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51A -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51A
KR20210027151A KR1020200108381A KR20200108381A KR20210027151A KR 20210027151 A KR20210027151 A KR 20210027151A KR 1020200108381 A KR1020200108381 A KR 1020200108381A KR 20200108381 A KR20200108381 A KR 20200108381A KR 20210027151 A KR20210027151 A KR 2021002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condary battery
retention rate
capacity retention
ful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900B1 (ko
Inventor
요시히로 우치다
노부유키 다나카
가즈키 구보
준타 이즈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2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1Vehicle or relevant part thereof displ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4Economic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70/152
    • B60K2370/169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표시 처리에 있어서, ECU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양태로 용량 유지율을 표시시킨다. 한편, ECU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2 양태로 용량 유지율을 표시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DISPLAY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HOW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본 개시는,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전기기기에는 동력원으로서 이차 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이차 전지는, 그 사용 및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되어, 만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만충전 용량이 감소하면 전기기기의 최대 연속 구동 시간이 짧아지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만충전 용량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지표이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이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 차량에서는, 만충전 용량이 감소하면, 이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전동 차량이 항속 가능한 거리(이른바 EV 항속 거리)가 저하되어버린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만충전 용량을 표시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257213호 공보에는 이차 전지의 SOC(State Of Charge) 및 만충전 용량의 양방을 표시하는 표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전동 차량에는, 이차 전지의 열화가 진행되어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메이커로부터 이차 전지의 교환, 혹은 이차 전지를 리프레시시키는 처리를 받을 수 있는 보증이 부대된 것이 있다. 보증이 부대된 전동 차량의 사용자는,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딜러 등을 통해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일반적인 전기기기(예를 들면, 많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스마트폰)에서는, 이차 전지의 전지 잔량(잔용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SOC가 상시 표시되지만, 만충전 용량은 상시 표시되지 않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만충전 용량에 대하여 익숙함이 적은 사용자도 많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표시 시스템과 같이, SOC 및 만충전 용량의 양방이 전동 차량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표시된 만충전 용량이 어떠한 상태가 되면 보증을 받을 수 있는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은,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다.
(1) 이 개시와 관련된 표시 시스템은,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에 관한 제 1 지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와, 표시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이 통지된다. 즉,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통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2)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제 1 지표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제 1 지표의 표시 양태가 변화된다. 제 1 지표의 표시 양태가 변화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3)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경고가 표시된다. 경고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4)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의 추정 오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제 1 지표의 정밀도가 낮은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추정되는 환경은 다양하며, 안정된 환경에서 추정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만충전 용량의 추정값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만충전 용량의 추정 오차가 크면, 추정 타이밍마다 표시되는 제 1 지표가 크게 변화되어버릴 가능성이 있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만충전 용량의 추정 오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 1 지표의 정밀도가 낮은 것이 통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지표의 정밀도가 낮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고로, 가령 추정 타이밍마다 표시되는 제 1 지표가 크게 변화되었다고 해도, 제 1 지표의 정밀도가 낮은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5)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는, 제 1 지표로서, 이차 전지의 초기의 만충전 용량에 대한 현재의 만충전 용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량 유지율을 세그먼트 표시에 의해 표시한다. 제어 장치는, 용량 유지율에 따른 세그먼트의 수를 점등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세그먼트의 색을 변화시키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세그먼트의 색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6)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하고,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지 않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7)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증 조건은,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충족된다.
(8)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증 조건은, 이차 전지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 충족된다.
(9)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증 조건은,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또한, 이차 전지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 충족된다.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기 위해서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조건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까지,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이 통지되면, 사용자가 보증을 받을 수 있다고 오인식하거나, 보증을 받을 수 없음에도 통지되는 것에 번거로움을 느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6)~(9)의 구성에 의하면,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이 통지되지만,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통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증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통지되지 않으므로, 통지에 의한 상기 오류 인식을 사용자에 주거나, 통지에 의한 번거로움을 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통지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되어,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없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11)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을 나타내는 제 2 지표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제 2 지표로서는, 예를 들면, 보증 조건인, 소정 기간 및/또는 소정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표로서, 소정 기간 대신에, 잔여일 수, 또는 소정 기간이 도래하는 날짜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제 2 지표로서, 소정 거리 대신에, 소정 거리까지의 나머지의 거리가 표시되어도 된다. 제 2 지표를 표시함으로써, 보증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증을 받지 않아, 예를 들면, 소정 기간을 경과시켜버리거나, 소정 거리를 초과해버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2) 이 개시의 다른 국면과 관련된 차량은, 이차 전지와, 상기 (1)~(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표시를 차량에 있어서 실현할 수 있다.
(13) 이 개시의 또 다른 국면과 관련된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는,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에 관한 제 1 지표를 표시한다.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은,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을 취득하는 단계와,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그 1)이다.
도 4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그 2)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배터리의 용량 추정 오차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배터리의 용량 추정 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배터리의 용량 유지율 및 용량 추정 오차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3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 및 보증 조건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다른 양태로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 용량 유지율이 다른 양태로 표시된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1)은, 차량 외부의 전원(이하 「외부 전원」이라고도 칭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탑재의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전기 자동차이다. 또한, 차량(1)은, 동력원으로서의 이차 전지를 탑재한 차량이면 되고, 전기 자동차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량(1)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연료 전지 자동차여도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차량(1)은, 모터 제너레이터(10)와, 전달 기어(22)와, 구동륜(23)과, 전력 제어 장치(PCU: Power Control Unit)(30)와, 시스템 메인 릴레이(SMR: System Main Relay)(41)과, 배터리(5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70)과, 카 내비(카 내비게이션 시스템)(80)와, 통신 장치(90)와,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100)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1)은, 외부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충전 릴레이(42)와, 충전기(61)와, 인렛(62)을 구비한다.
모터 제너레이터(삼상(三相) 교류 모터)(10)는, PCU(30)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받음으로써, 차량(1)을 주행시키기 위한 운동 에너지를 생성한다. 모터 제너레이터(10)에 의해 생성된 운동 에너지는, 구동륜(23)에 전달된다. 한편, 차량(1)을 감속시킬 때나, 차량(1)을 정지시킬 때, 모터 제너레이터(10)는, 차량(1)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모터 제너레이터(10)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력은, PCU(30)에 의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배터리(5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회생 전력을 배터리(50)에 축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제너레이터(10)는, 배터리(50)와의 사이에서의 전력의 수수(즉, 배터리(50)의 충방전)를 수반하여, 차량(1)의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엔진(도시 생략)이 추가로 탑재된 하이브리드 자동차로서 차량(1)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터 제너레이터(10)의 출력에 더해, 엔진의 출력을 주행을 위한 구동력에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엔진 출력에 의해 발전되는 모터 제너레이터(도시 생략)를 추가로 탑재하고, 엔진 출력에 의해 배터리(50)의 충전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PCU(30)는,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50)에 축적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 제너레이터(10)에 공급한다. 또한, PCU(30)는, 모터 제너레이터(10)가 발전시킨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50)에 공급한다.
SMR(41)은, PCU(30)와 배터리(50)를 연결하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SMR(41)은,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PCU(30)와 배터리(50)와의 사이에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배터리(50)는, 충방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직류 전원이다. 배터리(50)로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이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50)는, 차량(1)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력을 PCU(30)에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50)는, 모터 제너레이터(10)가 발전시킨 전력을 축적한다.
배터리(50)는, 배터리(50)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유닛(51)을 포함한다. 감시 유닛(51)은, 배터리(50)의 전압(VB)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와, 배터리(50)에 입출력되는 전류(IB)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배터리(50)의 온도(TB)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모두 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각 센서는,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ECU(100)에 출력한다. ECU(100)는, 감시 유닛(51)으로부터 받은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배터리(50)의 SOC를 산출하거나,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을 산출하거나 할 수 있다.
충전 릴레이(42)는, 배터리(50)와 충전기(61)를 연결하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전 릴레이(42)는,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50)와 충전기(61)와의 사이에서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충전기(61)는, 예를 들면 AC/DC 컨버터(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충전기(61)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 충전 케이블(2)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50)에 출력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은, ECU(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1)의 다양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은, 차량(1)의 속도를 표시하는 스피드 표시부(71), 차량(1)의 주행 거리를 표시하는 트립 표시부(72), 및 전지 잔량(잔용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SOC를 표시하는 잔용량 표시부(73)를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스피드 표시부(71)에는, 100km/h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트립 표시부(72)에는, 20km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잔용량 표시부(73)에는, SOC100%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SOC는,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에 대한 현재의 축전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은, 사용자가 표시시키는 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 및 보증 램프(7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후술의 예에서는 용량 유지율), 항속 가능 거리, 평균 차속, 및 배터리(50)의 회생/역행의 상태 등을 선택적으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3은,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용량 유지율(Q)이란, 배터리(5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만충전 용량(C0)에 대한 배터리(50)의 현재의 만충전 용량(C)의 비율[단위: %]이며,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에 관한 지표(제 1 지표)로서,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다. 또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는, 용량 유지율(Q) 대신에 현재의 만충전 용량(C)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는, 예를 들면, 현재의 만충전 용량(C)과, 배터리(5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만충전 용량(C0)이 표시된다.
Q=C/C0×100…(1)
만충전 용량의 초기값(C0)으로서는, 배터리(50)(또는 차량(1))의 제조 시에 측정된 만충전 용량을 이용해도 되고,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의 사양값(카탈로그값)을 이용해도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는, 제 1 표시부(76), 제 2 표시부(77) 및 제 3 표시부(78)를 포함한다.
제 1 표시부(76)는, 용량 유지율(Q)을 세그먼트 표시한다. 제 1 표시부(76)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은, 눈금을 구성하는 10개의 세그먼트(760~769)에 의해 나타난다. 즉, 1개의 세그먼트가 10%의 용량 유지율(Q)을 나타내고 있다. 세그먼트(760~769)의 각각의 점등/소등(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에 의한 가상적인 점등/소등)은,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세그먼트(760~769)는, 용량 유지율(Q)이 저하됨에 따라 세그먼트(769)측으로부터 차례로 소등된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760~769)가 모두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용량 유지율 100%)로부터,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단위량(10%) 저하되면, 세그먼트(769)가 소등된다. 도 3에는, 용량 유지율(Q)이 80%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 세그먼트(768, 769)가 소등되고, 세그먼트(760~767)가 점등되어 있다. 또한, 제 1 표시부(76)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수는, 10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면 임의이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의 수는 10개보다 많아도 된다.
제 2 표시부(77)는, 용량 유지율(Q)을 수치(도 3에서는 80%)로 표시한다. 제 2 표시부(77)에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의 단위량은, 제 1 표시부(76)에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의 단위량보다 작아도 된다(예를 들면 1%).
제 3 표시부(78)는,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정밀도가 나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정밀도 램프를 표시한다. 정밀도 램프는,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점등/소등된다. 정밀도 램프는,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오차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 점등된다. 정밀도 램프는,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오차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소등된다. 정밀도 램프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증 램프(75)는, EC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점등/소등된다. 보증 램프(75)는, 배터리 보증(후술)을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는 소등되고,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점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카 내비(80)는,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에 의거하여 차량(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와,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거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하는 터치 패널이 있는 모니터(모두 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90)는, 서비스 툴(4)과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의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 장치(9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5)과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ECU(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와, 메모리(120)와, 입출력 포트(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ECU(100)는, 기능마다 복수의 ECU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메모리(12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ECU(1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의 제어에 이용되는 맵 등을 기억한다. CPU(110)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RAM으로 전개하여 실행한다. CPU(110)는,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 및 메모리(120)에 기억된 맵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차량(1)이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각 기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ECU(100)에 의해 실행되는 주요한 제어로서, 배터리(50)의 SOC, 만충전 용량 및 용량 유지율을 산출하는 「산출 처리」, 및, 산출한 용량 유지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70)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를 들 수 있다. 산출 처리 및 표시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비스 툴(4)은, 딜러 또는 수리 공장 등에 설치된 전용 단말이며, 차량(1)의 이상(배터리(50)의 상태를 포함함)의 유무를 진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툴(4)은, 통신부(401)와, 표시부(402)와, 조작부(403)와, 제어부(404)를 포함한다. 제어부(404)는, 작업원에 의한 조작부(403)로의 조작에 따라, 통신부(401)를 통하여 차량(1)과 필요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차량(1)의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표시부(402)에 표시시킨다.
스마트폰(5)은, 통신 모듈(501)과, 터치패널 디스플레이(502)와, 제어부(503)를 포함한다. 제어부(503)는, 통신 모듈(501)을 통한 차량(1)과의 통신에 의해, 차량(1)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터치패널 디스플레이(502)에 표시하거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50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은, 본 개시와 관련된 「표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ECU(100)는, 본 개시와 관련된 「제어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본 개시와 관련된 「표시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7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 내비(80), 또는 차량(1)에 별도 마련되는 표시 장치여도 된다.
<배터리의 보증>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1)에는, 메이커로부터 배터리(50)의 교환을 받을 수 있는 보증(배터리 보증)이 부대되어 있다. 이차 전지는, 그 사용 및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되어, 만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차 전지의 사용 및 경시(經時)에 의해, 용량 유지율이 저하된다. 배터리(50)가 열화되어 용량 유지율이 저하되면(만충전 용량이 감소하면), 최대의 EV 항속 거리가 짧아져버린다. EV 항속 거리가 짧아지면, 외부 충전을 행하지 않고 장거리를 주행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딜러 등을 통하여 메이커로부터 배터리(50)의 교환을 받을 수 있도록 배터리 보증이 부대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보증의 내용은, 배터리(50)를 교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열화가 진행된 배터리(50)에 리프레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배터리(50)의 리프레시 처리는,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SOC가 기준 SOC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50)를 방전시켜, 일정시간 동안, 배터리(50)의 SOC를 기준 SOC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배터리(50)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처리여도 된다. 혹은, 배터리(50)의 리프레시 처리는,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부품 교환 등을 행함으로써, 배터리(50)의 용량을 회복시키는 처리여도 된다.
임계값은, 예를 들면, EV 항속 거리의 관점(예를 들면 배터리(50)를 만충전으로 하였을 때의 EV 항속 거리)로부터, 배터리(50)의 교환을 권장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혹은, 임계값은, 예를 들면, EV 항속 거리의 관점에서, 배터리(50)에 리프레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권장하는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임계값은, 용량 유지율 30%로 설정된다. 또한, 임계값은, 용량 유지율 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 3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용량 유지율 30% 미만의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임계값은, 용량 유지율(Q)에 대하여 설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C)에 대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만충전 용량(C)와 용량 유지율(Q)은 비례하기 때문에(상기 식 (1) 참조), 만충전 용량(C)에 대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만, 배터리 보증을 받기 위해서는, 보증을 받을 수 있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보증 조건은, 예를 들면, (i)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10년의 기간(이하 「보증 기간」이라고도 칭함)이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 및 (ii) 15만마일의 주행 거리(이하 「보증 거리」라고도 칭함)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양방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충족된다. 바꿔 말하면, 보증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한, 보증 거리를 주행할 때까지,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다. 보증 기간 또는 보증 거리 중 어느 것을 초과한 경우에는,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었다고 해도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다.
보증 기간은,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기간이며, 예를 들면, 통계 또는/및 배터리(50)의 사양 등에 의거하여 유도된다. 보증 기간의 기산일은, 예를 들면 차량(1)의 신차 등록을 한 날이다. 즉, 보증 기간은, 차량(1)의 신차 등록을 한 날로부터 10년의 기간이다. 또한, 보증 기간의 기산일은,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제조일 혹은 차량(1)의 제조일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보증 기간은,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10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10년보다 짧은 기간이어도 되고,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10년보다 긴 기간이어도 된다.
보증 거리는,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거리이며, 예를 들면, 통계 또는/및 배터리(50)의 사양 등에 의거하여 유도된다. 또한, 보증 거리는, 15만마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5만마일보다 짧은 거리여도 되고, 15만마일보다 긴 거리여도 된다.
정리하면,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다.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서, 이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일반적인 전기 제품(예를 들면, 많은 사용자에게 익숙함이 있는 스마트폰)에서는, 이차 전지의 전지 잔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SOC가 상시 표시되지만, 용량 유지율(혹은 만충전 용량)은 상시 표시되지 않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용량 유지율(만충전 용량)에 대하여 익숙함이 적은 사용자도 많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Q)이 인스트루먼트 패널(70)에 표시되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이 어떠한 상태가 되면 상기의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1)은,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1)은,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킨다.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가 변화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 즉 배터리(50)의 교환을 받을 수 있는 것(혹은 배터리(50)의 리프레시 처리를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혹은,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70)에 경고를 표시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보증 램프(75)가 점등되는 것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보증 램프(75) 대신에, 예를 들면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문자를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70)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킴과 함께,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이들에 의해,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보다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의 변화 및 보증 램프(7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이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임계값은, 용량 유지율 30%로 설정된다. 즉,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으면,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30% 이하가 된 경우에 배터리 보증의 대상이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의 제 1 표시부(76)에 세그먼트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량 유지율(Q)에 따른 세그먼트의 수가 점등된다.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Q)이 80%인 도 3의 예에서는, 세그먼트(760~767)가 점등됨과 함께, 세그먼트(768, 769)가 소등된다.
그리고,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점등색은,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와,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서, 상이한 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면, 세그먼트의 점등색을 변화시킨다.
일례로서, 용량 유지율(Q)이 80%인 경우(도 3)에는, 세그먼트의 점등색이 청색으로 설정된다. 한편, 용량 유지율(Q)이 30%인 경우(도 4)에는, 세그먼트의 점등색이 적색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의 세그먼트의 점등색의 설정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세그먼트의 점등색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에, 세그먼트의 점등색이 청색으로부터 적색으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표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혹은,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도 3에는 보증 램프(75)가 소등되어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으며, 도 4에는 보증 램프(75)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에, 보증 램프(75)가 점등됨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표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에, 세그먼트의 점등색을 변화시킴과 함께,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양자를 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보다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었다고 해도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까지,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이 통지되면, 사용자가 보증을 받을 수 있다고 오인식하거나, 보증을 받을 수 없음에도 통지되는 것에 번거로움을 느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었다고 해도,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통지에 의한 상기 오류 인식을 사용자에게 주거나, 통지에 의한 번거로움을 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추정되는 환경(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배터리(50)의 온도(TB) 등)은 다양하며, 항상 안정된 환경에서 추정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용량 유지율(Q)의 추정값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오차가 크면,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우려가 발생한다. 용량 유지율(Q)의 추정 타이밍마다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제 1 표시부(76), 제 2 표시부(77))이 크게 흔들려,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었지만, 다음의 용량 유지율(Q)의 추정의 타이밍에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커질 수 있다. 또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었으므로, 바로 딜러에게 차량(1)을 가져 온 것 같은 케이스에 있어서, 안정된 환경에서 서비스 툴(4)에 의해 용량 유지율(Q)을 추정하면,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큰 것도 상정된다.
따라서,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오차가 큰 경우에는, 제 3 표시부(78)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제 3 표시부(78)가 점등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용량 유지율(Q)의 정밀도가 낮아, 표시가 정확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추정 타이밍마다 표시되는 용량 유지율(Q)이 흔들렸다고 해도, 표시되어 있는 용량 유지율(Q)의 정밀도가 낮은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오차의 산출은, 도 5에 있어서 설명한다.
<산출 처리 및 표시 처리>
<<산출 처리>>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는, 예를 들면 소정 조건 성립 시(예를 들면, 전회의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시부터 규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ECU(100)에 의해 실행된다. 이 플로우 차트 및 후술의 도 9에 포함되는 각 단계(이하, 단계를 「S」로 생략함)는, 기본적으로는 ECU(100)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되지만, ECU(100) 내에 제작된 전용의 하드웨어(전기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S101부터 S107의 처리는,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 및 그 추정 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처리(산출 처리)이다.
S101에 있어서, ECU(100)는, 배터리(50)의 방치 시간(Δt)을 취득한다. 방치 시간(Δt)(대기 시간이라고도 불림)이란, 당해 플로우의 개시 전에 배터리(50)가 충방전되지 않고 방치된 시간(즉, 배터리(50)의 전회의 충방전이 행해지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의미한다.
S102에 있어서, ECU(100)는, 배터리(50)의 SOC를 산출한다. 이 SOC를 「개시 SOC」라고 칭하고, SOC1이라고도 기재한다. 개시 SOC의 추정 방법으로서는, 미리 취득된 배터리(50)의 OCV-SOC 커브를 참조하여 OCV로부터 SOC를 구하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S103에 있어서, ECU(100)는, 배터리(50)의 SOC를 다시 산출한다. 이 SOC를 「종료 SOC」라고 칭하고, SOC2라고도 기재한다.
S104에 있어서, ECU(100)는, 개시 SOC의 추정 시부터 종료 SOC의 추정 시까지의 동안에 배터리(50)에 충방전된 충방전 전력량(ΔAh)을 산출한다. 전력량(ΔAh)은, 감시 유닛(51)에 포함되는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50)를 흐르는 전류값을 적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충방전 전력량(ΔAh)의 단위는, 암페어·아워에 한정되지 않고, 와트·아워여도 된다.
S105에 있어서, ECU(100)는,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C)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ECU(100)는, 2회의 SOC 산출 결과인 SOC1, SOC2와 충방전 전력량(ΔAh)를 이용하여,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C)을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C=ΔAh/|SOC1-SOC2|×100…(2)
S106에 있어서, ECU(100)는,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을 추정한다.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은, 상기 식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충전 용량(C)을 배터리(50)의 만충전 용량의 초기값(C0)에 의해 나눔으로써 산출된다.
S107에 있어서, ECU(100)는, S106에서 추정된 용량 유지율(Q)의 오차(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한다.
도 6은, 배터리(50)의 용량 추정 오차(ε)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횡축은 개시 SOC를 나타내고, 종축은 용량 추정 오차(ε)를 나타낸다.
방치 시간(Δt)과 개시 SOC(SOC1)와 전지 온도(TB)와의 조합(Δt, SOC1, TB)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각 조건에 있어서의 만충전 용량(C)을 측정한다. 도 6에는, 어느 전지 온도(TB)(이 예에서는 30℃)에 있어서, 방치 시간(Δt)을 2가지(1분 또는 60분)로 변화시키고, 또한, 개시 SOC를 0%에서부터 85%까지의 범위로 다양하게 변화시킨 경우의 만충전 용량(C)의 산출 오차(=용량 추정 오차(ε))가 나타나 있다. 동일 조건하에 놓여진 복수의 배터리의 만충전 용량(C)을 측정함으로써, 그 조건에 있어서의 만충전 용량(C)의 산출 오차를 구할 수 있다. 만충전 용량(C)와 용량 유지율(Q)은 비례하기 때문에(상기 식 (1) 참조), 만충전 용량(C)의 산출 오차와 용량 추정 오차(ε)는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에 의해, 각 조건하에서의 용량 추정 오차(ε)를 구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시 SOC가 중SOC 영역(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OC=약 30%~70%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개시 SOC가 저SOC 영역(SOC=30% 미만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와 비교해, 용량 추정 오차(ε)가 크다. 이것은, 전형적인 OCV-SOC 커브의 형상, 즉, 커브의 기울기가 저SOC 영역에서는 급준한 것에 비해 중SOC 영역에서는 평탄하다는 형상에 의한 것이다. 이 커브 형상에 기인하여, 저SOC 영역과의 비교에 있어서, 중SOC 영역에서는, 약간의 OCV 오차가 큰 SOC 오차를 발생시킨다. 그렇게 하면, 만충전 용량(C)의 산출 오차가 커지고, 그 결과, 용량 추정 오차(ε)가 커진다(상기 식 (1), (2) 참조).
또한, 일반적으로, 배터리에는 충방전에 따른 분극이 발생한다. 배터리(50)에 발생한 분극은, 배터리(50)의 단자간 전압(CCV: Closed Circuit Voltage)인 전압(VB)을 OCV로부터 괴리시켜, OCV 오차를 발생시킨다. 분극은, 배터리(50)의 충방전 종료 후, 어느 정도의 시간(수십분 정도)이 경과할 때까지 해소되지 않고 잔존한다. 따라서, 배터리(50)의 방치 시간(Δt)이 짧은(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분) 경우에는, 방치 시간(Δt)이 긴(60분) 경우와 비교해, OCV 정밀도가 낮아진다. 그렇게 하면, SOC 오차가 발생하여 만충전 용량(C)의 산출 오차가 커진다. 즉, 용량 추정 오차(ε)가 커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배터리(50)의 개시 SOC 및 방치 시간(Δt)이 모두 동등한 조건하에서는, 전지 온도(TB)가 낮을수록 분극이 해소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지 온도(TB)가 낮을수록 OCV 오차가 커지고, 나아가서는 용량 추정 오차(ε)가 커진다.
이와 같이, 배터리(50)의 용량 추정 오차(ε)는, 배터리(50)의 개시 SOC와 방치 시간(Δt)과 전지 온도(TB)에 의존한다. 따라서, 이들 3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하기 위한 맵(MP)이 준비된다. 도 6에는 특정한 전지 온도(TB)에 있어서 방치 시간(Δt)과 개시 SOC(SOC1)와의 조합(Δt, SOC1)을 변화시킨 경우의 용량 추정 오차(ε)를 나타냈지만, 상기 3개의 파라미터의 조합(Δt, SOC1, TB)을 변화시킨 경우의 용량 추정 오차(ε)를 구함으로써, 맵(MP)을 준비할 수 있다.
도 7은, 배터리(50)의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하기 위한 맵(MP)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배터리(50)의 방치 시간(Δt)과 개시 SOC와 전지 온도(TB)로부터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하기 위한 3차원 맵(MP)이 ECU(100)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되어 있다. 이 맵(MP)을 참조함으로써, ECU(100)는, 상기 3개의 파라미터로부터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1)이 정차한 채인 등 하여 배터리(50)가 충방전되지 않은 경우, 산출 처리의 실행에 의해 용량 유지율(Q)(및 용량 추정 오차(ε))을 구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S106, S107의 처리 결과로서, 전회의 산출 처리에서 얻어진 용량 유지율(Q)의 추정값과 용량 추정 오차(ε)의 산출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전회의 산출 처리로부터 장시간(예를 들면 수 개월간)이 경과하면, 그 동안에도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용량 유지율(Q) 및 용량 추정 오차(ε)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재의 용량 유지율(Q) 및 용량 추정 오차(ε)를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도 8은,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 및 용량 추정 오차(ε)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횡축은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회의 산출 처리의 실행 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용량 유지율(Q)이 저하됨과 함께, 용량 유지율(Q)의 오차(용량 추정 오차(ε))는 커진다. 이 때문에, 전회의 산출 처리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용량 유지율(Q) 및 용량 추정 오차(ε)와의 사이의 상관 관계를 사전의 실험에 의해 구하고, 그 실험 결과에 의거한 맵(도시 생략)을 준비해 둔다. 이에 따라, 당해 맵을 참조함으로써, 전회의 산출 처리의 실행 시부터의 경과 시간으로부터 용량 유지율(Q) 및 용량 추정 오차(ε)를 산출할 수 있다.
<<표시 처리>>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는, 산출 처리에 이어 ECU(100)에 의해 실행된다.
S201에 있어서, ECU(100)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CU(100)는, 보증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고, 또한, 차량(1)의 주행 거리가 보증 거리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S201에 있어서 YES), 처리를 S202로 진행시킨다. 한편,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S201에 있어서 NO), 처리를 S203으로 진행시킨다.
S202에 있어서, ECU(100)는, 산출 처리에 있어서 추정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이면(S202에 있어서 YES), ECU(100)는, 처리를 S204로 진행시킨다. 한편,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크면(S202에 있어서 NO), ECU(100)는, 처리를 S203으로 진행시킨다.
S203에 있어서, ECU(100)는, 세그먼트의 표시 양태를 제 1 양태로 함과 함께, 용량 유지율(Q)에 따른 세그먼트를 점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ECU(100)는, 세그먼트의 점등색을, 예를 들면 청색으로 설정함과 함께, 용량 유지율(Q)에 따른 세그먼트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ECU(100)는, S203을 실행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S204에 있어서, ECU(100)는, 세그먼트의 표시 양태를 제 2 양태로 함과 함께, 용량 유지율(Q)에 따른 세그먼트를 점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ECU(100)는, 세그먼트의 점등색을, 예를 들면 적색으로 설정함과 함께, 용량 유지율(Q)에 따른 세그먼트를 점등시킨다.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세그먼트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킴(점등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S204에 있어서, ECU(100)는, 세그먼트의 표시 양태를 제 2 양태로 하는 것 대신에, 혹은 추가로,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서도,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어지는 S205에 있어서, ECU(100)는, 산출 처리에 있어서 추정된 용량 유지율(Q)의 오차(용량 추정 오차(ε))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량 추정 오차(ε)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S205에 있어서 YES), ECU(100)는, 처리를 S20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용량 추정 오차(ε)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S205에 있어서 NO), ECU(100)는, 처리를 S207로 진행시킨다.
S206에 있어서, ECU(100)는, 제 3 표시부(78)의 정밀도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정밀도가 나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S207에 있어서, ECU(100)는, 제 3 표시부(78)의 정밀도 램프를 소등시킨다. 이에 따라,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된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정밀도가 좋은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한다.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함으로써, 가령 사용자가 용량 유지율(Q)에 대하여 익숙함이 없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 30%)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양태(세그먼트의 점등색: 예를 들면 청색)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한다. 한편,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제 2 양태(세그먼트의 점등색: 예를 들면 적색)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에,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가 제 1 양태로부터 제 2 양태로 변화됨으로써, 가령 사용자가 용량 유지율(Q)에 대하여 익숙함이 없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여도,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양태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한다.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까지,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이 통지되면, 사용자가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다고 오인식하거나,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음에도 통지되는 것에 번거로움을 느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양태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함으로써, 통지에 의해 사용자에게 오류 인식을 주거나, 통지에 의한 번거로움을 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의 용이성을 우선시켜,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크면 제 1 양태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하고,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이면 제 2 양태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 보증 램프(75)를 점등시킴으로써,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해도 된다. 보증 램프(75)가 점등됨으로써, 가령 사용자가 용량 유지율(Q)에 대하여 익숙함이 없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 제 2 양태로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함과 함께, 보증 램프(75)를 점등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가령 사용자가 용량 유지율(Q)에 대하여 익숨함이 없었다고 해도,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보다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용량 유지율(Q)의 오차(용량 추정 오차(ε))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 3 표시부(78)의 정밀도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용량 유지율(Q)의 추정 정밀도가 나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용량 유지율(Q)을 차량(1)(인스트루먼트 패널(70) 또는/및 카 내비(80))에 표시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용량 유지율(Q)은, 예를 들면, 서비스 툴(4)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서비스 툴(4)의 표시부(402)는, 본 개시와 관련된 「표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서비스 툴(4)의 제어부(404)는, 본 개시와 관련된 「제어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용량 유지율(Q)을 스마트폰(5)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5)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502)는, 본 개시와 관련된 「표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스마트폰(5)의 제어부(503)는, 본 개시와 관련된 「제어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을 선택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용량 유지율(Q)은,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와는 별도로 인스트루먼트 패널(70)에 상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Q)이 세그먼트 표시되는 경우에 있어서, 세그먼트는, 물리적으로 마련되어도 되고,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상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임계값은,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설정되었다. 그러나, 임계값은, 상이한 관점에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임계값은, 예를 들면, 배터리(50)를 리유즈(reuse)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즉, 배터리(50)에 중고 배터리로서의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임계값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현시점에서 배터리(50)를 리유즈 가능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1]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50)의 열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경우에, 세그먼트의 점등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했다. 그러나, 다른 양태에 의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해도 된다.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변형예 1에 있어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임계값보다 큰 용량 유지율(Q)에 대응하는 세그먼트(763~769)와, 임계값 이하의 용량 유지율(Q)에 대응하는 세그먼트(760~762)가 상이한 색으로 점등된다.
도 10에는, 용량 유지율(Q)이 80%인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768~769)는 소등되고, 세그먼트(763~767)는 청색으로 점등되며, 세그먼트(760~762)는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Q)이 30% 이하가 되면, 세그먼트(763~769)가 소등되고, 세그먼트(760~762)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점등되어 있는 세그먼트가 적색만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적색에 더해 청색도 점등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변화가 있었던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가 변화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의 변화를 가지고,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예 2에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하는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변형예 2에 있어서는, 제 1 표시부(76)의 세그먼트 사이에서 점등색에 농담이 부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그먼트(760)~세그먼트(769)는, 이 순서로 점등색이 연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세그먼트(760~769) 중, 세그먼트(760)의 점등색이 가장 짙고, 세그먼트(769)의 점등색이 가장 연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1에는, 용량 유지율(Q)이 50%인 경우의 표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용량 유지율(Q)이 30%가 되면, 세그먼트(763~769)가 소등되고, 세그먼트(760~762)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비교적 짙은 점등색의 세그먼트만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 양태에 변화가 있었던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용량 유지율(Q)의 표시 양태의 변화를 가지고,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3]
변형예 3에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통지하는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변형예 3에 있어서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변형예 3과 관련된 제 1 표시부(76)에는, 세그먼트(760)~세그먼트(769)에 더해, 임계값을 나타내는 마크(B)가 추가로 표시된다.
임계값을 나타내는 마크(B)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점등되어 있는 세그먼트가 마크(B)를 하회한 경우에,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는, 마크(B)가 표시됨으로써, 세그먼트(763)가 점등으로부터 소등으로 변경된 경우, 즉 점등되어 있는 최상단의 세그먼트가 세그먼트(762)가 된 경우에, 사용자는, 점등되어 있는 세그먼트가 마크(B)를 하회한 것을 인식한다. 세그먼트(760)~세그먼트(769)에 더해, 임계값을 나타내는 마크(B)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4]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는, 보증 조건을 표시시켜도 된다. 보증 조건은, 용량 유지율(Q)과 함께 표시시켜도 되고, 항속 가능 거리, 평균 차속, 및 배터리(50)의 회생/역행의 상태 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표시시켜도 된다. 변형예 4에서는, 보증 조건이 용량 유지율(Q)과 함께 표시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 및 보증 조건이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는, 제 1 표시부(76), 제 2 표시부(77) 및 제 3 표시부(78)에 더해, 제 4 표시부(79)를 더 포함한다.
제 4 표시부(79)에는, 보증 조건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4 표시부(79)에는, 보증 기간 및 보증 거리가 표시된다. 도 13에서는, 보증 기간으로서 10년, 보증 거리로서 15만마일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보증 조건의 표시로서는, 보증 조건 자체(보증 기간 및 보증 거리 자체)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증 기간으로서, 현시점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일수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보증 기간으로서, 보증 기간의 기한일(보증 기간이 만료되는 날)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보증 거리로서, 현시점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거리를 표시해도 된다. 보증 조건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보증 조건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증 받지 않고 보증 기간이 경과해버리거나, 차량(1)의 주행 거리가 소정 거리를 초과해버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4 표시부(79)에 표시되는 보증 조건(상기의 변형을 포함함)은, 본 개시와 관련된 「제 2 지표」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 즉, 보증 기간이 경과한, 또는 차량(1)의 주행 거리가 보증 거리를 초과한 경우에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4 표시부(79)에 표시된 보증 조건을 점멸시키거나, 표시색을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이 통지된다. 예를 들면, 보증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 4 표시부(79)에 표시되는 보증 기간을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증 기간을 경과함으로써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게 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1)의 주행 거리가 보증 거리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 4 표시부(79)에 표시되는 보증 거리를 점멸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제 4 표시부(79)에,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통지해도 된다.
[변형예 5]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4에서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의 제 1 표시부(76)에 용량 유지율(Q)이 세그먼트 표시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 1 표시부(76)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은 세그먼트 표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예 5에 있어서는, 제 1 표시부(76)에 용량 유지율(Q)이 상이한 양태로 표시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다른 양태로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 1 표시부(76)는, 눈금(M1)과 바늘(M2)을 포함한다. 제 1 표시부(76)는, 눈금(M1) 및 바늘(M2)을 이용하여 배터리(50)의 용량 유지율(Q)을 표시한다. 용량 유지율(Q)은, 바늘(M2)에 의해 가르켜 나타난다. 바늘(M2)의 지시값(즉, 바늘(M2)이 지시하는 용량 유지율(Q))은, 눈금(M1)에 부여된 수치에 의해 나타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늘(M2)은, 방향(D1) 및 방향(D2)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표시된다.
도 14에는, 용량 유지율(Q)이 40%인 예가 나타나 있다. 변형예 5에 있어서는, 현재의 용량 유지율(Q)을 나타내는 분의 눈금(M1)이 점등되어 표시된다.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될 때까지는, 예를 들면 눈금(M1)은 청색으로 점등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가 되면, 눈금(M1)의 점등색이 적색으로 변경된다. 즉, 배터리(50)가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눈금(M1)의 점등색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표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고로,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6]
변형예 5에 있어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눈금(M1)의 점등색을 변화시켰다. 변형예 6에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바늘(M2)의 점등색을 변경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74)에 용량 유지율(Q)이 상이한 양태로 표시된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바늘(M2)의 점등색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는, 바늘(M2)을 청색으로 점등시키고,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는, 바늘(M2)을 적색으로 점등시켜도 된다.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바늘(M2)의 점등색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표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고로, 사용자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7]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6에서는,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는 상태와,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 세그먼트의 점등색, 눈금(M1)의 점등색 또는 바늘(M2)의 점등색을 변화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없는 상태란, (1)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2)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이다. 상기 (2)의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로 별도의 색으로 세그먼트, 눈금(M1) 또는 바늘(M2)을 점등시켜도 된다.
정리하면, 상기 (1)의 경우, 상기 (2)의 경우, 및, (3) 보증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고, 또한, 용량 유지율(Q)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배터리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 각각 상이한 색으로 세그먼트, 눈금(M1) 또는 바늘(M2)을 점등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50)가 어느 상태에 있는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7은,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조합시켜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5)

  1.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에 관한 제 1 지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지표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의 추정 오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 1 지표의 정밀도가 낮은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지표로서, 상기 이차 전지의 초기의 만충전 용량에 대한 현재의 만충전 용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량 유지율을 세그먼트 표시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용량 유지율에 따른 세그먼트의 수를 점등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세그먼트의 색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조건은, 상기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충족되는 표시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조건은, 상기 이차 전지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 충족되는 표시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조건은, 상기 이차 전지의 사용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또한, 상기 이차 전지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 충족되는 표시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보증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된 것을 통지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보증 조건에 관한 제 2 지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13.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증 조건에 관한 제 2 지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시스템.
  14. 상기 이차 전지와,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
  15.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에 관한 제 1 지표를 표시하는,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의 만충전 용량이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된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
KR1020200108381A 2019-08-30 2020-08-27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 KR102434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8627A JP2021038942A (ja) 2019-08-30 2019-08-30 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二次電池の状態表示方法
JPJP-P-2019-158627 201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51A true KR20210027151A (ko) 2021-03-10
KR102434900B1 KR102434900B1 (ko) 2022-08-23

Family

ID=7456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381A KR102434900B1 (ko) 2019-08-30 2020-08-27 표시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및, 이차 전지의 상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79676B2 (ko)
JP (2) JP2021038942A (ko)
KR (1) KR102434900B1 (ko)
CN (1) CN112440824B (ko)
DE (1) DE102020121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9899S1 (en) * 2021-03-31 2024-01-0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m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484A (ja) * 2008-02-29 2009-09-17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二次電池の状態表示方法
JP2010093875A (ja) * 2008-10-03 2010-04-22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車両走行制御システム及び蓄電池劣化状態検知方法
KR20130134397A (ko) * 2012-05-31 2013-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노후화 판정 방법
WO2017098686A1 (ja) * 2015-12-10 2017-06-1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蓄電装置及び劣化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8836T2 (de) * 1991-06-20 1997-07-24 Honda Motor Co Ltd Gerät zur Bestimmung der Restkapazität eines Akkus und zur Warnung bei der Reduktion dieser Restkapazität
US6586940B2 (en) 2000-03-13 2003-07-0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Capacity estimation method, degradation estimation method and degradation estimation apparatus for lithium-ion cells, and lithium-ion batteries
DE10110642B4 (de) 2000-03-13 2005-06-1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Kapazitätsabschätzungsverfahren, Degradationsabschätzungsverfahren und Degradationsabschätzungsvorrichtung für Lithium-Ionenzellen und Lithium-Ionenbatterien
JP5220269B2 (ja) * 2005-09-16 2013-06-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蓄電池の劣化状態・充電状態の検知方法及びその装置
JP5672778B2 (ja) 2010-06-08 2015-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容量表示装置およびバッテリ容量表示方法
JP5601139B2 (ja) * 2010-10-14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ユニットの診断装置および診断方法
US9168860B2 (en) * 2011-05-10 2015-10-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isplay device
JP2013186956A (ja) * 2012-03-06 2013-09-19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充電管理装置
JP6225905B2 (ja) * 2012-07-31 2017-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制御装置
CN106062579B (zh) * 2014-03-03 2019-03-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状态估计装置以及电池状态估计方法
JP5954357B2 (ja) * 2014-05-16 2016-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US10114079B2 (en) 2016-02-24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ehicle battery decay
US10830827B2 (en) * 2017-07-28 2020-11-10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Operating conditions information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JP6901345B2 (ja) * 2017-08-09 2021-07-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の蓄電池劣化診断方法
CN112313110A (zh) * 2018-08-29 2021-02-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服务器装置、显示控制方法及程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484A (ja) * 2008-02-29 2009-09-17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二次電池の状態表示方法
JP2010093875A (ja) * 2008-10-03 2010-04-22 Hitachi Ltd 電源制御装置、車両走行制御システム及び蓄電池劣化状態検知方法
KR20130134397A (ko) * 2012-05-31 2013-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노후화 판정 방법
WO2017098686A1 (ja) * 2015-12-10 2017-06-1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蓄電装置及び劣化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900B1 (ko) 2022-08-23
CN112440824B (zh) 2024-05-28
CN112440824A (zh) 2021-03-05
JP2023086761A (ja) 2023-06-22
JP2021038942A (ja) 2021-03-11
US20230271501A1 (en) 2023-08-31
DE102020121942A1 (de) 2021-03-04
US11679676B2 (en) 2023-06-20
US20210061101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3342B (zh) 使用多个采样率的电池状态评估器
CN106680720B (zh) 基于车联网的车载蓄电池失效预警系统及方法
JP2020119658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の余寿命診断方法及び余寿命診断システム
KR20130128022A (ko) 배터리 충전량 증가 설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EP3696012A1 (en)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P2940780A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US10444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harging facilities to users of electric vehicles
US20210132152A1 (en) Method of managing batte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having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00101390A (ko) 주차 에어컨, 차량 배터리의 수명 경고 방법 및 시스템
EP3640083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167783A (zh) 一种用于确定电池组的充电状态的方法和装置
US11975732B2 (en) In-vehicl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program, and calculation device
CN113820552A (zh) 车辆诊断系统、车辆以及车辆诊断结果的显示方法
JP2023086761A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二次電池の状態表示方法
CN112611996A (zh) 传感器异常判定装置
US20200298724A1 (en) Intelligent soc reset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US20230286415A1 (en) Computing system,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ng method, and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ng program
CN117693441A (zh) 能量管理设备和用于提供蓄能器的能量估计值的方法
KR20170074132A (ko) 배터리 열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80065A1 (ja) 電池管理システム、記憶部、表示プログラム、格納部
US10706641B2 (en) Information supply device, information supply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03984A1 (en) Method for inspecting energy storage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mputer device
US11860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life diagnosis
US11811028B2 (en) On-vehicle system,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system, charge rate output method, and program
US20240088687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