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33A -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933A
KR20210026933A KR1020190108408A KR20190108408A KR20210026933A KR 20210026933 A KR20210026933 A KR 20210026933A KR 1020190108408 A KR1020190108408 A KR 1020190108408A KR 20190108408 A KR20190108408 A KR 20190108408A KR 20210026933 A KR20210026933 A KR 2021002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door
viewer
door viewer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661B1 (ko
Inventor
박홍식
이광현
신승호
신동열
권남근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Priority to KR102019010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6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electric, magnetic, capacitive switch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에 위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위치되는 자석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며,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DOOR VIEWER AND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뷰어는 방문자가 도어폰의 벨을 누르면 실외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집주인, 건물 관리인 등)는 방문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예: 현관문)의 외측 상단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도어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는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는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송신한다.
최근, 일반 가정, 기업, 및/또는 학교 등에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범죄 예방 등의 보안이 중요해지면서, 도어 뷰어가 단순히 방문자를 확인하는 기능에서 확장되어, 침입 감지, 출동 서비스 등의 보안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추가 기능의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방문자 확인 기능 및 보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예: 현관)의 움직임 감지, 동영상 촬영, 양방향 음성 통화, 및 실시간 영상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의 계폐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인 경비 및/또는 입퇴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에 위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위치되는 자석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며,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를 확인하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으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제2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1 임계 값이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은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제2 하우징은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내로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외로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며,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거리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입실 또는 퇴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경비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의 해제 이전에,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해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연결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소정의 시간 동안 일시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비 설정 기능이 일시 해제되어 있는 동안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한 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소정의 시간 동안 일시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비 설정 기능이 일시 해제되어 있는 동안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으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제2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 값이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내로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외로 퇴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도어 뷰어의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는 동작, 및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방문자 확인 기능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예: 현관)의 움직임 감지와 함께, 동영상 촬영, 양방향 음성 통화, 실시간 영상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의 계폐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인 경비 및/또는 입퇴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도어 뷰어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를 도어의 상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의 도어의 열림 및/또는 닫힘의 판단 기준에 대응하는 임계 값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도어 뷰어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 뷰어(100)는, 제어부(101), 센서 모듈(107), 카메라 모듈(109), 통신 모듈(111), 및 메모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도어 뷰어(100)에는, 상기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센서 모듈(107)은 도어 뷰어(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은 자석 센서(103), 인체 감지 센서(10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 센서(103)는, 도어 뷰어(200)의 하우징의 일부분에 부착(장착) 또는 도어 뷰어(100)의 하우징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센서(103)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및/또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자석부(예: 자석부(330))가 제공하는 자기력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01)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 센서는, 자석부(예: 자석부(330))가 제공하는 자기력(자기력의 방향과 세기)을 감지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105)(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는, 사람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 모듈(107)은 추가로 근접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또는 조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9)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9)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제어부,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1)은 도어 뷰어(100)와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1)은 무선 통신 모듈 (예: 셀룰러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및/또는 유선 통신 모듈 (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7)(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100)는, 제1 네트워크(197)를 통하여 옥내의 전자 장치(191)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하여 전자 장치(193) 또는 서버(195)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100)는 서버(195)를 통하여 전자 장치(193)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11)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3)는, 도어 뷰어(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제어부(101), 센서모듈(107), 카메라 모듈(109) 또는 통신 모듈(111))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제어 장치라고도 함)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제어부(101)에 연결된 도어 뷰어(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 뷰어(100)는, 제1 하우징(220), 제2 하우징(230), 및 브라켓(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20)의 전면부(223)에는, 인체 감지 센서(225)(예: 인체 감지 센서(105)) 및/또는 카메라 모듈(227)(예: 카메라 모듈(109))이 부착 또는 임베디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하우징(220)에는 알림/경고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 및/또는 상기의 인체 감지 센서(225) 이외의 하나 이상의 센서(예: 근접 센서 등)가 부착 또는 임베디드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220)에는 브라켓(24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홈(243), 고정 부재(250; 예: 나사, 볼트 등)가 삽입 될 수 있는 삽입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243)은 브라켓(240)의 슬릿부(251)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삽입홀(249)은 고정 부재(250)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브라켓(240)의 슬릿부(251)가 제1 하우징(220)의 레일홈(247)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제1 하우징(220)과 제2 하우징(230) 간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브라켓(240)의 슬릿부(251)가 레일홈(247) 내 적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고정부재(250)는 삽입홀(249)을 통해 슬릿부(251)를 관통하여 제1 하우징(22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홈(247)에는 브라켓(240)의 삽입 시, 브라켓(240)의 슬릿부(251)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장착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30)의 상단에는 자석 센서(231)(예: 자석 센서(103))가 부착 또는 임베디드 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30)의 후면은 부착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237)는 제2 하우징(230)을 도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예: 양면테이프, 자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30)의 측면에는 작동 스위치(233)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235)는 제2 하우징(230)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미도시)(예: 제어부(101)) 및/또는 통신 모듈(미도시)(예: 통신 모듈(111))이 제2 하우징(230)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브라켓(240)은 제1 하우징(220)과 제2 하우징(2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40)은 플랙시블한 재질일 수 있으며 도어의 상단에 부착되어 도어의 상단 형상에 따라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40)은 양측에 형성된 슬릿부(2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릿부(251)를 통해 제1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241)과 제2 하우징(230)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브라켓(245)과, 제1 브라켓(241) 및 제2 브라켓(245) 사이를 연결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가요성 밴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부(241)에는 고정 부재(250)를 삽입할 수 있는 장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장홈(253)은 슬릿부(251)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슬릿부(251)의 이동 위치에서, 고정 부재(250)에 의해 제1 하우징(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200)를 도어에 설치할 때, 브라켓(240)을 도어의 상단에 거치(위치, 장착, 부착)시켜, 제1 하우징(220)은 도어의 바깥측인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도어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230)은 도어의 내측인 내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도어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 뷰어(200)의 구성 요소들(예: 인체 감지 센서(225), 카메라 모듈(227), 자석 센서(231), 작동 스위치(233), 배터리(235), 제어부(미도시), 통신 모듈(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미도시) 등) 중 적어도 일부는 전선(전선 밴드)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를 도어의 상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뷰어(100)는 상단 문틀(323)과 맞닿는 도어(321)의 상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부착,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문틀(323)에는 자석부(330)가 설치(부착, 장착)될 수 있으며, 자석부(330)로부터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정되거나 임의로 이격된) 거리에 도어 뷰어(300)의 자석 센서(303)(예: 자석 센서(103))가 위치되도록, 도어 뷰어(300)가 상기 자석부(33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321)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100)는, 제1 하우징(예: 제1 하우징(220)), 제2 하우징(예: 제2 하우징(230)),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브라켓(예: 브라켓(240)), 상기 제1 하우징에 위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예: 인체 감지 센서(105), 인체 감지 센서(225)), 상기 제2 하우징에 위치되는 자석 센서(예: 자석 센서(103), 자석 센서(231)),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하며,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예: 자석부(330))로부터의 자기력을 감지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예: 제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 보다 큰 값에서 제1 임계 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에서 제2 임계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에서 제1 임계값에 대응하는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임계 값 보다 큰 값에서 제1 임계 값에 대응하는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감지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 주기 동안 내의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는,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09), 카메라 모듈(2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며,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소정 주기 내에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는, 거리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 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시 상기 알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경비 설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의 해제 이전에, 상기 사람의 입실 시,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예: 도어 뷰어(100) 또는 도어 뷰어(100)의 제어부(101))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어 뷰어(100)는, 인체 감지 센서(예: 인체 감지 센서(105)) 및 자석 센서(예: 자석 센서(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도어의 외측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자석 센서는 도어의 내측 및 도어의 자석부(예: 자석부(330))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401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람이 도어의 외부(현관문 앞)에 위치하는 경우,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특정 사람(특정 사람의 존재)을 감지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어 뷰어가 사람을 감지(사람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 403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자기력의 세기 측정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도어가 열린 것인지 닫힌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임계 값인 자기력의 세기(또는 자기력의 세기의 범위)와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자기력의 세기 비교에 따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임계 값인 자기력의 세기(또는 자기력의 세기의 범위) 별로 대응하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예: 자석부(330)) 간의 거리(또는 거리 범위)가 지정될 수 있으며,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 값인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예: 40mm) 이상인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 값인 제2 자기력 세기 범위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2 거리(예: 25mm) 이내인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인 제1 자기력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도어 뷰어는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403 동작에서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405 동작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 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405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사람이 감지된 이후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상기 사람이 감지된 이후 지정된 시간의 경과 이전에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407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동작은 도어 뷰어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하는 동작 및/또는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11))을 통해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서버(예: 서버(195))를 통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3))로 상기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 또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1))로 상기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정보는 사람의 입실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상기 도어 뷰어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람의 입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리(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입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입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출력, 전자 장치의 진동 모터를 통한 진동, 및/또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지정된 시각 정보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도어 뷰어를 관리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영상(동영상) 확인, 영상 녹화, 영상 캡쳐, 사람의 침입 시 후술하는 알림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경비 설정, 상기 설정된 경비를 해제하도록 하는 경비 해제, 및/또는 경찰 또는 보안 업체와의 전화 연결 및/또는 출동하도록 하는 경비 호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411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자기력의 세기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에 기초하여 도어가 열린 것인지 닫힌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임계 값인 자기력의 세기(또는 자기력의 세기의 범위)와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자기력의 세기 비교에 따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임계 값인 자기력의 세기(또는 자기력의 세기의 범위) 별로 대응하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예: 자석부(330)) 간의 거리가 지정될 수 있으며,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제1 임계 값인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예: 40mm) 이상인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제2 임계 값인 제2 자기력 세기 범위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2 거리(예: 25mm) 이내인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자기력의 세기가 지정된 제1 임계 값인 제1 자기력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도어 뷰어는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413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 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413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람이 도어의 외부(현관문 앞)에 위치하는 경우,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특정 사람(특정 사람의 존재)을 감지할 수 있다.
415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이후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이후 지정된 시간의 경과 이전에 사람이 감지된 경우,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417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417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동작은 도어 뷰어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하는 동작 및/또는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11))을 통해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서버(예: 서버(195))를 통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3))로 상기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 또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1))로 상기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정보는 사람의 퇴실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상기 도어 뷰어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람의 퇴실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퇴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퇴실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출력, 전자 장치의 진동 모터를 통한 진동, 및/또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지정된 시각 정보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a 및 도 4b의 동작들은, 도어 뷰어의 경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비 기능은, 도어의 열림 및/또는 닫힘 시, 도어 뷰어가 지정된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예: 도어 뷰어(100) 또는 도어 뷰어(100)의 제어부(101))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예: 인체 감지 센서(105)) 및 자석 센서(예: 자석 센서(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도어의 외측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자석 센서는 도어의 내측 및 도어의 자석부(예: 자석부(330))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경비 기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비 기능의 설정은, 설정된 경비 기능의 해제 없이, 도어의 열림 및/또는 사람의 입실 시,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503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경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사람이 감지된 이후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경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어 뷰어의 사람의 입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도 4a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한 이후 사람이 감지된 경우,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어 뷰어의 사람의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도 4b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505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505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경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람이 입실한 경우(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알림 동작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람이 입실한 경우(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도어 뷰어는 건물 내부에 사람이 침입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동작은, 도어 뷰어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또는 음성 등을 출력하는 동작 및/또는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11))을 통해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서버(예: 서버(195))를 통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3))로 상기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 또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1))로 상기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침입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기 침입에 대응하는 알림 동작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한 지정된 사운드 출력, 전자 장치의 진동 모터를 통한 진동, 및/또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지정된 시각 정보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경찰서 서버 또는 보안 업체 등의 서버로, 상기 사람의 침입에 대응하는 지정된 정보(예: 침입 발생 정보 및 주소 정보 등)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의 침입 결정 시, 경찰 또는 보안 업체가 해당 건물(위치)로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본 실시 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경비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람이 퇴실한 경우(사람이 퇴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상기 507 동작과 같은 알림 동작이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의 실시 예에서 추가로, 상기 503 동작에 따라 도어 뷰어가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지정된 시간(예: 30초)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시간의 경과 이전에 설정된 경비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의 수신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507 동작을 실행하지 않으며, 본 실시 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 이전에 설정된 경비를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하기 위한 입력의 수신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507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경비를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하기 위한 입력은, 상기 도어 뷰어의 지정된 경비 해제 버튼의 누름 또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도어 뷰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경비 해제 또는 일시 해제 기능의 실행 에 따른 대응하는 정보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경비를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하기 위한 입력은,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도어 뷰어가 접속하는(또는 등록된)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AP; access point)에 등록된 전자 장치가 상기 AP로의 연결(접속)의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P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 시, 상기 AP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어 뷰어로 상기 AP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AP와 상기 전자 장치의 연결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한 도어 뷰어는, 상기 설정된 경비를 자동으로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경비를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하기 위한 입력은, 상기 도어 뷰어와 전자 장치가 페어링되는 것의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와 상기 전자 장치의 페어링 시, 도어 뷰어는 상기 설정된 경비를 자동으로 해제 또는 일시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예: 도어 뷰어(100) 또는 도어 뷰어(100)의 제어부(101))의 도어의 열림 및/또는 닫힘의 판단 기준에 대응하는 임계 값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예: 인체 감지 센서(105)) 및 자석 센서(예: 자석 센서(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도어의 외측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자석 센서는 도어의 내측 및 도어의 자석부(예: 자석부(330))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601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람이 도어의 앞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주기)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뷰어는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수상한 사람이 도어 앞을 서성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가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605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 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605 동작에서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의 도어의 열림 결정에 대응하는 지정된 임계 값(이하에서는 제1 임계 값이라고 함)의 재조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제1 임계 값은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또는 제1 자기력 세기) 또는 제1 거리 범위(또는 제1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1 거리(예: 40mm) 이상인 것에 대응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어가 열린 것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임계 값의 재조정은,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에 대응되도록 재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횟수가 제1 횟수(예: 10회)인 경우, 상기 제1 임계 값을 지정된 제1 값만큼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임계 값을 지정된 제1 값만큼 축소하는 것은,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1 값(예: 5mm)만큼 축소되도록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횟수가 제2 횟수(예: 20회)인 경우, 상기 제1 임계 값을 지정된 제2 값만큼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임계 값을 지정된 제2 값만큼 축소하는 것은, 도어 뷰어와 자석부 간의 거리가 제2 값(예: 10mm)만큼 축소되도록 제1 자기력 세기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추가로, 상기 601 동작에 따라 도어 뷰어가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 도어 뷰어의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09))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어 뷰어는 얼굴 인식 등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된 특정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인식된 특정 사람의 감지 횟수가 지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605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뷰어는, 경비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601 동작 및 상기 603 동작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 및/또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수상한 사람이 도어 앞에서 서성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605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임계 값 및/또는 상기 제2 임계 값의 재조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상한 사람이 도어를 열려고 시도할 때, 상기 재조정된 제1 임계 값 및/또는 상기 제2 임계 값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알람 동작에 비해 빠르게 알림 동작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상한 사람이 도어 앞에 있다고 인식되는 상황에서 도어의 열림으로 인식되는 도어 뷰어와 자석부 사이의 임계 값을 낮춤으로써, 평소에는 바람 등에 의한 도어의 덜컹거림 등은 열림으로 인식하지 않지만, 정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예를 들어, 수상한 사람의 출현)에서는 도어를 열기 위한 시도나 닫힌 도어를 당겨보는 정도에도 경보 알림으로 이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뷰어(예: 도어 뷰어(100), 도어 뷰어의 제어부(101))의 동작 흐름도이다.
701 동작에서 상기 도어 뷰어는 인체 감지 센서(예: 인체 감지 센서(105))를 이용하여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상기 도어 뷰어는 자석 센서(예: 자석 센서(103))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예: 자석부(330))로부터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705 동작에서 상기 도어 뷰어는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할 수 있다.
707 동작에서 상기 도어 뷰어는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의 동작은,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뷰어의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에 대응되는 경우(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으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에 대응되는 경우(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제2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임계 값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내로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외로 퇴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의 동작은,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도어 뷰어의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는 동작, 및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도어 뷰어의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동작은,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 시, 상기 도어 뷰어의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뷰어의 동작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시 상기 알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경비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의 해제 이전에, 상기 사람의 입실 시,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메모리(113)(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제어부(예: 제어부(101))(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어부가 직접, 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에 위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위치되는 자석 센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며,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뷰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으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제2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1 임계 값이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도어 뷰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도어의 외측에, 상기 제2 하우징은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내로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외로 퇴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도어 뷰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조정하는 도어 뷰어.
  6. 제5 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며,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도어 뷰어.
  7. 제1 항에 있어서,
    거리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8. 제1 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입실 또는 퇴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도어 뷰어.
  9. 제1 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람이 입실 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경비 설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의 해제 이전에,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해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림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연결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등록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소정의 시간 동안 일시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비 설정 기능이 일시 해제되어 있는 동안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한 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실행된 경비 설정 기능을 소정의 시간 동안 일시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비 설정 기능이 일시 해제되어 있는 동안 사람이 입실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알림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도어 뷰어.
  14.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력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의 감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뷰어가 부착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1 임계 값보다 큰 값으로부터 감소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값으로부터 증가하여 상기 제2 임계 값이 된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 값이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작은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사람의 감지 이후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내로 입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결정된 이후 상기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람이 옥외로 퇴실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 값의 크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인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시, 상기 도어 뷰어의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 하는 동작, 및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사람을 인식하여, 상기 사람의 감지 횟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
  20.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1.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도어 뷰어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했을 때, 상기 사람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도어 뷰어의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자석부로부터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사람의 감지 및 상기 자기력 변화의 감지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입실 또는 퇴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도어 뷰어의 동작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08408A 2019-09-02 2019-09-02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8A KR102275661B1 (ko) 2019-09-02 2019-09-02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8A KR102275661B1 (ko) 2019-09-02 2019-09-02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33A true KR20210026933A (ko) 2021-03-10
KR102275661B1 KR102275661B1 (ko) 2021-07-09

Family

ID=7514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08A KR102275661B1 (ko) 2019-09-02 2019-09-02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41B1 (ko) * 2021-11-18 2022-08-02 여주희 음성 알림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8261B1 (en) * 2015-03-24 2017-02-21 Phillip Flagg Rockwell Portable security surveillance device
KR20190050655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장치 및 그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8261B1 (en) * 2015-03-24 2017-02-21 Phillip Flagg Rockwell Portable security surveillance device
KR20190050655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장치 및 그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41B1 (ko) * 2021-11-18 2022-08-02 여주희 음성 알림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661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5907B (zh) 借助音频输入的建筑自动化系统中的设备登记
KR101495204B1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KR102390405B1 (ko) 도어벨 장치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97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KR10216716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내 통합 보안 시스템
CN106778924B (zh) 门窗状态检测方法和装置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TW201824084A (zh) 擋門控制系統及擋門控制方法
KR102275661B1 (ko)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90111495A (ko)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16542B2 (ja) 出入り口の開閉制御システム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KR101778863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KR20160077402A (ko) 도어상태 알림장치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KR102194903B1 (ko) 착탈식 가정용 현관 도어 블랙박스
KR20160099505A (ko) Dvr을 이용한 제어기기
KR102241027B1 (ko) 착탈식 가정용 블랙박스
KR101971205B1 (ko) 자동 경계 장치
KR101704466B1 (ko) 블랙박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을 이용한 방범 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