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34A -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34A
KR20210023734A KR1020200103873A KR20200103873A KR20210023734A KR 20210023734 A KR20210023734 A KR 20210023734A KR 1020200103873 A KR1020200103873 A KR 1020200103873A KR 20200103873 A KR20200103873 A KR 20200103873A KR 20210023734 A KR20210023734 A KR 2021002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ignal contact
shield
conne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트 드로에스베케
폴 피그만스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8Twisted pai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로서,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기다란 신호 접점을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접점은 상기 커넥터를 정합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와, 상기 신호 접점을 케이블의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커넥터.

Description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본 개시내용은 자동차 적용, 바람직하게 멀티 GHz 적용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H-MTD®(High Speed Modular Twisted-Pair-Data)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소위 H-MTD® 시스템은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라는 회사에서 생산된다. 상기 시스템의 커넥터는 작은 패키지 사이즈를 가지면서 최대 15 GHz 또는 20 Gbps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H-MTD® 시스템에 대한 적용은 4K 카메라 시스템(4K camera systems), 자율 주행(autonomous driving),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고해상도 디스플레이(high-resolution display) 및 리어 시트 엔터테인먼트(rear seat entertainment)이다.
차동 임피던스 정합(differential impedance match)을 개선함으로써 신호 무결성을 개선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더 긴 거리를 위해 케이블을 원래의 형태로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로서,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기다란 신호 접점을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접점은 상기 커넥터를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와, 상기 신호 접점을 케이블의 각각의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기본적인 사상은 상기 내부 신호 접점들 사이의 거리 변화가 상기 내부 신호 접점의 메인 연장부를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기다란 신호 접점을 형성 또는 배치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기다란 신호 접점에 상기 와이어를 부착하도록 상기 와이어가 분리될 필요가 있기 전에 상기 케이블을 원래 형태로 더 길게 유지하게 한다.
실시예들이 종속항, 설명 및 도면에 제공된다.
특히,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요건을 여전히 만족시키면서 와이어를 그 원래 거리에서 서로 더 길에 유지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는 2 mm일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는 1.5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신호 접점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신호 접점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호 접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이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신호 접점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거울 대칭, 특히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이다.
상기 커넥터를 정합 수형 커넥터 내에 간단하게 플러깅할 수 있기 위해,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는 튜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에 와이어를 쉽게 부착할 수 있기 위해,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는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는 와이어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크림핑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와이어에 용접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신호 접점은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내부 신호 접점은 상기 커넥터의 조립을 단순화하는 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접점 양자는 절연 요소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인다. 상기 절연 요소는 단일 부품으로 또는 복수의 연결가능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요소는 상기 신호 접점이 조립 동안에 삽입되는 사전 제조된 요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신호 접점은 상기 절연 요소를 형성하는 절연 재료에 의해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접점 각각은 후크 또는 딤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축방향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임의의 또 다른 부품에 대한 필요성 없이 상기 신호 접점의 축방향 고정을 허용한다.
상기 축방향 고정 수단은 상기 제1 연결부과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중간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는 평탄한 시트 금속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축방향 고정 수단은 상기 중간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신호 접점을 로킹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킹 요소는 상기 절연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킹 요소는 상기 절연 요소와 일체 형성된 탄성 아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아암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절연 요소는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잇으며, 그 부품 중 하나는 상기 로킹 요소로서 기능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제1 로킹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접점은 대응하는 제2 로킹면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킹면은 상기 신호 접점의 평행하게 배치된 에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면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해 본질적으로 면할 수 있고, 상기 제2 로킹은 상기 제2 연결부(18)를 향해 본질적으로 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로킹면의 법선 벡터는 축방향에 대해 -20 내지 20도, 특히 -10 내지 10도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차폐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 접점은 상기 로킹 요소가 반경방향으로 차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 접점은 상기 로킹 요소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기능이 이하의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조립 설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조립 설명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중 2개를 갖는 2-포트 커넥터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중 4개를 갖는 4-포트 2-열 커넥터이다.
도 6a는 근위 측에서의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점선을 따른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근위 측에서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점선을 따른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커넥터의 크림프 섹션이 외측 크림핑 튜브에 의해 덮인 커넥터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점선을 따른 도 10a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신호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절연 요소에 내장된 도 11a의 내부 신호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신호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각각의 절연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 도 12a의 내부 신호 접점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오버몰딩된 신호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외측 차폐부에 배치된 도 13a의 오버몰딩된 신호 접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요소에 내장된 신호 접점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요소에 내장된 신호 접점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은 커넥터(10)의 플러그 또는 축방향(14)을 따라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기다란 내부 신호 접점(12)을 포함하는 커넥터(10), 특히 암형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신호 접점(12)은 커넥터(10)를 정합 커넥터, 특히 정합 수형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6)와, 신호 접점(12)을 케이블(22)의 각각의 전도체 또는 와이어(20)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18)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2가지의 대안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8)는 2개의 크림핑 윙(24)을 갖는 크림핑부(18a)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 개구(26)를 갖는 용접부(18b)로서 형성될 수 있다. 용접 개구(26)는 레이저 용접을 통해 케이블(22)의 각각의 전도체 또는 와이어(20)에 신호 접점(12)을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블(22)의 각각의 전도체 또는 와이어(20)에 신호 접점(12)을 연결하는데 저항 용접이 이용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접점(12) 주위에는 절연 하우징(di-electric housing)으로 지칭될 수 있는 절연 요소(28)가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연 요소(28)는 2개의 개별 부분(28a, 28b)으로 구성된다. 절연 요소(28)의 제1 및 제2 부분(28a, 28b)은 클릭-온 연결(click-on connection), 즉 스냅 핏 결합(snap fit engagement)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제2 부분(28b)은 커넥터(10)가 정합 커넥터에 연결될 때 내부 신호 접점(12)이 그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신호 접점(12)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도 14 및 15와 관련하여 제공될 것이다.
커넥터(10)는 외측 차폐 접점(34)을 함께 형성하는 하프 쉘로 형성된 제1 차폐부(30) 및 제2 차폐부(32)를 더 포함한다. 외측 차폐 접점(34)은 내부 신호 접점(12)과 절연 요소(28)를 둘러싸서 간섭 신호에 대한 쉴드를 제공한다. 그러나, 외측 차폐 접점(34)은 또한 전력을 이송하기 위한 전기 전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0)의 원위 단부(36)에서, 외측 차폐 접점(34)은 도 8 및 9에 대해 더 상세히 논의되는 복수의 차폐 접점(38)을 포함한다. 커넥터(10)의 근위 단부(40)에서, 제1 차폐부(30)는 도 7b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논의되는 커버(42)를 형성한다. 제2 차폐부(32)는 커넥터(10)의 근위 단부(40)에서 크림핑부(44)를 형성하여 외측 차폐 접점(34)을 케이블(22)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1 및 제2 차폐부(30, 32)는 각각 윙(46, 48)를 드러내서, 내측 쉴드(50)와, 상기 내측 쉴드(50)와 중첩되는 외측 쉴드(52)를 형성한다. 내측 및 외측 쉴드(50, 52)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도 6a 및 6b와 관련하여 제공된다.
제1 차폐부(30)와 제2 차폐부(32) 사이의 연결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제1 커버부(56) 및 제2 커버부(58)를 포함하는 커버(54)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 주위에 배치되어, 특히 클릭-온 연결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커버 부(56, 58)는 C-자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각각이 제1 차폐부(30) 및 제2 차폐부(32)의 절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케이블(22) 주위에 배치된 내측 크림프 페룰(60)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커넥터(10)에 대한 조립 설명을 도시한다. 제1 단계에서, 내측 크림프 페룰(60)은 케이블(22)에 크림핑된다. 내측 크림프 페룰(60)은 보호층(61)이 케이블(22)의 최외층인 케이블(22)의 부분(22a) 주위에 크림핑되는 제1 부분(60a)을 갖는다. 내측 크림프 페룰(60)은 케이블(22)의 쉴드층(62)이 최외층인, 즉 보호층(61)이 제거된 케이블(22)의 부분(22b) 주위에 형성된 제2 부분을 더 갖는다. 내측 크림프 페룰(60)이 케이블(22)에 연결된 후, 쉴드층(62)은 내측 크림프 페룰(60)을 넘어 후방으로 접힌다. 또한, 케이블(22)의 단부 섹션(22c)은 케이블(22)의 전도체 또는 와이어(20)가 더 이상 절연 재료로 둘러싸이지 않도록 스트리핑된다. 다음 단계에서, 내부 신호 접점(12)은 와이어(20)의 스트리핑된 섹션(22c)에 연결된다. 내부 신호 접점(12)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림핑을 통해 연결되지만, 내부 신호 접점(12)과 와이어(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결이 확립되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단계의 사이클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2개의 내부 신호 접점(12)은 와이어(20)의 스트리핑된 섹션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접점(12)이 와이어(20)에 부착된 후, 절연 요소(28)의 제1 부분(28a)은 축방향(14)으로부터 내부 신호 접점(12) 상에 놓여져서 내부 신호 접점(12)이 절연 요소(28)의 제1 부분(28a)의 축방향 채널(64)에서 동화된다. 이어서, 절연 요소(28)의 제2 부분(28b)은 반경방향으로부터 절연 요소(28)의 제1 부분(28a) 상에 클릭 온된다. 이에 의해, 내부 신호 접점(12)은 절연 요소(28)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절연 요소(28)가 내부 신호 접점(12)에 연결된 후, 제1 차폐부(30)는 절연 요소(28)의 원위 단부로부터 쉴드층(62)이 케이블(22)의 보호층(61) 상으로 후방으로 접히는 케이블(22)의 섹션으로 연장되는 섹션 상에 위치된다. 제1 차폐부(30)를 절연 요소(28)에 연결하기 위해, 제1 차폐부(30)는 절연 요소(28) 주위에서 굴곡된 2개의 연결 윙(66)을 포함하여 제1 차폐부(30)를 절연 요소(28) 상에 반경방향으로 고정한다. 제1 차폐부(30)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차단 요소(68)는 절연 요소(28)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차단 요소(68)는 제1 차폐부(30)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기 위해 연결 윙(66)과 결합한다. 또한, 와이어(20)들 간의 거리가 증가하기 직전의 케에블(22)의 섹션에서, 차폐 윙(46)은 케이블(22) 상에 배치되어 와이어(22) 및 그 각각의 절연부 주위에서 거의 줄곧 굴곡된다(도 6b 참조). 제1 차폐부(30)를 절연 요소(28) 및 케이블(22) 상에 배치함으로써, 커버(42)는 쉴드층(62)의 후방 접힘부와 접촉한다.
조립 방법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조립체가 도면에서 전환된다. 그러나, 이는 생산에서 필요한 단계는 아니다.
제1 차폐부(30)가 절연 요소(28) 및 케이블(22)에 단단히 고정된 후, 제2 차폐부(32)는 반대의 반경방향 측으로부터 조립체에 부착된다. 제2 차폐부(32)는 제1 차폐부(30) 주위로 굴곡된 연결 윙(70)를 포함하여 제2 차폐부(32)를 제1 차폐부(30) 상에 반경방향으로 고정한다. 축방향(1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홈(72)은 제2 차폐부(32)의 연결 윙(70)이 위치되는 제1 차폐부(3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차폐부(32)는 제1 차폐부(30)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차폐 접점(34)의 다소 매끄러운 외부 표면이 생성된다.
제2 차폐부(32)는 윙(46)의 섹션에 대응하는 축방향 섹션에 위치된 윙(48)을 더 포함한다. 소위 "EMC-래버린스", 즉 간섭 신호가 데드 상태에 있는 쉴드를 구현하기 위해, 윙(46)과 동일한 제2 윙(48)은 케이블(22)의 각 섹션을 거의 완전히 둘러싸도록 굴곡된다. 제1 및 제2 차폐부(30, 32)가 반대 측으로부터 케이블 주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윙(46, 48)의 주변 단부 섹션(46a, 46b, 48a, 48b)들 사이의 축방향 섹션에 적어도 존재하는 갭(74, 75)(도 6b 참조)은 케이블(22)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제2 차폐부(32)는 또한 대응하는 축방향 섹션에서 제1 차폐부(30)의 커버(42)의 섹션에 배치된 크림핑부(44)를 포함한다. 크림핑부(44)는 케이블(22) 및 제1 차폐부(30)의 커버(42) 주위에서 굴곡된 2개의 크림프 윙(44a, 44b)을 포함한다. 크림프 윙(44a, 44b)은 대응하는 주변 단부(45a, 45b)를 형성한다. 커버(42)는 크림프 윙(44a, 44b)이 케이블(22) 주위에서 굴곡되는 동안 쉴드층(62), 통상적으로 브레이드(braid)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커버(42)를 제공하면 케이블에 대한 생산 품질 및 견고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2 차폐부(32)가 제1 차폐부(30)에 고정된 후, 커버(54)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들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및 제2 차폐부(30, 32) 주위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54)는 2개의 부분, 제1 커버부(56) 및 제2 커버부(58)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56)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가 조립체 상에 위치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반경방향으로부터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일부 주위에 위치된다. 또한, 제2 커버부(58)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 및 제1 커버부(56)가 조립체 상에 배치되는 방향과 상이한 반경방향으로부터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일부 주위에 위치된다. 특히, 제1 및 제2 커버부(56, 58)는 반대의 반경방향들로부터 제1 및 제2 차폐부(30, 32)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커버부(56, 58)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연결 수단, 특히 스냅 핏 결합 수단으로 제1 및 제2 커버부(56, 58)에 제공된다.
제1 및 제2 커버부(56, 58)가 서로 연결된 후, 제1 및 제2 차폐부(30, 32)는 용접 위치(76)에서 함께 용접된다. 이어서,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78), 특히 암형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78)은 전술한 H-MTD® 시스템에 대해 설정된 표준을 준수한다. 커넥터 하우징(78)을 커넥터(10)에 부착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78)은 푸셔 형태의 단자 위치 보증(TPA)(80)을 포함한다. 푸셔(80)는 커넥터 하우징(78) 내로 반경방향으로 푸시되어 커넥터 하우징(78)을 커넥터(10)에 축방향으로 연결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에 대한 조립 설명을 도시한다. 조립 방법에 따르면, 내부 신호 접점(12)은 절연 요소(28)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예에서, 절연 요소(28)는 단일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절연 요소(28)에서, 내부 신호 접점(12)을 수용하는 2개의 축방향 연장 통로 개구(64)가 형성된다. 내부 신호 접점(1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락 연결에 의해 절연 요소(28)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접점(12)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신호 접점(12) 상에 형성되고 절연 요소(28)와 간섭하는 후크(103)(도 12a) 또는 딤플에 의해 절연 요소(28)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립 기계에 의해 제어되는 삽입 깊이는 양자의 내부 신호 접점(12)이 절연 요소(28)에 동일한 거리로 삽입되도록 보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접점(12)이 절연 요소(28)와 사전 조립된 후, 내부 신호 접점(12)은 레이저 또는 저항 용접에 의해 와이어(20)에 연결된다.
내부 신호 접점(12)이 와이어(20)에 연결된 후, 제1 차폐부(30)는 절연 요소(28) 및 케이블(22) 주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2a 내지 도 2c에 관해 기술된 조립 공정에 비해, 절연 요소(28) 주위에 우선 배치된 차폐부(30)는 크림프 윙(44a, 44b)을 갖는다. 조립 공정의 두 번째 차이점은 도 3의 제1 차폐부(30)가 제1 차폐부(30)의 섹션 위에 몰딩된 절연층(82a)을 갖는다는 점이다. 절연층(82a)은 케이블(22)의 2개의 와이어(20)들 사이에 배치된 리브(84)를 포함하여 와이어(20)들 간의 추가적인 절연을 구현한다. 제1 차폐부(30)가 절연 요소(28) 및 케이블(22) 주위에 배치된 후, 제2 차폐부(32)는 절연 요소(28) 및 케이블(22) 주위에 배치된다. 제2 차폐부(32)는 또한 제2 차폐부(32)의 섹션 위에 몰딩된 절연층(82b)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82a, 82b)은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내외측 상에 형성된 절연층(82)을 함께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층(82)은 제1 및 제2 차폐부(30)가 정확하게 함께 결합되는지의 여부 그리고 와이어(20) 및/또는 절연 요소(28)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품질 관리 요소(86)를 형성 할 수 있게 한다.
제2 차폐부(32)를 제1 차폐부(30) 상에 배치한 후, 제1 차폐부(30)의 크림프 윙(44a, 44b)은 제2 차폐부(32)의 커버(42) 주위에 크림핑되고, 제1 및 제2 차폐부(30, 32)는 레이저 용접을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도 4 및 5는 다수의 커넥터(10)를 함께 그룹화하는 방법에 대한 옵션을 도시한다. 도 4에는 2개의 암형 커넥터(10)에 연결된 커넥터 컬렉터 하우징(78)이 도시되어 있다. 커버부(56, 58) 또는 절연층(82a, 82b)(도 3), 특히 그 후방 에지(77)는 컬렉터 하우징(78) 내에 커넥터(10)를 확고하게 로킹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하우징(78) 내에 커넥터(10)의 1차 및 2차 로킹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컬렉터 하우징(78)을 사용하면 자동차의 전기 배선 하네스에 대한 보다 빠른 조립이 가능하다. 도 5에는 2개의 라인 및 2개의 열로 배열된 4개의 커넥터(10)를 취할 수 있는 커넥터 컬렉터 하우징(78)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하우징(78)은 4개의 케이블(22)을 정합 케이블에 한 번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6a 및 6b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윙(46, 48)이 위치되는 커넥터(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상술된 섹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커넥터(10)의 내부 영역에서, 2개의 절연 전도체 또는 와이어(20)는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와이어(20) 주위에서, 내측 쉴드(50)는 제1 차폐부(30)의 윙(46)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쉴드(50)는 와이어(20)를 거의 완전히 둘러싼다. 주변 단부(46a, 46b)들 사이에는 작은 갭(74)만이 남는다.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갭(74)은 전도체(20)의 외부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갭(74)의 반대 측에는, 내측 쉴드(50)가 2개의 와이어(20)의 절연부들 사이의 자유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엠보싱부(88)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쉴드(50)는 2개의 스쿠버 탱크 또는 스쿠버 유리와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쉴드(50) 주위에는 외측 쉴드(52)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쉴드(52)는 내측 쉴드(50)와 유사한 일반적인 형상을 갖지만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윙(48)의 주변 단부(48a, 48b)들 사이에는 제2 갭(75)이 존재한다. 윙(48)의 주변 단부(48a, 48b)들 사이의 갭(75)은 윙(46)에 형성된 엠보싱부(88)의 각도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외측 쉴드(52)는 또한 내측 쉴드(50)의 갭(74)의 각도 위치에 위치된 엠보싱부(89)를 형성한다. 2개의 쉴드(50, 52)는 "EMC-래버린스"를 형성하여 간섭 신호에 대해 와이어(20)에 개선된 차폐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윙(46, 48), 즉 터널 섹션 내의 터널이 위치되는 섹션의 축방향 시작부 및 축방향 단부에서, 갭(74, 75)은 윙(46a, 46b)과 접촉하는 엠보싱부(89)에 의해 폐쇄된다. 윙(46a, 46b)는 커버부(54)를 제1 및 제2 외측 차폐 접점(30, 32) 상에 장착함으로써 엠보싱부(89)에 대해 푸시될 수 있다. 엠보싱부(89)가 터널 섹션 내의 터널의 축방향 시작부 및 축방향 단부에서만 윙(46a 및 46b)와 접촉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엠보싱부는 엠보싱부의 중간 섹션에 비해 축방향 시작부 및 축방향 단부에서 더 크고 그리고/또는 더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차폐 접점(34)에 흐르는 복귀 전류는 임의로 우회할 필요가 없고 신호 전류에 의해 평행하게 그리고 근접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제1 및 제2 차폐부(30, 32)가 케이블(22)에 연결된 커넥터(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단면의 중심에는 2개의 절연 와이어(20)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20) 주위에는 포일(91)이 배치된다. 그 다음, 케이블(22)의 쉴드층(62)은 포일(91) 주위에 배치된다. 케이블(22)의 쉴드층(62)은 브레이드(braid)로서 형성된다. 쉴드층(62) 주위에서, 보통 케이블(22)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케이블(22)의 보호층(61)이 배치된다. 도 7b에 도시된 섹션에서, 내측 크림프 페룰(60)은 보호층(61)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쉴드층(62)은 내측 크림프 페룰(60) 상으로 후방으로 접힌다. 케이블의 상부 섹션에서, 후방으로 접힌 쉴드층(62)의 상부에는, 제1 차폐부(30)의 커버(42)가 배치된다. 커버(42) 및 후방으로 접힌 쉴드층(62)의 상부에는 제2 차폐부(32)의 크림프부(44)가 배치된다. 도 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차폐부(30)의 크림프 윙(44a, 44b)의 주변 단부(45a, 45b)는 커버(42)가 쉴드층(62)을 덮는 각도 섹션에 배치된다. 또한, 쉴드층(62)은 크림프 윙(44a, 44b)의 주변 단부(45a, 45b)로부터 보호된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차폐 접점(34)은 제1 및 제2 차폐부(30, 32)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원위 단부는 상기 원위 단부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반대 측이 동일하게 보이는 거울 대칭이다. 차폐 접점은 타원형이므로 2개의 더 긴 측부 및 2개의 더 짧은 측부를 갖는다. 더 긴 측부에서,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은 대체로 축방향(14)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커넥터(10)의 더 짧은 측부에서, 차폐 접점(38)의 제2 그룹(38b)은 차폐 접점(34) 상에 형성된다. 차폐 접점(38)의 제2 그룹(38b)은 2개의 U-자형 부분(90)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차폐 접점(38b)으로 구성된다. U-자형 부분(90)은 각각의 U-자형 부분(90)의 하부 부분이 차폐 접점(34)의 내부에 배치된 절연 요소(28)에 가장 가깝도록 설계된다. 차폐 접점(38)의 제2 그룹(38b)은 원위 링 요소(92)를 통해 연결된다. 원휘 링 요소(92)는 각각의 제1 및 제2 차폐부(30, 32)의 2개의 제2 그룹 차폐 접점(38b)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링 세그먼트로 형성된다. 원위 링 요소(92)는 차폐 접점의 제1 그룹(38a)을 사전 로딩된 위치에 보유하고, 즉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은 원위 링 요소(92)의 내측을 향해 푸시한다. 또한, 원위 링 요소(92)는 차폐 접점(38a)의 단부가 또 다른 요소에 의해 포획되어 외측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손상될 수 있음을 방지한다. 또한, 각각의 차폐 접점(38)은 각각의 접점(38)의 외부 표면에서의 높이에 의해 한정되는 한정된 접점(94)을 갖는다. 정합 커넥터 내에 커넥터(10)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힘을 낮추기 위해, 접촉 지점(94) 중 일부는 다른 접촉 지점(94)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특히,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의 접촉 지점(94a)은 차폐 접점(38)의 제2 그룹(38b)의 접촉 지점(94b)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은 2개의 별개 타입의 차폐 접점(38a)을 갖고, 제1 타입의 차폐 접점(38a), 즉 2개의 내측 차폐 접점은 제2 타입의 차폐 접점(38a), 즉 2개의 외측 차폐 접점의 접촉 지점과 축방향으로 이격된 접촉 지점(94a)을 갖는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커넥터(10)는 4개의 상부 접점 및 4개의 하부 접점(38a)을 갖는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 대신에, 5개의 상부 접점(38a) 및 5개의 하부 접점(38a)으로 구성된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을 갖는다. 각각의 측부 상의 차폐 접점(38)의 제1 그룹(38a) 중 하나인 5개의 차폐 접점(38)의 중간에 있는 차폐 접점(38a)은 희생 접점으로서 설계된다.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9의 원위 링 요소(92)는 폐쇄 된 링 요소이며, 즉, 링 세그먼트는, 예컨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양자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차폐 접점(38a, 38b)은 서로 대칭적이고 대체로 동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차폐 접점(38a, 38b)은 각각의 제1 또는 제2 차폐부(30, 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원위 링 요소(92)의 세그먼트는 각각의 제1 또는 제2 차폐부(30, 32)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차폐부(30, 32)는 시트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스탬핑/굴곡된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외부 크림핑 튜브(96)가 크림핑부(44) 상에 놓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단면도와 비교하여, 도 10b의 단면도에서, 외부 크림핑 튜브(96)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크림핑 튜브(96)는 커넥터 측 대신에 케이블 측으로부터 크림핑부(44) 상에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축 튜브(미도시), 즉 열이 가해질 때 수축하는 탄성 튜브가 크림핑부(44)를 덮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신호 접점(12)을 도시한다. 2개의 기다란 내부 신호 접점(12)은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내부 신호 접점(12)은 신호 접점(12)을 정합 신호 접점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6)와, 신호 접점(12)을 케이블(22)의 각각의 와이어(20)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18)를 갖는다. 각각의 제1 연결부(16)는 제1 중심축(98)을 갖는 튜브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연결부(16)는 수형 신호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스탬핑 및 롤링된 후방 섹션 내로 용접된 중실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연결부(18)는 케이블의 중심축이 배치되는 제2 중심축(100)을 형성한다. 제1 연결부(16)의 중심축(98)들 간의 거리(A)는 제2 연결부(18)의 중심축(100)들 간의 거리(B)보다 더 길다. 대안적으로, 제1 연결부의 중심축들 간의 거리는 제2 연결부의 중심축들 간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즉, 내부 신호 접점(12)은 피치 변환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2개의 내부 신호 접점(12) 각각은 제1 중심축(98)이 제2 중심축(100)과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 신호 접점(12)의 섹션(102)은 축방향(14)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섹션(102)은 편평한 시트 금속 또는 튜브형 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1b는 도 2a의 절연 요소(28a)에 삽입된 내부 신호 접점(12)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신호 접점(12)을 도시한다. 내부 신호 접점(12)은 후크(103)가 편평한 섹션(102)의 측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1a 및 11b의 내부 신호 접점(12)과 상이하다. 그에 따라, 내부 신호 접점(12)은 도 1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요소(28)에 삽입될 수 있고, 후크(10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신호 접점(12)의 제2 연결부(18)에는 용접 개구(26)가 상측부에 형성되어 내부 신호 접점(12)이 용접,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저항 용접을 통해 케이블(22)의 와이어(20)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크림핑 윙(24)은 제2 연결부(18)에 형성되어 내부 신호 접점(12)이 케이블(22)의 와이어(20)에 크림핑될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요소(28)를 도시한다. 여기서, 절연 요소(28)는 내부 신호 접점(12)을 오버몰딩하여 제조된다. 몰드가 관형 제1 및 제2 연결부(16, 18)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튜브형 부분은 몰딩 공정 동안 밀봉된다. 유사하게, 용접 개구(26) 또는 크림핑 윙(24)은 내부 신호 접점(12)을 나중에 케이블(22)의 와이어(2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오버몰딩되지 않는다.
양자의 내부 신호 접점(12)을 함께 오버몰딩하는 대신에, 각각의 내부 신호 접점(12)을 개별적으로 오버몰딩한 후, 나중에 2개의 내부 신호 접점(12)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절연 요소(28) 내에 내부 신호 접점(12)을 로킹하는 방법에 대한 2가지의 상이한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요소(28)는 탄성 변형가능한 요소의 형태인 로킹 요소(104)를 포함하여, 내부 신호 접점(12)과 절연 요소(14) 사이의 스냅 핏 연결을 축방향(14)으로 형성한다. 로킹 요소(104)는 변형된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다시 스냅핑함으로써 내부 신호 접점(12)의 제2 로킹면(108)과 접촉하는 제1 로킹면(106)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컨대 몰딩에 의해 1-피스 부품으로서 절연 요소(28)를 제조하게 한다.
이에 반해,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10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절연 요소(28)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대신에, 절연 요소(28)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별개 부분(28a, 28b)으로 이루어진 중실형 부분(28b)이다. 절연 요소(28)의 제2 부분(28b)은 로킹 요소(104)로서 기능하고, 따라서 특히 커넥터(10)가 정합 커넥터에 플러깅되어 있을 때, 내부 신호 접점(12)의 제2 로킹면(108)과 접촉하는 제1 로킹면(106)을 포함한다. 일단 외측 차폐 접점(34)이 조립되면, 로킹 요소(104)는 제 위치에서 차단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신호 접점(12)은 시트 금속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접점(12)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내부 신호 접점(12)은 스탬핑/굴곡된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커넥터(10)의 경우, 차동 임피던스 부정합이 적고, 차동 임피던스 부정합의 긴 영역이 적고, 스큐(skew)가 적어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이 개선될 수 있다.
10: 커넥터
12: 내부 신호 접점
14: 플러그 방향
16: 제1 연결부
18: 제2 연결부
20: 와이어
22: 케이블
24: 크링핑 윙
26: 용접 개구
28: 절연 요소
30: 제1 차폐부
32: 제2 차폐부
34: 차폐 접점
36: 원위 단부
38: 차폐 접점
38a: 제1 그룹
38b: 제2 그룹
40: 근위 단부
42: 커버
44: 크림핑부
44a, 44b: 크림프 윙
45a, 45b: 주변 단부
46: 윙
46a, 46b: 주변 단부
48: 윙
48a, 48b: 주변 단부
50: 내측 쉴드
52: 외측 쉴드
54: 커버
56: 제1 커버부
58: 제2 커버부
60: 내측 크림프 페룰
61: 보호층
62: 쉴드층(케이블)
64: 채널
66: 연결 윙
68: 차단 요소
70: 연결 윙
72: 홈
74: 갭
75: 갭
76: 용접 위치
77: 후방 에지
78: 커넥터 하우징
80: 단자 위치 보증(TPA)
82: 절연층
84: 리브
86: 품질 관리 요소
88: 엠보싱부
89: 엠보싱부
90: U-자형 부분
91: 포일
92: 원위 링 요소
94: 접촉 지점
96: 외측 크링핑 튜브
98: 중심축
100: 중심축
102: 섹션
103: 후크
104: 로킹 요소
106: 제1 로킹면
108: 제2 로킹면

Claims (15)

  1.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10)에 있어서,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기다란 신호 접점(12)을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접점(12)은 상기 커넥터(10)를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16)와, 상기 신호 접점(12)을 케이블(22)의 각각의 와이어(20)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18)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16)의 중심축(98)들 사이의 거리(A)는 상기 제2 연결부(18)의 중심축(100)들 사이의 거리(B)와 상이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접점(12)의 제1 연결부(16) 및 제2 연결부(18)는 상기 신호 접점(12)의 축방향(14)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호 접점(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 연결부(16)의 중심축(98)은 상기 제2 연결부(18)의 중심축(100)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신호 접점(12)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거울 대칭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16) 및/또는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18)는 튜브로 형성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18)는 와이어(20)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크림핑 세그먼트(24)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점(12)은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점(12) 양자는 절연 요소(28)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이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28)는 상기 신호 접점(12)이 조립 동안에 삽입되는 사전 제조된 요소인,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점(12)은 상기 절연 요소(28)를 형성하는 절연 재료에 의해 오버몰딩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점(12) 각각은 후크 또는 딤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축방향 고정 수단(103)을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고정 수단(103)은 상기 제1 연결부(16)와 상기 제2 연결부(18)를 연결하는 중간부(102)에 위치되는,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신호 접점(12)을 로킹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104)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104)는 제1 로킹면(106)을 형성하고, 상기 신호 접점(12)은 대응하는 제2 로킹면(108)을 함께 형성하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면(106)은 상기 제1 연결부(16)를 향해 면하고, 상기 제2 로킹면(108)은 상기 제2 연결부(18)를 향해 면하는,
    커넥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요소(104)를 반경방향으로 차단하도록 차폐 접점(34)이 배치되는,
    커넥터.
KR1020200103873A 2019-08-20 2020-08-19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KR20210023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2631.0 2019-08-20
EP19192631.0A EP3783751A1 (en) 2019-08-20 2019-08-20 Connec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34A true KR20210023734A (ko) 2021-03-04

Family

ID=6765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73A KR20210023734A (ko) 2019-08-20 2020-08-19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1352B2 (ko)
EP (1) EP3783751A1 (ko)
KR (1) KR20210023734A (ko)
CN (1) CN112421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741A1 (en) * 2019-08-20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nd assemb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DE102020124893A1 (de) * 2020-09-24 2022-03-24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DE102020132011A1 (de) 2020-12-02 2022-06-02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22203174B3 (de) * 2022-03-31 2023-10-05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Rund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undsteckverbinders
CN117154455B (zh) * 2023-10-27 2024-02-27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一种连接器装置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575A (en) * 1973-11-26 1975-08-26 Amp Inc Plug for patch systems
US4083615A (en) * 1977-01-27 1978-04-11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terminating a flat multi-wire cable
US4277124A (en) * 1979-10-01 1981-07-07 Amp Incorporated Connector having wire-in-slot connecting means and crimped strain relief
US4767345A (en) * 1987-03-27 1988-08-30 Amp Incorporated High-density,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5267878A (en) * 1990-03-05 1993-12-07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shielding cable
US5295871A (en) * 1992-05-29 1994-03-22 Thomas & Betts Corporation High density cable connector assembly
JP3719107B2 (ja) * 2000-06-09 200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6811429B2 (en) * 2001-08-31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noise IDC terminal/pin arrangement for flat ribbon cable connectors
JP3744531B1 (ja) * 2004-05-07 2006-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及び整流素子ユニット
US7914304B2 (en) * 2005-06-30 2011-03-29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ductors having diverging portions
US7717759B2 (en) * 2006-01-06 2010-05-18 J.S.T. Mfg. Co., Ltd.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JP5008492B2 (ja) * 2007-08-01 2012-08-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DE102007061117A1 (de) * 2007-12-19 2009-06-2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Kontaktierung
CN201178206Y (zh) * 2008-02-01 2009-0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KR101079159B1 (ko) * 2009-07-13 2011-11-02 (주)블루젬디앤씨 개선된 구조의 플러그 조립체
CN201708261U (zh) * 2010-04-07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2930591U (zh) 2012-05-31 2013-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9246262B2 (en) * 2012-08-06 2016-01-26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latch assembly with pull tab
CN103794915B (zh) * 2012-10-30 2016-06-1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2017126499A (ja) * 2016-01-14 2017-07-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JP2019175541A (ja) * 2016-08-25 2019-10-1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729272B2 (ja) * 2016-10-12 2020-07-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
JP6974146B2 (ja) * 2017-12-06 2021-12-01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索材の接続構造
FR3074616B1 (fr) * 2017-12-06 2019-11-01 Raydiall Piece d'adaptation d'impedance electrique pour connecteur monte sur cable a fils electriques isoles
JP7011253B2 (ja) * 2018-01-26 2022-01-26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DE102018104253B4 (de) * 2018-02-26 2019-12-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1276A (zh) 2021-02-26
EP3783751A1 (en) 2021-02-24
US20210066856A1 (en) 2021-03-04
CN112421276B (zh) 2022-07-26
US11411352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3734A (ko)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KR20210023727A (ko) 커넥터 및 케이블을 포함하는 조립체
KR20210023730A (ko) 자동차 적용을 위한 커넥터 및 조립체
KR101561777B1 (ko) 확실한 보유 로킹 기능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실드
JP7118675B2 (ja) コンタクトキャリア、電気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既製のケーブルを作製する方法
US20230335956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US20140353029A1 (en) Harness
US11462861B2 (en) Electrical shielding member for a network connector
JP2010165486A (ja) 電線接続ユニット
EP3783754A1 (en) Connec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4917325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712851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3376597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wire to wire connector
US11462342B2 (en) Cable harness assembly with a shielded twisted pair cable
US11996657B2 (en) Connector including male and female connectors
JP2023008874A (ja) 電気マルチコアケーブル圧着フェルール、および圧着方法
WO2023192533A1 (en) Angled subassembly for an angl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CN118249100A (zh) 连接器组件
WO2013001042A1 (en) Assembly of a wire and an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