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311A -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 Google Patents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311A
KR20210026311A KR1020190106900A KR20190106900A KR20210026311A KR 20210026311 A KR20210026311 A KR 20210026311A KR 1020190106900 A KR1020190106900 A KR 1020190106900A KR 20190106900 A KR20190106900 A KR 20190106900A KR 20210026311 A KR20210026311 A KR 20210026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ent
connection
fix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927B1 (ko
Inventor
황인규
박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필
Priority to KR102019010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5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F16B5/006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and using I-shaped clamps with flanges moving towards each other
    • F16B5/007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and using I-shaped clamps with flanges moving towards each other and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보의 양단에 보 연결용 브래킷에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앵글을 부착할 필요가 없고, 꺾임부, 측면고정부, 측면지지부로 인해 종래의 보 연결용 브래킷에 비해 큰 지지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꺾임부가 보의 경간을 줄여줌으로써 보의 처짐을 줄일 수 있고, 보를 꺾임부에 걸친 상태로 보의 연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보의 연결작업이 매우 수월한 보 연결용 브래킷이 개시된다. 상기 보 연결용 브래킷은 기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상태의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기둥보다 적어도 일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방연결부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 또는 상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상기 보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고정수단을 통해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꺾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Beam connecting bracket and r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둥의 표면에 설치하여 보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의 개선에 대한 것으로, 특히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그 위에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를 이웃하는 기둥에 각각 연결하여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보 연결용 브래킷의 개선 및 이를 이용한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킷은 두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거나 필요한 부재에 설치하여 다른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된다.
한편, 각종 제품의 온라인 구매 증가로 인해 물류가 급격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구매한 물품을 신속하게 받아보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물류의 중요성도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적시에 필요한 곳으로 운송 또는 배송하기 위한 물류 자동화 창고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자동화 창고는 자동화 설비로 제품의 입고와 출고를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은 공간에 가능한 한 많은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필요한 제품을 신속하게 찾아서 반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자동화 창고는 통상 랙(rack) 형식으로 구성되며, 제품의 적치 공간을 좌우에 배치하고, 전후 및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적치/하역 수단을 이용하여 제품을 정해진 위치에 적치하거나 적치되어 있는 제품을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필요한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한 구성을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에는 간격을 두고 기둥(C)이 설치되어 있고, 각 기둥(C)에는 평판형태의 보 연결용 브래킷 (10)이 볼트(20)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각 보 연결용 브래킷 (10)은 보(B)를 연결할 수 있도록 기둥(C)의 양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보(B)의 양 단부에는 "L"자 단면의 앵글(30)이 용접을 통해 각각 부착되어 있고, 각 앵글(30)의 보(B)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보 연결용 브래킷 (10)에 중첩된 상태로 양측 앵글(30)이 볼트(20)를 통해 양측 보 연결용 브래킷 (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보 설치구조에는 용접 등으로 보(B)의 양단에 앵글(30)을 각각 부착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보 설치구조에는 보(B)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 연결용 브래킷 (10)과 앵글(30)을 체결하는 복수 볼트(20)의 전단저항과 볼트(20)와 너트(22)의 체결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과 앵글(30)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지지가 되므로 큰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볼트(20)의 개수나 직경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또한, 물류 자동화 창고의 랙을 구성하는 보(B)에는 중량의 물품이 적치되어 보(B)에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데, 도 1에 나타낸 보 설치구조에서는 보 연결용 브래킷 (10)과 앵글(30)을 체결하는 양측 볼트(20)의 거리가 그대로 보의 경간이 되어 보(B)의 처짐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보 연결용 브래킷 (10)에 보(B)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보(B)를 잡고 수평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볼트(20) 등을 결합해야 하므로 보(B) 연결작업에 힘이 들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또한, 물류 자동화 창고에 설치되는 랙은 통상 사람의 키보다 훨씬 높게 만들어지는데, 높은 곳에서 보(B)를 설치하기는 더욱 힘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의 양단에 보 연결용 브래킷에 연결하기 위한 앵글을 부착할 필요가 없는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큰 지지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의 경간을 줄여 보의 처짐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할 때보다 보의 연결작업이 쉬운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류 자동화 창고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은 기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상태의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기둥보다 적어도 일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방연결부;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 또는 상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상기 보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고정수단을 통해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꺾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측방연결부에 볼트 또는 리벳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장부와 상단보다 위쪽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측방연결부에 볼트 또는 리벳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뒤쪽으로 꺾여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측면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는 복수의 상기 체결공 중 가장 바깥쪽의 상기 체결공보다 측방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꺾임부에 지지되는 상기 보의 경간을 상기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한 상기 보의 경간보다 짧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뒤쪽으로 꺾여 상기 기둥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는 측면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방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꺾임부는 양측의 상기 측방연결부 하단에서 상기 기둥이 있는 뒤쪽으로 각각 꺾여서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꺾임부 사이에 상기 기둥이 삽입되어 상기 꺾임부의 안쪽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랙은 전후 및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기둥과 이웃하는 상기 기둥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을 상하와 좌우로 경사지게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랙으로서, 복수의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를 상기 기둥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및 복수의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기둥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 기구는,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 및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 및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 및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결합부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와 좌우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앞쪽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과 뒤쪽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슬롯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에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는 평판으로 되거나 원호형으로 밴딩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상기 제2연결부는 양단 사이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꺾인 중간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하면, 보의 양단에 보 연결용 브래킷에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앵글을 부착할 필요가 없고, 꺾임부, 측면지지부로 인해 종래의 보 연결용 브래킷에 비해 큰 지지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꺾임부가 보의 경간을 줄여줌으로써 보의 처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하면, 보를 꺾임부에 걸친 상태로 보의 연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보의 연결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하면, 하방연장부 또는 상방연장부와 이에 설치되는 측면고정부를 통해 브래킷의 지지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의 처짐이 적게 발생하고 전후와 좌우로 배치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할 수 있어서 변형 발생의 우려가 적어서 물류자동화 창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견고한 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한 랙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이 설치된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 예의 보 연결용 브래킷 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배면 사시도,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꺾임부에 의한 경간 변화와 그에 따른 처짐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2 랙의 기둥에 설치되어 상하와 좌우로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기구의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2 랙의 기둥에 설치되어 상하와 좌우로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2 브래킷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을 이용한 랙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이 설치된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자동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랙(R)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C),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들을 통해 좌우로 이웃하는 기둥(C)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보(B), 기둥(C)에 설치되는 복수의 다른 형태의 브래킷들을 통해 바람직하게 기둥(C)과 기둥(C)을, 때에 따라 기둥(C)과 보(B)를 대각선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랙(R)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랙(R)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의 설치상태는 도 3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의 구성은 도 4 내지 도 6을 보면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은 고정부(110)와 측방연결부(130)를 구비한다. 고정부(110)는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고정부(110)에는 바람직하게 나사부재(TM) 또는 리벳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다. 때에 따라, 고정부(110)는 체결공(111)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용접에 의해 기둥(C)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부(110)는 측방연결부(130)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113) 및/또는 측방연결부(130)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115)를 구비한다. 이 하방연장부(113)나 상방연장부(115)는 기둥(C) 표면에 밀착되어 혹, 고정부(110)의 볼트 등의 체결부위가 미세하게 느슨해지더라도 고정부(110)의 유동되는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주며, 볼트나 리벳 등의 설치 간격이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하방연장부(113) 및/또는 상방연장부(11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측방연결부(130)는 고정부(110)가 기둥(C)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둥(C)보다 적어도 일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B)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랙(R) 등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기둥(C)에 설치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보(B)를 연결하는 것인 경우, 측방연결부(130)는 고정부(110)의 한쪽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하지만, 내측 기둥(C)에 설치되어 양쪽으로 보(B)를 연결해야하는 것인 경우, 측방연결부(130)는 도 2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10)의 좌우 양쪽 모두에 설치된다. 이러한 측방연결부(130)에도 바람직하게 나사부재(TM)나 리벳을 이용하여 보(B)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131)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은 꺾임부(150)를 가진다. 이 꺾임부(150)는 바람직하게 측방연결부(130)의 하단에서 기둥(C)이 있는 뒤쪽으로 꺾여 보(B)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때에 따라, 꺾임부(150)는 측방연결부(130)의 상단에서 기둥(C)이 있는 뒤쪽으로 꺾여 보(B)의 상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보(B)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4와 5에 나타낸 것을 상하로 뒤집어 설치하는 것과 같다.
위와 같은 꺾임부(150)의 내측면은 기둥(C)의 측면에 지지되어 측방연결부(130)가 하방으로의 처짐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꺾임부(150)가 좌우 양측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양측 꺾임부(150) 사이에 홈(152)이 형성되고, 이 홈(152)에 기둥(C)이 삽입되어 양측 꺾임부(150)를 지지한다.
또, 때에 따라, 꺾임부(150)는 측방연결부(130)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하의 두 꺾임부(150)는 측방연결부(130)와 함께 보(B)가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꺾임부(150)는 측방연결부(130)와 함께 측방연결부(130)에 연결되는 보(B)를 지지하며, 최외측 나사부재(TM) 등의 고정수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바깥쪽 단부가 보(B)의 한 지지점을 형성하여 꺾임부(150)가 없는 종래의 것에 비해 보(B)의 경간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보(B)에 발생될 수 있는 처짐을 줄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상방연장부(115)와 하방연장부(113)중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연장부(113)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공(111)은 하방연장부(113)에도 형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상방연장부(115)와 하방연장부(113) 중 상방연장부(115)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머지는 도 2 내지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 예의 보 연결용 브래킷 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보의 경간을 최소화하여 보(B)의 처짐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110) 좌우 양측의 측방연장부(130)와 측방연장부(130) 하단에 설치되는 꺾임부(150)를 측방으로 보다 길게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나사부재(TM) 외측으로 배치되는 꺾임부(150)의 단부가 보(B)의 경간을 줄여주어 보(B)의 처짐을 완화한다.
또한, 상방연장부(115)의 양측에 뒤쪽으로 꺾여 기둥(C)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측면고정부(115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고정부(115a)에도 체결공을 형성하여 나사부재(TM) 등의 고정수단으로 측면고정부(115a)를 기둥(C)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방연장부(11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나머지는 도 2 내지 6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 보 연결용 브래킷 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측방연결부(130)의 일부는 고정부(110)에서 뒤쪽으로 꺾여 기둥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지지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고정부(110), 양측 측면지지부(133) 및 양측 꺾임부(150)의 내측면은 함께 협동하여 기둥이 삽입되어 양측 측방연결부(130)와 양측 꺾임부(150)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홈(152a)을 형성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측면지지부(133) 상단은 나사부재, 용접 등으로 기둥에 견고하게 고정 한다.
이 실시 예의 꺾임부(150) 역시, 보의 경간을 줄여 보의 처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측방연결부(130)와 함께 측방연결부(130)에 연결되는 보를 더욱 큰 지지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9와 도 10은 꺾임부(150)가 측방연결부(130) 하단에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측방연결부(130) 상단에도 하단에 형성된 것과 상하 대칭으로 꺾임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방연결부(13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상하의 두 꺾임부(150)는 측방연결부(130)와 함께 보(B)가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
나머지 고정부(110)와 측방연결부(130)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와 같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꺾임부에 의한 경간 변화와 그에 따른 처짐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꺾임부 없이 앞 실시 예의 나사부재에 의해서만 보(B)가 지지되는 경우,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B)에 분포하중이 w가 작용할 때 경간 L, 보(B)의 굽힘강성 EI라면, 보의 최대 처짐 δ1 = 5wL14/384EI --- (식 1) 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꺾임부()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간을 L1에서 L2로 줄여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이용하는 경우, 보의 최대 처짐 δ2 = 5wL24/384EI --- (식 2) 이다.
δ2/δ1 = 5wL24/5wL14 = L24/L14 --- (식 3) 이 된다.
위 (식 3)에 따르면, 예를 들어 L1이 2m이고, 양쪽의 꺾임부 각각에서 경간을 5㎝씩 각각 감소시켜주는 경우를 상정하면, L2는 1.9m이다. 이를 (식 3)에 대입하면 δ2/δ1 = 13.033/16 = 0.815 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순수하게 보의 경간을 줄이는 기능만으로 처짐을 약 18% 정도만큼 더 줄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조건 하의 양쪽의 꺾임부 각각에서 경간을 10㎝씩 각각 감소시켜주는 경우에는 처짐을 약 34% 정도만큼 줄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꺾임부는 자체의 강성으로 보(B)를 지지하여주므로 보(B)의 지지강성도 더 증가시켜주고, 보(B)를 걸쳐둔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므로 보연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2는 도 2 랙의 기둥에 설치되어 상하와 좌우로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기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2 랙의 기둥에 설치되어 상하와 좌우로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 브래킷 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자동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는 도 2에 나타낸 랙(R)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C), 브래킷들을 통해 좌우로 이웃하는 기둥(C)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보(B), 기둥(C)과 기둥(C) 또는 보(B)를 대각선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랙(R)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 및 기둥(C)에 설치되어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들을 기둥(C)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랙(R)에서, 브래킷 기구(200)의 설치상태는 도 1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B)를 지지하는 기둥(C) 등의 표면에 제1브래킷(210)의 제1고정부(215)와 제2고정부(217)를 정위치 시킨 상태로 체결공(219)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250)을 사용하여 제1고정부(215)와 제2고정부(217)를 기둥(C) 등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결합부(202)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211)의 슬롯(202a)과 제2연결부(231)의 슬롯(202b)을 통해 제2브래킷(230)의 제2연결부(231)를 제1브래킷(210)의 제1연결부(211)에 교차되게 결합하여, 제3고정부(235)와 제4고정부(237)가 기둥(C) 등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3고정부(235)와 제4고정부(237)에 형성된 체결공(239)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구(250)를 사용하여 제3고정부(235)와 제4고정부(237)를 기둥(C) 등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기둥(C) 등의 표면에는 제1연결부(211)와 제2연결부(231)가 +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브래킷 기구(200)를 기둥(C)에 고정한 다음 볼트나 리벳, 용접 등의 고정수단(250)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부(202) 위쪽의 제1연결부(211)에는 연결공(213)을 통해 상방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10)를 연결하고, 결합부(202) 아래쪽의 제1연결부(213)에는 하방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20)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C)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된 상, 하 두 연결부재(10, 2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그 타단이 앞쪽 또는 뒤쪽 기둥(C)의 상방 및 하방에 설치된 브래킷 기구(200)에 각각 연결된다.
제1연결부(211)의 같은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나 하나는 오른쪽 측면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왼쪽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200)는 제1연결부(211)와 제2연결부(231)가 슬롯(202a, 202b)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부(211)는 제1 내지 제4고정부(215, 217, 235, 237)의 좌우 중앙부에서 지지되므로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고 좌우로 균형 잡히게 지지를 받는다.
마찬가지로, 결합부(202)를 중심으로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250)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부(202) 왼쪽의 제2연결부(231)에는 연결공(233)을 통해 왼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0)를 연결하고, 결합부(202) 오른쪽의 제2연결부(231)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40)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C)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된 좌, 우 두 연결부재(30, 4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그 타단이 양 측방 앞쪽 또는 뒤쪽 기둥(C)에 설치된 브래킷 기구(200)에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 제2연결부(231)는 제1 내지 제4고정부(215, 217, 235, 237)에 의해 상하 중앙부 부근에서 지지가 되므로 고정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의 어느 한쪽으로 많이 편향되지 않고 균형 잡히게 지지가 된다. 때에 따라, 결합부(202)의 한쪽은 슬롯보다는 폭이 큰 홈(202c)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브래킷 기구(200)는 상하와 좌우의 교차방향으로 여러 개의 연결부재(10, 20, 30, 40)들을 연결하여 이들을 상하 및 좌우로 많이 편향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고, 제1연결부(211)와 제2연결부(231)가 지지력이 약한 방향으로 서로 보완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으므로 큰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100)과 위 브래킷 기구(200)를 이용하면 기존의 것에 비해 처짐이 적게 발생되고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견고한 랙(R)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1, 제2연결부(211, 231)에는 결합부(202)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에 연결공(213, 23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내지 제4고정부(215, 217, 235, 237)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체결공(219, 23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 제1 내지 제4고정부(215, 217, 235, 237)는 평판으로 되거나 원호형으로 밴딩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연결부(211) 또는 제2연결부(231)는 양단 사이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꺾인 중간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창고의 랙을 만드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고,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여타 구조물을 만드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보 연결용 브래킷 110: 고정부
111, 131: 체결공 113: 하방연장부
115: 상방연장부 115a: 측면고정부
130: 측방연결부 150: 꺾임부
152, 152a: 홈 200: 브래킷 기구
202: 결합부 202a, 202b: 슬롯
210: 제1브래킷 211: 제1연결부
215: 제1고정부 217: 제2고정부
230: 제2브래킷 231: 제2연결부
235:제3고정부 237: 제4고정부
B: 보 C: 기둥
R: 랙 TM: 나사부재

Claims (9)

  1. 기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상태의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기둥보다 적어도 일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방연결부; 및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 또는 상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상기 보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고정수단을 통해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꺾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측방연결부에 볼트 또는 리벳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장부와 상단보다 위쪽으로 연장된 상방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측방연결부에 볼트 또는 리벳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4. 제3항에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뒤쪽으로 꺾여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측면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5. 제1항에서, 상기 꺾임부는 복수의 상기 체결공 중 가장 바깥쪽의 상기 체결공보다 측방으로 더 연장되게 상기 측방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꺾임부에 지지되는 상기 보의 경간을 상기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한 상기 보의 경간보다 짧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6. 제1항에서, 상기 측방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뒤쪽으로 꺾여 상기 기둥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측방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꺾임부는 양측의 상기 측방연결부 하단에서 상기 기둥이 있는 뒤쪽으로 각각 꺾여서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꺾임부 사이에 상기 기둥이 삽입되어 상기 꺾임부의 안쪽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연결용 브래킷.
  8. 전후 및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기둥과 이웃하는 상기 기둥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을 상하와 좌우로 경사지게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랙으로서,
    복수의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를 상기 기둥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보 연결용 브래킷; 및
    복수의 상기 기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기둥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 기구는,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 및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 및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 및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9. 제8항에서,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와 좌우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앞쪽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과 뒤쪽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둥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슬롯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KR1020190106900A 2019-08-29 2019-08-29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KR10226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900A KR102261927B1 (ko) 2019-08-29 2019-08-29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900A KR102261927B1 (ko) 2019-08-29 2019-08-29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311A true KR20210026311A (ko) 2021-03-10
KR102261927B1 KR102261927B1 (ko) 2021-06-07

Family

ID=7514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900A KR102261927B1 (ko) 2019-08-29 2019-08-29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417U (ja) * 1993-03-03 1994-09-22 村田機械株式会社 ラック装置の物品収納棚構成部材
JP2001019132A (ja) * 1999-07-06 2001-01-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連結部材の連結構造及びラック
KR2013009211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앤투앤 조립식 선반
CN105905493A (zh) * 2016-06-17 2016-08-31 苏州华驰机械有限公司 一种双臂牛腿
KR102001642B1 (ko) * 2019-04-03 2019-07-18 (주)세기위더스 내진 랙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417U (ja) * 1993-03-03 1994-09-22 村田機械株式会社 ラック装置の物品収納棚構成部材
JP2001019132A (ja) * 1999-07-06 2001-01-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連結部材の連結構造及びラック
KR2013009211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앤투앤 조립식 선반
CN105905493A (zh) * 2016-06-17 2016-08-31 苏州华驰机械有限公司 一种双臂牛腿
KR102001642B1 (ko) * 2019-04-03 2019-07-18 (주)세기위더스 내진 랙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927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3374A1 (en) Heavy duty shelving assembly
KR101386512B1 (ko)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US6520357B1 (en) Rack with members attached by clips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US5299698A (en) Open frame rack assembly
JP4945584B2 (ja) スチールラック及びスチールラック用ビーム
KR200484969Y1 (ko) 선반 조립체
KR20210026311A (ko)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KR102112957B1 (ko) 브래킷 기구
JP4655817B2 (ja) 物品用支持棚
KR102350119B1 (ko) 브래킷 기구
US20230157469A1 (en) Hook assembly and shelving assembly using the same
JP5378739B2 (ja) 物品収納庫の組立構造
EP1872685B1 (en) Shelf-fixing system
KR200486773Y1 (ko) 조립식 진열장 조립체
JP2010042895A (ja) ラック
JP3244165B2 (ja) 物品収納棚
KR200255304Y1 (ko)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JP2019127280A (ja) パレット機能を有するラック及び保管システム
CN211186614U (zh) 用于货架的立柱、新型货架
JP2006168854A (ja) 収納部可変型ラック式自動倉庫
JP4085348B2 (ja) 自動倉庫用ラック体
JP2023103753A (ja) 支柱とビームの連結構造
JP3498827B2 (ja) 物品載置用部材の連結構造
EP2145561B1 (en) Shelving br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