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64A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64A
KR20210022264A KR1020190101493A KR20190101493A KR20210022264A KR 20210022264 A KR20210022264 A KR 20210022264A KR 1020190101493 A KR1020190101493 A KR 1020190101493A KR 20190101493 A KR20190101493 A KR 20190101493A KR 20210022264 A KR20210022264 A KR 20210022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fety
seat belt
safety r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579B1 (ko
Inventor
김영찬
장공삼
탁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블루랩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주식회사 대광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블루랩,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주식회사 대광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블루랩
Priority to KR102019010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벨트와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및 상기 체결공간에 안전구조물의 체결유무를 감지하는 안전고리체결감지부를 포함하는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벨트와 상기 안전고리를 연결하는 안전스트랩 및 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고도측정부와 상기 고도측정부의 측정신호와 안전고리체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알림경보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벨트 일측에 체결되는 블랙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Safety Belt Unit For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재해란 노동과정에서 작업환경 또는 작업행동 등 업무상의 사유로 발생하는 노동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의미한다.
한편,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2018년 산업재해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이러한 산업재해 중 가장 많은 사고사망자는 건설업에서 발생하였으며 전체 산업에서 발생한 사고사망자 중 46.7%에 이른다.
또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떨어짐이 전체 재해유형 중 34.4%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기 떨어짐으로 인한 산업재해의 가장 많은 작업환경은 고소작업이다.
근래에 들어 사업자나 국가 기관 등은 상기한 바와 같은 떨어짐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노동자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 안전관리 책임자 순찰 등의 안전대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떨어짐 사고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523호에 개시되어 있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가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안전벨트의 허리벨트부(120)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200)와 상기 측정부(200)의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하는 컨트롤모듈(300) 및 상기 컨트롤모듈(300)에서 제어된 신호에 따라 알림 경보가 발생되는 알림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안전벨트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거리센서(210)와 상기 안전벨트 위치의 고도를 측정하는 가압 고도계(22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에는 안전고리(141)가 연결되는 안전고리벨트띠(140)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고리벨트띠(140)에 상기 컨트롤모듈(300)과 연결되는 마그네틱 접촉센서(15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착용한 고소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비계, 구명줄 등의 안전 구조물에 안전고리(141)를 체결하지 않으면 알림부(500)에서 알림 경보가 발생되어 고소작업자들의 부주의를 일깨워 줌으로써 안전고리(141)를 비계 등의 안전 구조물에 결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다수의 고소작업자들이 작업의 불편함 등을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141)를 구명줄, 비계 등의 안전 구조물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일단에 안전고리(141)가 결합된 안전고리벨트띠(140)를 당겨 마그네틱 접촉센서(150)가 떨어지면 컨트롤모듈(300)은 안전고리(141)가 안전구조물에 체결된 것으로 인지한다.
따라서, 종래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작업의 불편함, 안전 불감증, 의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141)를 비계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자들이 마그네틱 접촉센서(150)가 떨어지도록 안전고리(141)를 당겨 신체 일부에 감은 상태로 안전 구조물이 아닌 벨트부 등에 체결하거나 마그네틱 접촉센서(150) 사이에 이물질 등을 삽입한 상태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523호(2017.06.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소작업자가 고소작업 중 안전고리를 안전구조물에 의 체결유무를 정확히 감지하며, 미 체결 시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자의 움직임과 안전고리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작업의 불편함, 안전 불감증, 의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와 안전구조물의 체결을 꺼려하는 고소작업자에게 안전고리의 올바른 체결을 유도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벨트와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및 상기 체결공간에 안전구조물의 체결유무를 감지하는 안전고리체결감지부를 포함하는 안전고리와 상기 안전벨트와 상기 안전고리를 연결하는 안전스트랩 및 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고도측정부와 상기 고도측정부의 측정신호와 안전고리체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알림경보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벨트 일측에 체결되는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는 안전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안전고리모션신호를 생성하는 안전고리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박스는 블랙박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블랙박스모션신호를 생성하는 블랙박스모션감지부와 상기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를 비교하여 각 모션신호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모션신호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경보부는 스피커, LED, 진동모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포함하여 소리, 불빛, 진동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알림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는 모션신호비교부에 의하여 판단되는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의 유사성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신호비교부는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며,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는 어께벨트부와 허리벨트부 및 다리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께벨트부 또는 허리벨트부 일측에 안전고리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체결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 일단이 접촉하는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크랭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크랭크감지부 및 상기 크랭크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크랭크를 회동시키는 크랭크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랭크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크랭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레버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레버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어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와이어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 일면이 상기 본체 내측면과 접촉되며, 타단이 레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안전고리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와 레버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는 본체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판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는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강철 스프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안전고리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와 레버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는 본체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판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안전고리와 안전구조물의 체결유무를 정확히 감지하고 미 체결 시 알림경보를 발생하여 고소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고소작업 중 떨어짐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작업의 불편함, 안전 불감증, 의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와 안전구조물의 체결을 꺼려하는 고소작업자에게 안전고리의 올바른 체결을 유도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안전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의 안전벨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의 판스프링을 나타낸 상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9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의 개구부를 폐쇄 시, 개방 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비계 및 구명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구명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의 안전벨트와 안전고리 및 블랙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안전벨트(100)와 안전고리(200)와 상기 안전벨트(100)와 안전고리(200)를 연결하는 안전스트랩(300) 및 상기 안전벨트(100) 일측에 결합하는 블랙박스(4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벨트(100)는 고소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그네로서 낙하 시 충격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어깨벨트부(110), 허리벨트부(120), 다리벨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100)는 고소작업자의 신체에 맞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버클, 스냅 후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100)는 어깨벨트부(110) 또는 허리벨트부(120) 일측에 안전고리(200)를 체결할 수 있는 안전고리홀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소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중에는 안전고리(200)를 상기 안전고리홀더(140)에 체결함으로써 안전고리(200) 또는 안전스트랩(300)에 의한 걸림 등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안전고리(200)는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구명줄, 비계 등의 안전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간(S)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는 레버(220)가 충격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는 체결공간(S)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었는지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는 압력센서, 광센서, 자계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체결공간(S) 내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기 공지된 다양한 센서와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는 안전고리(200)의 체결된 대상이 안전구조물인지 안전고리홀더(140)인지를 구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의 안전고리(200)는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와 안전고리통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는 가속도센서, 3축센서, 진동센서 등을 포함하여 안전고리(200)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안전고리모션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통신부(250)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기 공지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와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에서 각각 감지 및 생성된 신호를 상기 블랙박스(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는 본체(210) 내부에 탈착이 가능한 안전고리배터리(21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와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 및 안전고리통신부(25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와 안전고리홀더(140)는 각각 2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전스트랩(300)은 안전벨트(100)와 안전고리(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떨어짐 사고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로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400)는 고도측정부(410)와 알림경보부(420) 및 상기 블랙박스(400)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블랙박스배터리(430)를 포함한다.
상기 고도측정부(410)는 상기 블랙박스(400)의 고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을 착용한 고소작업자의 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림경보부(420)는 상기 고도측정부(410)에서 측정된 고소작업자의 현재고도가 기 설정된 안전고도를 초과하여 안전고리(200)가 안전구조물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스피커, LED, 진동모터 등을 통하여 소리, 불빛, 진동 등의 알림경보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알림경보부(420)는 기 설정된 안전고도 초과 시 상기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에 감지된 신호를 통하여 안전고리(200)와 안전구조물과의 체결여부를 판단하고 미체결 시 알림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소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고리(200)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는 안전고리(200)의 체결된 대상이 안전구조물인지 안전고리홀더(140)인지를 구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 블랙박스(400)는 블랙박스모션감지부(440)와 블랙박스통신부(450) 및 모션신호비교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모션감지부(440)는 가속도센서, 3축센서, 진동센서 등을 포함하여 블랙박스(400)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블랙박스모션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블랙박스모션감지부(440)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을 착용한 고소작업자의 움직임을 지속적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통신부(45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안전고리통신부(250)에서 전송되는 안전고리체결감지부(230)와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의 감지 또는 생성된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또한, 상기 모션신호비교부(460)는 상기 안전고리모션감지부(240)에 의하여 생성된 안전고리모션신호와 상기 블랙박스모션감지부(440)에서 생성된 블랙박스모션신호를 대비하여 각 모션신호의 유사성을 판단한다.
즉, 상기 모션신호비교부(460)는 안전고리(200)와 블랙박스(400)가 체결된 대상의 움직임을 비교함으로써 안전고리(200)의 체결 대상을 판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소작업자가 작업의 불편함, 안전 불감증, 의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200)를 안전구조물에 체결하지 않고 안전고리홀더(130)나 신체 일부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모션신호비교부(460)에 의하여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의 유사성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각 모션신호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 상기 모션신호비교부(460)는 안전고리가 안전구조물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알림경보부(420)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작업의 불편함, 안전 불감증, 의식 부족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안전고리(200)와 안전구조물의 체결을 꺼려하는 고소작업자에게도 안전고리(200)의 올바른 체결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400)는 상기 안전고리(200)와 블랙박스(400)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신호를 외부의 안전관리서버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에 전송할 수 도 있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의 세부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안전고리(200)는 본체(210) 일측에 형성되는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체결공간(S) 내에서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크랭크(212)와 상기 크랭크(212) 일단이 접촉하는 본체(210) 내측면에 크랭크감지부(213) 및 레버(25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크랭크(212)를 회동시키는 크랭크회동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212)는 일단이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 등에 의하여 크랭크감지부(213)에 접촉 또는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는 안전구조물이 아닌 비교적 직경이 작은 물체가 체결되는 경우 체결 대상물이 상기 크랭크(212)에 의하여 분할되는 체결공간(S) 중 비교적 면적이 작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구조물이 아닌 비교적 직경이 작은 체결 대상물이 안전고리(200)에 체결되는 경우에도 크랭크(212)의 일단이 크랭크감지부(213)에 접촉 또는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200)는 크랭크(212)의 일단에는 자석이 포함되고 상기 크랭크감지부(213)는 자계 센서로 형성되어 크랭크(212)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고리(200)는 체결공간(S)에 안전구조물(L)이 체결되면 크랭크(212)는 크랭크회동부재(221) 및 안전구조물(L)에 의하여 크랭크감지부(213)와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랭크회동부재(221)는 와이어나 링크 등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공간(S) 내에 체결대상물을 체결하기 위하여 레버(220)에 의하여 본체(210)의 개구부가 개방되는 경우 크랭크(212)가 크랭크감지부(213)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는 크랭크감지부(213)에 의하여 감지되는 크랭크(212) 일단의 위치에 따라 안전구조물(L)과의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는 크랭크(212)의 일단과 크랭크감지부(213)가 접촉 또는 인접한 경우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7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의 타 실시 예의 세부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안전고리(200)는 본체(210)에 일단이 고정되어 본체(210)의 개구부 측을 통하여 레버(220)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214)와 상기 레버(220)에 형성되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와 결합되는 와이어감지부(2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14)는 일단이 본체(210)에 고정되며, 상기 레버(2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와이어지지부(214a)를 지나 타단이 상기 와이어감지부(222)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감지부(222)는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전고리(200)에 안전구조물(L)이 체결되는 경우 안전구조물(L)에 의하여 와이어(214)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한다.
즉, 상기 와이어감지부(222)는 안전고리(200)에 체결되는 대상물의 직경에 따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상이하므로 이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감지부(222)는 와이어(214)의 장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와이어감지부(222)에 의하여 감지되는 와이어(214)의 장력에 따라 안전구조물(L)과의 체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은 와이어감지부(222)에서 감지된 와이어(214)의 장력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안전고리(200)가 안전구조물에 체결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의 판스프링을 나타낸 상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의 개구부를 폐쇄 시, 개방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비계 및 구명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의 타 실시 예의 세부 구성은 하기와 같다.
안전고리(200)는 본체(210)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 일면이 상기 본체(210) 내측면과 접촉되며, 타단이 레버(22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22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215) 및 상기 안전고리(200)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210)와 레버(220)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215)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220)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215)이 고정되는 본체(210)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감지부(216)에 의하여 감지된 판스프링(215)의 움직임이나 판스프링(215)에 의하여 본체(210) 또는 레버(220)에 가해지는 힘 등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420)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스프링(215)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중립상태에서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0)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 일면이 상기 본체(210) 내측면과 접촉되며, 타단이 레버(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고리(200)에 레버(220)를 눌러 개구부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215)은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223)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판스프링감지부(216)는 판스프링제1감지부(216a), 판스프링제2감지부(216b) 및 판스프링제3감지부(2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제1감지부(216a)는 상기 안전고리(200)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210)와 레버(220)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본체(210)와 레버(220)의 접촉상태나 판스프링(215)에 가해지는 힘이나 판스프링(215)의 일단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제2감지부(216b)는 판스프링(215)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2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판스프링(215)에 의하여 본체(210)에 가해지는 힘이나 접촉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제3감지부(216c)는 판스프링(215)이 고정되는 본체(210) 일측에 형성되어 판스프링(215)에 가해지는 힘이나 판스프링(215)의 일단의 회전각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에 직경이 48.6mm인 비계 파이프가 체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에 직경이 16mm인 구명줄이 체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215)은 안전구조물(L)이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판스프링제2감지부(216b)가 형성되는 위치에 본체(2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는 판스프링감지부(216)에 의하여 체결대상물의 직경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규격에 맞지 않거나 안전구조물이 아닌 대상물에 체결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가 규격에 맞지 않거나 안전구조물이 아닌 대상물에 체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알림경보부(420)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에 직경이 8mm인 구명줄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고리는 판스프링(215)과 강철 스프링(217)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고리(200)는 상기 본체(210)에 체결되는 강철 스프링(217)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22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22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215)과 상기 안전고리(200)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210)와 레버(220)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215)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220)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215)이 고정되는 본체(210)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철 스프링(217)은 직경이 1.5mm이고 상기 강철 스프링(217)과 판스프링(215)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전고리(200)는 비교적 얇은 구명줄에 안정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S. 체결공간
L. 안전구조물
100. 안전벨트
110. 어깨벨트부
120. 허리벨트부
130. 다리벨트부
140. 안전고리홀더
200. 안전고리
210. 본체
211. 안전고리배터리
212. 크랭크
213. 크랭크감지부
214. 와이어
214a. 와이어지지부
215. 판스프링
216. 판스프링감지부
216a. 판스프링제1감지부
216b. 판스프링제2감지부
216c. 판스프링제3감지부
217. 강철 스프링
220. 레버
221. 크랭크회동부재
222. 와이어감지부
223. 슬라이딩가이드
230. 안전고리체결감지부
240. 안전고리모션감지부
250. 안전고리통신부
300. 안전스트랩
400. 블랙박스
410. 고도측정부
420. 알림경보부
430. 블랙박스배터리
440. 블랙박스모션감지부
450. 블랙박스통신부
460. 모션신호비교부

Claims (14)

  1.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벨트;
    일측에 개구부를 포함하여 내측에 안전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및 상기 체결공간에 안전구조물의 체결유무를 감지하는 안전고리체결감지부를 포함하는 안전고리;
    상기 안전벨트와 상기 안전고리를 연결하는 안전스트랩; 및
    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고도측정부와 상기 고도측정부의 측정신호와 안전고리체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알림경보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벨트 일측에 체결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안전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안전고리모션신호를 생성하는 안전고리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박스는 블랙박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블랙박스모션신호를 생성하는 블랙박스모션감지부와 상기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를 비교하여 각 모션신호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모션신호비교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경보부는 스피커, LED, 진동모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포함하여 소리, 불빛, 진동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모션신호비교부에 의하여 판단되는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의 유사성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신호비교부는 안전고리모션신호와 블랙박스모션신호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며,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지 않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어께벨트부와 허리벨트부 및 다리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께벨트부 또는 허리벨트부 일측에 안전고리홀더가 형성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체결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 일단이 접촉하는 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크랭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크랭크감지부; 및
    상기 크랭크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크랭크를 회동시키는 크랭크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랭크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크랭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레버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일단이 레버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결합되어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와이어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와이어의 장력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본체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앙부 일면이 상기 본체 내측면과 접촉되며, 타단이 레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안전고리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와 레버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는 본체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판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13.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강철 스프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판스프링;
    상기 안전고리의 개구부가 폐쇄 시 상기 본체와 레버가 접촉되는 부분과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가 접촉되는 레버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는 본체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판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알림경보부를 통하여 알림경보를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KR1020190101493A 2019-08-20 2019-08-20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KR10239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93A KR102399579B1 (ko) 2019-08-20 2019-08-20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93A KR102399579B1 (ko) 2019-08-20 2019-08-20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64A true KR20210022264A (ko) 2021-03-03
KR102399579B1 KR102399579B1 (ko) 2022-05-18

Family

ID=7515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93A KR102399579B1 (ko) 2019-08-20 2019-08-20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5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29B1 (ko) * 2021-11-16 2022-08-23 유상호 스마트 안전 고리 시스템
KR20230096500A (ko) 2021-12-23 2023-06-30 (주)엘센 안전 고리 체결 상태 예측 시스템
KR20230141404A (ko) 2022-03-30 2023-10-10 (주)엘센 안전고리 센서 장치 및 안전고리 센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023A (ko) * 2012-11-01 2015-07-21 스칸스카 유케이 피엘씨 안전 장치
KR20170031899A (ko) * 2015-09-14 2017-03-22 (주)케이엠에스 정확한 착용 및 고정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안전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장치
KR20170074523A (ko) 2015-12-22 2017-06-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964727B1 (ko) *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023A (ko) * 2012-11-01 2015-07-21 스칸스카 유케이 피엘씨 안전 장치
KR20170031899A (ko) * 2015-09-14 2017-03-22 (주)케이엠에스 정확한 착용 및 고정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안전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장치
KR20170074523A (ko) 2015-12-22 2017-06-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964727B1 (ko) *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29B1 (ko) * 2021-11-16 2022-08-23 유상호 스마트 안전 고리 시스템
KR20230096500A (ko) 2021-12-23 2023-06-30 (주)엘센 안전 고리 체결 상태 예측 시스템
KR20230141404A (ko) 2022-03-30 2023-10-10 (주)엘센 안전고리 센서 장치 및 안전고리 센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579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2264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US11559706B2 (en)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CN105092796B (zh) 多感测环境监视设备与方法
US11724136B2 (en) Safety apparatus comprising mechanical command interface
US20170193799A1 (en) Fall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US9998893B2 (en) Mobile function device
WO2015160549A1 (en) Man down detector
KR102152738B1 (ko) 재난 안전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31899A (ko) 정확한 착용 및 고정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안전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장치
KR102086259B1 (ko)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US20220404388A1 (en) Fall Protection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IT201900007194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e e sistema per la gestion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i.
JP7378134B2 (ja) 安全帯フック着脱確認システム
KR20060068574A (ko) 통신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KR102669992B1 (ko) 고소 작업자를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안전고리 체결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7887A (ko)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TWM565380U (zh) Safety rope monitoring system
KR20230060742A (ko) 고소 작업자를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안전고리 체결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52920A (ja) 安全帯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及び安全帯使用状況監視方法
KR102650832B1 (ko)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안전장비 및 스마트안전시스템
KR102519626B1 (ko) 송전 및 배전 작업환경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77661B1 (ko) 외상성 뇌손상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상성 뇌손상 검출 방법
US20220289522A1 (en) Elevator Motion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