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331A -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331A
KR20210024331A KR1020190102817A KR20190102817A KR20210024331A KR 20210024331 A KR20210024331 A KR 20210024331A KR 1020190102817 A KR1020190102817 A KR 1020190102817A KR 20190102817 A KR20190102817 A KR 20190102817A KR 20210024331 A KR20210024331 A KR 2021002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joining
panel member
groove
reinforcing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흥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광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0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331A/ko
Publication of KR2021002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와이드 보강리브(HR)가 구비된 한 쌍의 패널부재를 내표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2접합홈부(GP)와 제2접합돌편(PP)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Panel manufacturing for mountiong interior air circulation du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손쉽고 견고하며 내후성이 좋도록 설치가능한 덕트 설치용 패널을 제조하는 새로운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미세먼지의 이슈로 인하여 공공건물 또는 학교 교실, 체육관 등에 실내공기순환기 설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벽면에 급배기용 덕트를 설치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급배기 덕트 설치 방법으로는 벽을 천공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창문을 이용하여 급배기 덕트를 설치한다.
그러나, 벽체에 구멍을 뚫는 경우는 건물의 구조 약화 등의 이유로 꺼려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창문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으나 창문이라는 제약으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38561호(1998년02월19일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7721호(1998년09월25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299823호(2001년06월1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577479호(2006년04월2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구멍을 뚫는 경우는 건물의 구조 약화 등의 이유로 꺼려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창문틀에 손쉽고 견고하며 내후성이 좋도록 설치가능한 덕트 설치용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와 와이드 보강리브가 구비된 한 쌍의 패널부재를 내표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는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패널부재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1접합돌편과 제1접합홈부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2접합홈부와 제2접합돌편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에 제1접합돌편과 제1접합홈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제1패널부재의 복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에 교대로 제1접합돌편과 제1접합홈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제1패널부재의 복수행마다 상기 제1접합돌편과 제1접합홈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널부재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에 제2접합돌편과 제2접합홈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부재의 복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에 교대로 제2접합돌편과 제2접합홈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제2패널부재의 복수행마다 상기 제2접합돌편과 제2접합홈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가 서로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제2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홈부는 상기 제1패널부재의 제1접합홈부와 제1접합돌부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의 상기 제1접합돌편을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제2접합홈부에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제1패널부재의 상기 제1접합홈부에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제2접합돌편을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돌편은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두께가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 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홈부와 상기 제2접합홈부는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부 양면 사이의 폭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의 양쪽 측면에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패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을 복수개로 이웃하도록 확장하여 설치할 때에 상기 사이드 홈부와 상기 사이드 돌편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을 성형한다.
상기 패널은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한쪽 측단부에는 안쪽으로 두께가 더 두꺼워진 내부 두께 보강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포밍편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의 안쪽면과 상기 홈포밍편에 의해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의 한쪽 측단부에 반절 사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다른 쪽 측단부에는 횡단면으로 볼 때에 단면 기역자 형상의 돌편 포밍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편 포밍편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크로스 돌편 포밍편이 구비되어, 상기 돌편 포밍편과 상기 크로스 돌편 포밍편에 의해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다른 쪽 측단부에 반절 사이드 돌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를 내표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을 형성할 때에 각각 상기 반절 사이드 홈부와 상기 반절 사이드 돌편들이 만나서 상기 패널의 좌측에 각각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에는 복수개의 살빼기홈이 구비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는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와 와이드 보강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들에 상기 접합돌편과 상기 접합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들에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1접합홈부 및 상기 제2접합홈부와 상기 제2접합돌편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합돌편이 상기 제2접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접합돌편이 상기 제1접합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1접합홈부 및 상기 제2접합홈부와 상기 제2접합돌편이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돌편이 상기 제2접합홈부와 상기 제1접합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며, 상기 스페이스에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접착제로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돌편을 상기 제2접합홈부와 상기 제1접합홈부에 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들에는 양면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양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확장 보강리브부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 보강리브부들에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1접합홈부 및 상기 제2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합돌편과 상기 제1접합홈부 및 상기 제2접합돌편과 상기 제2접합홈부는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들의 리니어 보강리브를 따라 길게 연장된 일자형 돌편과 일자형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는 내표면에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들과 직교하는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패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내부에는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들과 상기 와이드 보강리브들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표면에는 외부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와 상기 제2패널부재는 상기 외부 단턱부가 형성된 안쪽면에 복수개의 살빼기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은 열경화성 복합소재 이용하여 견고성, 내후성(특히 태양열) 우수하고, 반반씩 성형하여 조립홈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패널을 조립하는 형태를 통하여 창문 틀에 끼울 수 있는 요철 형상을 갖는 테두리 형성을 하여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패널은 조립면에 암수가 형성되어 원하는 폭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하므로, 설치 조건에 따라 맞춤 설치가 가능하며, 아답터를 이용하여 창문의 크기에 맞도록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이 용이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에서 패널 제조를 위한 반절 패널인 제1패널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쪽면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에서 패널 제조를 위한 다른 반절 패널인 제2패널부재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안쪽면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의 안쪽면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과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에서 패널 제조를 위한 반절 패널인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를 접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1패널부재와 제2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패널의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도 8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8에 어댑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패널을 창문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패널의 접합돌편과 접합홈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패널을 옆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은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와이드 보강리브(HR)가 구비된 한 쌍의 패널부재를 내표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재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로 구성되어, 한 쌍의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패널 제조방법에서는 한 쌍의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마련하고,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서로 마주하는 내표면에 형성된 접합돌편(PP)과 접합홈부(GP)가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는 상하 길이 방향과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를 구비한다. 이때, 제1패널부재(12)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제1패널부재(12)의 복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교대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가 구비됨과 동시에 제1패널부재(12)의 복수행마다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내부는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에 의해 제1패널부재(12)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행의 공간부로 구획되는데, 제1패널부재(12)의 안쪽면을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공간부가 6행 공간부인 경우, 제1행 공간부에 있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 중에서 홀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1접합돌편(PP)이 구비되고 짝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는 제1접합홈부(GP)가 구비되고, 제2행 공간부에 있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 중에서 홀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1접합홈부(GP)가 구비되고 짝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1접합돌편(PP)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제1패널부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는 제3행 공간부에서 제6행 공간부까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반복된다. 즉,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내부 제1행 제1열, 제1행 제3열, 제2행 제2열, 제3행 제1열, 제3행 제3열, 제4행 제2열, 제5행 제1열, 제5행 제3열, 제6행 제2열에 상기 제1접합돌편(PP)이 구비되고, 제1패널부재(12)의 내부 제1행 제2열, 제2행 제1열, 제2행 제3열, 제3행 제2열, 제4행 제1열, 제4행 제3열, 제5행 제2열, 제6행 제1열, 제6행 제3열에 상기 제1접합홈부(GP)가 구비된다.
상기 제2패널부재(14)도 상하 길이 방향과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패널부재(14)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제2패널부재(14)의 복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교대로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가 구비됨과 동시에 제2패널부재(14)의 복수행마다 상기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가 서로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패널부재(14)의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는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제1접합홈부(GP)와 제1접합돌부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내부는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에 의해 제2패널부재(14)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행의 공간부로 구획되는데, 제2패널부재(14)의 안쪽면을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공간부가 6행 공간부인 경우, 제1행 공간부에 있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 중에서 홀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2접합홈부(GP)가 구비되고 짝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는 제2접합돌편(PP)이 구비되고, 제2행 공간부에 있는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 중에서 홀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2접합돌편(PP)이 구비되고 짝수열의 리니어 보강리브(JR)에 제2접합홈부(GP)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제2패널부재(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는 제3행 공간부에서 제6행 공간부까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반복된다. 즉,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내부 제1행 제1열, 제1행 제3열, 제2행 제2열, 제3행 제1열, 제3행 제3열, 제4행 제2열, 제5행 제1열, 제5행 제3열, 제6행 제2열에 상기 제2접합홈부(GP)가 구비되고, 제2패널부재(14)의 내부 제1행 제2열, 제2행 제1열, 제2행 제3열, 제3행 제2열, 제4행 제1열, 제4행 제3열, 제5행 제2열, 제6행 제1열, 제6행 제3열에 상기 제2접합돌편(PP)이 구비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가 서로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는 제1패널부재(12)의 제1접합홈부(GP)와 제1접합돌부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제1접합돌편(PP)을 제2패널부재(14)의 제2접합홈부(GP)에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제1접합홈부(GP)에 제2패널부재(14)의 제2접합돌편(PP)을 끼워서 결합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2접합홈부(GP)와 제2접합돌편(PP)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합시켜서 패널(10)을 형성한다.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접합시켜서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10)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내부에 돌출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제2접합홈부(GP)와 제2접합돌편(PP)을 끼워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10)을 제조하기 때문에, 패널(10)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패널(10) 조립 작업 중에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없어서 작업시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10)을 형성한 다음에는 서로 맞끼워진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에 의해 접합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패널(10)이 외부의 온도 변화의 상황이나 외력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제2접합돌편(PP)이 제2접합홈부(GP)와 제1접합홈부(GP)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며, 상기 스페이스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접착제로 제1접합돌편(PP)과 제2접합돌편(PP)을 제2접합홈부(GP)와 제1접합홈부(GP)에 접합한다.
따라서, 스페이스에 충분히 채워진 접착제로 제1접합돌편(PP)과 제2접합돌편(PP)을 제2접합홈부(GP)와 제1접합홈부(GP)에 접합하기 때문에,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_)의 접합 부분의 강도가 충분히 나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10)의 양쪽 측면에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각각 구비되도록 패널(10)을 제조한다. 상기 패널(10)을 복수개로 이웃하도록 확장하여 설치할 때에 서로 이웃한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패널(10)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10)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한쪽 측단부에는 안쪽으로 두께가 더 두꺼워진 내부 두께 보강부(DP)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DP)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포밍편(CP)이 구비된다. 상기 홈포밍편(CP)은 내부 두께 보강부(DP)에서 직교하도록 안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DP)의 안쪽면과 홈포밍편(CP)에 의해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10)부의 한쪽 측단부에 반절 사이드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다른 쪽 측단부에는 횡단면으로 볼 때에 단면 기역자 형상의 돌편 포밍편(PF)이 구비되고, 상기 돌편 포밍편(PF)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크로스 돌편 포밍편(CF)이 구비된다. 단면 기역자 형상의 돌편 포밍편(PF)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다른 측단부와 인접한 안쪽면에 연결되고, 상기 돌편 포밍편(PF)에는 크로스 돌편 포밍편(CF)이 연결되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크로스 돌편 포밍편(CF)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돌편 포밍편(PF)과 크로스 돌편 포밍편(CF)에 의해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다른 쪽 측단부에 반절 사이드 돌편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안쪽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10)을 형성할 때에 각각 반절 사이드 홈부와 반절 사이드 돌편들이 만나서 패널(10)의 좌측에 각각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내부 두께 보강부(DP)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패널부재(12)의 홈포밍편(CP)과 제2패널부재(14)의 홈포밍편(CP)은 선단부끼리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부 두께 보강부(DP)와 홈포밍편(CP)들에 의해 패널(10)의 한쪽 측면에 사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돌편 포밍편(PF)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바깥면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있고, 상기 크로스 돌편 포밍편(CF)들은 선단부끼리 접촉되어, 상기 돌편 포밍편(PF)과 크로스 돌편 포밍편(CF)들에 의해 상기 패널(10)의 다른 쪽 측면에 사이드 돌편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접합시켜서 패널(10)을 형성하기만 하면, 상기 패널(10)의 양쪽 측면에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내부 두께 보강부(DP)에 복수개의 살빼기홈(SP)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널(10)에 사이드 홈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살빼기홈(SP)에 의해 재료를 줄이게 되므로, 제조된 패널(10)의 단가를 더 낮출 수 있고 패널(10)의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리니어 보강리브(JR)들에는 양면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양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확장 보강리브부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 보강리브부들에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들을 끼운 상태에서 패널(10)을 형성하면, 상기 확장 보강리브부에 의해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 사이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상기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들의 리니어 보강리브(JR)를 따라 길게 연장된 일자형 돌편과 일자형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 및 제2접합돌편(PP)과 제2접합홈부(GP)들을 끼운 상태에서 패널(10)을 형성한 다음에는 패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의 접합부분들이 길게 형성된 구조가 되어서 패널(10)의 길이 방향 강도를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는 내표면에 리니어 보강리브(JR)들과 직교하는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한 상태에서 패널(10)의 내부에는 리니어 보강리브(JR)들과 와이드 보강리브(HR)들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패널(10)의 제조 이후에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와이드 보강리브(HR)들에 의해 패널(10)을 종횡으로 견고하게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하면서도 패널(10) 내부에는 비어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패널(10) 자체의 중량도 줄일 수 있으며, 패널(10) 제작을 위한 재료 절감으로 패널(10)의 단가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표면에는 외부 단턱부를 형성한다.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한쪽 단부의 내외표면 사이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하여서 상기 외부 단턱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패널(10)을 창문에 설치할 때에 패널(10)의 외부 단턱부가 있는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어댑터를 끼워주는데, 상기 어댑터가 패널(10)의 외표면에서 돌출된 높이와 패널(10)의 외부 단턱부가 패널(10)의 외표면에서 돌출된 높이가 같기 때문에, 상기 패널(10)을 창문에 어댑터를 끼워서 설치한 다음에 미관상 보기가 좋으며, 상기 어댑터 부분과 외부 단턱부로 인하여 패널(10)이 창문에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더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는 외부 단턱부가 형성된 안쪽면에 복수개의 살빼기홈(SP)이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턱부에 의해 창문에 설치된 패널(10)의 외관이 좋고 창문과의 결합 부분의 강도를 높여주는 것에 더하여서 상기 살빼기홈(SP) 부분만큼 재료를 절감하게 되어서 제조 단가를 더 낮추어주는 시너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열경화성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견고성, 내후성(특히 태양열)이 우수하다.
반반씩 성형하여 조립홈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형태를 통하여 창문틀에 끼울 수 있는 요철 형상을 갖는 테두리를 형성한다. 반반씩 성형한다는 것은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형성한다는 것이고, 조립홈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한다는 것은 제1접합홈부(GP)와 제2접합홈부(GP)에 제2접합돌편(PP)과 제1접합돌편(PP)을 각각 끼워서 접착제로 접합하여 조립한다는 것이고, 요철 형상을 갖는 테두리는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를 접합하여 조립한 패널(10)의 둘레부에 홈부가 형성되도록 한다는 것으로서, 창문틀에 패널(10)의 홈부를 끼워서 창문틀에 패널(10)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설치 조건에 따라 맞춤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폭 300mm로 생산되는 패널(10)은 조립면에 암수가 형성되어 원하는 폭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하다. 상기 암수가 형성된다는 것은 패널(10)의 좌우 측면에 각각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여 조립되는 패널(10)들의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을 끼워 맞춰줄 수 있게 된다.
어댑터를 이용하여 창문의 크기에 맞도록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이 용이한 구조이다. 창문의 크기라 함은 창문의 상하 높이로서 패널(10)을 창문의 높이에 맞추어서 절단할 때가 있는데, 상기 패널(10)의 내부에 비어있는 복수개의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리니어 보강리브(JR)의 일부만 절단하고 패널(10) 양면판만을 절단하면 되므로, 어댑터를 이용하여 창문의 크기에 맞도록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접합돌편(PP)과 제2접합돌편(PP)은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양면 사이의 두께가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 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홈부(GP)와 제2접합홈부(GP)는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내부 양면 사이의 폭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 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접합돌편(PP)과 제2접합돌편(PP)을 제2접합홈부(GP)와 제1접합홈부(GP)에 삽입할 때에 테이퍼로 인하여 보다 쉽고 정확하게 삽입이 가능하므로,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의 접합에 의해 패널(10)을 형성하기가 보다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패널 12. 제1패널부재
14. 제2패널부재 PP. 접합돌편
GP. 접합홈부 SP. 살빼기홈
DP. 두께 보강부 CP. 홈포밍편
PF. 돌편 포밍편 CF. 크로스 돌편 포밍편
BD. 접착제

Claims (12)

  1.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와이드 보강리브(HR)가 구비된 한 쌍의 패널부재를 내표면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부재는 제1패널부재(12)와 제2패널부재(14)로 구성되어, 상기 제1패널부재(12)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1접합돌편(PP)과 제1접합홈부(GP)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안쪽면에 구비된 제2접합홈부(GP)와 제2접합돌편(PP)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의 양쪽 측면에 사이드 홈부와 사이드 돌편이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패널(10)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을 복수개로 이웃하도록 확장하여 설치할 때에 상기 사이드 홈부와 상기 사이드 돌편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10)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는 내표면에 종횡으로 복수개의 리니어 보강리브(JR)와 와이드 보강리브(HR)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에 상기 접합돌편(PP)과 상기 접합홈부(GP)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JR)들에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1접합홈부(GP) 및 상기 제2접합홈부(GP)와 상기 제2접합돌편(PP)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돌편(PP)이 상기 제2접합홈부(GP)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접합돌편(PP)이 상기 제1접합홈부(GP)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1접합홈부(GP) 및 상기 제2접합홈부(GP)와 상기 제2접합돌편(PP)이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2접합돌편(PP)이 상기 제2접합홈부(GP)와 상기 제1접합홈부(GP)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며, 상기 스페이스에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접착제로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2접합돌편(PP)을 상기 제2접합홈부(GP)와 상기 제1접합홈부(GP)에 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JR)들에는 양면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양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확장 보강리브부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 보강리브부들에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1접합홈부(GP) 및 상기 제2접합돌편(PP)과 상기 제2접합홈부(GP)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돌편(PP)과 상기 제1접합홈부(GP) 및 상기 제2접합돌편(PP)과 상기 제2접합홈부(GP)는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들의 리니어 보강리브(JR)를 따라 길게 연장된 일자형 돌편과 일자형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는 내표면에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JR)들과 직교하는 복수개의 와이드 보강리브(HR)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를 접합하여 패널(10)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10)의 내부에는 상기 리니어 보강리브(JR)들과 상기 와이드 보강리브(HR)들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부재(12)와 상기 제2패널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와 인접한 외표면에는 외부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KR1020190102817A 2019-08-22 2019-08-22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KR2021002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17A KR20210024331A (ko) 2019-08-22 2019-08-22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17A KR20210024331A (ko) 2019-08-22 2019-08-22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31A true KR20210024331A (ko) 2021-03-05

Family

ID=7516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17A KR20210024331A (ko) 2019-08-22 2019-08-22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33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61B1 (ko) 1995-06-08 1998-07-01 김광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구조
KR19980047721U (ko) 1996-12-28 1998-09-25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구조
KR100299823B1 (ko) 1998-01-20 2001-11-22 윤종용 창문형공기조화기의덕트
KR100577479B1 (ko) 2003-12-1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조장치 및 그 공조 장치가 이용되는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61B1 (ko) 1995-06-08 1998-07-01 김광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구조
KR19980047721U (ko) 1996-12-28 1998-09-25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구조
KR100299823B1 (ko) 1998-01-20 2001-11-22 윤종용 창문형공기조화기의덕트
KR100577479B1 (ko) 2003-12-1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조장치 및 그 공조 장치가 이용되는 공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726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KR101456359B1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20210024331A (ko) 실내 공기순환 급배기 덕트 설치용 패널 제조방법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101830354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EP2937484A1 (en) Corner joint
KR101933133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KR100889360B1 (ko) 커튼 월의 3차원 조립식 연결재의 시공방법
KR20100103168A (ko) 모듈러 건축물용 모듈 유닛
KR200269692Y1 (ko)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20200000577U (ko) 조립 패널 결합용 압출형재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1320940B1 (ko)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KR200485238Y1 (ko) 연속 연결 사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블라인드 패널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429021B1 (ko) 칸막이용 패널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CN220226071U (zh) 一种墙体阴角组合式金属收口件
CN216109533U (zh) 金属铝合金型材制作的壁龛
KR20130023454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JP6830709B1 (ja) ログハウス
CN215442690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墙板及其墙体系统
KR102567471B1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