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457A - 월패드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월패드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457A
KR20210026457A KR1020190107250A KR20190107250A KR20210026457A KR 20210026457 A KR20210026457 A KR 20210026457A KR 1020190107250 A KR1020190107250 A KR 1020190107250A KR 20190107250 A KR20190107250 A KR 20190107250A KR 20210026457 A KR20210026457 A KR 2021002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ing
coupling groove
conn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338B1 (ko
Inventor
박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9010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3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결합되어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지지부에 대해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그리고,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텐션에 의한 원터치 결합으로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월패드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본 발명은 월패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텐션에 의해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월패드(Wall pad)는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는 홈 네트워크 핵심 기기이다. 이러한 월패드는 비디오 도어폰 기능을 비롯하여, 조명, 가전제품 등 가정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단말기이다.
한편, 월패드는 고정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벽면에 자세 고정된다. 월패드용 고정 브라켓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월패드와 결합됨이 일반적이다. 이때, 고정 브라켓과 월패드 사이가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경우, 월패드와 고정 브라켓 사이의 볼트 결합에 의한 설치 시간이 증가함과 아울러, 볼트에 의한 제조 단가가 증가된다. 뿐만 아니라, 볼트의 부식이나 과조임 등에 의해 월패드 또는 고정 브라켓의 내구성 저하도 야기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벽면에 대해 월패드의 설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4839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4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에 대한 월패드의 자세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월패드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월패드를 거치 위치에 거치시키는 제3브라켓,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이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3브라켓을 텐션에 의해 원터치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텐션을 이용하는 원터치 동작으로 지지부와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다.
둘째,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리브를 이용해, 지지부와 고정부 사이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어, 정위치에 대한 조립성 향상으로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인한 부식, 과조임 등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어, 조립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넷째, 분해 시, 텐션 해제를 위해 탄성부재의 분리가 요구됨으로써, 월패드의 도난 방지면에서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1)를 각각 전방(F) 및 후방(R)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는 지지부(10), 고정부(20), 연결부(30) 및 결합부(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1)는 월패드(P)를 지지하여, 벽면과 같은 소정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거치대에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자세 고정시키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지지부(10)는 월패드(P)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월패드(P)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11) 및, 제1브라켓(11)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월패드(P)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함에 따라, 제1브라켓(11)은 직사각형의 월패드(P)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중앙 영역에 제1노출공(11a)이 관통 형성된 'ㅁ'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월패드(P)가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상을 가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브라켓(11)의 형상도 가변 가능하다.
또한, 제2브라켓(12)은 제1브라켓(11)의 배면에 결합되며, 후술할 고정부(20)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2브라켓(12)은 월패드(P)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제1브라켓(11)에 결합됨이 좋다. 또한, 제2브라켓(12)에는 월패드(P)의 전기적인 배선과, 유지 및 보수 편의를 위해 일부 영역이 개방된 제2노출공(12a)이 관통 형성됨이 좋다.
고정부(20)는 지지부(10)와 결합되어, 지지부(10)를 벽면과 같은 소정 위치에 거치시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20)는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결합되는 일종의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20)는 제2브라켓(12)과 대면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제2노출공(12a)과 연통하는 제3노출공(20a)이 관통 형성된다.
연결부(30)는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3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31) 및 연결홈(31)에 대응되도록 고정부(20)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후방(R)으로부터 전방(F)을 향해 인입되도록 연결홈(31)이 마련됨으로써, 고정부(20)로부터 전방(F)을 향해 돌출된 연결리브(32)가 연결홈(31)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대해 고정부(20)가 결합되게 된다.
결합부(40)는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지지부(10) 및 고정부(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지지부(10) 및 고정부(20)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부(10) 및 고정부(20)를 상호 원터치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부(40)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대해 고정부(20)를 탄성 가압하여 결합시키며, 이를 위해 결합부(40)는 결합홈(41), 결합돌기(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한다.
결합홈(41)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마련된다. 이때, 결합홈(41)은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2브라켓(12)의 일부가 전방(F)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영역에 마련된다.
결합돌기(42)는 결합홈(41)에 삽입되도록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결합돌기(42)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고정부(20)로부터 결합홈(41)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돌출되어, 결합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43)는 지지부(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결합홈(41)에 삽입되어, 결합홈(41)의 내벽으로 결합돌기(42)를 텐션으로 밀착시킨다. 이러한 탄성부재(43)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4영역(44)(45)(46)(47)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3)의 제1영역(44)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결합된다. 이때, 제1영역(44)은 지지부(10)에 결합된다. 이때, 제1영역(44)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돌출 마련된 결합턱(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제1영역(44)은 결합턱(13)에 대해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부재(43)가 지지부(10)에 대해 볼팅 결합될 경우, 텐션력을 해제하여 고정부(20)에 대해 지지부(10)를 분리시킴에 있어서, 탄성부재(43)의 볼팅 해제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탄성력으로만 결합 및 분리되는 방식에 비해, 고정부(20)에 대한 지지부(10)의 분리시 볼팅 해제로 인해, 도난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탄성부재(43)의 제2영역(45)은 제1영역(44)으로부터 결합홈(41)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제2영역(45)은 제1영역(44)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결합홈(41)의 입구까지 연장된다.
탄성부재(43)의 제3영역(46)은 제2영역(45)으로부터 결합홈(41)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결합홈(41)에 삽입된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때, 제3영역(46)은 제2영역(45)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측이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밀착시키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략 V자 형상을 가진다.
탄성부재(43)의 제4영역(47)은 제3영역(46)으로부터 결합홈(41)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제3영역(46)이 결합홈(41)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제4영역(47)은 V자 형상을 가지는 제3영역(46)의 타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결합홈(41)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4영역(47)의 절곡된 각도에 의해, 결합홈(41)으로 제3영역(46)이 삽입되는 깊이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부재(43)는 제2브라켓(12)의 결합턱(13)에 결합된 제1영역(44)으로부터 제2영역(45), 제3영역(46) 및 제4영역(47)이 자유단으로 연장된다. 그로 인해, 결합홈(41)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3)의 제3영역(46)은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탄성부재(43)가 제1 내지 제4영역(44)(45)(46)(47)을 가지는 것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부재(43)의 일단이 지지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일단으로부터 자유단으로 연장되어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에 텐션으로 원터치 밀착 가입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탄성부재(43)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의 월패드 고정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호 분리된 상태인 지지부(10)의 제1 및 제2브라켓(11)(12)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브라켓(11)(12)의 제1 및 제2노출공(11a)(12a)은 상호 마주하여 연통한다.
지지부(10)의 제1 및 제2브라켓(11)(12)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20)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지지부(10)에 대한 연결 위치가 가이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연결홈(31)으로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연결리브(32)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20)의 제3노출공(20a)은 지지부(10)의 상호 연통하는 제1 및 제2노출공(11a)(12a)과 연통하도록,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된다.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결합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가 결합되어 자세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지지부(10)와 고정부(20) 사이의 연결에 의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결합홈(41)에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42)가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43)의 지지부(10)에 고정된 제1영역(45)으로부터 자유단으로 연장된 제3영역(46)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결합돌기(42)는 결합홈(41)의 내벽에 탄성 가압되어 밀착된다.
즉,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은 텐션을 이용하여,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되어 결합돌기(42)가 결합홈(41)에 삽입되는 원터치 동작에 연동하여,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에 대해 탄성부재(43)의 텐션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원터치 텐션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0)와 고정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연결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결합부(40)의 텐션 결합동작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자세 고정된다. 이에 따라, 월패드(P)를 지지하는 지지부(10)를 원하는 위치에 원터치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월패드용 고정장치
10: 지지부
11: 제1브라켓
12: 제2브라켓
20: 고정부
30: 연결부
31: 연결홈
32: 연결리브
40: 결합부
41: 결합홈
42: 결합돌기
43: 탄성부재
P: 월패드

Claims (11)

  1.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월패드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
    을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8. 월패드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월패드를 거치 위치에 거치시키는 제3브라켓;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이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3브라켓을 텐션에 의해 원터치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
    을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KR1020190107250A 2019-08-30 2019-08-30 월패드용 고정장치 KR10230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ko) 2019-08-30 2019-08-30 월패드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ko) 2019-08-30 2019-08-30 월패드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57A true KR20210026457A (ko) 2021-03-10
KR102305338B1 KR102305338B1 (ko) 2021-09-28

Family

ID=7514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ko) 2019-08-30 2019-08-30 월패드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3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65Y1 (ko) * 1997-01-15 1999-09-01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 겸용 고정장치
KR100399416B1 (ko) 2001-10-18 2003-09-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20110080571A (ko) * 2010-01-06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483910Y1 (ko) 2015-08-10 2017-07-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
JP2018056626A (ja) * 2016-09-26 2018-04-05 パーパス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65Y1 (ko) * 1997-01-15 1999-09-01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 겸용 고정장치
KR100399416B1 (ko) 2001-10-18 2003-09-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20110080571A (ko) * 2010-01-06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483910Y1 (ko) 2015-08-10 2017-07-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
JP2018056626A (ja) * 2016-09-26 2018-04-05 パーパス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338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40B2 (en) Screwless switch plate assembly
US4669802A (en) Outlet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GB2399463A (en) An electrical box
KR101969494B1 (ko) 전자 장치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US20040155166A1 (en) Display apparatus
US10566733B2 (en)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US8948436B2 (en) Loudspeaker system
US6679725B2 (en) Clip-on cover plate for electrical fixtures
JP5309328B2 (ja) 引出しの接続デバイス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JPH1126097A (ja) パネル取り付け用ソケット
KR20210026457A (ko) 월패드용 고정장치
EP3636866B1 (en)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art being releasably attached
US7008248B2 (en) Jumper with integral receptacle bracket
KR20060009743A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JP3823349B2 (ja) 埋込型機器の取付装置
JP2016219105A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施工方法
US5303892A (en) Panel for recessed mounting of a housing
KR100832758B1 (ko) 유리 섬유 커넥터용 커플링 장치
KR200318498Y1 (ko) 세대통합단자 설계구조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KR102362331B1 (ko)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용 클립
JP5952691B2 (ja) 集合端子台装置及び固定具
CN221054745U (zh) 一种支架组件及其终端设备
JP5547671B2 (ja) 通話機器の押しボタ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