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988B1 -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988B1
KR102284988B1 KR1020190103620A KR20190103620A KR102284988B1 KR 102284988 B1 KR102284988 B1 KR 102284988B1 KR 1020190103620 A KR1020190103620 A KR 1020190103620A KR 20190103620 A KR20190103620 A KR 20190103620A KR 102284988 B1 KR102284988 B1 KR 10228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rver
consumer
approv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439A (ko
Inventor
공정식
김현욱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to KR102019010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9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9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by micro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의 제2 결제 수단으로 상기 구매 금액을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A METHOD OF PAYING IN UNMANNED STOR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무인 점포에서 물건을 구입한 후 직접 결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점포(Unmanned store)라고 하면 판매상이 판매 장소에 존재하지 않고 소비자가 구입을 원하는 물건을 가져와서 직접 결제하는 점포를 말한다.
초기의 무인 점포는 판매상이 각 물건의 가격을 고시해 놓고 소비자가 구입 가격만큼 현금 또는 카드 등의 지불수단으로 결제하는 방식이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소비자의 양심에 따라 결제 유무 또는 결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수익성의 측면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아마존 고(Amazon Go)와 같은 최근의 무인 점포는 점포 입구에서부터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소비자가 구입한 물건을 식별하여 카드 또는 미리 설정된 지불 수단으로 결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듯 최근의 무인 점포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으나, 무인 점포 상에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하는 경우, 그 식별이 어렵고 구입 물품에 대한 식별에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불 능력이 없는 소비자에 의한 결제 시도로 인하여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오류 요인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점포에서의 진보된 결제 방법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 점포에서 소비자가 구입 물건을 쉽고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이 결제 불가능한 경우에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과정을 완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의 제2 결제 수단으로 상기 구매 금액을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기 이전에,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금액에 대하여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가승인한 건을 취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제 수단 및 상기 제2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상품권, 계좌이체, 휴대폰소액결제, 간편결제, 현금결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가, 상기 구매 금액 전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이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결제 승인이 가능한 경우,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을 제외한 잔액에 대하여 상기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비자에 의해 기설정된 제3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무인 점포 단말; 상기 무인 점포 단말에 의해서 스캐닝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 승인 요청 또는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 수단의 결제 유효성을 검증하여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제1 결제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제2 결제 수단에 대한 제2 결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설정된 금액을 상기 제1 결제 서버에 가승인 요청한 후에,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 결제 수단 및 상기 제2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상품권, 계좌이체, 휴대폰소액결제, 간편결제, 현금결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의 결제 승인 요청이 거절되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 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을 제외한 잔액에 대하여 상기 제2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2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 상기 소비자에 의해 기설정된 제3 결제 수단의 제3 결제 서버에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무인 점포에서 소비자가 구입 물건을 쉽고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이 결제 불가능한 경우에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과정을 완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식별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금액 결정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에서는 소비자의 스마트폰(100), 무인 점포의 단말(200), 서버(300), 1 결제 서버(400) 및 제2 결제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로서는 스마트폰(100)을 통해 구매 물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제 과정까지 스마트폰(100)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점포 내에 직원이 없어도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인 점포 단말(200)은 소비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로서, 일반적인 POS 기기 등에서 카드를 긁히거나 태깅하는 형식이 아닌 무선 상으로 결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300)는 소비자의 단말인 스마트폰(100) 및 무인 점포 단말(200)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결제 서버(400) 또는 제2 결제 서버(500)에 해당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각 소비자들의 구매 이력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저장하여 컨텍스트 기반의 유의미한 정보로 생성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구매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1 결제 서버(400)는 소비자의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제1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서버로서, 소비자가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으로의 결제를 승인하거나 또는 승인된 결제 건을 취소할 수 있다. 제1 결제 서버(400)의 경우, 결제 승인 이력 또는 결제 취소 이력 정보를 소비자의 스마트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2 결제 서버(500)는 소비자의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제2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서버로서, 소비자가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으로의 결제를 승인하거나 또는 승인된 결제 건을 취소할 수 있다. 제2 결제 서버(500) 역시, 결제 승인 이력 또는 결제 취소 이력을 소비자의 스마트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1 결제 서버(400) 및 제2 결제 서버(500)는 동일한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결제 수단 및 제2 결제 수단이 동일 결제 서버에서 승인 또는 취소되는 경우에는 제1 결제 서버(400) 및 제2 결제 서버(500)는 동일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1 결제 수단 및 제2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상품권, 계좌이체, 휴대폰소액결제, 간편결제, 현금결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용카드(credit card)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카드로서, 온라인/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하고, 이를 카드사 서버에서 승인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고, 승인된 결제 건을 카드사 서버에서 취소함으로써 결제가 취소된다. 신용카드 결제의 경우, 소비자의 신용카드 사용 한도액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한도액 이상으로 결제 승인 요청하는 경우에 거절될 수 있다. 또는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카드의 유효성이 없는 경우에도 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체크카드는 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금액이 한도 내에서 결제가 가능한 카드를 말한다. 온라인/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하고, 이를 카드사 서버에서 승인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고, 승인된 결제 건을 카드사 서버에서 취소함으로써 결제가 취소된다. 체크카드 결제의 경우, 소비자의 입금액이 사용 한도액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한도액 초과하여 결제 승인 요청하는 경우에 거절될 수 있다. 신용카드와 마찬가지로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카드의 유효성이 없는 경우에도 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품권 결제수단은 유무형의 상품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백화점 상품권, 모바일 기프티콘 등의 유가 상품권을 의미한다. 상품권의 경우, 이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해당 상품권의 결제 처리 서버에 할 수 있으며, 상품권의 결제 서버에서 유효성 등을 검증하여 상품권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상품권의 유통기한이 지나거나, 이미 사용된 상품권이거나, 상품권의 잔존 금액이 결제 요청 승인 금액 미만인 경우에는 상품권 결제 서버에서 결제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계좌이체는 소비자의 계정에 입금을 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계좌이체의 경우, 무인 점포가 미리 설정해 놓은 무인 점포의 계좌일 수 있으며, 또는 결제 요청이 발생할 때마다 생성되는 가상 계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폰 소액결제는 소비자의 스마트폰의 통신사 서버를 통해 결제되는 것으로, 휴대폰의 사용 요금과 함께 청구된다. 스마트폰 소액결제의 경우, 스마트폰이라는 소비자의 신용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효성 검증없이 스마트폰 상의 간단한 인증 과정을 통해서 결제가 수행된다. 휴대폰 소액결제의 경우에도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나, 소액결제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사 서버에서 결제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간편결제의 경우, 앞서 설명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상품권, 계좌이체 등을 스마트폰 등에서 간단한 인증 등을 통해서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QR코드 등을 통해서 결제 대상을 특정하고 이를 지문인증이나 PIN 번호 인증 등을 하여 소비자가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넓게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현금결제의 경우에는 현금을 수납할 수 있는 기기(예, 자판기)에서 현금을 수납함으로써 구매 금액을 결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현금 결제의 경우, 구매 금액보다 크거나 같은 금액을 기기에 현금으로 투입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하고 차액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현금으로 돌려주거나 가상 계좌 상에 이체함으로써 정산이 마무리된다. 현금의 경우, 위조가 되었는지 확인을 하여야 하며, 또한 소비자를 별도 방법으로 특정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이하에서는, 각 결제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S210). 서버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데에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소비자는 무인 점포에 입장을 할 때 소비자의 단말인 스마트폰에 생성된 QR코드를 무인 점포의 기기에 스캐닝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의 스캐닝을 수행하는 기기는 무인 점포의 출입을 담당하는 게이트 기기일 수 있다. 또는 매장 입구에 위치한 무인 점포의 결제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QR코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무인 점포의 단말은 소비자의 QR 코드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QR 코드 이미지를 획득하여 서버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인 점포의 단말에 소비자 QR 코드에 관한 DB를 갖춘 경우에는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서도 무인 점포의 단말 자체에서 소비자를 식별하고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할 수도 있다.
서버는 무인 점포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고 소비자가 결제 수단으로 등록해 놓은 결제 수단(예, 신용카드)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는 식별된 소비자의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결제 서버에 가승인 요청할 수 있다. 이 때의 기설정된 금액은 카드사 또는 결제 서비스 수행 주체에서 임의적으로 정한 금액일 수 있다. 이러한 금액은 소비자들의 구매 이력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획득한 금액일 수 있다.
실제로 소비자가 물품을 구매한 경우의 구매 금액은 기설정된 금액보다 클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가승인되는 금액이 담보적 차원에서의 금액을 직접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기설정된 일정 금액을 가승인하는 것은 무인 점포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매장에 직원이 있는 점포의 경우라면,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가승인 절차는 불필요하다.
다만, 무인 점포라는 특별한 전제에서는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받는 것에 대한 안전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승인 절차와 같이 소비자의 결제 수단이 유효한 결제 수단인지 미리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무인 점포의 이러한 특별한 전제는 주로 자판기나 셀프 주유기와 같은 기기에서 많이 적용되는데, 예를 들어 셀프 주유를 할 때에도 미리 주유 대금을 결제하고 이후에 주유 대금만큼 주유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결제된 주유 대금을 결제 취소하고 실제 주유된 금액만큼만 결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는 가승인되는 결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후 소비자의 구매에 따른 결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를 미리 검증하는 과정으로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서버는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S220). 소비자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무인 점포 내에 구비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구매 과정은 무인 점포의 다양한 기기들을 통해서 추적할 수 있다.
무인 점포에 구비된 카메라는 소비자가 출입한 시점부터 소비자 별로 동선을 파악하는 데에 필요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내에는 복수 개의 카메라 기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는 복수 개의 카메라 기기를 통해 획득된 소비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소비자가 어떠한 물품을 구매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소비자의 이동 동선을 추적하여 어떠한 물품에 관심이 있는지 등 구매 전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소비자의 동선 및 동선 상의 진열 물품에 대한 정보를 각 소비자 별로 DB화 되어 유의미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소비자가 특정 물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 진열대 상에서 해당 물품을 가져가게 되며, 무인 점포 단말은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를 통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이 구매 물품이 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인 점포 단말에는 진열대 상의 각 물품의 무게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무게가 일정 범위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그 범위 정보까지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캔 음료수와 같은 물품들은 일정 무게로 생산되기 때문에 물품에 따라 무게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계란이나 바나나와 같은 과일의 경우에는 물품마다 무게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무인 점포 단말은 무게의 범위를 가지고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 캔 음료수와 B 캔 음료수의 경우, 서로 다른 물품이지만 동일한 무게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무인 점포 단말은 특정 무게를 기준으로 물품을 특정할 때에 단순히 저울을 통해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동선과 연동하여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가 단순히 물품의 진열 유무만을 결정짓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무인 점포 단말은 저울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와의 조합으로 구매 물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점포 단말은 저울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어느 물품이 소비자에 의해서 장바구니로 이동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결정된 구매 금액을 결제하기 위하여, 가승인 요청하였던 건을 카드사 서버에 취소 요청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승인된 건의 취소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서버는 다시 카드사 서버에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의 가승인 - 취소 - 결제 과정에서 카드사 서버는 소비자의 단말에 승인 및 취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수신한 결제 및 결제 취소 정보를 통해서 구매 물품에 대하여 정확한 결제가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버는 결정된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서버는 결정된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의 결제 서버인 카드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제1 결제 수단에 관한 제1 결제 서버에서 결제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결제 과정이 완료된다. 다만, 제1 결제 서버에서 결제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신용카드의 한도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결제 요청하거나, 신용카드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금지 요청된 경우, 해외에서 사용된 경우 등에는 결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체크카드인 경우, 카드 한도액을 초과하여 결제 요청하거나, 체크카드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결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상품권인 경우에 유통기한이 지나거나, 이미 사용된 상품권이거나, 상품권의 잔존 금액이 결제 요청 승인 금액 미만인 경우에는 결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휴대폰 소액결제인 경우, 인증에 실패하거나 소액 결제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현금 결제인 경우 현금 수납 기기에 현금이 구매 금액보다 적게 입금이 되거나, 현금이 훼손되어 입금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거나, 위조 지폐인 경우에는 결제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상기의 이유와 같은 이유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 서버는 소비자의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제1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이며, 신용카드 결제가 거절된 경우에, 서버는 제2 결제 수단인 휴대폰 소액결제의 통신사 서버에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결제 수단에 관한 결제 서버인 통신사 서버에서는 구매 금액을 승인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의 일련의 결제 과정을 통해서 소비자로서는 본인이 구매한 물품에 대하여 점원의 결제 도움없이 혼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점포 입장에서도 카드를 태깅하거나 하는 별도의 동작없이 결제를 지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식별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 단말은 결제수단 식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수단 식별부(210)는 스캐닝부(211), 소비자 DB(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캐닝부(211)는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한 소비자 식별 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다. 소비자 식별 정보는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이미지 형식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련의 숫자, 알파벳 또는 이들의 조합 등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이면 충분하다.
결제 수단 식별부(210)는 스캐닝부(211)를 통해 수신한 소비자 식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과정에서 소비자 DB(212)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자 DB(212)는 무인 점포를 이용하려는 소비자가 미리 등록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로서, 소비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소비자 DB(212)에는 소비자 정보로서, 소비자에 관한 성명 또는 ID와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등록한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 정보, 과거 구매 이력 정보 등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항목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용카드 또는 계좌이체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로부터 결제 수단의 우선순위라든지 결제를 수행할 수단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결제 요청이 있었을 때 결제 수단을 특정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13)는 무인 점포 단말이 스마트폰,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금액 결정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점포 단말은 결제금액 결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금액 결정부(220)는 물품 DB(221), 물품 위치 DB(222) 및 통신부(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DB(221)는 무인 점포 내에서 판매하는 각 물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이다. 물품 DB(221)는 각 물품의 수량 정보, 유통기한이 있는 경우 유통기한 정보, 할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품 DB(221)는 각 물품의 무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은 진열대 상에 설치된 저울에서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이 구매 물품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물품의 수량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무게 정보가 필수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진열대 상의 저울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각 물품별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각 물품의 진열대 상의 위치에서 물건이 장바구니에 담기는지 여부만 파악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위치 DB(222)는 무인 점포 내의 어느 진열대에 어떠한 물품이 진열되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품 위치 DB(222)는 무인 점포 내의 소비자의 동선이 추적되어 소비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의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냉동 코너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무인 점포 단말은 아이스크림, 육류 등 어떠한 물품이 냉동 코너의 어느 위치에 진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단말은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소비자의 동선 및 위치 정보에 따라서 무인 점포 내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어떠한 물품을 장바구니에 담았는지까지 특정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단말은 물품 DB(221) 및 물품 위치 DB(222)와 매칭하여 소비자가 무인 점포 내에서 어떤 물품을 구매하려는지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223)는 무인 점포 단말이 스마트폰,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결제 요청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 요청부(310)는 결제수단 식별부(311), 승인 확인부(312) 및 통신부(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소비자의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카드사 서버와 같은 결제 서버에 승인 요청할 결제 수단을 식별하며 예를 들어, 소비자에 의해서 결제 수단으로 등록된 항목이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용카드 또는 계좌이체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로부터 결제 수단의 우선순위라든지 결제를 수행할 수단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결제 요청이 있었을 때 결제 수단을 특정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인 확인부(312)는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을 한 경우에 결제 서버로부터 이에 대한 승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결제 수단이 어떠한 이유(예, 한도 초과)로 결제 서버로부터 승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승인 확인부(312)는 결제 서버로부터 승인 거절이라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 수단의 가승인 요청이 승인되지 않는 경우에, 결제수단 식별부(311)는 소비자의 다른 결제 수단을 요청하여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 다른 결제 수단을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인 확인부(312)는 새로운 결제 수단에 대하여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고,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승인 확인부(312)는 결제 요청뿐만 아니라, 결제 서버에 결제 요청한 건에 대한 취소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가승인의 경우, 승인 확인부(312)는 실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가 있기 전에 가승인 건을 취소 요청하여, 가승인 건이 결제 취소되었는지 확인하고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313)는 서버가 스마트폰, 무인 점포 단말, 결제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수단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소비자의 단말에 결제 수단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소비자의 결제 수단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동일한 종류가 복수 개이거나, 서로 다른 결제 방식으로 등록될 수 있다.
소비자는 소비자의 단말에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우선 순위를 등록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설정된 결제 우선 순위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며, 서버는 수신한 결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소비자의 제1 결제수단이 신용카드이며, 제2 결제수단은 휴대폰 소액결제, 제3 결제 수단은 계좌이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순서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우선 순위 정보는 소비자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며, 서버는 선순위 결제 수단이 결제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순위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결제 수단별로 해당 결제 수단에 관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으며, 기프티콘 상품권의 경우, 상품권 처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결정된 구매 금액에 대하여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한다는 정보를 소비자의 단말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는 구매 금액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결제 수단별 혜택 정보, 과거 구매했던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요청이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로부터 거절되는 경우에, 결제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소비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는 거절되는 이유(예, 한도초과, 유효기간 도과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소비자의 단말에 제1 결제 수단에 의한 결제가 거절되었음과 동시에 기설정된 차순위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수행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서버에 차순위 결제 수단 즉, 제2 결제 수단에 대하여 소비자로부터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서버는 휴대폰 소액결제를 제2 결제 수단으로 설정하여 결제 수행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다른 결제 수단은 별도의 결제 수단에 대한 등록 과정이 필요하지만, 휴대폰 소액 결제의 경우에는 간단한 인증 절차만으로 결제를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간편한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결제 수단 및 제2 결제 수단이 동일 종류의 결제 수단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이며 이에 대한 결제 요청이 거절되는 경우 제2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로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서버는 제1 카드사 서버 및 제2 카드사 서버 모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 카드사에서 소비자에게 여러 종류의 카드를 발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카드와 제2 카드 모두 단일 카드사 서버에 의해 결제 승인이 요청될 수 있으며, 즉, 제1 결제 수단의 제1 결제 서버 및 제2 결제 수단의 제2 결제 서버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실패시 계좌이체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인 점포의 경우, 점포의 출구가 고장발생하여 소비자의 퇴장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구매 물품을 가지고 무인 점포에서 나오면서 구매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소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서버는 계좌이체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식별된 소비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소비자는 단말을 통해 계좌이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계좌이체를 수행함으로써 물품 구매의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계좌이체 정보는 무인 점포 관리자의 계좌 정보, 이체 금액, 이체 가능 기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비자의 단말에서는 계좌이체로의 빠른 접근을 위한 메뉴(예, 은행 어플리케이션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빠른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결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스마트폰의 간편 결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무인 점포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 무인 점포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소비자 고유의 QR코드가 생성될 수 있고, 소비자는 생성된 QR코드를 무인 점포의 게이트에 위치한 스캐너에 스캐닝함으로써 무인 점포에 입장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QR코드를 통해 식별한 소비자의 식별 정보에서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특정하여 AID, BIN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버에서는 기설정된 금액(예, 33,001원)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가승인이 완료된 경우에 소비자에게 무인 점포의 게이트를 열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무인 점포 내에서는 무인 점포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를 통해서 소비자의 동선, 각 위치에서의 머무는 시간, 구매 물품 등의 다양한 쇼핑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무인 점포 단말 및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무인 점포의 진열대 상의 저울 기기 등을 통해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품을 특정할 수 있다. 구매 물품이 확정된 경우에, 서버는 구매 물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가승인된 건에 대한 취소 요청을 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로부터 가승인된 건에 대한 취소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는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완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일련의 구매 과정이 완료된다.
카드사 서버에서는 가승인이 이루어진 정보, 가승인된 건이 취소된 정보, 구매 금액이 결제된 정보를 소비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는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완료 처리, 영수증 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가승인 건이 취소되고, 구매 금액에 대한 카드사 서버로의 결제 승인 요청이 거절되는 경우에는, 소비자의 또다른 결제수단(예, 휴대폰 소액결제)으로의 결제를 통해서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앞서 설명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소비자 및 소비자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것은 앞선 설명과 동일하며, 서버는 해당 무인 점포에서 결제할 수 있는 최소 금액(예, 1,000원)을 가승인 금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인 점포에 진열된 물품 중에서 최소 가격의 물품이 1,000원인 경우에 무인 점포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1,000원을 가승인 결제할 수 있으며,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무인 점포에서 나가는 경우에는 가승인 결제된 1,000원을 취소함으로써 무인 점포에서의 입장을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소비자의 구매 금액을 확정하여, 확정된 금액에서 가승인된 금액을 공제한 금액을 추가 결제 승인 요청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구매 금액 전체에 대하여 결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에는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의 유효성을 검증한다는 차원에서의 가승인이 의미가 있으며, 실제 구매 금액을 결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별도의 한도 정보에 관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한도가 초과되지는 않았으나, 한도가 초과하기까지 금액이 소액이거나, 체크카드의 잔액이 소액인 경우에, 서버는 가승인 결제 과정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한도 정보를 소비자 단말인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소비자가 한도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승인된 금액의 결제 수단과 추가 결제되는 금액의 결제 수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무인 점포에 입장하여 신용카드로 30,000원을 가승인한 이후 구매 확정된 금액이 50,000원 이라면 제2 결제수단인 휴대폰 소액결제로 20,000원을 추가 결제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폰
200: 무인 점포 단말
300: 서버
400: 제1 결제 서버
500: 제2 결제 서버

Claims (10)

  1.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서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에 대하여 기설정된 금액을 카드사 서버에 가승인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가승인 완료한 경우에 상기 소비자가 무인 점포의 게이트를 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소비자로부터 특정된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매 금액을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의 단말에 미리 설정된 제2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소비자의 제2 결제수단으로의 결제 요청 승인된 이후에 소비자의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인 통신사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제 수단은 휴대폰 소액결제이고,
    상기 구매 금액은 소비자의 통신 비용과 함께 청구되는 것인,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가,
    상기 구매 금액 전액에 대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이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결제 승인이 가능한 경우,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고,
    상기 구매 금액 중 일부액을 제외한 잔액에 대하여 상기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비자에 의해 기설정된 제3 결제 수단의 결제 서버에 상기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6.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자의 단말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무인 점포 단말;
    상기 무인 점포 단말에 의해서 스캐닝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고, 상기 소비자의 제1 결제 수단을 식별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 승인 요청 또는 취소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 수단의 결제 유효성을 검증하여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제1 결제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1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를 승인 또는 취소하는 제2 결제 수단에 대한 제2 결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가승인 완료 상태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소비자가 무인 점포의 게이트를 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결제 서버로부터의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의 단말에 미리 설정된 제2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소비자의 제2 결제수단으로의 결제 요청 승인된 이후에 상기 제2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결제 수단은 휴대폰 소액결제이고,
    구매 금액은 소비자의 통신 비용과 함께 청구되는 것인,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구매 금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의 결제 승인 요청이 거절되고,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는 구매 금액 중 일부액에 대하여 상기 제1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고,
    구매 금액 중 일부액을 제외한 잔액에 대하여 상기 제2 결제 서버에 결제 승인 요청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
    상기 소비자에 의해 기설정된 제3 결제 수단의 제3 결제 서버에 구매 금액을 결제 승인 요청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시스템.
KR1020190103620A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KR10228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20A KR102284988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20A KR102284988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39A KR20210023439A (ko) 2021-03-04
KR102284988B1 true KR102284988B1 (ko) 2021-08-03

Family

ID=7517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20A KR102284988B1 (ko) 2019-08-23 2019-08-23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97B1 (ko) * 2023-03-08 2023-11-07 주식회사 다인아이앤씨 인공태닝 피부미용 무인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101954642B1 (ko) * 2018-07-19 2019-03-06 주식회사 마더테란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341A (ko) * 2004-04-06 2005-10-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대체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저장매체및 기록매체
KR101620860B1 (ko) * 2014-10-23 2016-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26593B1 (ko) * 2016-06-27 2018-03-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처리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대행 서버 및 결제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KR101954642B1 (ko) * 2018-07-19 2019-03-06 주식회사 마더테란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39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28396B (zh) 检验装置及存储介质
KR102266999B1 (ko)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US20150242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US11080771B2 (en) Self-checkout system for bypassing in-store checkout
US20110276385A1 (en) Mobile Shopping Decision Agent
US20140046831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24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CN102870132A (zh) 用于身份验证和经由支付代理系统的资金转账的系统、设备、和方法
US20140351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RU2671753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овара в магазине
CN107392687A (zh) 自动化零售实现系统
RU2571599C2 (ru) Системы, которые дают нескольким ритейлерам возможность участвовать в программах лимитированного расходования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на основе банковских карт
KR20070111740A (ko) 고객 정보 인식에 의한 쇼핑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트
KR102284988B1 (ko) 무인 점포에서의 결제 방법 및 이에 대한 시스템
WO2002097567A2 (en) Avi for expedited mobile ordering and fulfillment
CN112036804A (zh) 店铺管理装置、电子票据系统及控制方法、介质、设备
US20230098243A1 (en) Third-party retailer delegation for automated-checkout retail environments
WO2018051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of online orders
KR102229889B1 (ko) 결제누락 상품의 결제실행 방법
KR102532770B1 (ko) 암호화 키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31260B1 (ko) 카드결제 수단을 이용한 쿠폰인증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본인인증 택배 서비스 시스템
NZ750900B2 (en) Self-checkout system for bypassing in-store checkout
KR20230008330A (ko) 현금영수증 기능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200017114A (ko)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7120A (ko) 택스 리펀드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