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880A -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 Google Patents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880A
KR20210022880A KR1020190102198A KR20190102198A KR20210022880A KR 20210022880 A KR20210022880 A KR 20210022880A KR 1020190102198 A KR1020190102198 A KR 1020190102198A KR 20190102198 A KR20190102198 A KR 20190102198A KR 20210022880 A KR20210022880 A KR 2021002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fundus camera
subjec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796B1 (en
Inventor
연제진
유재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10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79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operating a fundus camera providing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non-examination eyes of an examinee. The method for operating a fundus camera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non-examination eyes of an examinee on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s first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changing a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to confirm the lesion in examination eyes of the examinee; defining the changed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respectively; storing the first coordinate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xaminee; and automatically changing and displaying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xaminee is inputted during the re-examination of the examinee.

Description

맞춤형 외부 타켓을 제공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본 발명은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자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을 제공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providing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a non-examination eye.

안저 카메라는 안저(眼底)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안저에 생긴 출혈, 백반, 종양, 융기, 유두, 또는 유두(乳頭), 혈관, 황반부(黃斑部), 맥락막(脈絡膜) 등의 변화를 검사할 때 사용한다. 안저 카메라를 통해 안저를 정확한 기록하고 이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기간을 두고 촬영한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병변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The fundus camera is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condition of the fundus, and changes in the blood vessels, macula, choroid, etc. Used when testing. Since the fundus camera can accurately record the fundus and preserve it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rend of the lesion by comparing pictures taken over a period of time.

안저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안저의 특정 부위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환자는 안저 카메라에 얼굴을 고정하고 검사자의 지시에 따라 눈을 움직여 특정 방향으로 계속 주시해야 한다. 이처럼 환자의 주시를 유도하기 위해 안저 카메라 내에 내부 타켓을 보여주고 환자가 검사안으로 내부 타겟을 바라 보는 동안 안저 카메라는 검사안의 안저를 촬영하게 된다.In order to photograph a specific area of the fundus during the fundus examination, the patient must fix the face on the fundus camera and move his eye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examiner to keep looking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is way, in order to induce the patient's gaze, the internal target is shown in the fundus camera, and the fundus camera photographs the fundus in the examination eye while the patient looks at the internal target into the examination.

한편 검사안의 시력이 매우 나쁘거나 중심시야 결손이 있는 환자의 경우, 내부 타겟을 전혀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가 검사자의 지시에 따라 주시 방향을 정확히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양질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very poor visual acuity or central vision defect in the test ey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internal target cannot be recognized at al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quality fundus image because the patient cannot accurately move the gaze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examin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 타겟을 인식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해 피검자만의 고유한 시력 또는 시야 상태를 반영하여 안저 검시 시 피검자 맞춤형 외부 타켓을 제공하는 안저 카메라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fundus camera that provides an external target tailored to the subject during fundus examination by reflecting the subject's unique visual acuity or visual field state for a patient whose internal target is difficult to recognize.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구동 방법이 적용된 안저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dus camera to which such a driving method is appli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은, 안저 검사 시 피검자의 비검사안에 대해 외부 타겟을 제공하는 외부타겟 표시부를 구비한 안저 카메라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안저 카메라가, 상기 피검자의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을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검사안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외부 타겟의 변경된 위치 및 크기를 각각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에 상기 제1 좌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driving a fundus camera hav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target for a non-examination eye of a subject during a fundus examination: the fundus Displaying, by a camera,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the subject's non-examination eye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s a first coordinate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so that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Defining the changed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matching and storing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Here, when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during the retesting of the subj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re automatically changed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안저 카메라는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ubject is retested, the fundus camera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based on the first coordinate by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는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타겟을 표시하는 화면부와,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타겟에 대응하는 원거리 타겟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may include a screen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o display the external target, and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on a rear surface to irradiate a distan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target.

상기 제1 좌표는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공간적으로 정의하는 (X, Y, Z) 좌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좌표는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를 평면적으로 정의하는 (X', Y') 좌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rdinates are composed of (X, Y, Z) coordinates that spatially def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and the second coordinates ar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t can be composed of (X', Y') coordinates that define the location in a plane.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외부 타겟의 밝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arget.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는, 피검자의 비검사안에 대해 외부 타겟을 제공하는 외부타겟 표시부를 구비한 안저 카메라로서, 상기 안저 카메라는, 상기 피검자의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을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하고; 상기 피검자의 검사안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고; 상기 외부 타겟의 변경된 위치 및 크기를 각각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로 정의하고;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에 상기 제1 좌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ther task is a fundus camera hav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target for a non-inspection eye of the subject, wherein the fundus camera comprises: the non-examination eye of the subject. Displaying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s a first coordinate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so that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Defining the changed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respectively; Matching and storing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during the retesting of the subj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re automatically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can do.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 content and drawing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저 카메라 및 그의 작동 방법에 의하면, 외부타겟 표시부를 이용해 피검자 맞춤형 외부 타겟을 제공함으로써 안저 검사 시 환자의 주시를 특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검사안의 시력이 나쁘거나 중심시야 결손이 있어서 검사안으로 내부 타겟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검사안이 아닌 다른 눈(즉, 비검사안)을 이용해 주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데, 특히 피검자에 특화된 외부 타겟의 위치, 크기 및 밝기 등을 사전에 정의하고 피검자의 안저 검사 시 외부타겟 표시부를 통해 피검자 맞춤형 외부 타겟을 표시함으로써 피검자 병변에 최적화된 주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타겟 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 타겟의 좌표(제2 좌표)뿐만 아니라, 외부타겟 표시부 자체의 좌표(제1 좌표)를 함께 정의해 둠으로써 피검자마다 보다 정밀하게 주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ndus camera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xternal target tailored to the subject using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patient's gaze in a specific direction during fundus examination. Specifically, if the subject's vision in the test eye is poor or there is a central vision defect and the internal target cannot be recognized by the test eye, the gaze direction can be guided using an eye other than the test eye (ie, non-test eye). By defining the location, size, and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in advance, and displaying an external target customized to the subject through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uring fundus examination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induce a gaze direction optimized for the subject's les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ordinates (second coordinates)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but also the coordinates (first coordinate)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re defined together, so that the gaze direction can be more precisely guided for each subject. I can.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자 맞춤형 내부 타겟의 정보를 별도로 메모하거나 EMR 차트 상에 기입할 필요가 없으며, 추후 피검자의 개인정보 입력 시 자동으로 매칭되는 외부 타겟을 외부타겟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검사 실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피검자가 인지 가능한 부분을 정확히 찾아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마다 외부타겟 표시부의 좌표를 사전에 정의해 둠으로써 안저 검사 재진행 시 외부타겟 표시부의 위치가 기 정의된 좌표의 오차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여 검사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examin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note th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customized internal target or write it on the EMR chart, and when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later, the external target that is automatically matched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to prevent inadvertent inspection mistak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fundus image by accurately finding a part that the subject can recognize. In addition, by pre-defining the coordinates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for each su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feedback to the examin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predefined coordinates when the fundus examination is re-executed.

또한, 본 발명의 외부타겟 표시부는 기존 안저 카메라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안저 카메라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y position of the existing fundus camera,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fundus camera can be upgrad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타겟 표시부를 포함한 안저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타겟 표시부를 포함한 안저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와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타겟 표시부에 표시된 외부내부 타겟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서 외부타겟 표시부를 이용해 원거리 타겟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undus camera includ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ndus camera includ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fundus camera and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n external internal target displayed on a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istant target us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n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타겟 표시부를 포함한 안저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타겟 표시부를 포함한 안저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안저 카메라(100)는 광원부(30), 광학부(31), 카메라부(33), 제어부(34), 메모리(35), 입력부(36), 조작부(40), 안면 받침대(50) 및 외부타겟 표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undus camera includ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ndus camera includ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dus camera 10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30, an optical unit 31, a camera unit 33, a control unit 34, a memory 35, an input unit 36, an operation unit 40, a face holder 50, and an external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arget display unit 60.

광원부(30)는 피검자(10)의 눈, 즉 검사안에 빛을 조사하는 장치로서,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이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30)는 가시광선 대역의 광원 또는 적외선 대역의 광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 is a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eye of the subject 10, that is, during an examination, and may include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provide a light source in a visible light band or a light source in an infrared band.

광학부(31)는 복수의 광학렌즈 및 광학기기로 구성되며, 광원부(30)로부터 발산된 빛을 피검자(10)의 검사안에 전달하거나, 피검자(10)의 안저 이미지를 카메라부(33)에 전달한다. 광학부(31)는 피검자(10)의 검사안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접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unit 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and optical devices, and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into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10, or transmits the fundus image of the subject 10 to the camera unit 33. Deliver. The optical unit 31 may include an eyepiece that is disposed to face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10.

카메라부(33)는 광학부(31)를 통해 전달된 피검자(10)의 안저 또는 망막 이미지를 촬영한다. 촬영된 안저 사진은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33 captures a fundus or retina image of the subject 10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unit 31. The photographed fundus picture may be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a monitor (not shown).

메모리(35)는 촬영된 안저 이미지, 피검자(10)의 개인정보(예를 들어, 인적사항 등), 안저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 외부타겟 표시부(60)에 표시된 외부 타겟의 위치, 크기, 밝기 정도 등을 저장한다.The memory 35 includes a photographed fundus image, personal information (eg, personal information, etc.) of the subject 10,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based on the fundus camera 100, and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Stores the location, size, and brightness level of the external target indicated in ).

입력부(36)는 검사자(12)의 조작에 의해 명령어,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패널,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6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information, and the like by manipulation of the inspector 12,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a touch panel, and a mouse.

조작부(40)는 광원부(30), 광학부(31), 카메라부(33), 외부타겟 표시부(60) 등을 제어하여 각막과의 거리, 동공과의 정렬 상태 등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조이스틱,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40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optical unit 31, the camera unit 33,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etc.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cornea and the alignment state with the pupil.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joystick and a touch panel.

안면 받침대(50)는 피검자(10)의 머리를 고정하는 유닛으로, 피검자의 턱이 놓여지는 턱받침, 피검자의 이마가 접촉하는 이마받침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cial support 50 is a unit that fixes the head of the subject 10, and may include a chin rest on which the subject's chin is placed, a forehead support in which the subject's forehead contacts,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m.

외부타겟 표시부(60)는 플렉시블 케이블(66)을 통해 안저 카메라(100)에 결합되며, 검사자(12)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외부타겟 표시부(60)는 안저 검사 시 감사안의 주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해 비검사안으로 주시할 수 있는 외부 타겟 및/또는 원거리 타겟을 제공한다. 외부타겟 표시부(60)는 전면에 위치하여 외부 타겟을 표시하는 화면부와, 배면에 위치하여 외부 타겟에 대응하는 원거리 타겟을 배면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타겟 표시부(60)의 화면부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피검자(10)의 검사안 대신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켓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타겟 표시부(60)의 광원부는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부는 조사되는 빛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저 카메라(100) 후방 원거리에 배치된 오브젝트 상에도 원거리 타겟을 명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s coupled to the fundus camera 100 through a flexible cable 66, and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can be changed by the inspector 12 or automatically.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provides an external target and/or a distant target that can be viewed as a non-examination eye in order to induce the gaze direction of the audit eye during fundus examinati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screen unit positioned at the front to display an external target, and a light source unit positioned at the rear to irradiate a distan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target in a rear direction. The screen por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image information, and may display an external target guid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non-test eye instead of the test eye of the subject 10. The light source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laser light source. Can be formed.

검사자(12)는 이러한 외부타겟 표시부(60)를 이용하여 피검자(10)의 주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피검자(10)가 외부타겟 표시부(60)의 화면부에 표시된 외부 타겟을 주시하거나 외부타겟 표시부(60)의 광원부에 의해 생성된 원거리 타겟을 주시하는 동안 안저 검사가 수행된다.The examiner 12 can induce the gaze direction of the subject 10 by using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specifically, the subject 10 looks at the external targe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Or, a fundus examination is performed while gaze at a distant targe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위치 감지부(미도시)는 안저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제1 좌표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좌표는 안저 카메라(100)의 소정의 부분을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공간적으로 정의하는 (X, Y, Z) 좌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ion unit (not shown) recogniz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based on the fundus camera 100 and defines this as a first coordinate. Here, the first coordinate may be composed of (X, Y, Z) coordinates that spatially def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bas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undus camera 100.

제어부(34)는 안저 카메라(100)를 이루는 모든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4 controls the oper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fundus camera 100.

안저 카메라(100)는 산동 안저 카메라 또는 무산동 안저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산동 안저 카메라는 안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가시광선 대역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동공의 수축이 발생하므로 인위적으로 산동제를 투여한 후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를 말한다. 무산동 안저 카메라는 안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적외선 대역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동공에 자극이 없어 산동제의 주사 없이 안저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를 말한다.The fundus camera 100 may be configured as a Shandong fundus camera or a Musandong fundus camera. The Shandong fundus camera refers to a device that acquires a fundus image after artificially administering an mydriatic agent because the pupil contracts when a light source in the visible light band is used to acquire a fundus image. Musan-dong fundus camera refers to a device that acquires a fundus image without injection of an mydriatic agent because there is no stimulation in the pupil when an infrared light source is used to acquire a fundus imag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 있어서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정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와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n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fundus camera and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피검자(10)의 검사안이 안저 카메라(100) 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피검자(10)의 비검사안은 안저 카메라(100) 외부에 배치된 외부타겟 표시부(60)를 주시하게 된다. 외부타겟 표시부(60)는 플렉시블 케이블(66)을 통해 안저 카메라(100)에 결합되어 있으며, 검사자(12)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안저 카메라(100)의 위치 감지부는 안저 카메라(100)의 소정의 부분을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안저 카메라(100)의 공간 좌표를 (0, 0, 0)으로 설정한 경우,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제1 좌표를 (x, y, z)로 설정할 수 있다. 검사안의 병변 상태, 비검사안의 시력 상태 등에 따라 피검자마다 주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가 달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를 제1 좌표로 사전에 정의해 두고 추후 재검사 진행 시 이를 기반으로 안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재검사 진행 시, 위치 감지부가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피검자(10)에 대해 기 정의된 제1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검사자(12)에게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3, in a state in which the test eye of the subject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undus camera 100, the non-test eye of the subject 10 looks at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disposed outside the fundus camera 100 It is done.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s coupled to the fundus camera 100 through a flexible cable 66, and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can be changed by the inspector 12 or automaticall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of the fundus camera 100 defines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bas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undus camera 100 as a first coordinate. For example, when the spatial coordinate of the fundus camera 100 is set to (0, 0, 0), the first coordinate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may be set to (x, y, z).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for guiding the gaze direction for each subjec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eye and the visual acuity condition in the non-examination ey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may be previously defined as a first coordinate, and a fundus examin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is when retesting later. If the retest is in progress, 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termin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determines whether it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based on the first coordinate predefined for the subject 10, and calculates the result. It can be provided as feedback to the examiner 12.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외부타겟 표시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타겟 표시부에 표시된 외부내부 타겟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of the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n external internal target displayed on a target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타겟 표시부(60) 상에, 바람직하게는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중앙에, 외부 타겟(62)을 표시하고, 이 상태에서 외부 타겟(62)의 위치를 최초 좌표로 설정한다. 여기서, 외부 타겟(62)의 최초 좌표는 (X', Y')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X좌표 및 Y좌표는 외부타겟 표시부(60)의 화면부 평면을 기준으로 외부 타겟(62)의 위치를 평면적으로 정의한 좌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최초 좌표 (X', Y')를 (0, 0)으로 설정하였다.First, referring to the left side of FIG. 4, the external target 62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preferably in the center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and in this state, the external target 62 Set the location to the initial coordinates. Here, the initial coordinates of the external target 62 may be expressed as (X', Y') coordinates, and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external target 62 are based on the plane of the scree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t is a coordinate that defines the location in a plan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initial coordinates (X', Y') are set to (0, 0).

검사자(12)는 피검자(10) 검사안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조작부(40)를 이용하여 외부 타겟(62)의 위치, 크기 및 밝기를 변경한다. 도 4의 우측 도면은 변경된 외부 타겟(64)을 나타내는데, 외부 타겟(64)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크기도 변경되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외부 타겟(64)의 밝기도 변경할 수 있다. 외부 타겟(24)의 변경된 위치를 제2 좌표로 설정하고, 변경된 크기 및 밝기를 타겟 정보로 설정한다. 여기서, 외부 타겟(64)의 제2 좌표는 (X', Y')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X'좌표 및 Y'좌표는 외부타겟 표시부(60)의 화면부 평면을 기준으로 외부 타겟(64)의 변경된 위치를 평면적으로 정의한 좌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 좌표(X', Y')를 (x', y')로 설정하였다.The examiner 12 changes the position, size, and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2 by using the manipulation unit 40 to enable the examinee 10 to check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The right side view of FIG. 4 shows the changed external target 64, and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64 has been changed, but the size of the external target 64 has also been changed. Also, in some cases, the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4 may be changed. The changed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24 is set as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changed size and brightness are set as target information. Here, the second coordinates of the external target 64 may be expressed as (X', Y') coordinates, and the X'coordinates and Y'coordinates are based on the plane of the scree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t is a coordinate that defines the changed position of 64) in a plan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econd coordinates (X', Y') are set to (x', y').

검사자(12)는 조작부(40) 및/또는 입력부(36)를 이용하여 외부 타겟(64)의 위치, 크기 또는 밝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inspector 12 may control the position, size, or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4 to be changed using the manipulation unit 40 and/or the input unit 36.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 있어서 원거리 타겟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에서 외부타겟 표시부를 이용해 원거리 타겟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a distant target in the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istant target us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n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사자(12)는 조작부(40) 및/또는 입력부(36)를 이용하여 외부타겟 표시부(60)의 배면에 위치한 광원부를 제어하여 안저 카메라(100) 후방 원거리에 배치된 오브젝트(70) 상에 원거리 타겟(6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원거리 타겟(66)은 외부타겟 표시부(60)에 표시된 외부 타겟으로 피검자의 주시 방향 유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inspector 12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using the operation unit 40 and/or the input unit 36 to provide a long distance on the object 70 disposed at a distance behind the fundus camera 100. The target 66 is formed. Such a distant target 66 may be usefully used when the subject's gaze direction is not smoothly guided by the external target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사자(12)는 입력부(36)를 이용해 피검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0).The examiner 12 may inpu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using the input unit 36 (S10).

검사자(12)는 조작부(40)를 이용해 피검자(10)의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62)을 외부타겟 표시부(20) 상에 표시한다.The inspector 12 displays an external target 62 guid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examinee 10 in the non-inspection using the manipulation unit 40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20.

위치 감지부는 안저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한다(S20).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fines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100 as a first coordinate (S20).

검사자(12)는 피검자(10)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조작부(40)를 이용해 외부 타겟(64)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한다(S30). 여기서 조작부(40)는 외부 타겟(64)의 밝기를 더 변경할 수도 있다.The examiner 12 chang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64 using the manipulation unit 40 to enable the lesion of the examinee 10 to be identified (S30). Here, the manipulation unit 40 may further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4.

제어부(34)는 외부 타겟(64)의 변경된 위치를 제2 좌표로 정의하고, 외부 타겟(64)의 변경된 크기 및/또는 밝기를 타겟 정보로 정의한다. 제어부(34)는 피검자(10)의 개인정보에 제1 좌표,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를 매칭시켜 메모리(35)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34 defines the changed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64 as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changed size and/or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4 as targe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34 match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10 with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stores the matching in the memory 35.

추후 피검자(10)에 대한 안저 검사가 다시 진행될 경우, 피검자(10)의 개인정보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34)는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된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를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 상에 외부 타겟(64)의 위치, 크기 또는 밝기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40). When the fundus examination for the subject 10 is performed again in the future,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10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34 performs an external target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 and targe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position, size, or brightness of the external target 64 is automatically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S40).

한편 안저 재검사 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는 이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검사자(12)가 직접 움직여 변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34)가 이동 장치를 구동해 외부타겟 표시부(60)를 기 정의된 제1 좌표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검사자(12)가 직접 외부타겟 표시부(60)를 움직일 경우, 위치 감지부는 안저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기 정의된 제1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검사자(12)에게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만일 검사자(12)가 직접 움직인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위치가 제1 좌표에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출력수단을 통해 그 결과를 검사자(12)에게 통지하여 외부타겟 표시부(60)의 재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undus is retested,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may be changed automatically by a moving device or by a direct movement of the inspector 12. Optionally, the controller 34 may drive the moving device to automatically move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to a predefined first coordinate. Optionally, when the examiner 12 directly moves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termin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100, based on a predefined first coordin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nd provide the result to the inspector 12 as a feedback. I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directly moved by the examiner 12 is out of the error range in the first coordinate, the result is notified to the examiner 12 through the external output means, and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60 is You can request to move agai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0: 피검자
12: 검사자
30: 광원부
31; 광학부
33: 카메라부
34: 제어부
35: 메모리
36: 입력부
40: 조작부
50: 안면 받침대
60: 외부타겟 표시부
100: 안저 카메라
10: subject
12: tester
30: light source unit
31; Optics
33: camera unit
34: control unit
35: memory
36: input
40: control panel
50: face stand
60: external target display
100: fundus camera

Claims (6)

안저 검사 시 피검자의 비검사안에 대해 외부 타겟을 제공하는 외부타겟 표시부를 구비한 안저 카메라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안저 카메라가,
상기 피검자의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을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검사안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외부 타겟의 변경된 위치 및 크기를 각각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에 상기 제1 좌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
A method of driving a fundus camera hav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target for a non-examination eye of a subject during fundus examination, the fundus camera comprising:
Displaying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the subject's non-examination eye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s a first coordinate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so that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Defining the changed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Including the step of matching and storing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during the retest of the subj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re automatically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안저 카메라는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undus camera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based on the first coordinate by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when the subject is rete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는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타겟을 표시하는 화면부와,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타겟에 대응하는 원거리 타겟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wherei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includes a screen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o display the external target, and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at a rear surface to irradiate a distan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targ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는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공간적으로 정의하는 (X, Y, Z) 좌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좌표는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를 평면적으로 정의하는 (X', Y') 좌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ordinates are composed of (X, Y, Z) coordinates that spatially def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The second coordinate is a method of operating a fundus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X', Y') coordinates that define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in a plane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외부 타겟의 밝기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저 카메라의 작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arge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arget.
피검자의 비검사안에 대해 외부 타겟을 제공하는 외부타겟 표시부를 구비한 안저 카메라로서,
상기 안저 카메라는, 상기 피검자의 비검사안의 주시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부 타겟을 상기 외부타켓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안저 카메라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1 좌표로 정의하고; 상기 피검자의 검사안의 병변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상기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고; 상기 외부 타겟의 변경된 위치 및 크기를 각각 제2 좌표 및 타겟 정보로 정의하고;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에 상기 제1 좌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피검자의 재검사 진행 시 상기 피검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인정보에 매칭된 상기 제2 좌표 및 상기 타겟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타겟 표시부 상에 외부 타겟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저 카메라.
As a fundus camera having an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external target for the subject's non-test eye
The fundus camera displays an external target guiding a gaze direction of the subject's non-examination eye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Def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as a first coordinate with respect to the fundus camera;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so that the lesion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Defining the changed posi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s second coordinates and target information, respectively; Matching and storing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input during the retest of the subj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ternal target are automatically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target display unit based on the second coordinate matche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Fundus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to.
KR1020190102198A 2019-08-21 2019-08-21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KR102292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98A KR102292796B1 (en) 2019-08-21 2019-08-21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98A KR102292796B1 (en) 2019-08-21 2019-08-21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0A true KR20210022880A (en) 2021-03-04
KR102292796B1 KR102292796B1 (en) 2021-08-25

Family

ID=7517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198A KR102292796B1 (en) 2019-08-21 2019-08-21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7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984A (en) * 2000-08-10 2002-02-19 Canon Inc Vision fixation guiding system of ophthalmologic instrument
KR101654265B1 (en) * 2014-10-16 2016-09-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Individual-based visual field testing method and device of the same
WO2017179279A1 (en) * 2016-04-12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ye tracking device and eye track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984A (en) * 2000-08-10 2002-02-19 Canon Inc Vision fixation guiding system of ophthalmologic instrument
KR101654265B1 (en) * 2014-10-16 2016-09-0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Individual-based visual field testing method and device of the same
WO2017179279A1 (en) * 2016-04-12 2017-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ye tracking device and eye track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796B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987B2 (en) Ophthalmic apparatus
CN111542258B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ment of ophthalmic imaging devices
US10299674B2 (en) Visual field measuring device and system
JP2006504493A (en) Automatic generation of fundus images based on processing of acquired images
ES2916056T3 (en) Image scanning control during vitreoretinal surgery
JP7100503B2 (en) Ophthalmic equipment
JP2016193067A (en) Perimeter
JP2023500184A (en) External alignment display/guidance system for retinal cameras
JP2018019777A (en) Ophthalmologic examination apparatus
JP6892540B2 (en) Ophthalmic equipment
JP2017225638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WO2015102092A1 (en) Ophthalmological device
JP6090977B2 (en) Ophthalmic examination equipment
KR102292796B1 (en)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external target
JP2022066325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7460121B2 (en) Injection liquid visualization device
KR102292793B1 (en) Method for operating fundus camera providing customized inner target
US20240099579A1 (en) Ophthalmic apparatus
JP2018086304A (en) Ophthalmologic apparatus
US11759106B1 (en) Visual reconstruction of eye position for alignment feedback in retinal imaging
JP5706508B2 (en) Ophthalmic equipment
JP7216562B2 (en) ophthalmic equipment
US20240138676A1 (en) Camera for diagnosing ophthalmic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7166080B2 (en) ophthalmic equipment
JP6930841B2 (en) Ophthalm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