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936A -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 Google Patents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936A
KR20210024936A KR1020190104763A KR20190104763A KR20210024936A KR 20210024936 A KR20210024936 A KR 20210024936A KR 1020190104763 A KR1020190104763 A KR 1020190104763A KR 20190104763 A KR20190104763 A KR 20190104763A KR 20210024936 A KR20210024936 A KR 2021002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pen
holder
adhesiv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길
Original Assignee
원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길 filed Critical 원용길
Priority to KR102019010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936A/ko
Publication of KR2021002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용 달력에 메모를 위한 펜은 물론, 명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달력본체를 구성하는 전면판 또는 후면판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도록 일측에 접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펜이 꽂아지는 꽂이홀로 형성된 펜꽂이 간단하게 구비토록 하고, 상기 접착부에는 보조시트에 의해서 포켓부를 형성하여 명함이나 중요한 메모 등을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Desk calendar with pen stand}
본 발명은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달력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모를 위한 펜은 물론, 명함을 보관할 수 있는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공간에는 날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벽면에 걸어지는 걸이형 달력이나 테이블이나 책상에 직립되게 놓여지는 탁상용 달력이 비치되어 있다.
본원 발명은 두꺼운 판지에 디자인 및 광고 등의 인쇄를 위한 시트가 부착된 전면판과 후면판과 기저판으로 이루어진 달력본체가 접힘과 펼침에 의해 보관 또는 삼각형상으로 직립되어지고,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단에는 스프링이 지철되어 날짜가 인쇄되어 있는 월력지가 넘김가능하게 구비되는 탁상용 달력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탁상용 달력에 구비된 월력지의 인쇄된 날짜에 스케줄을 표시나 간단한 메모를 위해서는 매번 별도로 비치되어 있는 필통이나 펜통에서 펜을 찾아서 메모하고, 메모후에는 다시 제자리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메모가능한 펜을 구비하는 다양한 구조의 탁상용 달력이 게시되었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260516호에 따르면, 달력본체의 면적을 월력지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여 월력지의 일측으로 돌출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돌출면에 메모가능한 포스트잇과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첩되는 지지편이 형성된 펜꽂이홀을 전면판과 기저판에 형성하여 펜꽂이홀에 기울인 상태로 보관토록 한 탁상용 달력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탁상용 달력은 펜꽂이홀의 형상을 위하여 월력지보다 달력본체의 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비싸지게 될 뿐만 아니라, 펜꽂이홀을 형성하기 위한 달력본체의 제조와 더불어 대량생산이 어렵고 펜이 달력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보관되어 걸리적 거리게 되면서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57690호에 따르면, 월력지를 포함하여 달력본체의 상단 중앙의 일정부위가 절단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판 및 후면판에 절취선과 절첩선에 따라서 상부가 개방된 수납구를 조립하여 필기구를 보관토록 한 탁상용 캘린더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탁상용 캘린더는 달력본체 및 월력지가 각각 가공된 상태에서 지철수단으로 제조되어지기 때문에 제조의 어려움은 물론 제조단가가 비싸며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납구는 사용자가 별도로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2-0128801호에 따르면, 두꺼운 종이 재질의 달력받침대의 측면에 합성수지 또는 나무재질의 필기구 꽂이를 부착한 달력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달력은 필기구 꽂이를 부착하기 위하여 달력받침대의 측면이 막혀진 상태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두꺼운 종이를 사면이 막히도록 받침대를 제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설령 제작이 가능하여도 제조의 어려움은 물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받침대의 측면에 원통형의 필기구 꽂이를 접착수단으로 부착할 경우에 접착면적이 좁아 접착의 어려움이 있고, 외부충격에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2792호에 따르면, 달력본체의 전면판의 어느 한 측면부에 상하 일정길이로 절개에 의해 절곡되어 필기구가 꽂아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수납부가 형성된 탁상달력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탁상달력은 필기구 수납을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달력본체의 면적을 측면으로 월력지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비싸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절개 및 절곡을 위한 제조공정으로 달력본체의 제조와 더불어 대량생산이 어렵고 필기구 수납부로 인하여 테이블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탁상용 달력을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메모를 위한 필기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뿐만 아니라, 수납부에 명함을 동시에 보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달력본체의 전면판 또는 후면판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도록 일측에 접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펜이 꽂아지는 꽂이홀로 형성된 펜꽂이 간단하게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펜꽂이는 비닐시트를 도무성 작업에 의해 일정한 면적의 접착부와 접착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꽂이홀이 한 장의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꽂이홀은 베이스면과 베이스면의 일측으로 접힘면이 연장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양 측단을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형성되고, 접힘면에는 상,하단으로 만곡절개부를 형성하여 접힘면과 베이스면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이형을 유지토록 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펜을 수납하거나 꺼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접착부에는 보조시트를 중첩하여 양 측단과 하단의 테두리라인을 열융착으로 접합시켜 내측에 포켓부를 형성하여 명함이나 중요한 메모 등을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달력의 외형을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모를 위한 펜수납부를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어 달력의 제조나 이미 제조된 달력에도 접착에 의해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어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간소화된 포장을 제공하여 대량공급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달력에 펜꽂이가 형성되는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펜꽂이가 부착된 달력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펜꽂이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펜이 수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펜꽂이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펜이 수납된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펜꽂이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도7의 펜이 수납된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접착부에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포켓이 형성된 펜꽂이의 제4실시 예.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의 포켓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사용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포켓이 복수 개로 형성된 펜꽂이의 제5실시 예.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포켓 구조를 나타낸 펜꽂이의 제6실시 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전면판(11)과 후면판(12)과 기저판(13)으로 이루어진 달력본체(10)에 스프링(14)으로 월력지(15)가 넘김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달력본체(10)의 전면판(11) 또는 후면판(12)의 어느 한 면에 메모를 위한 하나의 펜이 수납되는 펜꽂이(20)가 구비되고, 상기 펜꽂이(20)는 일측에 달력본체(10)에 접착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접착부(21)와 타측에 펜이 꽂아지는 꽂이홀(22)만 달력본체(10)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펜꽂이(20)는 일정한 면적의 비닐시트를 도무성 공정과 열융착에 의한 접합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즉, 일정한 면적의 비닐시트에는 달력본체(10)에 부착되는 접착부(21)와 상기 접착부(21)의 일측으로 접착부(21)와 대응하는 면적이거나 그보다 작은 면적으로 베이스면(22a)이 형성되고, 베이스면(22a)의 일측으로 베이스면(22a)과 대응하는 면적이거나 그보다 작은 면적으로 접힘면(22b)을 하나로 연결되게 도무성 공정으로 비닐시트에 복수 개로 제조하고, 이 상태에서 접힘면(22b)을 베이스면(22a)에 중첩되게 접힘토록 한 후에 접힘면(22b)의 좌우 양 측단을 열융착으로 베이스면(22a)에 접합하면 베이스면(22a)과 접힘면(22b)dl 얇은 두께로 중첩된 상태에서 벌어짐에 의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펜꽂이(20)를 달력본체(10)에 부착하기 위하여 비닐시트가 도무성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비닐시트가 이송되면서 롤링에 의해서 접착부(21)의 후면에 접착면(23)과 접착면(23)을 보호하는 이형지(24)를 형성한 상태에서 도무성으로 절단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펜꽂이(20)의 접착부(21)에 접착면(23)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비닐시트가 도무성으로 접착부(21)와 꽂이홀(22)이 형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접착부(21)의 후면에 접착테이프를 형성하는 후가공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월력지(15)가 구비된 달력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또는 이미 제조된 달력에 별도로 제조된 펜꽂이(20)를 접착부(21)에서 이형지(24)를 제거 후 달력본체(10)의 전면판(11) 또는 후면판(12)의 어느 한 면에 부착토록 함으로써 메모를 위한 펜을 수납하는 펜꽂이(20)가 구비된 달력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비닐시트의 재질로 형성된 펜꽂이(20)가 꽂이홀(22)만 자유롭게 달력의 일측에서 접힘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포장을 위하여 간소화된 포장을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한 대량납품은 물론 물류비용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5는 펜의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펜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제2 실시 예로써, 펜꽂이(20) 두 개를 달력본체(10)에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하거나 접착부(21)를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면서 접착부의 일측에 꽂이홀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펜의 상단과 하단 부분이 수납되어 고정됨으로써 너덜거리지 않고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은 복수의 펜을 수납할 수 있는 펜꽂이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달력본체(10)의 전면판(11)과 후면판(12)에 각각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실시 예는 펜꽂이(20)가 달력본체(10)의 한 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될 경우에 펜의 상단과 하단 부분이 수납되어 고정됨으로써 너덜거리지 않고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게 되고, 제3실시 예와 같이 달력본체(10)의 전면판(11)과 후면판(12)에 펜꽂이(20)가 서로 다른 높이로 각각 형성될 경우에는 복수의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꽂이홀(22)의 접힘면(22b)에는 상,하단으로 만곡절개부(22c)를 형성하여 베이스면(22a)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중첩된 베이스면(22a)과 접힘면(22b)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펜을 끼우기 위하여 꽂이홀(22)이 쉽게 벌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9는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펜꽂이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접착부(21)는 달력본체(10)에 부착되는 면적이 많아지도록 일측방으로 길이를 직사각형으로 연장하여 견고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접착부(21)의 전면으로는 접착부(21)와 가로 폭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면서 세로 폭은 접착부(21)의 상단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면적의 보조시트(25)를 중첩한 상태에서 좌우 양단과 하단의 테두리를 열융착으로 접합하거나 접착부(25)와 세로 폭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면서 가로 폭이 상대적으로 짧은 면적의 보조시트(25)를 중첩한 상태에서 상하단과 일측단의 테두리를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접착부(21)에 상측이나 일측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포켓(26)을 구비하여 펜꽂이(22)에는 펜을 수납하고 접착부(21)에는 명함이나 카드나 중요한 메모지와 같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보관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12는 많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펜꽂이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포켓(25)이 형성된 펜꽂이를 달력본체(10)에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부착하여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3은 하나의 접착부(21)에 복수의 포켓(25)을 형성한 펜꽂이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일정한 면적의 접착부(21)에 세로폭은 동일하고 가로폭은 짧은 면적으로 된 한장의 보조시트를 중첩한 상태에서 상하단과 일측단의 테두리라인과 보조시트의 중간부분을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일측방으로 수납이 가능한 두 개의 포켓(25)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포켓(25)이 일측단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접착부(21)를 달력본체(10)의 일측면으로 미세하게 돌출되게 형성하여 포켓(25)에 내용물의 수납이나 꺼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시트(25)의 상단 중앙에는 만곡된 절개부(25a)를 형성하여 포켓(26)에 내용물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벌어짐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달력본체 11: 전면판
12: 후면판 13: 기저판
14: 스프링 15: 월력지
20: 펜꽂이 21: 접착부
22: 꽂이부

Claims (6)

  1. 전면판(11)과 후면판(12)과 기저판(13)으로 이루어진 달력본체(10)에 스프링(14)으로 월력지(14)가 넘김가능하게 구비된 탁상용 달력에 있어서,
    달력본체(10)의 전면판(11) 또는 후면판(12)의 어느 한 면에 일측에 접착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펜이 꽂아지는 꽂이홀(22)이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펜꽂이(20)가 접착부(21)의 접착으로 부착되면서 꽂이홀(22)만 달력본체(1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펜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꽂이(20)는 비닐시트 재질로써 달력본체의 부착을 위하여 접착부(21)는 일정한 면적으로 후면에 이형지(24)로 보호되는 접착면(23)이 형성되고 상기 꽂이홀(22)은 접착부(21)와 대응하거나 작은 면적의 베이스면(22a)과 상기 베이스면(22a)의 일측으로 베이스면(22a)보다 작은 면적으로 연장된 접힘면(22b)이 도무성 공정으로 제조된 상태에서 상기 접힘면(22b)을 베이스면(22a)에 중첩되도록 접힘토록 한 상태에서 접힘면(22b)의 좌우 양 측단을 열융착으로 베이스면(22a)에 접합하는 접합공정으로 꽂이홀(22)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면(22b)에는 상,하단으로 만곡절개부(22c)를 형성하여 중첩된 베이스면(22a)과 접힘면(22b)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쉽게 벌어지도록 하여 펜의 수납이 용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23)는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접착부(23)의 일측단으로 펜이 수납되는 꽂이홀(22)을 상하로 이격되게 다단으로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21)는 일측방으로 길이를 직사각형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전면에 접착부(21)와 폭은 동일하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면적의 보조시트(25)를 중첩하여 테두리라인을 열융착으로 접합시켜 접착부(21)에 명함이나 카드나 메모지와 같은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 또는 일측단으로 개구된 포켓(26)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25)의 상단 중앙에는 만곡된 절개부(25a)를 형성하여 수납된 내용물의 꺼냄이 용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KR1020190104763A 2019-08-26 2019-08-26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KR2021002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63A KR20210024936A (ko) 2019-08-26 2019-08-26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63A KR20210024936A (ko) 2019-08-26 2019-08-26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36A true KR20210024936A (ko) 2021-03-08

Family

ID=751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763A KR20210024936A (ko) 2019-08-26 2019-08-26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9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558B1 (ko) 탁상달력
JPH06507582A (ja) リングバインダー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KR102007733B1 (ko) 수납 포켓을 갖는 탁상용 캘린더
US7789430B2 (en) Easel pad
KR20080001636U (ko) 탁상용 달력
KR101491027B1 (ko) 벽걸이와 탁상용 겸용 달력
KR20210024936A (ko) 펜꽂이가 구비된 탁상용 달력
JP4785498B2 (ja) カレンダ
KR20220074320A (ko) 문구 박스
KR100873781B1 (ko) 수납 구조물 겸 거치대
JP3136375U (ja) スタンドホルダ
KR200415835Y1 (ko) 물품 지지구
JP3204488U (ja) 卓上カレンダー用スタンド
JP3246430U (ja) 支持台
KR102010657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RU160630U1 (ru) Рекламно-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держатель
KR200494086Y1 (ko) 탁상용 달력 멀티확장형 스탠드
JP3188537U (ja) 収納具
US8043019B2 (en) Card supplying and storage system
JP7480674B2 (ja) ファイル
JP3223635U (ja) 書類管理具
KR200341710Y1 (ko) 책표지 겸용 탁상용 삼각 받침대로 사용하는 지지대.
JP3169224U (ja) スタンド
JP3149150U (ja) 卓上カレンダー用スタンド
KR200427836Y1 (ko) 다기능 절첩식 캘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