점을 반영하였다.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는 특히, 항구별 부대비용을 입력할 수 있는 부대비용 입력단계(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구별로 부대비용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 이를 항구별로 입력 받는다. 비용은 크게 수량에 연동되는 비용은 단위 수량과 연계되는 단위로 입력 받고, 수량에 관계없는 비용은 B/L(Bill of Lading) 단위로 표시된다.
부대비용은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FCL)이 선택된 경우, 컨테이너의 수량별로 부대비용을 입력하거나, 또는 수량에 관계없는 경우에는 B/L 단위로 입력된다.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이 선택된 경우, 수량에 관계된 R.TON(Revenue ton)의 단위로 입력 받거나 또는 수량에 관계없는 경우에는 B/L 단위로 입력된다.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된 경우, 수량에 관계된 C/W(Chargeable Weight) 또는 수량에 관계없는 경우에는 B/L 단위로 입력된다.
내륙 운송료의 자동 계산 방법
물류의 최종 단가를 위해서는 내륙 운송료의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항구별, 도착 지역별, 컨테이너 물류 유형별, 컨테이너 종류별, 중량 및 부피 내륙 운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자동으로 내륙 운송료를 계산하는 내륙 운송료 계산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S500)에서는 내륙 운송료 계산 단계(S520)를 더 포함하여, 계산된 내륙 운송료를 포함한 최종 견적을 생성할 수 있고, 이것은 도착지 상세 정보를 바탕으로 도착지가 내륙인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

Claims (16)

  1.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S100);
    상기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해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이 할당되는 입찰 슬롯 할당 단계(S200);
    물류 및 통관 업체의 입찰을 전자적으로 참여 받고, 상기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에 대해 시간 순으로 입찰을 참여시키는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S300);
    를 포함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등록 단계(S100)는,
    물류 및 통관 서비스, 물류 서비스, 통관 서비스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 받는 서비스 선택 단계(S110);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과 같은 운송 수단을 선택 받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상기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 및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경유지를 입력 받는 목적지 입력 단계(S130);
    상기 운송되는 화물의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는 물류사의 판단으로 타 운송 수단으로 제안할 수 있는 선택 옵션을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되는 화물의 컨테이너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S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테이너 정보 입력 단계(S150)는,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와 같은 컨테이너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S151); 및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에서 컨테이너(FCL)가 선택된 경우, DRY 컨테이너, REEFER 컨테이너, OPENTOP 컨테이너, FLAT RACK 컨테이너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종류 선택 단계(S153) 및
    컨테이너의 크기 및 수량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크기 및 수량 선택 단계(S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에서는, 화물 품목 정보, HS-CODE, 상품가액정보, 중량, 위험물 여부, 적하 보험 가입 필요 여부, 개폐율, 2단 적재 여부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컨테이너 종류 선택 단계(S153)에서 상기 REEFER 컨테이너가 선택된 경우, 컨테이너의 설정 온도 정보를 필수적으로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120)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되거나,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 단계(S151)에서 상기 컨테이너 소량화물(LCL) 이 선택된 경우,
    상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에서는, 화물 총 중량 및 화물 총 부피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화물 포장 상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에 대한 인코텀즈를 결정하는 인코텀즈 입력 단계(S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코텀즈 입력 단계는 상기 인코텀즈가 결정된 경우 직접 입력하는 인코텀즈 직접 선택단계(S161); 및 상기 인코텀즈가 결정되지 않거나, 상기 인코텀즈를 모르는 경우 인코텀즈를 가이드 하는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S163)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입력단계(S163)는,
    상기 출발지가 내륙인 경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화물을 적재할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1 단계(S163a);
    상기 출발지가 항구인 경우, 컨테이너 물류 유형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S163b);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이 선택된 경우 상세 출발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S163c);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에서 소량화물(LCL)이 선택한 이후, 제 3단계에서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이 선택된 경우 수출지에서 작업 의무자를 입력 받는 제4 단계(S163d);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4 단계에서 작업의무자가 수출자인 경우, CFS에서 CY(Container Yard)까지 운송하는 의무를 가지는 대상을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5단계(S163e);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상세 도착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6단계(S163f);
    상기 도착지가 항구인 경우 BAF(Bunker Adjustment Factor) 또는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을 지불하는 주체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7단계(S163g);
    상기 도착지가 항구 또는 공항인 경우 수출자가 도착지까지 화물보험을 가입했는지를 입력 받는 인코텀즈 가이드 제8단계(S163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2 단계(S163b),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3 단계(S163c), 상기 인코텀즈 가이드 제6 단계(S163f)는 상기 목적지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등록 단계의 서비스 선택 단계(S110)에서 상기 통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화물 상세 정보 입력 단계(S140)에서는 화물 품목 정보, HS-CODE, CIF 가격 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 받고, 패킷리스트 정보, 커머셜 인보이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슬롯 할당 단계(S200)에서,
    등록된 입찰 카드에 대한 제한된 개수의 입찰 슬롯은 추가적인 옵션에 의하여 그 개수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적 입찰 접수 단계(S300)에서,
    상기 물류 및 통관 업체 중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상기 입찰 슬롯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자적인 입찰에 참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2. 업체별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상세 운임 정보를 입력 받는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
    입력된 조건에 대한 운임 유효 기간이 유효한 업체 리스트 및 상기 해당 업체의 상기 입력된 조건에 대한 운임 정보가 조회되는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S500);
    상기 업체를 선택하여 견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는 견적 의뢰 작성 단계(S600);
    를 포함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입찰을 등록하여 입찰 카드를 형성하는 입찰 등록 단계(S100)가 이미 진행된 경우,
    상기 견적 의뢰서 작성 단계(S600)는 상기 작성된 입찰 카드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는,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 중 운송 수단을 선택하는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
    상기 운송 수단이 해상 운송인 경우, 컨테이너(FCL),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을 선택하는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S420);
    운송되는 화물이 출발되는 출발지, 상기 운송되는 화물이 도착되는 도착지 및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경유지를 입력하는 목적지 입력 단계(S430); 및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 컨테이너 물류 유형 선택단계, 목적지 입력 단계에 해당하는 상세 운임과 운임 유효 기간을 입력하는 단계(S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운임 정보 입력 단계(S400)는,
    항구별 부대비용을 입력할 수 있는 부대비용 입력단계(S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대비용은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FCL)이 선택된 경우, 컨테이너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고,
    상기 부대비용은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해상 운송이 선택되고, 상기 컨테이너 물류 유형 단계에서 컨테이너 소량화물(LCL)이 선택된 경우, R.TON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고,
    상기 부대비용은 상기 운송 수단 선택 단계(S410)에서 항공 운송이 선택된 경우, C/W 또는 B/L 단위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항구별, 도착 지역별, 컨테이너 물류 유형별, 컨테이너 종류별, 부피별, 중량별 내륙 운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내륙 운송료를 계산하는 내륙 운송료 계산 단계(S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체 리스트 조회 단계(S500)에서는 상기 내륙 운송료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내륙 운송료를 포함한 최종 운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KR1020190109066A 2019-09-03 2019-09-03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KR10238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66A KR102381490B1 (ko) 2019-09-03 2019-09-03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KR1020210145109A KR102390562B1 (ko) 2019-09-03 2021-10-28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66A KR102381490B1 (ko) 2019-09-03 2019-09-03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09A Division KR102390562B1 (ko) 2019-09-03 2021-10-28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52A true KR20210027952A (ko) 2021-03-11
KR102381490B1 KR102381490B1 (ko) 2022-04-01

Family

ID=751427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066A KR102381490B1 (ko) 2019-09-03 2019-09-03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KR1020210145109A KR102390562B1 (ko) 2019-09-03 2021-10-28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09A KR102390562B1 (ko) 2019-09-03 2021-10-28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1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90B1 (ko) * 2019-09-03 2022-04-01 주식회사 셀러노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KR102491656B1 (ko) * 2022-01-13 2023-02-23 주식회사 위글로벌리 메타버스 서비스에 기반한 해외 공장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41A (ko) * 2000-07-15 2002-01-29 곽경수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 운송 계약 지원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화물 운송 계약 지원 방법
KR20130065756A (ko) * 2011-11-28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견적 의뢰서 관리 방법
KR20190001251A (ko) * 2017-06-27 2019-01-04 오현민 온라인 물류 플랫폼
KR20190044309A (ko) * 2017-10-20 2019-04-30 (주)지앤비쉬핑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90B1 (ko) * 2019-09-03 2022-04-01 주식회사 셀러노트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41A (ko) * 2000-07-15 2002-01-29 곽경수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 운송 계약 지원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화물 운송 계약 지원 방법
KR20130065756A (ko) * 2011-11-28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견적 의뢰서 관리 방법
KR20190001251A (ko) * 2017-06-27 2019-01-04 오현민 온라인 물류 플랫폼
KR20190044309A (ko) * 2017-10-20 2019-04-30 (주)지앤비쉬핑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490B1 (ko) 2022-04-01
KR102390562B1 (ko) 2022-04-26
KR20210133197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028B2 (en) Blockchain-based logistics systems
US8606723B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Asturias Endogenous transportation costs
US8694397B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US6460020B1 (en) Universal shopping center for international operation
US20020065738A1 (en) Transport logistics systems and methods
US884341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pply chain finance
KR102390562B1 (ko)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중개 방법
US20060085336A1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US20200134551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national trade and method
US20040093313A1 (en) Maritime freight option
KR2011009773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Huria Facilitating Trade and Logistics for E-Commerce: Building Blocks, Challenges, and Ways Forward
KR20100024907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CN101111860A (zh) 多供应商交易和支付编程处理系统及方法
WO2006117680A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WO2009094020A1 (en)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pply chain finance
KR20230141085A (ko) 수출입 화물 물류 및 통관에 대한 자동 운임 계산 방법
Sylla Electronic procurement of transportation services: an evaluation concept for electronic transportation marketplaces
KR2022006659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기계 거래 중개 서버
Seppälä Ocean import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Lock Controlling purchasing
KR20230109341A (ko) 수입 윤활유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Le BUILDING A WHOLE SUPPLY CHAIN FOR AGRICULTURAL PRODUCTS FROM VIETNAM TO FINLAND
de Oliveira Leveraging the Internet as a global buyer: a framework for the World Food Programme, 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1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210

Effective date: 2022031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