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14A - 수술용 핀 가이드 - Google Patents

수술용 핀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514A
KR20210026514A KR1020190107404A KR20190107404A KR20210026514A KR 20210026514 A KR20210026514 A KR 20210026514A KR 1020190107404 A KR1020190107404 A KR 1020190107404A KR 20190107404 A KR20190107404 A KR 20190107404A KR 20210026514 A KR20210026514 A KR 2021002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joint
surgical pin
surgical
join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046B1 (ko
Inventor
정의식
조성연
유승식
곽현서
Original Assignee
(주)오스테오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스테오닉 filed Critical (주)오스테오닉
Priority to KR102019010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0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intramedullary nail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33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 A61B2017/9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핀을 가이드 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핀 가이드는, 수술용 핀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부와; 체부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부착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 1 조인트 볼과; 상기 부착부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 2 조인트 볼과; 상기 제 1 조인트 볼 및 상기 제 2 조인트 볼을 감싸는 조인트 관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술용 핀 가이드{GUIDE FOR SURGICAL PIN}
본 발명은 수술용 핀을 가이드 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물체 간을 고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나사는 현대 사회에 들어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등 의료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뼈를 고정하는 뼈 나사는 뼈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해 삽입 전 삽입 방향을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뼈 나사의 정확한 삽입 방향 설정을 위해 뼈 나사 삽입 전 수술 용 핀을 먼저 삽입하고, 이 후 삽입된 수술용 핀을 따라 뼈 나사를 삽입한다.
따라서, 뼈 나사를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수술용 핀을 뼈에 정확하게 삽입하여야 하며, 뼈 나사를 뼈에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 삽입 전 수술용 핀의 삽입 방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수술용 핀 가이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뼈 등의 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 및 수술용 핀의 방향을 자유롭게 가이드 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수술용 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용 핀의 방향을 자유롭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수술용 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술용 핀을 가이드 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를 제공한다. 수술용 핀 가이드는, 수술용 핀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부와; 체부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부착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 1 조인트 볼과; 상기 부착부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 2 조인트 볼과; 상기 제 1 조인트 볼 및 상기 제 2 조인트 볼을 감싸는 조인트 관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술용 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인트 볼은 상기 가이드부 파지 부재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는 관통된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과 접촉되는 볼 플런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에는 수술용 핀이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는 제 1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수술용 핀이 상기 제 2 조인트 볼 및 상기 부착부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조인트 볼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부착부의 상기 타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는 제 2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에는 수술용 핀이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제 3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조인트 볼은 상기 조인트 관절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관절 부재는, 상기 서로의 일면이 마주보고 상기 일면의 사이에 상기 제 1 조인트 볼 및 상기 제 2 조인트 볼이 위치되도록 감싸는 제 1 관절 부재 및 제 2 관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절 부재 및 제 2 관절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술용 핀이 관통할 수 있는 제 4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타단에는 체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술용 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수술용 핀이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과 평행하게 관통되는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수술용 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용 핀의 방향을 자유롭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수술용 핀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핀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술용 핀 가이드를 가장 넓게 펼친 상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술용 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부의 타단에 인접한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서로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에 대응되는 도 1의 가이드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조인트 볼 및 가이드부 파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조인트 볼 및 가이드부 파지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보조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보조 가이드부가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보조 가이드부가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서로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20)에 대응되는 도 1의 보조 가이드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핀 가이드(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술용 핀 가이드(10)를 가장 넓게 펼친 상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술용 핀 가이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술용 핀 가이드(10)는 수술용 핀(20)을 가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술용 핀 가이드(10)는 가이드부(100), 부착부(200), 관절부(300),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 및 보조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00)는 수술용 핀(20)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한다. 가이드부(100)를 관통한 수술용 핀(20)은 뼈 나사를 삽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뼈 나사를 삽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뼈 나사를 가이드 한다. 가이드부(1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수술용 핀(20)의 삽입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부(100)의 타단(120)에 인접한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00)의 타단(120)에는 체부에 접촉되는 접촉면(130)이 형성된다. 접촉면(130)은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촉면(130)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측면에서 볼 때 톱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접촉면(130)에 요철이 제공됨으로써, 접촉면(130)이 뼈에 닿을 때 접촉면(130)의 뼈에 대한 접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요철은 접촉면(130)이 뼈에 닿을 때 접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착부(200)는 체부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부착부(200)는 뼈의 수술용 핀(20)을 삽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관절부(300)는 가이드부(100) 및 부착부(200)를 연결한다. 관절부(300)는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00) 및 부착부(200)를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절부(300)는 가이드부(100) 및 부착부(200)를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절부(300)는 제 1 조인트 볼(310), 제 2 조인트 볼(320) 및 조인트 관절 부재(330)를 포함한다.
제 1 조인트 볼(310)은 가이드부(100)의 측면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조인트 볼(310)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제 2 조인트 볼(320)은 부착부(200)의 일 측면에 연결된다.
조인트 관절 부재(330)는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을 감싼다.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은 조인트 관절 부재(33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인트 관절 부재(330)는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를 포함한다.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는 서로의 일면이 마주보고 상기 일면의 사이에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이 위치되도록 감싼다.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는 각각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의 일부를 감싸도록 만입된 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는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을 사이에 두고 볼트(333) 및 너트(334)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볼트(333)는 제 1 관절 부재(331),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의 사이 공간 그리고, 제 2 관절 부재(33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33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는 서로 볼트(333) 및 너트(334)에 의해 결합되므로 서로 결합 및 분리가 쉽다.
제 2 조인트 볼(320)이 조인트 관절 부재(3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아래에 설명될 제 4 핀홀이 형성되는 조인트 관절 부재(330)가 부착부(200)를 대신하여 수술용 핀(20)을 이용해 뼈 등의 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조인트 볼(320)이 조인트 관절 부재(33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보다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서로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20)에 대응되는 도 1의 가이드부(10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조인트 볼(310) 및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조인트 볼(310) 및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00)는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20)에 대응되는 홀을 가지는 가이드부(100)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핀 가이드(10)는 다양한 굵기의 수술용 핀(2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00)는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된다.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관통홀(410)은 가이드부(100)가 관통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통홀(410)에는 볼 플런저(420)가 제공된다. 볼 플런저(420)는 관통홀(410)을 관통하는 가이드부(100)의 측면과 접촉되어 가이드부(100)의 측면에 미는 힘을 가한다. 볼 플런저(420)가 제공되어 관통홀(410)에 가이드부(100)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가이드부(100)의 관통홀(410)을 관통하는 길이 조절 및 가이드부(100)의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핀 가이드(10)에는 다양한 위치에 수술용 핀(20)이 관통될 수 있는 핀홀들이 형성됨으로써 수술용 핀(2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체부에 다양한 방향 및 위치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착부(200)에는 제 1 핀홀(230), 제 2 핀홀(240) 및 제 3 핀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핀홀(230)은 수술용 핀(20)이 부착부(200)의 일측면(210)으로부터 타측면(220)까지 관통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 1 핀홀(230)은 선택적으로 단수 또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핀홀(240)은 수술용 핀(20)이 제 2 조인트 볼(320) 및 부착부(200)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제 2 조인트 볼(320)의 끝단으로부터 부착부(200)의 타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 3 핀홀(250)은 수술용 핀(20)이 부착부(200)의 일측면(210) 및 타측면(220)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 3 핀홀(250)은 선택적으로, 복수개가 부착부(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 중 적어도 하나에 제 4 핀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 핀홀(335)은 제 1 조인트 볼(310) 및 제 2 조인트 볼(320)과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수술용 핀(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관절 부재(331) 및 제 2 관절 부재(3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보조 가이드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100)의 측면에 연결된다. 보조 가이드부(500)는 수술용 핀(20)이 가이드부(100)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20)과 평행하게 관통되도록 제공된다. 보조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100)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2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100)에 탈착 가능하고,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가이드부(500)는 결합 부재(510)에 의해 가이드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가이드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보조 가이드부(500)는 결합 부재(510)의 외측 끝단에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는 가이드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부재(510)의 가이드부(100)에 결합되는 끝단은 가이드부(100)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의 가이드부(100)에 결합되는 끝단은 가이드부(100)의 둘레의 반 이상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의 가이드부(100)에 결합되는 끝단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510)는 가이드부(100)에 탈착 가능하고,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부(500)는 결합 부재(51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보조 가이드부(500)가 가이드부(100)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100)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2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00)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20)과 평행하게 수술용 핀(20)이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보조 가이드부(500)를 회전시키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보조 가이드부(500)에 관통된 수술용 핀(20)의 방향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가이드부(100)를 관통하여 뼈에 삽입될 수술용 핀(20)의 삽입 방향 및 삽입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보조 가이드부(500)가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에 대해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가이드부(100)가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 파지 부재(400)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가이드부(100)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서로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20)에 대응되는 도 1의 보조 가이드부(50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부(500)는 결합 부재(51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다른 직경의 수술용 핀(20)에 대응되는 홀을 가지는 보조 가이드부(500)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00)에 대응되는 수술용 핀(20)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보조 가이드부(500)로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술용 핀 가이드 20: 수술용 핀
100: 가이드부 130: 접촉면
200: 부착부 210: 일측면
220: 타측면 230: 제 1 핀홀
240: 제 2 핀홀 250: 제 3 핀홀
300: 관절부 310: 제 1 조인트 볼
320: 제 2 조인트 볼 330: 조인트 관절 부재
331: 제 1 관절 부재 332: 제 2 관절 부재
335: 제 4 핀홀 400: 가이드부 파지 부재
410: 관통홀 420: 볼 플런저
500: 보조 가이드부 510: 결합 부재

Claims (12)

  1. 수술용 핀을 가이드 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에 있어서,
    수술용 핀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부와;
    체부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부착부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 1 조인트 볼과;
    상기 부착부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 2 조인트 볼과;
    상기 제 1 조인트 볼 및 상기 제 2 조인트 볼을 감싸는 조인트 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인트 볼은 상기 가이드부 파지 부재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관통된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과 접촉되는 볼 플런저가 제공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수술용 핀이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는 제 1 핀홀이 형성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술용 핀이 상기 제 2 조인트 볼 및 상기 부착부가 서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조인트 볼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부착부의 상기 타측면까지 관통할 수 있는 제 2 핀홀이 형성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수술용 핀이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제 3 핀홀이 형성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인트 볼은 상기 조인트 관절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관절 부재는, 상기 서로의 일면이 마주보고 상기 일면의 사이에 상기 제 1 조인트 볼 및 상기 제 2 조인트 볼이 위치되도록 감싸는 제 1 관절 부재 및 제 2 관절 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핀 가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관절 부재 및 제 2 관절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술용 핀이 관통할 수 있는 제 4 핀홀이 형성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타단에는 체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핀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수술용 핀이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과 평행하게 관통되는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수술용 핀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술용 핀 가이드.
KR1020190107404A 2019-08-30 2019-08-30 수술용 핀 가이드 KR10230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04A KR102307046B1 (ko) 2019-08-30 2019-08-30 수술용 핀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04A KR102307046B1 (ko) 2019-08-30 2019-08-30 수술용 핀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14A true KR20210026514A (ko) 2021-03-10
KR102307046B1 KR102307046B1 (ko) 2021-09-30

Family

ID=7514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04A KR102307046B1 (ko) 2019-08-30 2019-08-30 수술용 핀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340B1 (ko) * 2022-05-24 2022-10-07 신종인 코 성형 수술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648A (ja) * 2000-02-16 2003-10-28 アクシア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脊椎骨への後方または前方経仙椎アクセスを提供する装置
KR20120062353A (ko) * 2010-12-06 2012-06-14 (주)티디엠 대퇴골 골수 정 고정용 조준아암
KR20160070311A (ko) * 2014-12-09 2016-06-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다발성 나사 가이드장치
KR20170005230A (ko) * 2015-07-01 2017-01-12 (주) 신한씨스텍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648A (ja) * 2000-02-16 2003-10-28 アクシア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脊椎骨への後方または前方経仙椎アクセスを提供する装置
KR20120062353A (ko) * 2010-12-06 2012-06-14 (주)티디엠 대퇴골 골수 정 고정용 조준아암
KR20160070311A (ko) * 2014-12-09 2016-06-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과수술용 다발성 나사 가이드장치
KR20170005230A (ko) * 2015-07-01 2017-01-12 (주) 신한씨스텍 캐뉼라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046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998B2 (en) Fixation clamp
US4135505A (en) Orthopaedic fracture fixing apparatus
EP1302169B1 (en) Spinal polyaxial cross connector
US9089368B2 (en) Device for mutual positioning of longitudinal building components
KR100445332B1 (ko) 뼈고정요소를위한조절가능한클램프
JP4272511B2 (ja) 脊椎部分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装置
US6406477B1 (en) Intramedullary nail
US5630814A (en) Fastener for external fixation device wires and pins
JP4334896B2 (ja) 固定釘および照準装置
JP6946493B2 (ja) 解剖学的インプラント用の分離可能なガイド器具
US20100160972A1 (en) Multi-Pin Clamp and Rod Attachmenton
US20110060372A1 (en) Bone fixing device
JP2011104380A (ja) 手術台に付属部品を接続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GB2033758A (en) Fracture fixing appliance
CN101203188A (zh) 具有锁定机构的支架
CN112636285A (zh) 线条体支撑装置
AU2015302948B2 (en) Device for external orthopedic fixations
IE45961B1 (en) Device for externally exerting a holding action on bone tissues
KR20210026514A (ko) 수술용 핀 가이드
CN108387443A (zh) 一种多方向加载焊点薄板试件拉伸疲劳专用试验夹具
KR20180127668A (ko) 골절 정복용 기구
JP5279837B2 (ja) ロックリング、アセンブリとロックリングを有する骨接合装置
KR20210135042A (ko) 골절 수술용 포셉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수술 방법
JP7408060B1 (ja) 骨折治療用固定具
AU2827097A (en) External fixator clamp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