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186A -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186A
KR20210026186A KR1020190106628A KR20190106628A KR20210026186A KR 20210026186 A KR20210026186 A KR 20210026186A KR 1020190106628 A KR1020190106628 A KR 1020190106628A KR 20190106628 A KR20190106628 A KR 20190106628A KR 20210026186 A KR20210026186 A KR 2021002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rb
support member
stone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켄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켄, 김상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켄
Priority to KR102019010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186A/ko
Publication of KR2021002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in situ, e.g. by sectioning a freshly-laid sl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성형틀에 의해 성형되는 기둥 형 지지부가 네 모서리에 일정한 높이로 구비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경계석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의 높이로 지지하는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로 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계석 지지수단과,
경계석이 설치되는 위치의 바닥에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조립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경계석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두 경계석의 양 단부를 맞대어 놓고 지그(jig)에 의해 상기 경계석의 접속부를 바른 자세로 고정시키는 경계석의 설치단계와; 설치된 경계석의 주위에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을 고착시키는 콘크리트의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위지지부재와 미세지지부재의 지지부재에 의해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설정된 높이로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설치된 지자판에 경계석을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A MEANS SUPPORTING OF CURB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성형틀에 의해 성형되는 기둥 형 지지부가 네 모서리에 일정한 높이로 구비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경계석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의 높이로 지지하는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로 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계석 지지수단과,
경계석이 설치되는 위치의 바닥에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조립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된 경계석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두 경계석의 양 단부를 맞대어 놓고 지그(jig)에 의해 상기 경계석의 접속부를 바른 자세로 고정시키는 경계석의 설치단계와; 설치된 경계석의 주위에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을 고착시키는 콘크리트의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단위지지부재와 미세지지부재의 지지부재에 의해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설정된 높이로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설치된 지지판에 경계석을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를 구분하는 경계선을 따라 시설되는 경계석(curb)은 경계석의 상단레벨이 보도의 표면 높이를 감안하여 설계되고 또 설계도에 맞도록 경계석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경계석을 설정된 레벨에 맞도록 유지하는 다양한 경계석의 지지기구 및 시공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등록특허공보 제10-1003011호 (2010.12.21.공고)에는 가로빔과, 수직측면고정부와, 파지부에 의해 경계석의 상면을 협지하게 된 지그에 의해 경계석의 양 단부를 각각 협지한 다음 상기 지그를 경계석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상단에 지정된 높이로 조절기구에 의해 조절하여 고정한 다음 시공하는 방법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② 등록특허공보 제10-0883385호(2009.02.11.공고)에는 파지부와 T형으로 연장됨 고정부의 단부 측에 나사관 및 볼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지주형 조절구가 3 지점, 또는 4지점으로 형성된 도로 경계석 지지구를 경계석의 양단부가 놓이는 위치의 바닥에 설치하고 조절구에 의해 높이를 조절한 다음 조절된 조절구의 2지점에 한쪽 경계석의 단부를 걸쳐 놓고 남은 1지점에는 다음의 경계석의 단부를 걸쳐 놓고 시공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③ 등록특허공보 제10-1550396호(2015.09.09.08공고)에는 경계석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연속으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속된 받침대를 측구의 공간에 수용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측구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과 일체로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경계석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타, 경계석을 시공하는 다양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인용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003011호 (2010.12.21.공고) [인용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883385호 (2009.02.11.공고) [인용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550396호 (2015.09.09.08공고)
종래 지그에 의해 경계석을 들어 올리어 거푸집에 걸치어 지지하게 된 것은 지그의 구성이 복잡하고 하중이 큰 경계석을 지정된 높이의 수평레벨로 거푸집의 공간에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조작에 많은 품이 들고 또 콘크리트 타설 중에 거푸집에 지지된 지그의 위치가 변동되기 쉬워, 경계석을 설계도 대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경계석의 하부를 지지구에 의하여 받치게 된 것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와 너트의 구성으로 되는 복수의 합성수지제의 지지봉이 지지구에 일조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구의 제작 가공비가 높고 지지봉의 상단부에 경계석을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합성수지제의 이들 지지구가 경계석의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埋立)되기 때문에 경계석을 철거한 다음 콘크리트에 매립된 다수의 폐합성수지 지지구가 환경공해를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하는 경계석의 지지부가 구비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하여 경계석을 받치는 지지판과, 상기 지재판을 설정된 높이로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에 의해 경계석을 간편하고 안정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경계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제작비가 경제적으로 보다 저렴하고 시공된 경계석을 후에 철거하였을 경우 콘크리트에 매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은 환경공해가 전혀 없으며, 친환경적으로 각종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경계석 지지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경계석의 지지수단과;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은, 시멘트 성형 틀에 의해 성형되는 기둥형태의 지지부가 네 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구비된 직사각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직사각형의 경계석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설정된 높이로 조립하는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로 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기판은 경계석의 하중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진 견고한 판체로 되어 있다.
또한 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일정한 높이로 기판과 일체로 견고하게 성형되어 있다.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경계석의 지지판은 경계석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진 견고한 판재로 되어있다.
따라서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판은 경계석을 수용할 수 있는 넓이의 판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경계석을 설치할 때 경계석이 전도(顚倒)되거나 이탈(離脫)되는 일이 없이 지지판에 경계석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설정된 높이로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지지부재는 단위지지부재와 미세지지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단위지지부재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직사각형의 시멘트재질의 블록이며, 상기 블록의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기판의 지지부의 세로와 가로의 크기에 상응하고 상기 블록의 높이는 예를 들어 3cm, 또는 5cm단위의 일정한 두께(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단위지지부재를 기판의 지지부 상단면에 설정된 높이로 적층하여 지지판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미세지지부재는 상기 단위지지부재의 블록의 측면에서 대각선으로 절단한 삼각형 단면의 쐐기형태의 블록이다.
즉, 미세지지부재의 한쪽변의 높이는 상기 단위조정지지부재의 높이와 같고 그 하변 길이와 폭은 상기 단위지지부재의 블록과 같다.
따라서 블록의 빗면에 대한 수직높이는 저변 위치에 따라 증감되기 때문에 단위지지부재로 보정할 수 없는 미세(微細)한 높이, 또는 간극 등을 미세지지부재에 의해 보정하여 지지판을 보다 정확한 높이로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이용한 경계석의 시공방법은, 경계석이 설치되는 정지(整地)된 바닥의 지정 위치에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을 설정된 높이로 조립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와; 상기 조립 설치된 경계석 지지수단의 상단 지지판에 두 경계석의 양 단부를 맞대어 설치하고 상기 경계석의 접속부분을 지그(jig)에 의해 바른 자세로 고정하는 경계석의 설치단계와; 경계석을 설치하고 경계석의 주위에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을 견고하게 고착시키는 콘크리트의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는; 경계석의 시공 작업현장에서 조립한다.
시공할 경계석의 양단부가 접속되게 놓이는 정확한 위치의 정지(整地)된 바닥에 먼저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기판을 수평으로 놓은 다음 기판에 구비된 지지부에 상기 지지판을 바르게 올려놓는다,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판을 올려놓은 기본 높이가 시공하는 경계석의 하단 레벨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반관계로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기본 높이 보다 높게 경계석이 시공됨으로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경계석의 하단 레벨에 맞는 높이로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부재를 적층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에는 2가지 방법이 적용된다.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첫째 조립방법은 지반의 바른 위치에 놓인 기판의 지지부의 상부 측에 상기 지지판을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의 높이로 들어 올리고 상기 기판의 지지부와 들어 올린 상기 지지판 사이의 간극에 지지부재를 적층하여 간극을 메우는 조립방법이다.
또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둘째 조립방법은 지반의 바른 위치에 놓인 기판의 지지부의 상단에 먼저 지지부재를 설정된 높이로 적층한 다음 적층된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판을 올려놓는 조립방법이다.
상기한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첫째 조립방법은 기판의 상부 측으로 인상수단(에어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을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들어 올리고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기판의 각 지지부와 들어 올린 상기 지지판 사이의 간극(높이)을 측정하여 소요되는 개수의 지지부재의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를 상기 간극에 삽입, 적층하여 지지판을 지지되게 조립한다.
이때 지지판의 인상수단은 각종 형태의 잭(jack)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에어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은 가볍고 수축상태에서는 납작한 튜브로 되기 때문에 기판의 지지부 사이를 통하여 기판의 내외로 출입이 용하고 팽창조절이 간편하여 보다 신속하게 경계석 지지수단의 지지판을 목적하는 높이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의 적층 시에 접합제에 의해 접합되게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만 조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이 경계석의 설치작업 중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경계석 지지수단이 조립된 후에 에어백을 수축시키어 경계석 지지수단의 외부로 철거한다.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둘째 조립방법에서는 지지판을 들어 올리지 않으므로 상기 기판의 지지부의 상단부에 지지부재의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를 설정된 높이로 적층한 다음 적층된 지지부재의 상단에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여 조립한다,
조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은 경계석에 대하여 마치, 교량의 교각(橋脚)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상기 경계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한 조립 설치된 각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지지판이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과 일치되는 높이와 경계석의 단부와 일치되는 위치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에 의해 경계석을 상기 두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지지판 위에 바르게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이것 역시 교각에 교량을 놓는 것과 유사하다.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경계석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올려놓고 서로 접속된 두 경계석의 접속부를 지그에 의해 바른 자세(姿勢)로 고정시킨다.
또 두 경계석의 접속부분이 지그(Jig)에 의해 바른 제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경계석의 변위(變位)나 제세의 변화가 없고 양호하게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단계는;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주위에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에 이해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은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경계석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경계석은 부분적으로 콘크리트에 고착된다.
상기 경계석의 타설단계는 상기 경계석의 시공방법에 속하는 하나의 공정단계이나, 콘크리트 타설공정만은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 경계석의 지지판은 경계석을 지지할 수 있는 상응한 넓을 가진 판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석을 지지판 위에 지지할 때 종래의 지지봉에 지지하는 것과 달리 경계석이 지지판의 외부로 전도 및 탈락될 우려가 전혀 없고 경계석을 직선이나 곡선으로 시공이 용이하며, 보다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경계석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이루는 기판의 지지부와, 지지부재인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와, 경계석이 설치되는 지지판에 의하여 시공되는 경계석의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설치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경계석을 간편하고 보다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각 부품의 제작비가 경제적으로 보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로 되어 있어, 시공된 경계석을 후에 철거하여도 콘크리트에 매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은 환경공해가 전혀 없으며, 친환경적으로 각종 경계석의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경계석 지지수단의 분리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경계석 지지수단의 조립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경계석 지지수단의 시공방법의 실시 예시도로서
(가)는 본 발명의 경계석 지지수단의 초기상태의 예시도
(나)는 본 발명의 지지판을 지정레벨의 높이로 올린상태의 예시도
(다)는 본 발명의 기판의 지지부와 지지판 사이의 간극에 지지부재가 적층된 예시도
(라) 본 발명의 경계석 지지수단의 조립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경계석을 설치하는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두 경계석을 접속하여 설치하는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시공된 경계석의 예시도
본 발명의 최상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경계석 지지수단.
도1 및 도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P)은; 시멘트 성형 틀에 의해 성형되는 직사각형의 판체로 된 일정한 두께를 가진 기판(10)의 네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직사각형의 기둥 형태의 지지부(11)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10)과 같은 평면 크기를 가진 판상의 지지판(20)이 상기 기판(10)의 지지부(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경계석(S)을 받치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0)을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지지하기 위하여 기판(10)의 지지부(11)에 적층되는 지지지부재(30)인 단위지지부재(31)와 미세지지부재(32)가 일조로 포함되어 일조로 구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단위지지부재(31)는 예를 들어, 3cm , 또는 5cm의 일정한 단위의 두께(높이)(h)를 가진 직사각형의 블록(B)으로 되어 있고 상기 블록(B)의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상기 지지부(11)의 가로와 세로의 크기에 상응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0)의 단위조정지지부재(31)를 상기 지지부(11)의 상단에 지치하면 지지부(11)가 지지부재(30)에 의해 위쪽으로 연장된 기둥이 된다,
또 지지부재(30)의 미세지지부재(32)는 상기 단위지지부재(30)의 직사각형 블록(B)의 측면에서 대각선으로 절단한 삼각형 단면의 쐐기형태의 블록(B')로 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B')의 빗면(s)에 의해 미세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의 지지부(11)에 상기 지지부재(30)인 단위지지부재(31) 및 미세지지부재(32)의 적층에 의해 지정된 레벨의 정밀한 높이로 상기 지지판(2)을 조립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경계석의 시공방법.
상기한 경계석의 지지수단(P)을 이용한 경계석의 시공방법은 도3 내지 6도에 도시되어 있다. ,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는;
도3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할 경계석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위치의 정지된 수평레벨(L0)의 지반(E)에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P)의 상기 기판(10)을 전후, 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수평으로 유지되게 바르게 놓는다. 즉, 상기 기판(10)의 지지부(11)에 재치되는 상기 지지판(20)을 수평계로 검측(檢測)하면서 상기 기판(10)을 바르게 놓는다.
상기 기판(10)이 바른 자세(姿勢)로 지반에 설치되어야만 상기 지지판(20)에 경계석(S)을 바르게 지지할 수 있다.
도3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의 상부측에, 인상수단(40)인 에어백(ab)을 이용하여 밸브(v)조절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에어탱크로부터 공기의 주입으로 팽창시키어 설계도면상의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L1)의 높이로 상기 지지판(20)을 들어 올리어 그대로 유지시킨다.
도3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의 각 지지부(11)와,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생기는 간극(c)에 지지부재(30)인 단위지지부재(31) 및 미세지지부재(32)를 적절하게 삽입 적층하여 간극(c)을 채운다, 각 지지부재(30)는 접합제에 이해 서로 접합되게 한다,
도3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P)의 조립이 종료되면 에어백(ab)을 수축상태로 철거한다.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부재를 먼저 적층한 다음 지지판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이미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경계석의 지지수단(P)의 조립단계에 의해 경계석(S)을 시공할 지정 위치마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경계석의 지지수단(P);(p1)(p2)(pn)을 조립, 설치한다.
각 경계석의 지지수단지(P);(p1)(p2)(pn)은 지반에 따라 조립된 높이가 각각 다르나 조립된 경계석(s1)(s2)(sn)의 지지판(20)의 높이는 시공할 경계석의 하단 레벨(L1)과 일치되게 조립되어 있다. (도6 참조)
경계석 지지수단의 조립설치가 완료되면 조립된 경계석의 지지수단(P)의 주위에 도시되지 않은 거푸집을 가설한다.
경계석의 설치수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된 각 경계석의 지지수단(P)의 상단부에 조립된 지지판(20)의 중앙부에 하나의 경계석(S)(s1)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크레인을 이용하여 걸쳐 놓는다.
지지판(20)의 중앙부에 놓인 경계석(s1)의 단부의 좌우 양 측면에 지그(5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51)와 조임부(52)에 의하여 상기 지그(50)를 견고하게 협지하고 상기 지그(50)의 상부 조절판(53)에 구비된 복수의 조절나사(54)를 상기 경계석(s1)의 상면에 고정시키어 설치된 경계석(s1)의 자세를 세로의 수평이 되도록 바르게 고정시킨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계석(S)(s1)이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지지수단(P)의 지지판(20)에 상기 경계석(s1)의 단부와 접속되게 또 하나의 경계석(s2)을 설치한다.
그리고 경계석(s2)의 접속단부의 상면에 경계석(s1)에 이미 고정된 상기 지그(50)의 다른 쪽 조절판(53)의 조절나사(54)를 조여서 두 경계석(s1)(s2)의 단부가 일치된 바른 자세(姿勢)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서로 접속된 두 경계석(s1)(s2)은 지그(50)에 의해 일치된 자세로 취하게 된다.
경계석의 콘크리트 타설단계는;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복수의 경계석 지지수단(P);(p1)p2)(pn)에 복수의 경계석(S);(s1)(s2)(sn))의 양단부가 교각에 교량이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각 경계석의 지지수단(P)의 공간 사이로 시멘트 모르타르가 유입되어 공간이 채워지면서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P)은 콘크리트 층(C)에 매립되어 일체로 경화되고 경계석(S)의 하부는 콘크리트층(C)에 의해 일체로 고착(固着)된다.
따라서 경계석(S)의 상단 레벨(L2)이 보도를 따라 설계도에 맞도록 시공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체하여 본 발명의 경계석의 시공방법을 완료한다.
10 : 기판 11 : 지지부 20 : 지지판
30 ; 지지부재 31 : 단위지지부재 32 : 미세지지부재
40 : 인상수단 50 : 지그 51 : 고정부
52 : 조입부 53 : 조절판 54 : 조절나사
C : 콘크리트 층 P,p1,p2,pn ; 경계석 지지수단
S,s1,s2,sn : 경계석

Claims (7)

  1. 기둥 형 지지부가 네 모서리에 일정한 높이로 구비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지지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경계석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는 단위지지부재 및 미세지지부재로 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
  2. 정지된 바닥의 지정된 위치에 경계석 지지수단을 설정된 높이로 조립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의 조립단계와; 조립된 상기 경계석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두 경계석의 양 단부를 맞대어 설치하고 경계석의 접속부를 지그(jig)에 의해 바른 자세로 고정하는 경계석의 설치단계와; 상기 경계석이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경계석을 콘크리트로 고착시키는 경계석의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인 단위지지부재는 단위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블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인 미세지지부재는 단위지지부재 블록의 측면에서 대각선으로 절단한 삼각형 단면의 쐐기형태의 블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지지수단.
  5. 제2항에 있어서,
    기판의 지지부에 지지부재인 단위지지부재와 미세지지부재를 설정된 높이로 적층하고 적층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판을 지지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경계석의 지지판을 인상수단에 의해 설정된 레벨의 높이로 지지하고 상기 기판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의 간극에 지지부재인 단위지지부재 또는 미세지지부재를 삽입, 적층하여 지지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경계석 지지수단의 지지판에 설치된 두 경계석의 접속부분을 지그에 의해 일치된 바른 자세로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20190106628A 2019-08-29 2019-08-29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10026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28A KR20210026186A (ko) 2019-08-29 2019-08-29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28A KR20210026186A (ko) 2019-08-29 2019-08-29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86A true KR20210026186A (ko) 2021-03-10

Family

ID=7514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28A KR20210026186A (ko) 2019-08-29 2019-08-29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18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5B1 (ko) 2008-10-24 2009-02-11 세중공영(주)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1003011B1 (ko)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550396B1 (ko) 2014-06-05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5B1 (ko) 2008-10-24 2009-02-11 세중공영(주)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1003011B1 (ko)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550396B1 (ko) 2014-06-05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71B1 (ko) 프리캐스트 교각의 조정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방법
US20220228381A1 (en) Combined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stair mold and splicing method
KR101631894B1 (ko) 도로경계석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0654170B1 (ko) 도로경계석 시공장치
CN104878924A (zh) 楼梯踏步混凝土浇筑成型模板及楼梯现浇施工方法
US7770866B2 (en) Device for the alignment of modular forms in concrete walls
JP356987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連結用治具
KR101312759B1 (ko) 강가로보를 이용한 피에스씨 곡선형 거더의 전도방지 시공 방법
KR101670576B1 (ko) 소규모 조립식 창고의 바닥 기초 베이스의 시공 방법
KR20210026186A (ko) 경계석의 지지수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95092B1 (ko) 줄눈밴드 일체형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KR101962789B1 (ko)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160073795A (ko) 수직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550396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CN113195836B (zh) 使用由振动或敲击而嵌入的板材来制造立柱的基础的方法和套件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101814755B1 (ko) 경계석용 개량형 거치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N210315967U (zh) 预制件安装结构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系统
KR102338401B1 (ko) 경계석 구조체 및 시공방법
JP3759793B2 (ja) ポーチ又はテラスの構造
KR102442705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