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456A -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 Google Patents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456A
KR20210026456A KR1020190107248A KR20190107248A KR20210026456A KR 20210026456 A KR20210026456 A KR 20210026456A KR 1020190107248 A KR1020190107248 A KR 1020190107248A KR 20190107248 A KR20190107248 A KR 20190107248A KR 20210026456 A KR20210026456 A KR 2021002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ood
supporting
main body
inse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270B1 (ko
Inventor
홍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to KR102019010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1/64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by loosely-inserted means, e.g. strip, resilient tongu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2001/62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especially adapted for door frames; Joint covering devices where the wall surface is parallel to the adjacent door or window fram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틀의 아랫면에 돌출한 도브 테일 사이에 삽입형 고임목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아래에 고임목을 받쳐서 창호 틀을 지지하여 수평을 잡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임목과 창호 틀 사이의 틈새를 메워 고임목을 쉽게 장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삽입형 고임목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탄성 편을 돌출 형성하고, 삽입형 고임목을 도브 테일 사이에 삽입하면 도브 테일이 이 탄성 편을 눌러서 가압하게 하여 삽입형 고임목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창호 틀에서 삽입형 고임목이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고임목이 안정적으로 창호 틀을 지지하여 조립 시공을 할 수 있는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INSERTED SUPPORT FOR WINDOWS AND DOORS FRAME}
본 발명은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 창호 틀의 하부에 돌출한 도브 테일 사이에 끼운 다음 그 아래에 고임목을 받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창호 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원하는 수평 상태를 쉽고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Windows and Doors)는 미리 정한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고, 제작하고자 하는 창호 넓이에 맞게 적당한 길이로 자른 다음 이웃한 두 개의 프로파일 끝을 융착하여 제작한다. 이에, 창호 제작에 사용하는 프로파일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폭 단면으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6360호
창문 프레임 또는 도어 프레임-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 보강 시스템으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다수의 챔버로 압출 성형된 중공 프로파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69494호
창호용 프로파일은 건물의 벽면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일측이 건물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제1프레임에 대해 건물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벽면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이 마련된 베이스부와,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프레임의 타측에 결합하는 단열 부재와, 건물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와 도어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단열 부재에 설치된 기밀 유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른 창호용 프로파일은 외기와 접촉하는 제1프레임과, 건물의 내기와 접촉하는 제2프레임 사이에 단열 부재가 마련되어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므로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에 의해 창호 내측의 프레임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에는 기밀 유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도어와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폐쇄하므로 외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의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14811호
프로파일 내에 프리프레그(Prepreg) 재질의 보강재를 삽입 제작함에 따라 창호 제품의 경량화 및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은, 압출 성형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프리프레그 재질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창호 제작용 프로파일 내에 프리프레그 재질의 보강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함에 따라 제품의 경량화 및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중 창호에 프리프레그 재질 및 금속재질의 보강재를 선택적으로 혼합적용해줌으로써 단열성 및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처럼 이루어진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를 건축물 등의 개구부에 시공하려면, 창호를 구성하는 창호 짝과 창호 틀 중에서 창호 틀을 개구부에 수평에 맞춰서 창호 틀 밑에 고임목을 끼워서 임시로 조립한 상태에서 창호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프로파일의 종류에 따라 창호 틀의 바닥에 도브 테일(Dove Tail)을 돌출 형성한 프로파일로 제작한 창호 틀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창호 틀의 바닥 폭에 대해 도브 테일이 일부에만 형성하게 되므로, 개구부 등의 바닥 위에 고임목을 놓고 그 위에 창호 틀을 올려놓으면 고임목이 도브 테일 사이에 끼여 창호 틀을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2) 즉, 고임목 위에 창호 틀을 올려놓을 때, 고임목의 한쪽 가장자리나 모서리 부분이 도브 테일 사이에 놓이거나 두 개의 도브 테일 사이에 끼여 창호 틀이 고임목이 제대로 걸쳐지지 않으면 창호 틀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면서 창호 틀이 수평으로 임시로 조립할 수 없게 된다.
(3) 이처럼 수평 상태로 임시로 조립이 되지 않으면, 창호 틀을 다시 고정하면서 수평 상태를 확인하면서 다시 시설해야 하므로, 창호 시설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도 떨어진다.
(4) 또한, 창호 틀이 수평 상태로 제대로 임시 조립이 되지 않으면, 시공한 뒤에 창호 짝을 제대로 닫지 못해 창호를 개폐할 수 없거나 개폐할 수 있더라도 긴밀하게 밀폐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6360호 (공개일: 2010.12.01) 한국등록특허 제10-1569494호 (등록일: 2015.11.10) 한국등록특허 제10-1914811호 (등록일: 2018.10.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창호 틀의 아랫면에 돌출한 도브 테일 사이에 삽입형 고임목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아래에 고임목을 받쳐서 창호 틀을 지지하여 수평을 잡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임목과 창호 틀 사이의 틈새를 메워 고임목을 쉽게 장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삽입형 고임목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탄성 편을 돌출 형성하고, 삽입형 고임목을 도브 테일 사이에 삽입하면 도브 테일이 이 탄성 편을 눌러서 가압하게 하여 삽입형 고임목을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창호 틀에서 삽입형 고임목이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고임목이 안정적으로 창호 틀을 지지하여 조립 시공을 할 수 있게 한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형 고임목을 적어도 하나의 격자 형태로 형성하고 그 한쪽 면 전체에 마찰 돌기를 돌출 형성하므로, 가벼우면서도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편이 쉽게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은, 창호 틀(F)의 하부로 돌출한 도브 테일(D)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삽입형 고임목으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11)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탄성 편(11)은 도브 테일(D)에 눌려서 강제로 변형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는, 한쪽 면에는 면 전체에 전체 길이에 걸쳐 마찰 돌기(12)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를 형성하되;, 상기 마찰 돌기(12)를 돌출 형성한 면과 인접한 양쪽 측면에는, 각각 두 개의 탄성 편(11)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의 폭은, 창호 틀(F) 제작에 사용하는 프로파일(P)에 형성한 두 개의 도브 테일(D)의 간격(W)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도브 테일을 형성한 창호 틀의 바닥 면과 고임목 사이의 틈새를 메워 고임목이 도브 테일 사이에 끼거나 이탈하여 고임목이 창호 틀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임목을 이용하여 창호 틀을 임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2) 이에, 한 번 임시로 창호 틀의 수평을 잡은 상태가 이탈하거나 다시 수평을 잡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이에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한편, 삽입형 고임목을 서로 마주하는 도브 테일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원하는 위치에 삽입형 고임목을 고정 설치하고 그 아래에서 고임목을 놓고 창호 틀을 지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4) 특히, 삽입형 고임목에는 도브 테일에 걸려 탄성 변형하는 탄성 편을 돌출 형성하므로, 이처럼 도브 테일 사이로 삽입형 고임목을 끼워넣기만 하면 삽입형 고임목 조립을 끝낼 수 있어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게 창호 틀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다.
(5) 또한, 삽입형 고임목은 한쪽 면이 적어도 하나의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쪽 면 전체에 마찰 돌기를 돌출 형성하므로, 삽입형 고임목의 구조적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고임목 위에 걸쳐지게 놓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고임목(창호 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하부를 지지하는 검은 색 부분)을 도브 테일 사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고임목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고임목을 창호 틀을 구성하는 두 개의 도브 테일 사이에 끼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고임목을 창호 틀을 구성하는 두 개의 도브 테일 사이에 끼우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끼우기 전 상태를, (b)는 끼운 상태를, (c)는 고임목 위에 삽입형 고임목을 장착한 창호 틀을 올려놓은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0)에는 양쪽 측면에 각각 탄성 편(11)을 돌출 형성하고, 이 탄성 편(11)을 이용하여 창호 틀(F)에 돌출 형성한 도브 테일(D)에 끼워서 창호 틀(F)의 바닥 면이 평편하게 하여 창호 틀(F)을 고임목(S) 위에 올려놓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임시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강화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쪽에는 전체 면에 여러 개의 마찰 돌기(12)를 돌출 형성하므로, 창호 틀(F) 밑에 놓는 고임목(S)과 이 본체(10)가 긴밀하게 밀착하게 하여 미끄럼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창호 틀(F)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지는 도브 테일(D) 사이의 간격(W)에 맞게 본체(10)의 폭을 제작하므로, 본체(10)를 도브 테일(D) 사이에 끼워서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창호 중에서 격자 형태로 제작하여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하는 창호 틀을, "D"는 창호 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에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거나 다른 구성을 연결할 때 등에 사용하는 도브 테일(Dove Tail)을, "S"는 창호 틀의 하부를 지지하여 창호 틀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창호 틀을 임시로 올려놓고 조립할 때 사용하는 고임목을 각각 나타낸다.
본체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창호 틀(F) 하부에 삽입하여 이 창호 틀(F)을 시공할 바닥 위에 올려놓는 고임목(S)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도 2]와 같이, 한쪽 면을 적어도 하나의 격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본체(10) 자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제작하고 또한, 격자를 제작함에 따라 생긴 공간에 후술할 탄성 편(11)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창호 틀(F)에 형성한 도브 테일(D) 사이에 끼워서 빠지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이 본체(10)를 끼워서 장착한 창호 틀(F)을 움직이면서 수평을 잡을 때도 쉽게 편리하게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구조적 강성과 더불어 고임목(S)과 긴밀하게 밀착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창호 틀(F)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탄성 편(11)과 마찰 돌기(12)를 갖춘다.
1. 탄성 편
탄성 편(11)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 편(11)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탄성 편(11)은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양쪽 측면에 각각 두 개씩 모두 네 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편(11)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고, 이때 돌출하게 형성한 탄성 편(11)은 상기 본체(10)를 창호 틀(F)의 바닥에 돌출 형성한 두 개의 도브 테일(D) 사이에 끼울 때 이 도브 테일(D)에 탄성 편(11)이 탄성 변형하면서 본체(10)를 강제로 도브 테일(D) 사이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본체(10)는 창호 틀(F)의 종류에 따라 창호 틀(F)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프로파일의 단면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 그 폭도 다르게 제작한다. 즉, 상기 본체(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창호 틀(F) 제작에 사용하는 프로파일에 형성한 두 개의 도브 테일(D)의 간격(W)으로 본체(10)의 폭을 제작함으로써, 프로파일의 폭 단면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게 다른 폭으로 제작한 본체(10)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도브 테일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를 끼워서 고임목(S)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다.
2. 마찰 돌기
마찰 돌기(12)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체(10)를 구성하는 다른 한쪽 면 전체, 즉 격자를 형성하지 않은 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한다.
특히, 상기 마찰 돌기(12)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체(10)를 창호 틀(F)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 창호 틀(F)을 고임목(S) 위에 올려놓을 때 이 고임목(S)과 마주하게 설치함으로써, 삽입형 고임목과 고임목 사이의 마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창호 틀 하부에 돌출하게 형성한 도브 테일 사이에 삽입형 고임목을 강제로 끼워서 장착하고, 그 아래에 고임목을 고여서 창호 틀을 임시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창호 틀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여 창호를 쉽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1: 탄성 편
12: 마찰 돌기
D: 도브 테일
S: 고임목

Claims (3)

  1. 창호 틀(F)의 하부로 돌출한 도브 테일(D)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삽입형 고임목으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11)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탄성 편(11)은 도브 테일(D)에 눌려서 강제로 변형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10)는,
    한쪽 면에는 면 전체에 전체 길이에 걸쳐 마찰 돌기(12)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자를 형성하되,
    상기 마찰 돌기(12)를 돌출 형성한 면과 인접한 양쪽 측면에는, 각각 두 개의 탄성 편(11)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본체(10)의 폭은,
    창호 틀(F) 제작에 사용하는 프로파일(P)에 형성한 두 개의 도브 테일(D)의 간격(W)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KR1020190107248A 2019-08-30 2019-08-30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KR102277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48A KR102277270B1 (ko) 2019-08-30 2019-08-30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48A KR102277270B1 (ko) 2019-08-30 2019-08-30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56A true KR20210026456A (ko) 2021-03-10
KR102277270B1 KR102277270B1 (ko) 2021-07-14

Family

ID=7514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48A KR102277270B1 (ko) 2019-08-30 2019-08-30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885Y2 (ja) * 1990-08-16 1996-08-28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サッシ枠体の取付調整構造
KR19980055661U (ko) * 1998-06-01 1998-10-07 양내문 문틀고임용 블록
KR200447485Y1 (ko) * 2008-02-27 2010-01-26 (주)아이엠피 새시용 고임목
KR20100126360A (ko) 2008-02-08 2010-12-01 바스프 에스이 창문 또는 도어 프레임용 프로파일의 보강 시스템으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의 용도
KR20130061831A (ko) * 2011-12-02 2013-06-12 (주)엘지하우시스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1569494B1 (ko) 2015-04-29 2015-11-16 (주)무등방화문 창호용 프로파일
KR101914811B1 (ko) 2014-01-06 2018-11-02 (주)엘지하우시스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885Y2 (ja) * 1990-08-16 1996-08-28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サッシ枠体の取付調整構造
KR19980055661U (ko) * 1998-06-01 1998-10-07 양내문 문틀고임용 블록
KR20100126360A (ko) 2008-02-08 2010-12-01 바스프 에스이 창문 또는 도어 프레임용 프로파일의 보강 시스템으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의 용도
KR200447485Y1 (ko) * 2008-02-27 2010-01-26 (주)아이엠피 새시용 고임목
KR20130061831A (ko) * 2011-12-02 2013-06-12 (주)엘지하우시스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1914811B1 (ko) 2014-01-06 2018-11-02 (주)엘지하우시스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KR101569494B1 (ko) 2015-04-29 2015-11-16 (주)무등방화문 창호용 프로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270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574B2 (en) Insertion assembly for door and window frames
US20090000225A1 (en) Integrated window assembly and components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KR101642817B1 (ko) 시공이 용이한 커튼월
KR101163094B1 (ko) T-브라켓용 결로방지패드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674343B1 (ko) 가변성과 장착성을 개선한 리모델링 창호
KR20210026456A (ko) 창호 틀 지지용 삽입형 고임목
US3284976A (en) Door construction
US10513878B2 (en) Method for attaching a pane element to a sash and a pane module including a pane element
JP6388810B2 (ja) 建具ユニット
RU2755056C2 (ru) Узел рамы дл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447524B1 (ko) 원목 자동문 장치
JP6563199B2 (ja) 建具
KR200476548Y1 (ko)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안전 방충망용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의 시공방법
KR101997098B1 (ko)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102031323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200495612Y1 (ko) 조립식 창틀 및 창호 시스템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13844B1 (ko) 도어용 패널
US6684598B1 (en) Insulating window and profile material therefor
JP4436524B2 (ja) 建築物等のパネル取付構造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2623863B1 (ko) 창호 설치용 l-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