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909A -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909A
KR20210021909A KR1020200084764A KR20200084764A KR20210021909A KR 20210021909 A KR20210021909 A KR 20210021909A KR 1020200084764 A KR1020200084764 A KR 1020200084764A KR 20200084764 A KR20200084764 A KR 20200084764A KR 20210021909 A KR20210021909 A KR 2021002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device
information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022B1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이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훈 filed Critical 이재훈
Priority to KR102020008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0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서비스서버의 통화관리부가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에 대해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의 보상데이터생성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during call waiting}
본 발명은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정보 수신 수락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통화대기 중 광고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통화연결 중 제공되는 광고 등의 콘텐츠들은 컬러링 혹은 링백톤(ring-back tone)과 같이 실제 착신이 이뤄지기 전에 통화연결음이 들리는 시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도 1은 통화대기상태에 있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기기에서 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한 제스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호 수신화면에 있는 사용자기기의 화면에서 터치 조작을 통해 일방향으로 드래깅을 하는 등의 조작을 가하면 통화가 승인되거나 거부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호 수신화면 상태에서 상대방은 통화를 기다리며 단순한 통화대기음을 수신하기도 하지만, 사용자기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서비스에 따라서 음악 또는 광고 등이 상대방에게 제공되기도 한다.
통화연결을 위해서는 이러한 통화연결시간이 반드시 발생하게 되므로 상대방은 일정한 시간동안 통화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통화대기 상태의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서비스이지만, 모든 통화대기 상태에 대하여 음악 또는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화가 착신되어 발신자와 수신자가 대화를 하는 중간에도 대화가 잠시 중단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링백톤 단계에서는 통화요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전화가 착신된 이후에는 통화대기 시간에 대해서도 전화요금이 부과됨에도 불구하고 하염없이 대꾸 없는 수신자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개인이 단체, 예컨대 공공기관 내지는 기업의 고객센터와 통화를 할 경우에 특히 그러한데 공공기관 내지 기업은 콜센터를 운영하지만 갑작스레 문의전화가 늘어날 경우 한정된 안내원들이 받을 수 있는 전화의 수는 제한적이다보니 자연스럽게 통화연결이 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전화가 착신되고 통화요금이 부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통화량이 많아 전화 연결이 어렵습니다. 현재 통화대기자수는 00명, 통화대기 예상시간은 00분 00초입니다.”라는 안내음이 들리면서 도 2의 [205]처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통화대기 시간은 연속적이기도 하지만, 이외에도 고객이 문의한 사항에 대해서 확인해주기 위해서 안내원이 전산 자료를 찾아보거나 관련 내용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불특정 시간동안 통화대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실제 전화통화시간은 자꾸만 흘러가고 그 사이에 전화요금은 계속 부과되는데 막상 전화가 끊기면 다시 재문의를 해야하거나 제대로 회신을 못 받을 것 같아 전화기를 붙들고 있게 되고 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는 대기시간동안 쓸데없이 시간과 전화요금 등 자원을 낭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개인과 단체와의 관계에서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넓게는 개인과 개인간의 통화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 밖에 나가 있는 형이 집안에 있는 동생에서 특정한 물건 내지는 컴퓨터 내의 자료를 찾아 달라고 요청할 경우에, 전화를 끊고 물건을 찾은 후 다시 전화를 걸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하면 굳이 전화를 다시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동생이 그 물건을 찾거나 자료를 확인하는 동안 전화를 끊지 않고 물건을 찾게 되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데, 두 사람 간의 대화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화통화는 계속 연결되어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통화요금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산업화 사회가 되면서, 시간은 매우 귀중한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마케팅에 있어서 광고 등은 낭비되는 시간을 활용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나, 여전히 낭비되는 시간이 도처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가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자동으로 광고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높일 뿐만 아니라, 통화대기 중 낭비되는 시간에 광고의 시청을 통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은, 서비스서버의 통화관리부가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에 대해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의 보상데이터생성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상데이터생성부는 상기 재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상기 보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의 전송을 중단하고 콘텐츠중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중단정보를 이용하여 편집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데이터생성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편집된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추가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기울임감지부,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거리감지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감지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것을 센싱하거나 또는 상기 기울임감지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가 지면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는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소정의 위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터칭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기울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터칭영역과 중첩되어 표현되는 수평정보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위치 이외의 터치스크린부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음성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가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자동으로 광고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높일 뿐만 아니라, 통화대기 중 낭비되는 시간에 광고의 시청을 통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소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통화연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통화승인제스처에 따라 통화 중 대기가 일어나는 경우 또는 통화거부제스처에 따라서 통화가 종료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와 발신자 사용자기기 및 제3 사용자기기가 포함된 시스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통화상황을 가정한 사용자의 움직임과 사용자기기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터치스크린부에 형성된 터칭영역과 수평정보가이드가 표시된 발신자 사용자기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근접조도센서 방식을 이용한 거리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의 예시도면이다.
도 9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과 수평정보가이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과 수평정보가이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중첩된 상태에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의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과 수평정보가이드의 중첩영역에서 터치입력을 제거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과 수평정보가이드의 중첩영역에서 터치입력을 제거하거나 터치스크린의 다른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음성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스피커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출력 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센서", "...부" 또는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5G,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0)의 시스템(10)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서버(1000)와 발신자 사용자기기(20) 및 제3 사용자기기(30)가 포함된 시스템(10)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비스서버(1000)는 통화관리부(1100), 데이터송수신부(1200), 콘텐츠정보관리부(1300) 그리고 보상데이터생성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관리부(1100)는 발신자와 제3 사용자기기(30)의 통화를 중계하도록 구비되며,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화를 중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화관리부(1100)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전송된 제3 사용자기기(30)로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제3 사용자기기(30)로부터 통화수락정보가 수신되면 발신자와 제3 사용자기기(30)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통화관리부(1100)는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송수신부(1200)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 또는 제3 사용자기기(3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통화관리부(1100), 콘텐츠정보관리부(1300) 또는 보상데이터생성부(1400) 등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3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송수신부(1200)는 유선 또는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선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발신자 사용자기기(20) 또는 제3 사용자기기(30)와 유선방식으로 데이터교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정보관리부(1300)는 발신자 사용자에게 전송할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가공하거나 전송된 콘텐츠의 재생정보 등을 기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콘텐츠는 예를 들면, 광고와 같은 마케팅 정보가 동영상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광고의 경우 일부의 시청 보다는 광고의 전체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서 통화중 대기상태에서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제3 사용자기기(30)로부터 다시 통화요청이 오는 경우에는 재생되던 콘텐츠가 중간에서 중단될 수 있다. 특히,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게 되므로 콘텐츠제공자 측에서는 광고가 일부 중단된 경우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불합리할 수 있다. 콘텐츠정보관리부(1300)는 중단된 재생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다음번 통화중 대기상태에 놓이는 경우 중단된 재생시점으로부터 소정구간 범위 내의 재생시점에서 다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경우 적절한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상데이터생성부(1400)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제공된 콘텐츠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여 재생이 완결되는 경우에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보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보상데이터는 서비스서버(1000)에 전송되어 발산자 사용자기기에 할당된 가입정보에 매칭되는 통화료 보상데이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은, 서비스서버(1000)의 통화관리부(1100)가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30)에 대해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통화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10).
예를 들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제3 사용자기기(30)에 통화요청정보가 송신되면, 링백톤 상태에 있거나 또는 상대방이 통화를 수락한 후 통화대기 상태에 머무르는 상황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소정의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기기는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하게 되며, 서비스서버(1000)의 통화관리부(1100)는 보상데이터생성부(1400) 또는 콘텐츠정보관리부(1300)로 상기 시청개시정보를 전달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콘텐츠를 발송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발신자 사용자기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 등의 개인화 통신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스마트폰인 경우, 발신자 사용자기기(20)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기울임감지부, 근접센서(d)를 포함하는 거리감지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t), 스피커부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울임감지부, 거리감지부, 터치스크린부(t), 스피커부 또는 음성입력부는 각각 또는 2이상이 조합되어 스마트폰이 소정의 상태에 놓여있음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일반적인 통화상황을 가정한 사용자의 움직임과 사용자기기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기기와 사용자의 얼굴이 맞닿아 있는 경우 거리감지부는 사용자기기가 통화상태에 놓여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손에 스마트폰을 들고 화면을 바라보게 되는 경우, 도 6의 (c)와 같이 스마트폰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부(t)를 바라보기 적당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기울임감지부와 거리감지부는 사용자기기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져 있음을 감지하는 한편,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음을 센싱할 수 있다. 스피커폰으로 통화하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스피커부 또는 음성입력부로 일정 데시벨(dB) 이상의 소리가 출력되거나 입력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통화 중임을 감지하여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통화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터치스크린부(t)에 형성된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가 표시된 발신자 사용자기기(2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스마트폰인 경우로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터치스크린부(t)의 소정의 위치에는 터칭영역(c)이 디스플레이되고, 기울임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기울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터칭영역(c)과 중첩되어 표현되는 수평정보가이드(h)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수평정보가이드(h)는 스마트폰이 바닥과 평행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지면과 수직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칭영역(c)과 중첩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수평정보가이드(h)는 디스플레이부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기 적당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경우에 터칭영역(c)의 중심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에 적합한 상태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7의 (a)는 지면과 디스플레이부가 미리 설정된 기울임정도를 벗어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는 터칭영역(c)의 중심에 수평정보가이드(h)가 위치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기울임정도를 갖도록 놓여 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의 기울임 정도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임의 설정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서버(1000)의 통화관리부(1100) 또는 콘텐츠정보관리부(1300)가 임의 설정 값을 사용자기기로 전송하여 설정 값에 해당하는 기울임 정도를 갖게 되는 경우 터칭영역(c)의 중심에 수평정보가이드(h)가 위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에 적합한 상태로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놓이게 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는 거리감지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것을 센싱하거나 또는 기울임감지부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지면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를 센싱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도 6의 (b)와 같이 발신자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를 손에 들고 터치스크린부(t)를 응시하게 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서버(1000)의 통화관리부(1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0)의 콘텐츠정보관리부(1300)가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20).
도 8은 근접조도센서 방식을 이용한 거리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의 예시도면이다. 거리감지부가 근접조도센서 방식을 이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근접센서(d)의 경우,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것,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것, 정전(靜電)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등을 이용하는 것이면 임의선택하여 적용가능하다.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전송되는 경우,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터치스크린부(t)의 소정의 위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위치는 터칭영역(c) 내에 수평정보가이드(h)가 중첩된 경우, 터칭영역(c)의 임의의 위치를 터칭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9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가 터치스크린 상에 중첩된 상태에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의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가 발신자의 얼굴에서 멀어진 상태로 도 9의 (a)와 같이 기울여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를 미리 설정된 기울임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b)와 같이 터칭영역(c)에 수평정보가이드(h)가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터치스크린부(t)의 임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때, 통화대기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등이 터치스크린부(t)에 미리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재생될 통화대기콘텐츠의 내용을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의 (a) 상태에서 도 10의 (b)와 같이 발신자가 터칭영역(c)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가하게 되면, 수평정보가이드(h)의 색채와 모양이 변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가 생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터치스크린부(t)의 임의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정보관리부(1300)가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통화대기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30).
통화대기콘텐츠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콘텐츠, 음성 등 소리로 제공되는 광고콘텐츠, 문자 등으로 구성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광고이미지콘텐츠 등일 수 있다. 통화대기콘텐츠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전송되어 재생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되기 전까지는 통화대기콘텐츠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의해 재생되어 발신자가 해당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이후 보상데이터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의 중첩영역에서 터치입력을 제거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기울임감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에서의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의 중첩영역에서 터치입력을 제거하거나 터치스크린의 다른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 생성조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의 중첩영역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는 등으로 터치를 중단하게 되면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됨으로써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알리게 된다. 또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터칭영역(c)과 수평정보가이드(h)의 중첩영역 이외의 터치스크린 영역을 터치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역시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서버(1000)로 전송됨으로써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알리게 된다.
도 13은 음성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스피커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출력 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통화대기콘텐츠의 감상을 마친 경우에 미처 터칭영역(c)에서 손가락 등의 터치를 제거하지 못한 경우라도 통화를 개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때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서비스서버(1000)로 하여금 통화상태로 전환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4의 경우는 통화대기 중 제3 사용자기기(30)로부터 통화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 또는 기타 신호음이 제공되는 경우에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서비스서버(1000)가 통화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0)의 보상데이터생성부(1400)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40).
앞서 도 9 내지 도 14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터치스크린부(t)로부터 터치입력이 제거되는 경우, 소정의 위치 이외의 터치스크린부(t)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피커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출력되거나 또는 음성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생성되도록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통화대기콘텐츠의 시청이 본연의 목적인 통화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서 통화대기콘텐츠가 일정 시간 동안 재생되거나 또는 특정 텍스트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게 되는 경우 서비스서버(1000)의 보상데이터생성부(1400)는 재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로 인식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보상데이터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직접 전송되거나 또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가입정보와 매칭되도록 저장된 후 이후 통화시 통화요금이 차감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소비에 따른 리워드 쿠폰을 제공하도록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서버(1000)의 보상데이터생성부(1400)는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위치정보를 기반하여 리워드 쿠폰이 사용될 수 있는 매장을 검색하고 해당 매장에 대한 리워드 쿠폰을 제공하여 리워드 쿠폰 보유자가 실제 보상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은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정보관리부(1300)가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한 통화대기콘텐츠의 전송을 중단하고 콘텐츠중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화대기 시간은 매우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그 시간을 특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통화대기콘텐츠가 광고인 경우, 광고주는 광고가 전부 제공된 것이 아닌 상태에서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불합리 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반대로, 발신자 사용자기기(20)의 사용자 입장에서도 일정한 시간 광고 등 통화대기콘텐츠를 소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반복되면 통화대기콘텐츠의 소비자체를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서버(1000)의 콘텐츠정보관리부(1300)가 통화대기콘텐츠 시청중단정보가 송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콘텐츠중단정보를 생성하여 두었다가,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발신자 사용자기기(20)에서 통화대기 상태가 되는 경우 즉,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중단정보를 이용하여 편집된 통화대기콘텐츠를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송신하는 단계 및 보상데이터생성부(1400)가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편집된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추가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통화대기콘텐츠의 소비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사용자기기, 제3 사용자기기(30)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데이터송수신부(1200),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30)에 대해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된 통화관리부(1100),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200)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송신하는 콘텐츠정보관리부(1300) 및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20)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상데이터생성부(1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서비스서버의 통화관리부가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에 대해 통화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수락정보를 수신한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요청정보에 대응한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보상데이터생성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신승인요청정보는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터치스크린부를 바라보는 상태인지를 검증하는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기울임감지부,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거리감지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거리감지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것을 센싱하고 상기 기울임감지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가 지면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터칭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기울임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기울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터칭영역과 중첩되어 표현되는 수평정보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수평정보가이드가 상기 터칭영역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소정의 위치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 수락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의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위치 이외의 터치스크린부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음성입력부에 미리 설정된 특정 음량 이상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의 시청중단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비스서버의 상기 데이터송수신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시청중단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정보관리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의 전송을 중단하고 콘텐츠중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소정의 통화대기콘텐츠 시청개시정보를 재차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중단정보를 이용하여 편집된 상기 통화대기콘텐츠를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데이터생성부가 상기 발신자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편집된 통화대기콘텐츠에 대한 추가재생정보를 수신하여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데이터생성부는 발신자 사용자기기에 제공된 콘텐츠의 재생이 완결되는 경우에 상기 보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84764A 2019-08-19 2020-07-09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KR10231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64A KR102312022B1 (ko) 2019-08-19 2020-07-09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93 2019-08-19
KR1020200084764A KR102312022B1 (ko) 2019-08-19 2020-07-09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93 Division 2019-08-19 201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909A true KR20210021909A (ko) 2021-03-02
KR102312022B1 KR102312022B1 (ko) 2021-10-12

Family

ID=7516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64A KR102312022B1 (ko) 2019-08-19 2020-07-09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0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61A (ko) * 2000-04-03 2001-11-07 박정연 호 대기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통신단말기
KR20050089905A (ko) * 2004-03-06 2005-09-09 주식회사 케이티 상담원 연결 대기시 광고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KR20110137218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통화 연결중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5004726A (ja) * 2013-06-19 2015-01-08 ヤフー株式会社 広告提供状態変更システム、及び広告提供状態変更方法
KR20170045708A (ko) * 2015-10-19 2017-04-27 이재훈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KR20190073087A (ko) * 2017-12-18 2019-06-26 강병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61A (ko) * 2000-04-03 2001-11-07 박정연 호 대기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통신단말기
KR20050089905A (ko) * 2004-03-06 2005-09-09 주식회사 케이티 상담원 연결 대기시 광고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KR20110137218A (ko) * 2010-06-16 2011-12-22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통화 연결중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5004726A (ja) * 2013-06-19 2015-01-08 ヤフー株式会社 広告提供状態変更システム、及び広告提供状態変更方法
KR20170045708A (ko) * 2015-10-19 2017-04-27 이재훈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KR20190073087A (ko) * 2017-12-18 2019-06-26 강병진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022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4570B2 (ja) メディア及びロケーションコンテンツのキャプチャ及び伝送のためのメッセージ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9049556B1 (en) Communication device
US20170315681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7924311A (zh) 基于上下文信号的定制化计算体验
JP6177457B2 (ja) 通話要求をプロンプト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U20132030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KR101902426B1 (ko) 저 전력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3220404A (zh) 受信呼叫管理方法与系统与数据存取方法
US956528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270727A (zh) 信息传播方法及装置
KR20150044830A (ko) 휴대용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I779531B (zh) 公共交通到站提醒方法、裝置、儲存媒介及行動終端
CN108848492A (zh) 用户身份识别卡的启用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8543157B1 (en) Communication device which notifies its pin-point location or geographic area in accordance with user selection
CN105357388B (zh) 一种信息推荐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815391B1 (ko)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KR102312022B1 (ko)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KR101480397B1 (ko)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광고 콘텐트 표시 방법
WO2021033858A1 (ko) 통화대기 중 콘텐츠 제공방법
KR101726107B1 (ko) 전화 인터랙션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40126237A (ko) 저 전력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39316B1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신호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33237A (zh) 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301390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52338A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인 광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