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31A -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31A
KR20210025831A KR1020190105663A KR20190105663A KR20210025831A KR 20210025831 A KR20210025831 A KR 20210025831A KR 1020190105663 A KR1020190105663 A KR 1020190105663A KR 20190105663 A KR20190105663 A KR 20190105663A KR 20210025831 A KR20210025831 A KR 2021002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voltage
desaturation
terminal
pro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973B1 (ko
Inventor
김종현
김기현
서길수
이경호
심민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0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973B1/ko
Priority to PCT/KR2019/018072 priority patent/WO2021040153A1/ko
Publication of KR2021002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composite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8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composite switches

Landscapes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전압(VDS)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가 포화(saturation) 상태를 벗어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해당 스위치를 강제로 턴 오프(turn off)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탈포화 검출부; 및 상기 탈포화 상태가 검출됨과 동시에, 상기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압 감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SHORT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WITCH}
본 발명은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스위치의 동작을 안전하게 턴 오프(turn off)시킬 수 있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소자는 전력의 변환이나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정류 다이오드, 전력 트랜지스터, 트라이액(triac) 등이 산업, 정보, 통신, 교통, 전력, 가정 등 각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력소자로는 대표적으로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전력 집적회로(IC)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고, 구동회로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MOSFET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MOSFET 소자로는 대표적으로 실리콘(Si) 기반의 MOSFET과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의 MOSFET, 질화 갈륨(GaN) 기반의 MOSFET 등이 있다. 이 중 SiC MOSFET과 GaN MOSFET은 실리콘 기반의 전력 반도체 소자에 비해 넓은 에너지 밴드 폭과, 높은 항복전압특성, 빠른 포화전자속도 및 우수한 열전도도 등으로 고온/고전압에서의 소자 안정성이 우수하고 높은 동작주파수에서의 동작이 가능하여 기존의 전기/전자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전력변환효율을 높이며 해당 시스템을 소형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SiC MOSFET 및 GaN MOSFET은 차세대 전력 반도체 소자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력 반도체 소자는 스위칭하는 동안 또는 켜져 있는 동안 비정상 동작으로 인해 단락(short)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에서 단락 현상(즉, 탈포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소정의 단락 전류가 해당 소자에 흐르게 되는데 이것은 통상 정격 전류의 수십 내지 수백 배에 해당하는 큰 전류이기 때문에 전력 반도체 소자가 파손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단락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단락 시점부터 전력 반도체 소자가 파괴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전력 반도체 소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다. 가령, IGBT의 최대 감내 시간은 약 10uS 정도이지만, SiC MOSFET의 최대 감내 시간은 IGBT보다 더 짧은 약 4uS 정도이고, GaN MOSFET의 최대 감내 시간은 SiC MOSFET보다 더 짧은 약 400nS 정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SiC MOSFET 및 GaN MOSFET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응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력 반도체 소자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SiC MOSFET 및 GaN MOSFET에서 비정상 동작으로 인한 단락 현상 발생 시, 해당 전력 반도체 소자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키기 위한 단락보호회로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FET 스위치의 단락보호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락보호회로(10)는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로 구성된 탈포화(desaturation) 회로를 이용하여 전력 스위치(20)의 드레인 전류량(ID)을 간접적으로 센싱한다. 전력 스위치(20)가 단락되어 포화(saturation)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단락보호회로(10)의 다이오드가 오프(off) 상태가 되고, 커패시터(C1)가 충전되어 비교기의 입력 전압(Vin)이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의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 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 레벨(low level)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SR 래치의 출력 역시 로우 레벨 상태가 된다. 이러한 로우 레벨 상태의 SR 래치 출력이 NAND 게이트로 입력되면, NAND 게이트는 PWM 신호에 상관없이 하이 레벨(high level) 신호를 게이트 구동회로(3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회로(30)는 전력 스위치(20)의 동작을 강제로 턴 오프(turn off)시킴으로써 해당 스위치(20)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단락보호회로(10)는, 전력 스위치(20)의 단락 현상 발생 시, 비교기, 필터 및 로직 IC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각종 전자부품에서 소정의 지연 시간(delay time)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스위치(20)의 단락 시점부터 턴 오프(turn off) 시점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SiC MOSFET 및 GaN MOSFET 등과 같이 최대 감내 시간이 매우 짧은 전력 스위치에서 단락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스위치를 좀 더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게이트 구동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빠르게 제한할 수 있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전압 조정 회로를 이용한 게이트 구동전압 제어를 통해 전력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전압(VDS)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가 포화(saturation) 상태를 벗어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해당 스위치를 강제로 턴 오프(turn off)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탈포화 검출부; 및 상기 탈포화 상태가 검출됨과 동시에, 상기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압 감소부를 포함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를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감소부는, 탈포화 검출부와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탈포화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를 입력 신호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감소부는 선형 병렬 전압 조정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 단에 연결되는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기준 전압은 탈포화 검출부에 포함된 비교기의 기준 전압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감소부는, 제너 다이오드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 감소부는, NPN 타입의 BJT 소자 또는 N 채널형 MOSFET 소자를 사용하여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게이트 구동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빠르게 제한함으로써, 해당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전압 조정 회로(또는 전류 제한 회로)를 이용하여 해당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 시킴으로써, VDS 스파이크 전압을 통해 전력 스위치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OSFET 스위치의 단락보호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락보호회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단락 실험 구성과 전력 스위치의 전압/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단락 실험 구성과 전력 스위치의 전압/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게이트 구동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빠르게 제한할 수 있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전압 조정 회로를 이용한 게이트 구동전압 제어를 통해 전력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를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100)은 전력 스위치(110)와 상기 전력 스위치(1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스위치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스위치 제어장치는, PWM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회로(130) 및 단락보호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력 스위치 시스템(1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전력 스위치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전력 스위치(110)는 일종의 반도체 전력소자로서, 게이트(G), 드레인(D), 소스(S)로 이루어진 전력용 MOSFET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용 MOSFET(110)은 고속성과 고전압 및 대 전류 구동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전력용 MOSFET(110)에는 드레인(D)-소스(S) 간을 N형 반도체로 만드는 N 채널형 MOSFET과 드레인(D)-소스(S) 간을 P형 반도체로 만드는 P 채널형 MOSFET의 2 종류가 있다. 또한, 전력용 MOSFET(110)에는 실리콘(Si) 기반의 MOSFET,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의 MOSFET 및 질화 갈륨(GaN) 기반의 MOSFET 등이 있다.
전력 스위치(110)로 N형 트랜지스터(NMOS)를 이용한 경우에는 하이 레벨(high level)을 갖는 게이트 구동전압(VGS)에 의해 턴 온(turn on)되고, 로우 레벨(low level)을 갖는 게이트 구동전압(VGS)에 의해 턴 오프(turn off)된다. 반대로, 전력 스위치(110)로 P형 트랜지스터(PMOS)를 이용한 경우에는 로우 레벨(low level)을 갖는 게이트 구동전압(VGS)에 의해 턴 온(turn on)되고, 하이 레벨(high level)을 갖는 게이트 구동전압(VGS)에 의해 턴 오프(turn off)된다.
PWM 제어부(120)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치(1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제어신호(VPWM)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PWM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제어신호는 펄스 폭에 따라 전력 스위치(110)의 턴 온 시간을 조절하여 전류량을 조절하는 신호이다.
PWM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제어신호의 로직 레벨은 일반적으로 컨트롤러의 출력 레벨과 같다. 이에 따라, PWM 제어부(120)는 컨트롤러의 출력 레벨과 같은 저 전압(가령, 3V 내지 5V)의 펄스폭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혹은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전압과 같은 고 전압(가령, 20V 이상)의 펄스폭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PWM 제어부(120)에서 저 전압 신호(가령, 3V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저 전압 신호를 전력 스위치(110)의 구동을 위한 고 전압 신호(가령, 20V 이상)로 승압하기 위한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전력 스위치(110)의 스위칭 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VGS) 및 구동전류(IG)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PWM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된 펄스폭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 구동전압(VGS)을 증가시키고, PWM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된 펄스폭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 구동전압(VGS)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데드 타임 생성부(미도시), 제1 구동회로(미도시) 및 제2 구동회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 타임 생성부는 게이트 구동회로(130)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데드 타임 생성부는 전력 스위치(110)를 턴 온하기 위한 하이 레벨 신호와 전력 스위치(110)를 턴 오프하기 위한 로우 레벨 신호가 동시에 온(on)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드 타임(dead time)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 타임은 200ns 내지 300ns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구동회로는, PWM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제어신호(VPWM)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치(110)의 턴 온 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전류(이하, 설명의 편의상, '소스 전류(source current)'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구동회로는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프리 드라이버(pre-driver) 및 P형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회로는, PWM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제어신호(VPWM)에 기초하여, 전력 스위치(110)의 턴 오프 동작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전류(이하, 설명의 편의상, '싱크 전류(sink current)'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구동회로는 레벨 시프터, 프리 드라이버 및 N형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구동회로에 각각 설치된 레벨 시프터 및 프리 드라이버는,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사용 목적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락보호회로(140)는, 전력 스위치(110)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탈포화 상태 검출 시, 상기 전력 스위치(110)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를 빠르게 제한하여 해당 스위치(110)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락보호회로(140)는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 단과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입력 단 사이에 배치되는 탈포화 검출부(141)와, 상기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단과 상기 탈포화 검출부(141) 사이에 배치되는 전압 감소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보호회로(140)는 탈포화 검출부(141)에서 검출된 신호를 전압 감소부(143)의 입력 신호로 공급할 수 있다.
탈포화 검출부(141)는, 전력 스위치(110)의 턴 온 동작 시, 해당 스위치(110)가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포화 검출부(210)는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에 연결되어, 해당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전압(VDS)을 감지(sensing)할 수 있다. 상기 탈포화 검출부(210)는 상기 감지된 전압(VDS)을 기반으로 전력 스위치(110)가 포화(saturation) 상태를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탈포화 검출부(141)는,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감지 시, 전력 스위치(110)의 스위칭 동작을 턴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회로(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전압 감소부(141)는, 전력 스위치(110)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해당 스위치(110)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스위치(110)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ID)를 빠르게 제한할 수 있다.
전압 감소부(141)는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을 조정(감소)하는 회로로서, 선형 전압 조정기(linear voltage regulator),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NPN 타입의 BJT 소자 및 N 채널형 MOSFET 소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100)은 전력 스위치(110)의 탈포화 상태 검출 시, 게이트 구동전압 조정이 가능한 단락보호회로(140)를 이용하여 해당 스위치(110)의 동작을 안전하게 턴 오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락보호회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락보호회로(140)는 탈포화 검출부(141) 및 전압 감소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 감소부(143)는 '전류 제한부'로 지칭될 수도 있다.
탈포화 검출부(141)는 NAND 게이트, SR 래치, 필터, 비교기, 기준 전압원(Vref), 커패시터(C1), 다이오드(D1) 및 제1 내지 제6 저항소자(R1~R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탈포화 검출부(141)는 위에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NAND 게이트의 제1 입력 단은 SR 래치(211)의
Figure pat00001
단과 연결될 수 있고, NAND 게이트의 제2 입력 단은 PWM 제어부(미도시)의 출력 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NAND 게이트의 출력 단은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입력 단과 연결될 수 있다.
SR 래치의 S(Set) 단은 필터의 출력 단과 연결될 수 있고, SR 래치의
Figure pat00002
단은 NAND 게이트의 제1 입력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입력 단은 비교기의 출력 단과 연결될 수 있고, 필터의 출력 단은 SR 래치의 S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의 출력 단은 필터의 입력 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비교기의 제1 입력 단(-)과 접지(ground) 사이에는 제5 저항소자(R5)와 기준 전압원(Vref)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의 제2 입력 단(+)과 제1 노드(N1) 사이에는 제6 저항소자(R6)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노드(N1)와 접지 사이에는 제3 저항소자(R3)와 커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소자(R2)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저항소자(R1)는 제2 노드(N2)와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출력 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저항소자(R4)는 제2 노드(N2)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anode) 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이오드(D1)는 제4 저항소자(R4)의 일 단과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탈포화 검출부(141)는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전압(VDS)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된 전압(VDS)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탈포화 검출부(141)는 턴 온 상태의 전력 스위치(100)가 포화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전력 스위치(110)가 포화 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해당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에 연결된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압은 애노드 전압보다 훨씬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D1)는 오프(off) 상태로 동작하게 되고, 게이트 구동회로(130)의 출력 전압은 제1 내지 제3 저항소자(R1~R3)를 통해 전압 분배되어 커패시터(C1)를 충전시키게 된다.
커패시터(C1)에 미리 결정된 전압(가령, 2.5V)이 충전되면, 비교기의 입력 전압(Vin)이 기준 전압(Vref) 보다 커지기 때문에, 비교기는 로우 레벨(low level)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로우 레벨 신호가 필터를 통과하여 SR 래치의 S(Set) 단으로 입력되면, SR 래치는
Figure pat00003
단을 통해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SR 래치의
Figure pat00004
단을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Figure pat00005
단을 통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로우 레벨 상태의 SR 래치 출력이 NAND 게이트로 입력되면, NAND 게이트는 PWM 신호에 상관없이 하이 레벨(high level) 신호를 게이트 구동회로(13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전력 스위치(110)의 동작을 강제로 턴 오프(turn off)시킴으로써 해당 스위치(110)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전압 감소부(143)는, 선형 병렬 전압 조정기(Linear Shunt Voltage Regulator)로서, 제7 저항소자(R7)와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저항소자(R7)의 일 단은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션트 레귤레이터(200)의 레퍼런스(R)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200)의 레퍼런스(R) 단은 제7 저항소자(R7)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고, 애노드(A) 단은 접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캐소드(K) 단은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션트 레귤레이터(200)는 출력에 병렬로 접속되고, 직렬 저항(R7)을 통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전류 출력의 단전압(端電壓)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레귤레이터이다.
션트 레귤레이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210), 기준 전압원(220), 트랜지스터(230), 제1 다이오드(240) 및 제2 다이오드(250)를 포함하는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등가회로를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200)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어, 제1 노드 전압(즉, 비교기의 입력 전압, Vin)을 센싱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200)의 기준 전압은 탈포화 검출부(141)에 포함된 비교기의 기준 전압(가령, 2.5V)과 동일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전력 스위치(110)가 탈포화 상태로 진입하여 비교기의 입력 전압(Vin)이 션트 레귤레이터(200)의 기준 전압과 동일하게 되면, 션트 레귤레이터(200)가 동작하게 된다.
즉, 제1 노드 전압(Vin)이 미리 결정된 전압(가령, 2.5V)이 되면, 션트 레귤레이터(200)는 캐소드 단에서 애노드 단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주면서 캐소드 단에 걸리는 전압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션트 레귤레이터가 기준 전압(가령, 2.5V)을 유지하기 위해 캐소드와 이미터 사이의 저항이 가변 저항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일 예로, 션트 레귤레이터(200)는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단과 연결된 캐소드 단에 걸리는 전압(가령, 20V)을 미리 결정된 전압(가령, 12V)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전압 감소부(143)는, 전력 스위치(110)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별도의 시간 지연 없이 해당 스위치(110)의 게이트 구동전압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스위치(110)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ID)를 빠르게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압 감소부(143)는 전력 스위치(110)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에서 해당 스위치(110)의 내압을 초과하는 VDS 스파이크 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구동전압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낮추기 위해 션트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 대신 제너 다이오드, NPN 타입의 BJT 소자 및 N 채널형 MOSFET 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압 감소부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전압 감소부는 제너 다이오드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압 감소부는 NPN 타입의 BJT 소자 또는 N 채널형 MOSFET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감소부로 NPN 타입의 BJT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소자는 베이스(B)-이미터(E) 전압이 0.7V 되면 컬렉터(C) 단에서 이미터(E) 단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때 컬렉터(C)와 이미터(E) 사이의 저항이 가변 저항이 되어 베이스(B)-이미터(E) 전압이 0.7V를 많이 초과할수록 저항이 작아지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컬렉터(C) 단에 연결된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구동전압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압 감소부로 N 채널형 MOSFET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소자는 게이트(G)-소스(S) 전압이 임계 전압(Vth)이 되면, 드레인(D) 단에서 소스(S) 단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때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저항이 가변 저항이 되어 게이트(G)-소스(S) 전압이 임계 전압(Vth)을 많이 초과할수록 저항이 작아지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드레인(D) 단에 연결된 전력 스위치(110)의 게이트 구동전압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락보호회로(200)는,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게이트 구동전압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를 빠르게 제한함으로써, 해당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단락 시험 구성과 전력 스위치의 전압/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500)에서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 단과 소스 단 사이에 하나의 전압 공급원(388V), 두 개의 입력 저항(RS1, RS2), 두 개의 입력 커패시터(C1, C2)를 설치한 후 전력 스위치에 대한 단락 보호 실험(test)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 조건에서, 전력 스위치가 동작하게 되면, 해당 스위치는 탈포화 상태가 되어 단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락 전류가 해당 스위치에 흐르게 된다.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VGS)을 20V로 구동하면, 해당 스위치의 드레인 전류는 480ns 동안 120A까지 증가하게 되고, 그 이후 시점(즉, 턴 오프 시점)부터는 감소하여 총 760ns 동안 흐르게 된다. 이때, VDesat 전압을 측정하게 되면 100ns 이내에 9V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 전류는 탈포화 상태 검출 이후에 발생하는 비교기, 필터, 로직 회로 및 게이트 구동회로 등에서의 시간 지연으로 인해 탈포화 상태 검출 시점보다 약 380ns 시간 동안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의 단락 실험 구성과 전력 스위치의 전압/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스위치 시스템(600)에서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 단과 소스 단 사이에 하나의 전압 공급원(388V), 두 개의 입력 저항(RS1, RS2), 두 개의 입력 커패시터(C1, C2)를 설치한 후 전력 스위치에 대한 단락 보호 실험(test)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 조건에서, 전력 스위치가 동작하게 되면, 해당 스위치는 탈포화 상태가 되어 단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락 전류가 해당 스위치에 흐르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단락보호회로는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게이트 구동전압을 조정함으로써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단락 전류를 빠르게 제한시킬 수 있다. 가령,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VGS)을 20V로 구동하면, 탈포화 상태 검출 시점에 해당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이 12V로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스위치의 드레인 전류는 36A까지만 증가하게 되며, 그 이후 시점(즉, 턴 오프 시점)부터는 감소하여 총 440ns 동안 흐르게 된다.
위 두 가지의 실험을 비교해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단락보호회로를 전력 스위치에 적용하는 경우, 종래의 방식에 비해 해당 스위치에 흐르는 단락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락 전류가 흐르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 단락 현상 발생 시,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와 시간에 비례하여 해당 스위치가 파괴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단락보호회로를 전력 스위치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스위치의 파괴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력 스위치 시스템 110: 전력 스위치
120: PWM 제어부 130: 게이트 구동회로
140: 단락보호회로 141: 탈포화 검출부
143: 전압 감소부

Claims (7)

  1. 전력 스위치의 드레인(D) 단과 소스(S) 단 사이의 전압(VDS)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가 포화(saturation) 상태를 벗어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탈포화(desaturation) 상태 검출 시, 해당 스위치를 강제로 턴 오프(turn off)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탈포화 검출부; 및
    상기 탈포화 상태가 검출됨과 동시에, 상기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감소시켜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압 감소부를 포함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상기 탈포화 검출부와 상기 전력 스위치의 게이트 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탈포화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를 입력 신호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선형 병렬 전압 조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레퍼런스(R) 단에 연결되는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의 기준 전압은 상기 탈포화 검출부에 포함된 비교기의 기준 전압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제너 다이오드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소부는, NPN 타입의 BJT 소자 또는 N 채널형 MOSFET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전압(VGS)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KR1020190105663A 2019-08-28 2019-08-28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KR10266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63A KR102661973B1 (ko) 2019-08-28 2019-08-28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PCT/KR2019/018072 WO2021040153A1 (ko) 2019-08-28 2019-12-19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63A KR102661973B1 (ko) 2019-08-28 2019-08-28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31A true KR20210025831A (ko) 2021-03-10
KR102661973B1 KR102661973B1 (ko) 2024-05-02

Family

ID=7468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63A KR102661973B1 (ko) 2019-08-28 2019-08-28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1973B1 (ko)
WO (1) WO2021040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9827B (zh) * 2021-08-20 2023-05-26 深圳市优联半导体有限公司 消隐时间自适应去饱和保护改进电路、设计方法及应用
CN115276627B (zh) * 2022-08-04 2023-10-24 佛山市南海区赛德声电子有限公司 一种氮化镓mosfet导通损耗功率限制电路
CN117318683A (zh) * 2023-10-18 2023-12-29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功率晶体管的驱动电路、负载开关电路以及电源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03A (ko) * 1999-01-25 2000-08-16 이형도 역포화를 이용한 전력 모듈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0002825A (ko) * 1999-06-18 2001-01-15 이형도 전력스위칭소자 보호회로
JP2014079037A (ja) * 2012-10-09 2014-05-01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スイッチ素子の故障検知回路を有したゲート駆動回路
JP2018011467A (ja) * 2016-07-15 2018-01-18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9570B2 (ja) * 2005-04-06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保護機能付きスイッチング回路および保護回路
JP2011172446A (ja) * 2010-02-22 2011-09-01 Toyota Motor Corp 半導体電力変換装置
KR101639488B1 (ko) * 2014-12-10 2016-07-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암 쇼트 방지를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방법
US10069491B2 (en) * 2015-07-07 2018-09-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on reset circuit and under-voltage lockout circuit comprising the same
KR20240023687A (ko) * 2015-10-21 2024-02-22 마이크로칩 테크날러지 인코포레이티드 불포화 또는 단락 결함을 제어하는 SiC 및 IGBT 전력 디바이스용 게이트 드라이브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03A (ko) * 1999-01-25 2000-08-16 이형도 역포화를 이용한 전력 모듈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0002825A (ko) * 1999-06-18 2001-01-15 이형도 전력스위칭소자 보호회로
JP2014079037A (ja) * 2012-10-09 2014-05-01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スイッチ素子の故障検知回路を有したゲート駆動回路
JP2018011467A (ja) * 2016-07-15 2018-01-18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153A1 (ko) 2021-03-04
KR102661973B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7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0199916B2 (en) Resistor emulation and gate boost
CN106471740B (zh) 具有动态定时的多级栅极断开
CN104467370B (zh) 用于隔离的驱动器的软关闭的设备和方法
US9755630B2 (en) Solid-state circuit breakers and related circuits
US9225161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S11804827B2 (en) Validation of current levels delivered by a gate driver
US10038438B2 (en) Power semiconductor element driving circuit
JP2024007553A (ja) スイッチング電力コンバーターにおいて半導体スイッチを保護すること
KR102661973B1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CN109217858B (zh) 晶体管装置的过电压保护
KR102026931B1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JP2015089049A (ja) 半導体装置
CN112865767B (zh) 一种提高SiC MOSFET器件短路故障响应速度的电路
CN112534668B (zh) 升压转换器短路保护
US11799467B2 (en) Device including power transistor and overcurrent detection logic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transistor
KR101659088B1 (ko) Led 전원 장치
KR20210070591A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KR20220028898A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KR20220042570A (ko) 고속 단락검출회로
KR20230055364A (ko) 스위치의 단락 보호 장치
CN109075781B (zh) 电力用半导体元件的驱动电路以及电动机驱动装置
US10778085B2 (en) Power converter, power conversion method and lighting apparatus
EP3993264A1 (en) Switch controller, device and method with overcurrent protection
KR20220037852A (ko) 전력 스위치용 단락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