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020A - 시술 받침대 - Google Patents

시술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020A
KR20210023020A KR1020190102599A KR20190102599A KR20210023020A KR 20210023020 A KR20210023020 A KR 20210023020A KR 1020190102599 A KR1020190102599 A KR 1020190102599A KR 20190102599 A KR20190102599 A KR 20190102599A KR 20210023020 A KR20210023020 A KR 2021002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reatment
fixed
movab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128B1 (ko
Inventor
이덕희
황선문
최준호
김태일
신재전
맹준영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2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 A61G13/08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the table being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5Ankle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d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시술 받침대가 개시된다.
시술 받침대는 고정 받침대와, 고정 받침대의 상부에 포개어지거나 고정 받침대에서 연장되도록 고정 받침대의 끝단에 거치 가능한 이동 받침대와, 고정 받침대 또는 이동 받침대에 부착 가능하고 시술 기구의 거치를 위한 거치 홈부를 제공하는 기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술 받침대{SUPPORT FOR MEDICAL INTERVENTIONAL PROCEDURE}
본 발명은 시술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재시술은 영상장치를 통하여 인체 내부를 관찰하면서 의료기구를 체내에 삽입하여, 조직 생검, 확장술, 약물 주입 등 내과적 시술 및 외과적 시술을 진행한다.
중재시술은 흉부, 복부 및 다양한 장기 병소에 대한 조직 생검, 병소 부위의 고주파, 알코올, 냉동, 방사선 국소치료술 등의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각종 스텐트(Stent) 설치 및 도관 설치시 병소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재시술을 위해서 시술 받침대가 사용될 수 있다. 시술 받침대는 시술대에 누워 있는 환자를 적어도 일부 덮은 상태에서, 중재시술에 필요한 시술(바늘 삽입, 도관 설치, 각종 스텐트 시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시술 받침대의 경우, 공간적으로 제약이 있는 수술실에서 시술 받침대의 보관 및 설치가 번거로울 수 있고, 시술 받침대가 편평하지 못하여 시술 받침대 상에서 시술 도구의 거치가 불안정할 수 있고, 환자의 체형에 따라 시술 받침대의 위치/높이 조절이 쉽지 않으며, 특히 환자의 발에 의해 시술 받침대를 환자와 완전히 밀착 시키기 어렵다. 또한 환자에 대한 시술 도중 시술 기구의 위치 변화 및 이탈이 시술 받침대 상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시술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허등록공보 10-1188000호(2012. 09. 26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재 시술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술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술 받침대는, 고정 받침대; 상기 고정 받침대의 상부에 포개어지거나, 상기 고정 받침대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받침대의 단부에 거치 가능한 이동 받침대; 및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에 부착 가능하고, 시술 기구의 거치를 위한 거치 홈부를 제공하는 기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 홀더는 상기 거치 홈부가 형성된 고정편; 및 자력을 통해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에 부착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받침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고정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받침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끝단에 거치 가능하고, 환자의 발이 돌출 가능한 관통홀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이동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측부에 구비되는 이동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받침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이동 받침대가 포개질 때, 상기 손잡이가 삽입 가능한 고정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그 및 상기 이동 레그는, 중공의 실린더; 회전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경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바; 및 상기 승강 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 받침대 및 상기 이동 받침대의 코너 저면부에 마련되고, 시술 받침대가 놓여지는 시술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상기 코너 저면부의 높이 정보를 인가받고, 각각의 코너 저면부 간 높이 비교를 통해, 상기 시술 받침대의 수평 상태를 체크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체크된 상기 수평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는, 환자의 하지측 상태에 대한 투시와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 홀더는 상기 거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의 상면에 고정 가능한 자중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 받침대 및 이동 받침대 간에 포개짐이 가능하므로, 공간적으로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 시술 받침대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의 체형에 따라 시술 받침대의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는 시술대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시술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술에 필요한 시술 도구를 기구 홀더를 통해 시술 받침대 상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술 도중 발생될 수 있는 시술 기구의 위치 변화 및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술 받침대의 편평한 상태를 확인한 후, 레그(고정 레그, 이동 레그)의 높이 조절을 통해 시술 받침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술 받침대 상에서 안정적인 시술 도구의 거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기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기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술 받침대의 이동 받침대가 고정 받침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10)는, 고정 받침대(100)와, 고정 받침대(100)의 끝단에 거치 가능한 이동 받침대(200)와, 시술 기구(W)의 거치를 위한 기구 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받침대(100)는 환자에 대한 시술이 이루어지는 시술대(20) 상에 놓여(거치)질 수 있다. 고정 받침대(100) 상에는 시술에 필요한 각종 의료 기구(미도시)들이 놓여질 수 있다.
고정 받침대(100)는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고정 플레이트(110)와, 고정 플레이트(110)의 양단부(전,후단부)에 마련되는 고정 레그(120)와, 고정 플레이트(110)의 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받침대(100)의 고정 플레이트(110)에는 고정 홈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부(212)는 이동 받침대(200)가 고정 받침대(100)에 포개질 때, 후술하는 이동 받침대(200)의 손잡이(미도시)가 삽입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받침대(200)의 손잡이가 고정 플레이트(110)의 고정 홈부(212)에 삽입되면, 이동 받침대(200)와 고정 받침대(100)는 서로 정확하게 포개져 겹쳐질 수 있다.
고정 레그(120)는 중공의 실린더(401)와, 실린더(401)의 내경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바(402)와, 승강 바(402)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편(40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01)의 내경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승강 바(402)의 외경면에는 암나사산에 맞물려 회전이 가능한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바(402)가 실린더(401)에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승강 바(402)의 수나사산은 실린더(401)의 암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 바(402)는 실린더(401)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 바(402)의 승강에 따른 고정 레그(120)의 길이 조절을 통해, 고정 받침대(100)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고정 레그(12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양단 코너부에 마련되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레그(12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일단 양측 코너부와 타단 양측 코너부에 마련되는 4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고정 레그(120)의 위치 및 개수는, 고정 받침대(100)의 수평 자세 및 무게 균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동 받침대(200)는 시술 받침대의 보관시, 고정 받침대(100)의 상부에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시술을 위해, 이동 받침대(200)는 고정 받침대(100)의 끝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 받침대(100)에서 연장되는 동일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받침대(200)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끝단에 거치 가능한 이동 플레이트(210)와, 이동 플레이트(210)에 마련되는 이동 레그(220)와, 이동 플레이트(210)의 측부에 구비되는 이동 베어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210)의 일단부는 고정 플레이트(110)의 끝단에 거치 가능한 걸림턱부(미도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는 환자의 발이 돌출 가능한 한 쌍의 관통홀(211)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210)의 타단부에는 이동 레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레그(220)는 이동 플레이트(210)의 타단 중앙부에 마련되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레그(220)는 고정 레그(120)와 대응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레그(220)는 중공의 실린더(401)와, 실린더(401)의 내경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바(402)와, 승강 바(402)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편(40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바(402)가 실린더(401)에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승강 바(402)의 수나사산은 실린더(401)의 암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 바(402)는 실린더(401)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 바(402)의 승강에 따른 이동 레그(22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이동 받침대(200)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이동 베어링(230)은 이동 받침대(200)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받침대(200)가 고정 받침대(100)에 포개질 때, 또는 이동 받침대(200)가 고정 받침대(100)에서 펼쳐질 때, 이동 받침대(200)의 이동 베어링(230)은 고정 받침대(100)의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 받침대(100)에 대한 이동 받침대(200)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손잡이(미도시)는 이동 플레이트(210)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는 이동 받침대(200)의 손쉬운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돌출 구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받침대(200)가 고정 받침대(100)에 포개질 때, 손잡이는 고정 받침대(100)의 고정 홈부(212)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스틸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는, 시술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하지측 상태를 검사하거나 실시간으로 하지측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투시가 가능하고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는, 유리 재질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홀더(300)는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 홀더(300)는 고정편(310)과, 고정편(3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310)의 하부에는 스텐트 또는 와이어와 같은 시술 기구(W)의 거치를 위한 거치 홈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320)은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에 기구 홀더(300)를 부착할 수 있다.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 중 하나 이상은 마그네틱(320)이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 기구(W)는 기구 홀더(300)의 거치 홈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구 홀더(300)가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에 부착되므로, 시술 기구(W)는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구 홀더(300)는 거치 홈부(311)가 하면에 형성되는 정육면체 형태로 제공되지만, 기구 홀더(300)는 시술 기구(W)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기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홀더(300)는 상부에 거치 홈부가 형성되는 고정편(3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310)은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의 상면에 고정 가능한 자중을 갖을 수 있다.
물론,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의 상면에 고정되기 위해, 기구 홀더(300)는 고정을 위한 무게를 제공하는 중량물(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기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홀더(300)는 거치 홈부(311)를 상측에 구비하고 마그네틱(320)를 하부에 구비한 원형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구 홀더(300)는 마그네틱(320)을 통해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에 기구 홀더(300)를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기구 홀더(300)는 거치 홈부(311)를 통해, 상측에서 시술 기구(W)를 고정할 수 있다. 기구 홀더(300)가 고정 받침대(100) 또는 이동 받침대(200)에 부착되면, 시술 기구(W)는 기구 홀더(300)의 거치 홈부(311)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설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술 받침대의 이동 받침대가 고정 받침대에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먼저, 환자의 시술을 위해, 시술 받침대(10)를 환자가 누워 있는 시술대(20)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받침대(200)의 관통홀(211)이 환자의 발에 매칭되도록 이동 받침대(200)를 고정 받침대(100)의 끝단에 거치한다. 이때, 이동 받침대(200)의 상면과 고정 받침대(100)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고, 시술 받침대(10)는 전체적인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만일, 시술 받침대(10)가 시술대(20) 상에서 수평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고정 받침대(100)의 고정 레그(120)와 이동 받침대(200)의 이동 레그(2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시술 받침대(10)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시술 받침대(10)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면, 기구 홀더(300)를 시술 받침대(10) 상에 부착하고, 시술에 필요한 시술 기구(W)를 기구 홀더(300)의 거치 홈부(311)에 끼워 고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이 완료되면, 시술 받침대(10)의 보관을 위해, 시술 받침대(10)의 이동 받침대(200)를 고정 받침대(100)에 포갤 수 있다. 이동 받침대(200)가 고정 받침대(100) 상에 포개어지면, 포개어진 시술 받침대(10)는 보관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는, 고정 받침대(100), 이동 받침대(200), 기구 홀더(300), 거리 센서(500), 컨트롤러(600) 및 디스플레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술 받침대는, 거리 센서(500), 컨트롤러(600) 및 디스플레이(700)를 제외하고,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거리 센서(500)는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의 코너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거리 센서(500)는 코너 저면부와 이 코너 저면부에 대향되는 시술대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센서(500)를 통해 측정된 코너 저면부의 높이 정보(시술대와의 거리 정보)는 컨트롤러(600)에 인가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의 코너 저면부의 높이 정보를 거리 센서(500)로부터 인가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각각의 코너 저면부에서 측정된 코너 저면부의 높이를 비교한 후, 시술 받침대의 수평 상태, 다시 말해, 이들 코너 저면부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체크된 시술 받침대의 수평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700)에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서술한 것처럼 이동 레그(220)는 이동 플레이트(210)의 타단 중앙부에 마련되는데, 거리 센서(500)는 이러한 이동 레그(220)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이동 레그(220) 측에서의 이동 플레이트(210)의 높이를 측정하면, 컨트롤러(600)는 이동 레그(220) 측에서의 이동 플레이트(210)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인식하고, 4개의 고정 레그(120)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높이와 상이할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700)는 컨트롤러(600)에서 체크된 수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700)를 통해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의 코너 저면부가 수평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의 코너 저면부가 비 수평 상태이면, 사용자는 고정 레그(120) 또는 이동 레그(220)를 조절하여, 고정 받침대(100) 및 이동 받침대(200)의 코너 저면부를 수평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700) 대신에 알림 장치(미도시)를 통해 컨트롤러(600)에서 체크된 수평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 레그(2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기준 높이를 설정하면, 컨트롤러(600)가 기준 높이와 고정 레그(120)에서의 고정 플레이트(110)의 높이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120)에서의 높이가 기준 높이와 상이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120)에서의 높이가 기준 높이와 상이한 경우, 스피커 등과 같은 알림수단을 통해 제1 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600)는 고정 레그(120)의 높이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복수 개의 고정 레그(120) 중 하나라도 기준 높이에 일치하게 조절된 것으로 인식할 때에는 알림수단을 통해 소리 등의 제2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조절 작업 중에 알림장치가 발생하는 제2 알림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700)를 보지 않고도 조절 작업 중인 고정 레그(120)가 기준 높이에 일치하게 조절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 받침대 및 이동 받침대 간에 포개짐이 가능하므로, 공간적으로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 시술 받침대의 보관이 용이하고, 환자의 체형에 따라 시술 받침대의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시술대에 누워 있는 환자는 편안한 상태에서, 시술을 제공받을 수 있고, 기구 홀더를 통해 시술에 필요한 시술 도구를 시술 받침대 상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술 도중 시술 받침대 상에서 시술 기구의 위치 변화 및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시술 받침대의 편평한 상태를 확인 후, 레그의 높이 조절을 통해 시술 받침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술 받침대 상에서 안정적인 시술 도구의 거치가 가능하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고정 받침대 110 : 고정 플레이트
120 : 고정 레그 130 : 가이드 레일
200 : 이동 받침대 210 : 이동 플레이트
220 : 이동 레그 230 : 이동 베어링
300 : 기구 홀더 401 : 레그
402 : 승강 바 403 : 탄성편
500 : 거리 센서 600 : 컨트롤러
700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고정 받침대;
    상기 고정 받침대의 상부에 포개어지거나, 상기 고정 받침대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 받침대의 단부에 거치 가능한 이동 받침대; 및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에 부착 가능하고, 시술 기구의 거치를 위한 거치 홈부를 제공하는 기구 홀더;를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홀더는
    상기 거치 홈부가 형성된 고정편; 및
    자력을 통해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에 부착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받침대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고정 레그를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받침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끝단에 거치 가능하고, 환자의 발이 돌출 가능한 관통홀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이동 레그;를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측부에 구비되는 이동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받침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이동 받침대가 포개질 때, 상기 손잡이가 삽입 가능한 고정 홈부를 더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그 및 상기 이동 레그는,
    중공의 실린더;
    회전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경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바; 및
    상기 승강 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받침대 및 상기 이동 받침대의 코너 저면부에 마련되고, 시술 받침대가 놓여지는 시술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상기 코너 저면부의 높이 정보를 인가받고, 각각의 코너 저면부 간 높이 비교를 통해, 상기 시술 받침대의 수평 상태를 체크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체크된 상기 수평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는,
    환자의 하지측 상태에 대한 투시와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홀더는
    상기 거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받침대 또는 상기 이동 받침대의 상면에 고정 가능한 자중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시술 받침대.
KR1020190102599A 2019-08-21 2019-08-21 시술 받침대 KR10226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99A KR102263128B1 (ko) 2019-08-21 2019-08-21 시술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99A KR102263128B1 (ko) 2019-08-21 2019-08-21 시술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20A true KR20210023020A (ko) 2021-03-04
KR102263128B1 KR102263128B1 (ko) 2021-06-10

Family

ID=7517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599A KR102263128B1 (ko) 2019-08-21 2019-08-21 시술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923B1 (en) * 2000-11-22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vention bed for a medical imaging device
KR101188000B1 (ko) 2005-11-14 2012-10-05 마쿠에트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수술대용의 환자용 베드
KR20130055944A (ko) * 2011-11-21 2013-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US20130318714A1 (en) * 2009-09-25 2013-12-05 Chun Ho Yu Surgical Station
WO2016005859A1 (en) * 2014-07-09 2016-01-14 Roberto Neri Support device for percutaneous interventions
US20160008199A1 (en) * 2014-07-09 2016-01-14 Roberto Neri Position device for percutaneous intervention
US20170252248A1 (en) * 2014-09-24 2017-09-07 Umano Medical Inc. Tool manipulator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tool for surgical and like uses
KR101862797B1 (ko) * 2017-05-17 2018-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내시경용 중족지관절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923B1 (en) * 2000-11-22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vention bed for a medical imaging device
KR101188000B1 (ko) 2005-11-14 2012-10-05 마쿠에트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수술대용의 환자용 베드
US20130318714A1 (en) * 2009-09-25 2013-12-05 Chun Ho Yu Surgical Station
KR20130055944A (ko) * 2011-11-21 2013-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WO2016005859A1 (en) * 2014-07-09 2016-01-14 Roberto Neri Support device for percutaneous interventions
US20160008199A1 (en) * 2014-07-09 2016-01-14 Roberto Neri Position device for percutaneous intervention
US20170252248A1 (en) * 2014-09-24 2017-09-07 Umano Medical Inc. Tool manipulator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tool for surgical and like uses
KR101862797B1 (ko) * 2017-05-17 2018-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내시경용 중족지관절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28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52B2 (en) Surgical guidance system with low interference metal support structure
AU2018202088A1 (en) Integration between 3d maps and fluoroscopic images
CN106333750B (zh) 用于心脏手术的氟代隐形定位垫结构
US20140021079A1 (en) Surgical instrument caddy
US10893916B2 (en) End effector having line laser mounted therein
AU2019415870B2 (en) Medical robot
JP2011218154A (ja) 医療器具支持ユニット
BR112012025801B1 (pt) equipamento de preparação para preparar um procedimento de influência para influenciar um indivíduo, e método de preparação para preparar um procedimento de influência para influenciar um indivíduo
US9757024B2 (en) Ophthalmic instrument arm assembly having dogleg link for extended reach
JP7408380B2 (ja) 医療機器用の取り付け装置
US8011625B2 (en) Support for medical equipment
KR20210023020A (ko) 시술 받침대
AU2018250525A1 (en) Low profile dual pad magnetic field location system with self tracking
US20130019876A1 (en) Breast Treatment Device
US20230044504A1 (en) Medical appliance that can be set down or hung up
JP2006204444A (ja) 医療用光学台
US8904583B1 (en) Pediatric catheterization collar
US8528136B2 (en) Surgical station
CN109350197B (zh) 颅内血肿微创穿刺术用精准穿刺定位支撑系统
JP6262515B2 (ja) カセッテホルダースタンド
JP3420085B2 (ja) 内視鏡形状検出装置
US20050002521A1 (en) Device for storing a mobile telephone
JP3420084B2 (ja) 内視鏡形状検出装置
CN211243774U (zh) 一种脊柱微创手术体表定位装置
US4772200A (en) Dental work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