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438A -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438A
KR20210023438A KR1020190103619A KR20190103619A KR20210023438A KR 20210023438 A KR20210023438 A KR 20210023438A KR 1020190103619 A KR1020190103619 A KR 1020190103619A KR 20190103619 A KR20190103619 A KR 20190103619A KR 20210023438 A KR20210023438 A KR 2021002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payment
unmanned store
payment metho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999B1 (ko
Inventor
공정식
김현욱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to KR102019010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금액에 대하여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A METHOD OF PAYING IN UNMANNED STOR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무인 점포에서 물건을 구입한 후 직접 결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점포(Unmanned store)라고 하면 판매상이 판매 장소에 존재하지 않고 소비자가 구입을 원하는 물건을 가져와서 직접 결제하는 점포를 말한다.
초기의 무인 점포는 판매상이 각 물건의 가격을 고시해 놓고 소비자가 구입 가격만큼 현금 또는 카드 등의 지불수단으로 결제하는 방식이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소비자의 양심에 따라 결제 유무 또는 결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수익성의 측면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아마존 고(Amazon Go)와 같은 최근의 무인 점포는 점포 입구에서부터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소비자가 구입한 물건을 식별하여 카드 또는 미리 설정된 지불 수단으로 결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듯 최근의 무인 점포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으나, 무인 점포 상에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하는 경우, 그 식별이 어렵고 구입 물품에 대한 식별에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불 능력이 없는 소비자에 의한 결제 시도로 인하여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오류 요인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점포에서의 진보된 결제 방법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 점포에서 소비자가 구입 물건을 쉽고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는 다양한 소비자의 구입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점포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가승인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무분별한 입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금액에 대하여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에 의해 서버에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에서 상기 무인 점포의 단말에서 식별된 QR 코드와 연동된 결제 수단을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하고, 상기 결제 수단의 가승인 요청이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상기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새로운 결제 수단에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한다.
또한, 상기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동선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적하고, 상기 동선 상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구매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을 결정하여 구매 금액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장소를 결정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진열대 상의 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해당 진열대 상의 물건을 구매 물품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무인 점포 단말; 상기 무인 점포 단말에 의해서 스캐닝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승인 요청 또는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 수단의 결제 유효성을 검증하여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소비자의 식별된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고, 상기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여, 상기 가승인 요청한 건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취소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구매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수단의 유효성이 없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소비자의 단말에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상기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새로운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 가승인 요청한다.
또한, 상기 무인 점포 단말은 상기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동선을 추적하고, 상기 동선 상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서 구매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을 결정하여 구매 금액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무인 점포 단말은 상기 소비자의 장소에서의 진열대 상의 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진열대 상의 물건을 구매 물품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에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고, 상기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점포에서 점원없이 소비자 혼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소비자의 구매 이력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점포 입장을 위해서는 가승인 결제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분별한 입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식별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금액 결정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에서는 소비자의 스마트폰(100), 무인 점포의 단말(200), 서버(300) 및 카드사 서버(4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로서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구매 물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제 과정까지 스마트폰(100)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점포 내에 직원이 없어도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인 점포 단말(200)은 소비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로서, 일반적인 POS 기기 등에서 카드를 긁히거나 태깅하는 형식이 아닌 무선 상으로 결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300)는 소비자의 단말인 스마트폰(100) 및 무인 점포 단말(200)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사 서버(400)에 해당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각 소비자들의 구매 이력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여 컨텍스트 기반의 유의미한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카드사 서버(400)는 소비자의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카드의 결제 서버로서, 소비자가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으로의 결제를 승인하거나 또는 승인된 결제 건을 취소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400)의 경우, 결제 승인 이력 또는 결제 취소 이력 정보를 소비자의 스마트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결제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S210).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데에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소비자는 무인 점포에 입장을 할 때 소비자의 단말인 스마트폰에 생성된 QR코드를 무인 점포의 기기에 스캐닝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의 스캐닝을 수행하는 기기는 무인 점포의 출입을 담당하는 게이트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매장 입구에 위치한 무인 점포의 결제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QR코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무인 점포의 단말은 소비자의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QR 코드 이미지를 획득하여 서버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점포의 단말에 소비자 QR 코드에 관한 DB를 갖춘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서도 무인 점포의 단말 자체에서 소비자를 식별하고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할 수도 있다.
서버는 무인 점포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고 소비자가 결제 수단으로 등록해 놓은 결제 수단(예, 신용카드)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식별된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할 수 있다(S220). 이 때의 기설정된 금액은 카드사 또는 결제 서비스 수행 주체에서 임의적으로 정한 금액일 수 있다. 이러한 금액은 소비자들의 구매 이력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획득한 금액일 수 있다.
실제로 소비자가 물품을 구매한 경우의 구매 금액은 기설정된 금액보다 클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가승인되는 금액이 담보적 차원에서의 금액을 직접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기설정된 일정 금액을 가승인하는 것은 무인 점포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매장에 직원이 있는 점포의 경우라면,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가승인 절차는 불필요하다.
다만, 무인 점포라는 특별한 전제에서는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받는 것에 대한 안전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승인 절차와 같이 소비자의 결제 수단이 유효한 결제 수단인지 미리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무인 점포의 이러한 특별한 전제는 주로 자판기나 셀프 주유기와 같은 기기에서 많이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셀프 주유를 할 때에도 미리 주유 대금을 결제하고 이후에 주유 대금만큼 주유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결제된 주유 대금을 결제 취소하고 실제 주유된 금액만큼만 결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는 가승인되는 결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후 소비자의 구매에 따른 결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를 미리 검증하는 과정으로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서버는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S230). 소비자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무인 점포 내에 구비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구매 과정은 무인 점포의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서 추적할 수 있다.
무인 점포에 구비된 카메라는 소비자가 출입한 시점부터 소비자 별로 동선을 파악하는 데에 필요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내에는 복수 개의 카메라 기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는 복수 개의 카메라 기기를 통해 획득된 소비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소비자가 어떠한 물품을 구매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소비자의 이동 동선을 추적하여 어떠한 물품에 관심이 있는지 등 구매 전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소비자의 동선 및 동선 상의 진열 물품에 대한 정보를 각 소비자 별로 DB화 되어 유의미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소비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 진열대 상에서 해당 물품을 가져가게 되며, 무인 점포 단말은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를 통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이 구매 물품이 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인 점포 단말에는 진열대 상의 각 물품의 무게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무게가 일정 범위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그 범위 정보까지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캔 음료수와 같은 물품들은 일정 무게로 생산되기 때문에 물품에 따라 무게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계란이나 바나나와 같은 과일의 경우에는 물품마다 무게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무인 점포 단말은 무게의 범위를 가지고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 캔 음료수와 B 캔 음료수의 경우, 서로 다른 물품이지만 동일한 무게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무인 점포 단말은 특정 무게를 기준으로 물품을 특정할 때에 단순히 저울을 통해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동선과 연동하여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가 단순히 물품의 진열 유무만을 결정짓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무인 점포 단말은 저울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와의 조합으로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점포 단말은 저울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어느 물품이 소비자에 의해서 장바구니로 이동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결정된 구매 금액을 결제하기 위하여, 가승인 요청하였던 건을 카드사 서버에 취소 요청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승인된 건의 취소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서버는 다시 카드사 서버에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S240).
상기의 가승인 - 가승인 취소 - 결제 과정에서 카드사 서버는 소비자의 단말에 승인 및 취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수신한 결제 및 결제 취소 정보를 통해서 구매 물품에 대하여 정확한 결제가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승인 - 가승인 취소 - 결제 과정 이외에도 가승인 - 결제 - 가승인 취소 과정도 가능하다. 서버는 소비자의 무인 점포 입장을 위해서 가승인 결제를 요청하고, 구매 금액이 확정되면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한 이후, 처음 가승인 결제 요청했던 건을 취소 요청할 수 있다.
상기의 일련의 결제 과정을 통해서 소비자로서는 본인이 구매한 물품에 대하여 점원의 결제 도움없이 혼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점포 입장에서도 카드를 태깅하는 등 별도의 동작없이 결제를 지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식별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 단말은 결제수단 식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수단 식별부(210)는 스캐닝부(211), 소비자 DB(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캐닝부(211)는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한 소비자 식별 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다. 소비자 식별 정보는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이미지 형식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련의 숫자, 알파벳 또는 이들의 조합 등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이면 충분하다.
결제 수단 식별부(210)는 스캐닝부(211)를 통해 수신한 소비자 식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과정에서 소비자 DB(212)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자 DB(212)는 무인 점포를 이용하려는 소비자가 미리 등록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로서, 소비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소비자 DB(212)에는 소비자 정보로서, 소비자에 관한 성명 또는 ID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등록한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 정보, 과거 구매 이력 정보 등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항목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용카드 또는 계좌이체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로부터 결제 수단의 우선순위라든지 결제를 수행할 수단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결제 요청이 있었을 때 결제 수단을 특정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13)는 무인 점포 단말이 스마트폰,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금액 결정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 단말은 결제금액 결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금액 결정부(220)는 물품 DB(221), 물품 위치 DB(222) 및 통신부(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DB(221)는 무인 점포 내에서 판매하는 각 물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이다. 물품 DB(221)는 각 물품의 수량 정보, 유통기한이 있는 경우 유통기한 정보, 할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품 DB(221)는 각 물품의 무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은 진열대 상에 설치된 저울에서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이 구매 물품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물품의 수량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무게 정보가 필수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진열대 상의 저울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각 물품별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각 물품의 진열대 상의 위치에서 물건이 장바구니에 담기는지 여부만 파악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위치 DB(222)는 무인 점포 내의 어느 진열대에 어떠한 물품이 진열되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위치 DB(222)는 무인 점포 내의 소비자의 동선이 추적되어 소비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의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냉동 코너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무인 점포 단말은 아이스크림, 육류 등 어떠한 물품이 냉동 코너의 어느 위치에 진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단말은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소비자의 동선 및 위치 정보에 따라서 무인 점포 내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어떠한 물품을 장바구니에 담았는지까지 특정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단말은 물품 DB(221) 및 물품 위치 DB(222)와 매칭하여 소비자가 무인 점포 내에서 어떤 물품을 구매하려는지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23)는 무인 점포 단말이 스마트폰,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결제 요청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310)는 결제수단 식별부(311), 승인 확인부(312) 및 통신부(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소비자의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카드사 서버에 승인 요청할 결제 수단을 식별하며 예를 들어, 소비자에 의해서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항목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용카드 또는 계좌이체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로부터 결제 수단의 우선순위라든지 결제를 수행할 수단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결제 요청이 있었을 때 결제 수단을 특정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인 확인부(312)는 카드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을 한 경우에 카드사 서버로부터 이에 대한 승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결제 수단이 어떠한 이유(예, 한도 초과)로 카드사 서버로부터 승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승인 확인부(312)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승인 거절이라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 수단의 가승인 요청이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소비자의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인 확인부(312)는 새로운 결제 수단에 대하여 카드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고, 카드사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승인 확인부(312)는 결제 요청뿐만 아니라, 카드사 서버에 결제 요청한 건에 대한 취소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가승인의 경우, 승인 확인부(312)는 실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가 있기 전에 가승인 건을 취소 요청하여, 가승인 건이 결제 취소되었는지 확인하고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313)는 서버가 스마트폰, 무인 점포 단말, 카드사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 1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스마트폰의 간편 결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무인 점포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 무인 점포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소비자 고유의 QR코드가 생성될 수 있고, 소비자는 생성된 QR코드를 무인 점포의 게이트에 위치한 스캐너에 스캐닝함으로써 무인 점포에 입장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QR코드를 통해 식별한 소비자의 식별 정보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특정하여 AID, BIN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버에서는 기설정된 금액(예, 33,001원)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가승인이 완료된 경우에 소비자에게 무인 점포의 게이트를 열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내에서는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를 통해서 소비자의 동선, 각 위치에서의 머무는 시간, 구매 물품 등의 다양한 쇼핑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무인 점포 단말 및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무인 점포의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 등을 통해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품을 특정할 수 있다. 구매 물품이 확정된 경우에, 서버는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가승인된 건에 대한 취소 요청을 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승인된 건에 대한 취소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는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완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일련의 구매 과정이 완료된다.
카드사 서버에서는 가승인이 이루어진 정보, 가승인된 건이 취소된 정보, 구매 금액이 결제된 정보를 소비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는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완료 처리, 영수증 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가승인 건이 취소되고, 구매 금액에 대한 카드사 서버로의 결제 승인 요청이 거절되는 경우에는, 소비자의 또다른 결제수단(예, 휴대폰 소액결제)으로의 결제를 통해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또한, 본 발명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앞서 설명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소비자 및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것은 앞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며, 서버는 해당 무인 점포에서 결제할 수 있는 최소 금액(예, 1,000원)을 가승인 금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인 점포에 진열된 물품 중에서 최소 가격의 물품이 1,000원인 경우에 무인 점포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1,000원을 가승인 결제할 수 있으며,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무인 점포에서 나가는 경우에는 가승인 결제된 1,000원을 취소함으로써 무인 점포에서의 입장을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소비자의 구매 금액을 확정하여, 확정된 금액에서 가승인된 금액을 공제한 금액을 추가 결제 승인 요청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구매 금액 전체에 대하여 결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에는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의 유효성을 검증한다는 차원에서의 가승인이 의미가 있으며, 실제 구매 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별도의 한도 정보에 관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한도가 초과되지는 않았으나, 한도가 초과하기까지 금액이 소액이거나, 체크카드의 잔액이 소액인 경우에, 서버는 가승인 결제 과정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한도 정보를 소비자 단말인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소비자가 한도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폰
200: 무인 점포 단말
300: 서버
400: 카드사 서버

Claims (11)

  1.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금액에 대하여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에 의해 서버에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 중에서 상기 무인 점포의 단말에서 식별된 QR 코드와 연동된 결제 수단을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하고,
    상기 결제 수단의 가승인 요청이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상기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새로운 결제 수단에 기설정된 금액을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인,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동선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적하고, 상기 동선 상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구매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을 결정하여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장소를 결정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진열대 상의 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해당 진열대 상의 물건을 구매 물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6.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무인 점포 단말;
    상기 무인 점포 단말에 의해서 스캐닝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승인 요청 또는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 수단의 결제 유효성을 검증하여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카드사 서버;
    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결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비자의 식별된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고,
    상기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여, 상기 가승인 요청한 건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취소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구매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수단의 유효성이 없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소비자의 단말에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상기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새로운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카드사 서버로 가승인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점포 단말은 상기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의 무인 점포 내에서의 동선을 추적하고, 상기 동선 상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서 구매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을 결정하여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점포 단말은 상기 소비자의 장소에서의 진열대 상의 무게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진열대 상의 물건을 구매 물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11.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에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고, 상기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KR1020190103619A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KR10226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9A KR102266999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9A KR102266999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38A true KR20210023438A (ko) 2021-03-04
KR102266999B1 KR102266999B1 (ko) 2021-06-18

Family

ID=7517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19A KR102266999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20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소량 구매를 위한 자동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19221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의 무인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19222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 결제를 위한 고객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30001846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341A (ko) * 2004-04-06 2005-10-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대체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저장매체및 기록매체
KR20180001295A (ko) * 2016-06-27 2018-01-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대행 서버 및 결제 단말 장치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101954642B1 (ko) * 2018-07-19 2019-03-06 주식회사 마더테란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60900B1 (ko) * 2018-10-12 2019-03-21 주식회사 에스피씨네트웍스 제품 식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341A (ko) * 2004-04-06 2005-10-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대체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저장매체및 기록매체
KR20180001295A (ko) * 2016-06-27 2018-01-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대행 서버 및 결제 단말 장치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101954642B1 (ko) * 2018-07-19 2019-03-06 주식회사 마더테란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60900B1 (ko) * 2018-10-12 2019-03-21 주식회사 에스피씨네트웍스 제품 식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46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
KR102419220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소량 구매를 위한 자동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19221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의 무인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19222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 결제를 위한 고객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99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999B1 (ko)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CN113628396B (zh) 检验装置及存储介质
US88513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in-aisle scanning
US8751316B1 (en) Customer-controlled point-of-sale on a mobile device
KR20190021183A (ko) 무인 상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76385A1 (en) Mobile Shopping Decision Agent
US20140046831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03325033A (zh) 基于网络的自助结账
US11080771B2 (en) Self-checkout system for bypassing in-store checkout
RU2671753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овара в магазине
US9330382B2 (en) Method to facilitate an in-store audit after issuance of an electronic receipt
US20180047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ing for goods at a door
CN105723391A (zh) 利用码识别的支付服务方法及其系统
KR20070111740A (ko) 고객 정보 인식에 의한 쇼핑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트
KR102238503B1 (ko)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JP2017097776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KR102284988B1 (ko)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KR20190109607A (ko) O2o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021029A (ko) 스마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RU2704740C1 (ru) Способ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в розничных магазинах
KR102532770B1 (ko) 암호화 키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0627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validating payment of in-store purchase offers provided to mobile devices
WO2018051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of online orders
KR102229889B1 (ko) 결제누락 상품의 결제실행 방법
KR20160073942A (ko) 코드 인식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