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142A -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142A
KR20210026142A KR1020190106524A KR20190106524A KR20210026142A KR 20210026142 A KR20210026142 A KR 20210026142A KR 1020190106524 A KR1020190106524 A KR 1020190106524A KR 20190106524 A KR20190106524 A KR 20190106524A KR 20210026142 A KR20210026142 A KR 20210026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clip
fixing unit
coupl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천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142A/ko
Publication of KR2021002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은, 촉매 컨버터의 하우징 외부에 센서 류를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촉매 컨버터 외부의 파이프부재에 고정되는 파이프 결합부와, 파이프 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클립 결합부를 가진 고정 브라켓과, ⅱ)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그립부를 가진 고정 클립과, ⅲ)클립 결합부에 구비되며, 클램핑부와의 걸림으로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와, ⅳ)클램핑부에 구비되며, 클립 결합부와의 걸림으로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FIXING UNIT FOR WIRING HARNES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 컨버터 하우징의 외부에 센서 류를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서의 연비 및 성능을 개선 위하여, 연료를 흡기 관 내부에 분사하지 않고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가솔린 직접분사(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엔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GDI 엔진은 연소실 내 불완전 연소구간의 증가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s, PM)이 발생되어 최근 가솔린 엔진에서도 가스상의 배기가스뿐만 아니라 입자상 물질의 배출문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기존의 디젤엔진 기준 입자상 물질의 중량 규제로는 가솔린 엔진 입자상 물질의 총 무게가 문제될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 새롭게 규제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의 총 발생 수량에 대한 규제에서는 GDI 엔진이 자유로울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가솔린 입자상 물질 필터인 가솔린 매연저감필터(Gasoline Particulate Filter, GPF)를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의 장착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 이다.
여기서, 촉매 컨버터에는 GPF에 대한 배기가스 유입/유출(입구/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GPF를 통과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센서 또는 람다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 류들을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센서 류들은 센서 와이어들을 통해 제어기에 접속되는데, 여러 가닥의 센서 와이어들을 튜브로서 피복한 와이어링 하네스를 통하여 제어기에 접속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브라켓과 고정 클립을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촉매 컨버터의 외부 파이프(예를 들면, 차압 파이프)에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은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며, 고정 클립은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한 상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브라켓에 끼움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차체를 통한 진동 등의 외력이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 클립에 전달됨에 따라, 그 고정 클립이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비교적 고온의 배기온에 의해 와이어링 하네스의 열해 손상을 유발하며, 그 열해 손상으로 인한 센서 신호 전달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고정 브라켓과 고정 클립의 끼움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외력에 의해 고정 클립이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은, 촉매 컨버터의 하우징 외부에 센서 류를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촉매 컨버터 외부의 파이프부재에 고정되는 파이프 결합부와, 상기 파이프 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클립 결합부를 가진 고정 브라켓과, ⅱ)상기 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그립부를 가진 고정 클립과, ⅲ)상기 클립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램핑부와의 걸림으로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와, ⅳ)상기 클램핑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립 결합부와의 걸림으로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클립 결합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핑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클램핑부의 클램핑 단에 형성되는 스토핑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립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변형 절곡 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클립 결합부를 클램핑 하는 상부 클립 본체 및 하부 클립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변형 절곡 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립 결합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변형 절곡 단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스토핑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클립 본체에서 설정된 폭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 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절곡 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양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스토핑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클립 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 절곡 단으로 이어지는 노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리브는 상기 노치 홈에 의해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결합부와 상기 클립 결합부를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 및 상기 클립 결합부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양측에 상기 제2 스토퍼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는 상기 파이프부재로서의 차압 파이프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립 본체는 한 쌍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변형 절곡 단을 통해 판 형상의 상기 상부 클립 본체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한 쌍으로서 상기 하부 클립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며, 하향 절곡된 손잡이 단을 통해 라운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하부 클립 본체 사이에서 상기 변형 절곡 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그립부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립부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클립이 외력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고정 브라켓의 제1 스토퍼 및 고정 클립의 제2 스토퍼를 통하여 저지할 수 있으므로, 배기온에 의한 와이어링 하네스의 열해 손상 및 그 열해 손상으로 인한 센서 신호 전달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적용되는 고정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은 가솔린 직접분사(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엔진을 채용한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은 GDI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가솔린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가솔린 매연저감필터(Gasoline Particulate Filter, GPF)를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촉매 컨버터(1)는 하우징(3)의 내부에 가솔린 매연저감필터와,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후처리 컴포넌트들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컨버터(1)는 GPF 및 후처리 컴포넌트들에 대한 배기가스 유입/유출(입구/출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센서 또는 람다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 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들을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류들은 센서 와이어들을 통해 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바, 여러 가닥의 센서 와이어들을 튜브로서 피복한 와이어링 하네스(5)를 통하여 제어기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은 와이어링 하네스(5)를 촉매 컨버터(1)의 하우징(3)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립을 통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를 하우징(3) 외부의 파이프부재(7)(예를 들면, 차압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GDI 엔진의 촉매 컨버터에서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디젤 엔진 등 다양한 종류의 엔진에 채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촉매 컨버터에서 센서 류와 연결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을 상하 방향으로 세워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후술될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파이프부재(7) 및 와이어링 하네스(5)의 기준 위치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발명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링 하네스(5)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클립을 브라켓에 결합하는 방향을 "결합 방향(클립을 브라켓에 끼워 결합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은 파이프부재(7)의 설정된 위치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은 기본적으로, 고정 브라켓(10), 고정 클립(30), 제1 스토퍼(50), 그리고 제2 스토퍼(7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와이어링 하네스(5)를 파이프부재(7)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틸 소재로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0)은 파이프 결합부(11)와 클립 결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는 차압 파이프로서의 파이프부재(7)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는 라운드 형태의 지지 단(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결합부(11)는 지지 단(15)을 통해 파이프부재(7)를 지지하면서 그 파이프부재(7)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결합부(13)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고정 클립(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파이프 결합부(11)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클립 결합부(13)는 연결부(17)를 통해 파이프 결합부(11)와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7)는 파이프 결합부(11)와 클립 결합부(13)를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7)는 파이프 결합부(11) 및 클립 결합부(13)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에 적용되는 고정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와이어링 하네스(5)를 지지하면서 그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 브라켓(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 클립(30)은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스틸 소재로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클립(30)은 고정 브라켓(10)의 클립 결합부(13)에 결합되는 클램핑부(31)와, 그 클램핑부(31)에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그립부(33)(이하에서는 편의 상 "그립부"라고 한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클램핑부(3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결합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에 결합된다. 상기 클램핑부(31)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클립 결합부(13)를 클램핑 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31)는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는 결합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에 결합되면서 그 클립 결합부(13)를 사이에 두고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는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는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탄성적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벌어졌다 오므려지며 클립 결합부(13)를 클램핑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의 일단은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클립 결합부(13)의 일단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의 타단은 클립 결합부(13)의 타단을 실질적으로 클램핑 하는 클램핑 단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클립 본체(37)는 판 형태로 구비되는 바, 클램핑부(31)는 그 상부 클립 본체(37)의 타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 단(4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절곡 단(41)은 클립 결합부(13)가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 사이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부 클립 본체(37)와 동일한 폭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31)는 상부 클립 본체(37)의 타단 양측에서 가이드 절곡 단(41)으로 이어지는 노치 홈(4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노치 홈(43)은 상부 클립 본체(37)의 타단 양측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사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 절곡 단(41)의 양측으로 이어지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클립 본체(39)는 한 쌍으로서 설정된 폭으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변형 절곡 단(35)을 통하여 판 형상의 상부 클립 본체(37)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그립부(33)는 와이어링 하네스(5)를 실질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으로서 하부 클립 본체(39)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그립부(33)는 하향 절곡된 손잡이 단(45)을 통해 라운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그리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클립(30)은 그립부(33)에 고정된 와이어링 하네스(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47)는 한 쌍의 하부 클립 본체(39) 사이에서 변형 절곡 단(35)에 일체로 연결되는 바, 한 쌍의 그립부(33)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스토퍼(50)는 고정 클립(30)의 클램핑부(31)가 고정 브라켓(10)의 클립 결합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스토퍼(50)는 클립 결합부(13)에 구비되며, 클램핑부(31)와의 걸림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토퍼(50)는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핑 돌기(51)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핑 돌기(51)는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그 클램핑부(31)의 변형 절곡 단(35)을 사이에 두고, 클립 결합부(13)의 일단 양측에 결합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핑 돌기(51)는 변형 절곡 단(35)의 양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바, 클램핑부(31)가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스토퍼(70)는 고정 클립(30)의 클램핑부(31)가 고정 브라켓(10)의 클립 결합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스토퍼(70)는 클램핑부(31)에 구비되며, 클립 결합부(13)와의 걸림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토퍼(70)는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그 클램핑부의 클램핑 단에 형성되는 스토핑 리브(71)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핑 리브(71)는 클램핑부(31)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 절곡 단(41)의 양측에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토핑 리브(7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노치 홈(43)에 의해 클립 결합부(13)의 타단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핑 리브(71)는 클립 결합부(13)의 타단 양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고정 브라켓(10)의 연결부(17)에 의해서 클립 결합부(13)의 타단 양측에 형성된 걸림 단(19)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클램핑부(31)가 결합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촉매 컨버터(1)의 하우징(3) 외부에서 차압 파이프로서의 파이프부재(7)에 고정 브라켓(10)이 결합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파이프 결합부(11)를 통하여 파이프부재(7)에 용접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 클립(30)의 그립부(33)에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하는데, 손잡이 단(45)을 통해 한 쌍의 그립부(33)를 탄성 변형시키며 그립부(33)의 내측에 와이어링 하네스(5)를 위치시키고, 그 그립부(33)를 복원시키며 탄성력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 클립(30)의 클램핑부(31)에서 하부 클립 본체(39)에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한 한 쌍의 그립부(33)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지지부(47)를 통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절곡 단(41)을 통하여 클램핑부(31)를 결합 방향을 따라 고정 브라켓(10)의 클립 결합부(13)에 결합한다. 이 과정에, 상기 클램핑부(31)의 상부 클립 본체(37) 및 하부 클립 본체(39)는 변형 절곡 단(35)을 통해 탄성적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벌어졌다 오므려지면서 클립 결합부(13)를 탄성적으로 클램핑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 클립(30)의 그립부(33)에 고정한 상태로, 클램핑부(31)를 고정 브라켓(10)의 클립 결합부(13)에 결합함으로써, 그 와이어링 하네스(5)를 촉매 컨버터(1)의 하우징(3) 외부에서 파이프부재(7)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클램핑부(31)의 변형 절곡 단(35)은 클립 결합부(13)의 일단 측에서 제1 스토퍼(50)의 스토핑 돌기(5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 결합부(13)의 타단 측에서 제2 스토퍼(70)의 스토핑 리브(71)는 클립 결합부(13)의 걸림 단(19)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촉매 컨버터(1)의 하우징(3)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토핑 돌기(51)가 변형 절곡 단(35)의 양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클램핑부(31)가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촉매 컨버터(1)의 하우징(3)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토핑 리브(71)가 클립 결합부(13)의 걸림 단(19)과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클램핑부(31)가 결합 방향을 따라 클립 결합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100)에 의하면, 와이어링 하네스(5)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클립(30)이 외력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1 및 제2 스토퍼(50, 70)를 통하여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파이프부재(7)로부터 이탈된 와이어링 하네스(5)가 배기온에 의해 열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열해 손상으로 인한 센서 신호 전달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촉매 컨버터 3: 하우징
5: 와이어링 하네스 7: 파이프부재
10: 고정 브라켓 11: 파이프 결합부
13: 클립 결합부 15: 지지 단
17: 연결부 19: 걸림 단
30: 고정 클립 31: 클램핑부
33: 그립부 35: 변형 절곡 단
37: 상부 클립 본체 39: 하부 클립 본체
41: 가이드 절곡 단 43: 노치 홈
45: 손잡이 단 47: 지지부
50: 제1 스토퍼 51: 스토핑 돌기
70: 제2 스토퍼 71: 스토핑 리브
100: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Claims (15)

  1. 촉매 컨버터의 하우징 외부에 센서 류를 연결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으로서,
    상기 촉매 컨버터 외부의 파이프부재에 고정되는 파이프 결합부와, 상기 파이프 결합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클립 결합부를 가진 고정 브라켓;
    상기 클립 결합부에 결합되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그립부를 가진 고정 클립;
    상기 클립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램핑부와의 걸림으로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클램핑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립 결합부와의 걸림으로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을 따른 이탈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클립 결합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핑 돌기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클램핑부의 클램핑 단에 형성되는 스토핑 리브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립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변형 절곡 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클립 결합부를 클램핑 하는 상부 클립 본체 및 하부 클립 본체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변형 절곡 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립 결합부의 일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변형 절곡 단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스토핑 돌기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클립 본체에서 설정된 폭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가이드 절곡 단
    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클램핑부의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절곡 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양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스토핑 리브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클립 본체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 절곡 단으로 이어지는 노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스토핑 리브는 상기 노치 홈에 의해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하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결합부와 상기 클립 결합부를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 및 상기 클립 결합부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클립 결합부의 타단 양측에 상기 제2 스토퍼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단을 형성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는,
    상기 파이프부재로서의 차압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립 본체는,
    한 쌍으로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변형 절곡 단을 통해 판 형상의 상기 상부 클립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한 쌍으로서 상기 하부 클립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며, 하향 절곡된 손잡이 단을 통해 라운드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하부 클립 본체 사이에서 상기 변형 절곡 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그립부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립부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KR1020190106524A 2019-08-29 2019-08-29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KR20210026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24A KR20210026142A (ko) 2019-08-29 2019-08-29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24A KR20210026142A (ko) 2019-08-29 2019-08-29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42A true KR20210026142A (ko) 2021-03-10

Family

ID=7514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24A KR20210026142A (ko) 2019-08-29 2019-08-29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81B1 (ko) * 2022-10-06 2023-08-18 박수진 2d 또는 3d 조명 시스템을 위한 엘이디 모듈의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81B1 (ko) * 2022-10-06 2023-08-18 박수진 2d 또는 3d 조명 시스템을 위한 엘이디 모듈의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4964A1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air-fuel ratio sensor in a motorcycle, and exhaust subassembly including same
US8747761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US5501195A (en) Retainer arrangement for a bottom feed fuel injector
WO2014030968A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US10626781B2 (en) Exhaust device of engine
KR2012005251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KR20210026142A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유닛
US10550750B2 (en) Exhaust device of engine
US7356986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DE50212097D1 (de) Abgasanlage für mehrzylindrige Verbrennungsmotoren
US6959543B2 (en) Exhaust gas manifold of an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1174398U (zh) 一种卡带式egr冷却器支架
CN1759238A (zh) 燃料喷射装置的输送管
KR101220317B1 (ko) 온도센서
KR102633958B1 (ko) 자동차의 배기계용 클램핑 장치
KR102228814B1 (ko) 연료 딜리버리파이프 맥동 감쇄용 댐퍼기구
JP2002266724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配管構造
CN220849822U (zh) 一种后处理器卡箍
CN215334945U (zh) 一种一体式排气伸缩软管总成
JP2927162B2 (ja) 直列4気筒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ATE228205T1 (de) Gasleitungssystem, insbesondere abgasleitungssystem für eine fahrzeug- brennkraftmaschine
KR101178090B1 (ko) 매연저감장치의 진동 차단형 고정장치
KR20220087079A (ko) 일체형 커넥터 유닛
KR100398156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100029900A (ko) 웜 업 촉매컨버터와 터보차저 연결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