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84A -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684A KR20210026684A KR1020190107820A KR20190107820A KR20210026684A KR 20210026684 A KR20210026684 A KR 20210026684A KR 1020190107820 A KR1020190107820 A KR 1020190107820A KR 20190107820 A KR20190107820 A KR 20190107820A KR 20210026684 A KR20210026684 A KR 202100266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plate
- seat
- user
- convenienc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 내지 척추 교정을 위하여 제공되는 제반 구성이 사용자 선택이나 목적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구조 변경됨으로써 일반 사무용 의자로도 활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각종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손쉬운 취급과 조작, 유지 보수의 편의에 기여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임에도 내구성과 체결성의 극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100)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둔부를 수용하고,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후측에 상기 좌판(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며,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50); 상기 받침부재(50)에 설치되되, 상기 좌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내측이 접촉되어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무 겸용 무릎의자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자세 교정 내지 척추 교정을 위하여 제공되는 제반 구성이 사용자 선택이나 목적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구조 변경됨으로써 일반 사무용 의자로도 활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각종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손쉬운 취급과 조작, 유지 보수의 편의에 기여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임에도 내구성과 체결성의 극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 사용으로부터 유발되는 허리 통증은 올바르지 못한 자세가 주요 요인으로, 통상 의자 사용 시 좌판과 등받이에 허리와 상체를 밀착시켜 착석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척추를 수직 자세로 장시간 유지하기란 사실상 어려울 뿐 아니라 이러한 자세에서도 허리 부분에는 상당한 수준의 하중이 치중되므로 피로 가중, 요통이나 디스크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323370호(2003.08.04 등록)는 기능성 사무용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다리부 상부에 좌석 지지판이 장착되고 그 상부에 연결공에 의해 좌석부를 결착시키고, 좌석 지지판 후방에 수직으로 등받이 후레임이 위치하며, 그 상부에 등받이 지지대가 볼트 고정된다. 또한, 양쪽의 등받이가 등받이 연결고무와 결착되어 등받이부를 이루며, 등받이부가 등받이 결착고무와 연결공에 의해 결착되고, 등받이 결착고무는 등받이 지지대와 연결공에 볼트로 결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189930호(2000.05.10 등록)는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좌대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각도 조절홈과 힌지부재가 형성된 경사각 조절판과, 경사각 조절부재에 내삽되어 각도조절구멍을 통하여 경사판 조절판과 고정결합되며 그 하측에 높낮이 조정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경사각 조절판과 지지프레임을 소정 각도로 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지지프레임을 내삽함과 아울러 그 하측 저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길이 조정용홈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일측이 하부프레임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동작을 하며 타측이 고정 지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슬라이더부재와 하부프레임을 관통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슬라이더부재를 고정 지지함과 아울러 힌지부재 및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무릎지지판 경사각 조절부재와, 무릎지지판 경사각 조절부재의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되며 경사각 조절용 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동작을 하며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재와, 슬라이더부재와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되며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회동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문헌과 기타 모든 기술사상은 의자의 제반 구조를 변경 내지 변형 사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올바른 자세를 확립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미흡하며, 더욱이 어느 하나의 특정 목적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보다 광범위한 활용을 원하는 사용자 니즈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 내지 조작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무릎의자 또는 사무용 의자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의 슬라이드 위치 조작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어될 뿐 아니라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 기여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의 견고한 지지력을 유도하면서 쿠션부재의 개재 여부에 따른 상하 각도 전환 시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어되는 사무 겸용 무릎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100)는 사용자 둔부를 수용하고,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후측에 상기 좌판(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며,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50); 상기 받침부재(50)에 설치되되, 상기 좌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내측이 접촉되어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가 상기 좌판(10)의 전측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좌판(10)의 전측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상기 받침부재(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듬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가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좌판(10)은 상기 받침부재(50)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50)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51)과, 상기 쿠션부재(40)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51)과 일부분이 겹치도록 마련되되, 겹치는 부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프레임(52)과,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조절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절부(90)는, 상기 메인프레임(51)의 외측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부재(91)와, 상기 힌지부재(91)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부재(91)의 일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92)와, 상기 힌지부재(91)의 타측에 하방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어블록(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51)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프레임(52)은, 일부분이 상기 메인프레임(51)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수용홀(5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어블록(93)의 하측이 상기 수용홀(52-1)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위치가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재(9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힌지부재(91)의 힌지 작용에 의해 상기 제어블록(93)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블록(93)의 하측이 상기 수용홀(52-1)로부터 수용 해제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10)은, 상면에 쿠션이 마련되는 좌판패널(12)과, 상기 좌판패널(12)의 전측에 마련되고, 상황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승강롤러(11)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연결되고, 세로로 길게 원호 형상을 이루며 슬롯(17)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3)와, 상기 바디(13)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판패널(12)에 고정되는 하우징(14)과, 상기 바디(13)와 상기 하우징(14)을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양단은 상기 슬롯(17) 내에 배치되는 고정축(15)을 포함하여, 상기 좌판패널(12)은 상기 고정축(15)을 중심으로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의자 또는 사무용 의자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받침판의 슬라이드 위치 조작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어되면서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와 양측 하우징을 통해 좌판이 지지되는 구조적 특이성에 기인하여 좌판의 견고한 지지력을 유도함은 물론 쿠션부재의 개재 여부에 따른 상하 각도 전환 시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손쉬운 설치, 그리고 조작의 편의성이 확보되므로 작업 효율성과 취급성이 극대화되며, 소비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자세 교정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드 조절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도 3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라이드 조절부의 실시 양태를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좌판을 상세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좌판 구성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좌판과 쿠션부재의 상호 작용으로 좌판의 각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슬라이드 조절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6은 도 3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라이드 조절부의 실시 양태를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좌판을 상세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좌판 구성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좌판과 쿠션부재의 상호 작용으로 좌판의 각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사무 겸용 무릎의자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자세 교정 내지 척추 교정을 위하여 제공되는 제반 구성이 사용자 선택이나 목적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구조 변경됨으로써 일반 사무용 의자로도 활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각종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손쉬운 취급과 조작, 유지 보수의 편의에 기여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임에도 내구성과 체결성의 극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100)는 좌판(10), 등받이(20), 지지프레임(30), 쿠션부재(40), 받침부재(50) 등으로 구현됨이 일반적이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둔부를 수용하고,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후측에 상기 좌판(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며,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50); 상기 받침부재(50)에 설치되되, 상기 좌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내측이 접촉되어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재(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 받침부재(50)는 적어도 2개소로 구분 형성되어 지레 원리에 기인한 슬라이드 조절부(90)의 승강 여부 결정으로 서로의 이격 거리가 가변 조절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위 받침부재(50)는 좌판(10)의 위치 고수를 위한 메인프레임(51) 및 쿠션부재(40)의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프레임(52)으로 구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 이동프레임(52)은 메인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되면서 좌판과 쿠션부재의 사이 간극을 가변시키되, 힌지부재(91)를 중심으로 서로 위치 반전되는 슬라이드 조절부(90)에 의해 제어블록(93)의 수직선상 위치를 임의 선택하여 슬라이드 이동 정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좌판(10)을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무릎이 쿠션부재(40)에 중첩 지지되는 자세에 대응하여 쿠션부재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확보하되,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면서 또 다른 수단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좌판(10)에는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기 위한 팔걸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팔걸이는 좌판으로부터 탈·부착되거나 각도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좌판(10)은 전방을 향하여 10~20ㅀ의 하향 각도로 구축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정감 있는 자세를 유도하며, 바람직하게는 15ㅀ의 경사도로 이루어진다.
위 이음대(19)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좌판 후방에서 직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이음대는 추후 기술할 등받이의 지지를 위하여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하여금 양단이 각각 등받이와 좌판에 결부되며, 해당 결합수단은 볼트 등의 나사 결합이거나 기타 공지된 수단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위 등받이(20)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10)을 중심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또는 전후 방향에 대해 틸트(tilt)되는 구조로 제공되는바, 이를 위해 이음대를 기반으로 한 등받이와 좌판의 결합 형태는 소정의 레일로 결부되거나 힌지에 의해 각도 조정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 지지프레임(30)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좌판 일체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또한, 지지프레임은 좌판의 높이 설정을 위하여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하여금 받침부재(50)와 긴밀하게 체결되고, 이때의 받침부재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별도의 캐스터가 채용하여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위 쿠션부재(40)는 좌판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견고하게 위치 설정되고, 사용자의 무릎 부위를 자연스럽고 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를 비롯하여 적정 수준의 쿠션력이 부여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쿠션부재(40)의 효율적인 사용 내지 취급의 편의성을 위하여 받침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쿠션부재는 사용자의 무릎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자세 교정용 뿐 아니라 일반적인 쿠션재 혹은 방석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쿠션부재의 이상적인 기울기는 받침부재 하방을 기점으로 하여 약 125ㅀ의 둔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이동프레임(52)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부에 롤러(52-2)를 채용하여 메인프레임(51) 내부에서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관여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프레임 역시 쿠션부재(40)와 결부됨에 있어 해당 쿠션부재가 다단으로 자유롭게 높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야 한다.
위 슬라이드 조절부(90)는 본 발명의 요부 중 하나로, 받침부재의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이동프레임의 인출 내지 인입 정도가 자유롭게 설정되면서 길이 조절 기능에 기여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조절부(90)는 사용자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가압부재(92)와, 가압부재와 제어블럭이 각각 양단에 고정 체결되는 힌지부재(91)와, 힌지부재에 의해 수직선상 움직임이 유발되는 제어블록(93)으로 구분 구성된다.
여기서 위 가압부재(92)는 일단을 상향 절곡시켜 하향 이동에 의해 제어블록의 상승 거리가 확보되게 하고,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슬라이드 조절부는 외부로부터 힌지부재를 비롯하여 제어블록 등이 보호될 수 있는 커버체(9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 제어블록(93)은 이동프레임(52) 상에 등간격 천공한 다수의 수용홀(52-1)로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이동프레임의 수평선상 움직임 여부가 제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향 절곡된 형상의 가압부재(92)를 사용자가 하향 가압함으로써 힌지부재(91)를 통해 제어블록(93)의 위치가 가변되는바, 제어블록의 위치 가변은 결국 이동프레임의 수용홀(52-1)로부터 이탈되어 상승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에 가해지던 구속 상태가 해지되면서 좌판을 기점으로 한 쿠션부재의 이동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위 제어블록(93)은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거치프레임(94)을 수단으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다른 요부로 제안하는 좌판(10)의 구성은 견고한 지지력을 유도하면서 쿠션부재(40)의 개재 여부에 따른 상하 각도 전환 시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충족한다.
이를 위한 좌판(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좌판(10) 저부에 고정 체결되고 선단에 승강롤러(11)가 구비되는 좌판패널(12)과, 지지프레임(30) 단부에서 일체형으로 결부되는 바디(13)와, 바디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좌판패널 저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4)과, 바디에서 양측 하우징에 이르기까지 횡단되는 한 쌍의 고정축(15)과, 한 쌍의 고정축 중 선단에 위치되는 어느 고정축의 하향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바디 양측에 천공되는 슬롯(17)으로 구성된다.
위 바디(13)와 하우징(14)은 한 쌍의 고정축(15)이 더욱 광범위하게 횡단 체결되는 수단으로 작용함에 따라 해당 좌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전후 구분하여 채용되는 고정축 중 좌판 선단에 근접한 고정축이 소정의 슬롯(17)을 통해 하향함에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요인이다.
위 승강롤러(11)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절부(90)를 조작하여 좌판(10)의 하방으로 쿠션부재(40)가 진입될 경우 가이드 내지 자연스러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승강롤러(11)가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단 중앙으로 소정의 결합홈(식별번호 없음)을 더 형성하여 서로 긴밀한 체결이 유지되게 한다.
즉 쿠션부재(40)가 좌판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승강롤러는 쿠션부재 외면을 타고 경유하여 결합홈에 진입 구속되는바, 이로써 좌판이 구축하던 하향 경사는 쿠션부재의 진입으로 수평 상태로 전환되면서 통상의 사무용 의자로도 활용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 겸용 기능성 무릎의자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의 동일 구성에 수납하우징(60), 센싱부(70), 제어부(80), 학습부(81), 무선통신부(82)를 더 포함한다.
수납하우징(60)은 좌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수납하우징(60)은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받침부재(5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된다.
센싱부(70)는 등받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와, 이음대의 각도의 측정할 수 있는 각도센서를 포함한다.
압력센서는 등받이(20) 면적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다수개가 등받이(20)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어 의자 착석자의 등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각도센서는 의자 착석자가 등받이(20)에 기대어 뒤로 젖힐 때 발생하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기본 세팅된 의자의 각도를 디폴트 값을 설정하여 제어부(80)에 저장하고, 의자 착석에 의해 디폴트 값에서 초과된 각도를 계산하여 제어부(80)에 전달 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과, 각도센서로부터 제공된 각도를 이용하여 학습부(81)를 통하여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학습된 행동 패턴을 제공받아 행동 패턴에 따라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부(81)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하에 설정된 머신러닝 학습모델의 입력변수로 압력값과 각도를 적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학습에 의해 착석자의 행동 패턴을 예측하고, 제어부(80)에 행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머신러닝 학습모델은 특정 행동패턴에 대해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측기법으로서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SVM이란 클래시피케이션(classification), 리그레션(regression), 특이점 판별(outliers detection) 등에 주로 사용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머신 러닝 방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두 그룹의 데이터셋을 구분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각 그룹의 최대 거리에 있는 중간지점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SVM은 복수의 디멘션을 갖는 데이터에 대해서, 복수의 디멘션을 잘 구분할 수 있는 최적의 결정 경계(decision boundary)를 찾는 것에 최적화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에 상술한 것과 같은 SVM 기법을 적용할 때, 센서의 수가 증가하고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이 점점 더 축적될수록 머신러닝의 트레이닝 횟수가 증대되고, 결과적으로 트레이닝을 통해 획득한 모델링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한 수학이나 통계적 모델링을 통한 분석기법이 항상 일정한 정도의 예측오류율을 가지는 데에 비해, 트레이닝의 횟수가 늘수록 예측오류율이 점점 더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은 머신 러닝 기법을 통한 모델링의 큰 장점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SVM 기법을 활용하여 상술했던 행렬을 분석하고 예측하게 되면, 착석자의 선호하는 행동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착석자의 예를 들어, 각도센서에서 측정된 각도값과, 압력센서의 압력값의 정도에 따라 착석자의 등받이(20)에 기대는 힘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각도값의 시간변화율, 압력값의 시간변화율을 계산하여 얼마나 자주 착석자가 등받이(20)에 기대는지 빈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학습부(81)에 의해 판단된 착석자의 등받이(20)에 기대는 힘의 정도 또는 등받이(20)에 기대는 빈도에 대한 판단 결과는 제어부(80)에 제공된다.
제어부(80)는 학습부(81)에서 제공된 착석자의 등받이(20)에 기대는 힘의 정도 또는 등받이(20)에 기대는 빈도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착석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필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받이(20)에 기대는 힘의 정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초과하거나 등받이(20)에 기대는 빈도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로 무선통신부(82)를 통하여 청각 또는 시각적인 형태의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알람 내용에는 실제 압력값 또는 각도가 설정값에서 벗어난 정도나, 벗어난 횟수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착석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을 전송받아 스스로 얼마나 잘못된 자세로 앉아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학습부(81)는 이러한 행동 패턴에 대한 장기간 축적된 빅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부(82)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에 제어부(8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는 제어부(80)의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예컨대 스마트 폰, 패블릿 폰, 태블릿 등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의자 또는 사무용 의자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할 뿐 아니라 받침판의 슬라이드 위치 조작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어되면서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와 양측 하우징을 통해 좌판이 지지되는 구조적 특이성에 기인하여 좌판의 견고한 지지력을 유도함은 물론 쿠션부재의 개재 여부에 따른 상하 각도 전환 시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손쉬운 설치, 그리고 조작의 편의성이 확보되므로 작업 효율성과 취급성이 극대화되며, 소비자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자세 교정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10. 좌판
19. 이음대
20. 등받이
30. 지지프레임
40. 쿠션부재
50. 받침부재
60. 수납하우징
70. 센싱부
80. 제어부
81. 학습부
82. 무선통신부
90. 슬라이드 조절부
100. 사무 겸용 무릎의자
19. 이음대
20. 등받이
30. 지지프레임
40. 쿠션부재
50. 받침부재
60. 수납하우징
70. 센싱부
80. 제어부
81. 학습부
82. 무선통신부
90. 슬라이드 조절부
100. 사무 겸용 무릎의자
Claims (6)
- 사용자 둔부를 수용하고,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후측에 상기 좌판(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받이(20);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며,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50);
상기 받침부재(50)에 설치되되, 상기 좌판(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내측이 접촉되어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쿠션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5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가 상기 좌판(10)의 전측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좌판(10)의 전측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상기 받침부재(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듬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가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좌판(10)은 상기 받침부재(50)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50)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51)과,
상기 쿠션부재(40)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51)과 일부분이 겹치도록 마련되되, 겹치는 부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프레임(52)과,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조절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조절부(90)는,
상기 메인프레임(51)의 외측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부재(91)와,
상기 힌지부재(91)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부재(91)의 일측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92)와,
상기 힌지부재(91)의 타측에 하방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어블록(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51)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프레임(52)은, 일부분이 상기 메인프레임(51)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수용홀(5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어블록(93)의 하측이 상기 수용홀(52-1)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위치가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재(9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힌지부재(91)의 힌지 작용에 의해 상기 제어블록(93)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블록(93)의 하측이 상기 수용홀(52-1)로부터 수용 해제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51)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52)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은,
상면에 쿠션이 마련되는 좌판패널(12)과,
상기 좌판패널(12)의 전측에 마련되고, 상황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승강롤러(11)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연결되고, 세로로 길게 원호 형상을 이루며 슬롯(17)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3)와,
상기 바디(13)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좌판패널(12)에 고정되는 하우징(14)과,
상기 바디(13)와 상기 하우징(14)을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양단은 상기 슬롯(17) 내에 배치되는 고정축(15)을 포함하여,
상기 좌판패널(12)은 상기 고정축(15)을 중심으로 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820A KR20210026684A (ko) | 2019-08-31 | 2019-08-31 |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820A KR20210026684A (ko) | 2019-08-31 | 2019-08-31 |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684A true KR20210026684A (ko) | 2021-03-10 |
Family
ID=7514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820A KR20210026684A (ko) | 2019-08-31 | 2019-08-31 |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26684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930Y1 (ko) | 2000-02-29 | 2000-07-15 | 이관로 |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 |
KR200323370Y1 (ko) | 2003-05-21 | 2003-08-14 | 허기탁 | 기능성 사무용의자 |
-
2019
- 2019-08-31 KR KR1020190107820A patent/KR202100266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930Y1 (ko) | 2000-02-29 | 2000-07-15 | 이관로 |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 |
KR200323370Y1 (ko) | 2003-05-21 | 2003-08-14 | 허기탁 | 기능성 사무용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6678B1 (ko) | 기능성 의자 | |
CA2574708C (en) | Music posture chair seating | |
KR102057900B1 (ko) |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 |
KR20110117193A (ko) |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140019295A (ko) | 인체 공학적 조정가능 의자 장치 | |
KR20140013899A (ko) | 의자의 조절장치 | |
EP2862480A1 (en) | Chair for protecting spine and back | |
KR102098904B1 (ko) | 자세 교정용 의자 | |
US20240225287A1 (en) | Automated Task Chair | |
KR20180006024A (ko) |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 |
KR20210026684A (ko) | 좌판의 안정적인 각도 전환과 거리 조절 편의성이 확보되는 사무 겸용 다기능 무릎의자 | |
KR101473879B1 (ko) |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 |
KR102642764B1 (ko) | 건강 베개 | |
KR20150060230A (ko) |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 |
KR200390797Y1 (ko) |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 |
KR20160004334U (ko) | 기능성 의자 | |
EP2575551B1 (en) | Automatic tilting of a support surface on a support device | |
KR102368691B1 (ko) |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 |
JP7274165B2 (ja) | 着座姿勢判定装置、椅子、着座姿勢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0760756B1 (ko) | 의자의 틸팅장치 | |
JP2022533142A (ja) | 着座又は横臥のための家具 | |
JP2010233614A (ja) | 椅子における着座姿勢想定装置 | |
US11484123B2 (en) | Dynamic postural device | |
KR20210049637A (ko) | 상체고정부를 가지는 무릎의자 | |
US10588416B2 (en) | Adjustable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