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905A - 공명기 휠 - Google Patents

공명기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905A
KR20210021905A KR1020200074266A KR20200074266A KR20210021905A KR 20210021905 A KR20210021905 A KR 20210021905A KR 1020200074266 A KR1020200074266 A KR 1020200074266A KR 20200074266 A KR20200074266 A KR 20200074266A KR 20210021905 A KR20210021905 A KR 2021002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tube
wall
wheel rim
whe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784B1 (ko
Inventor
김영식
신경덕
박병옥
한건기
손주희
Original Assignee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8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shape of h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공명기 휠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휠 림;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제1환형벽과 제2환형벽 사이에서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공명튜브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부재; 및 휠 림 상에 형성되는 지지부로서, 공명튜브의 폭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공명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명기 휠{Resonator Wheel}
본 개시는 공명기 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용 타이어가 휠 림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이어와 휠 림 사이의 공간, 일명, 공동(cavity)에는 공기가 채워진다. 공동에 채워진 공기는, 완충작용을 통해, 차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차량의 주행도중,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는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타이어가 노면에 의해 가진(加振)됨으로써, 타이어의 사이드 월(side wall)에서 진동, 더욱 구체적으로, 공진(共振, resonance)이 발생하게 된다.
타이어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공진은 공명음을 발생시킨다. 공명음은 200Hz ~ 300Hz 주파수 대역의 날카로운 피크를 가진다. 이러한 공명음을 통해 발생된 소음은 차실 내부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원리를 이용한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장착하여, 타이어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을 저감하였다.
종래의 공명튜브는, 휠 림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공명튜브의 플랜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휠 림 상에 장착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공명튜브는, 공명튜브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휠 림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우선적으로 삽입한 후, 공명튜브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휠 림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는, 순차적인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순차적인 공명튜브 장착 방식은, 플랜지의 삽입을 위해, 휠 림의 일측에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및 양측의 플랜지를 삽입홈에 각각 끼우기 위한 조립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종래의 기술인 특허공보 KR 10-1893350호(이하, 특허문헌 1)는 스트랩(strap) 형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휠 림에 배치된 공명튜브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공명튜브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는 휠 림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고, 공명튜브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는 체결부재를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공명튜브의 양측 플랜지를 모두 삽입홈에 삽입하는 종래의 장착 방식에 비하여, 조립 공정 상에서 이점이 있다.
다만, 특허문헌 1과 같은 스트랩 형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장착 방식에 있어서, 공명튜브는 휠 림 상에서 임시적으로 가고정된 이후에, 체결부재에 감싸짐으로써, 완전히 휠 림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를 이용한 장착 방식은, 체결부재를 통해 공명튜브를 감싸기 이전에,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가고정(假固定)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특허공보 KR10-1893350호 (2008.08.24 공개)
이에, 본 개시는, 스트랩 형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공명튜브의 장착 방식에 있어서,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용이하게 가고정할 수 있는 공명기 휠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휠 림;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제1환형벽과 제2환형벽 사이에서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공명튜브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부재; 및 휠 림 상에 형성되는 지지부로서, 공명튜브의 폭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공명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고정을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키고 공명기 휠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가 휠 림 상에 장착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가 휠 림 상에 장착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폭방향 등의 용어는 휠 림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폭방향은 휠 림의 반경방향 및 휠 림의 원주방향, 및 휠 림의 폭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명기 휠(10)은 휠 림(110), 제1환형벽(112), 제2환형벽(114),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 체결부재(13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휠 림(110)은, 차량용 휠 상에서, 타이어가 장착되는 환형의 영역일 수 있다.
제1환형벽(112)은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환형벽(114)은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제1환형벽(11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는 제1환형벽(112)과 제2환형벽(114) 사이에서 휠 림(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는, 휠 림(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차량 주행시, 휠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명튜브(120)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원리를 이용하여 휠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외부영역을 연통하는 경부(頸部, neck portion)로 구성된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전체로서 진동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경부의 공기 및 내부공간의 공기는 각각 질량 및 스프링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헬름홀츠 공명기는, 특정한 주파수, 일명, 공명주파수에서 공명(共鳴, resonance)이 발생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의 공명주파수는 경부의 실효직경, 경부의 길이, 경부의 단면적 및 내부공간의 부피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공명이 발생하게 되면, 경부의 공기가 경부 내외로 격렬하게 출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부의 관벽과 경부의 공기 사이에서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에 의해, 진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에서 발생한 소음은 흡음될 수 있다.
한편, 공명튜브(120)는 튜브 본체(122)를 포함하고, 튜브 본체(122)는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124)은, 상술한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각각 내부공간 및 경부에 대응될 수 있다.
휠 림(110) 상에, 복수 개의 공명튜브(120)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휠 림(110) 상에는, 하나의 공명튜브(120)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편심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휠 림(110) 상에는, 공명튜브(120)와 비슷한 무게를 가지는 더미(dummy)가 배치될 수 있다.
휠 림(110) 상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명튜브(120)는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소음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명튜브(120)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체결부재(130)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장착홀(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명튜브(12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토퍼 장착홀(131)을 관통하는 스토퍼(12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장착홀(131)에 삽입된 스토퍼(127)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휠 림(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공명튜브(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50)는 제1환형벽(112) 및 제2환형벽(114) 사이에서 휠 림(110)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벽(152)은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은 휠 림(110)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150)를 이용하여 휠 림(110)에 대한 공명튜브의 가고정을 용이하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50)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공명튜브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지지벽(152)이 공명튜브(120)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벽(152)은 공명튜브(120)의 일부 영역하고만 접촉하도록 공명튜브(120)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짧게 연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휠 림(110) 전체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120)의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공명튜브(120)는 튜브 본체(122), 체결부재 수용홈(126), 및 스토퍼(127)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본체(122)는 공명실(1222) 및 공명실(1222)로부터 연장되는 연통구멍(1224)을 포함할 수 있다.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224)은, 헬름홀츠 공명기로서 기능함으로써, 휠에서 발생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공명튜브(120)의 외측 반경방향 일면 상에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에 수용된 상태로, 공명튜브(12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에 대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스토퍼(127)는 공명튜브(120)의 외측 반경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127)는 체결부재 수용홈(126) 상에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체결부재(130)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장착홀(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명튜브(12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토퍼 장착홀(131)을 관통하는 스토퍼(12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장착홀(131)에 삽입된 스토퍼(127)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은 스토퍼(127) 스토퍼 장착홀(131) 이외의 다른 구성을 활용하여, 공명튜브(120)에 대한 체결부재(130)의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공명튜브(120)는 추가적으로 측방 스토퍼(122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25)는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측방 스토퍼(1225)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환형벽(112), 제2환형벽(114), 및 지지벽(15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120)는, 휠 림(1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120)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명튜브(120)는 함몰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226)는 휠 림(110)과 대면하는 공명튜브(120)의 일면으로부터 체결부재 수용홈(126)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1226)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이 형성된 공명튜브(120)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30)는 제1체결부(132), 제1체결홀(133), 제2체결부(134), 제2체결홀(135), 및 조임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홀(133)은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일단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홀(135)은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일단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132)는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타단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일단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체결부(134)는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타단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후크(1342) 및 제2체결후크(1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후크(1342)는 일단을 향해 절곡될 수 있으며, 제2체결후크(1344)는 체결부재(130)의 타단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체결후크(1342) 및 제2체결후크(1344)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후크(1344)는, 제1체결후크(1342)와 비교하여,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타단에 더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132) 및 제2체결부(134)는, 제1체결홀(133) 및 제2체결홀(135)에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체결부재(1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임부(136)는 제1체결홀(133) 및 제2체결홀(13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136)의 소성 변형에 의해, 체결부재(130)가 공명튜브(120)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이란, 고체재료의 가소성(可塑性)을 이용해서 누르거나 두들겨서 모양을 바꾸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영구변형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될 경우, 제2체결후크(1344)는,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타단에 인접하는 제2체결홀(135)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체결부(132)의 절곡 방향 및 제2체결후크(1344)의 절곡 방향은 서로 반대이므로, 체결부재(130)의 원주방향 일단과 원주방향 타단은 더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의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지지벽(152)이 제1지지벽(1522) 및 제2지지벽(1524)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지지벽(152)이 제2지지벽(1524)만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지지벽(152)이 제1지지벽(1522)만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공명튜브(120)의 외측 반경방향 일면 상에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에 수용된 상태로, 공명튜브(120)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에 대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은, 체결부재(130)를 통해 공명튜브(120)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공명튜브(120)와 휠 림(110) 사이에 마찰력을 더 크게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써, 휠 림(110)에 대한 공명튜브(120)의 고정을 더 견고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함몰부(1226)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이 형성된 공명튜브(120)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체결부재 수용홈(126)에는 체결부재(130)가 수용되고,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체결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공명튜브(120)의 형상이 변할 수 있는 데, 이러한 공명튜브(120)의 변형은 헬름홀츠 공명기로서의 공명튜브(12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은, 체결부재(130)가 수용되는 체결부재 수용홈(126)이 함몰부(1226)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공명튜브(120)가 변형되어 공명튜브(120)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공명튜브(120)는, 충분한 체적 확보를 위해, 지지벽(152)보다 더 큰 수직높이를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지벽(152)은 제1지지벽(1522) 및 제2지지벽(1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벽(1522)은 제1환형벽(112)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벽(1524)은 제2환형벽(114)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타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벽(152)은 제1지지벽(1522)없이 제2지지벽(1524)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환형벽(114)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타측은 제2지지벽(15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1환형벽(112)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일측은 제1환형벽(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지지벽(152)은 제2지지벽(1524)없이 제1지지벽(152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환형벽(112)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일측은 제1지지벽(15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2환형벽(114)과 인접한 공명튜브(120)의 폭방향 타측은 제2환형벽(1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공명튜브(120)는 지지벽(152)에 의해 휠 림(110) 상에 가고정(假固定)될 수 있으며, 가고정된 공명튜브(120)는 체결부재(130)에 둘러싸임으로써, 휠 림(110) 상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공명튜브(120)를 휠 림(110) 상에 더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공명기 휠(10)은 휠 림(110)과 공명튜브(120)의 내측 반경방향 일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명기 휠(10)은 공명튜브의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술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부가 걸림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220)의 저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걸림홈(224)이 폭방향을 따라 단일 개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걸림홈(224)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224)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224)은 휠 림(210)과 대면하는 공명튜브(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24)에는 휠 림(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도 7의 254)가 끼워질 수 있다.
걸림홈(224)은 제1걸림홈(2242) 및 제1걸림홈(2242)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2걸림홈(2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홈(2242)은 공명튜브(220)의 원주방향 일단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걸림홈(2244)은 공명튜브(220)의 원주방향 타단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홈(2242) 및 제2걸림홈(2244)에는, 후술되는 제1걸림부(도 7의2541) 및 제2걸림부(도 7의 2543)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220)는, 휠 림(210)에 대하여, 폭방향 내지 원주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하나의 공명튜브(220) 상에서, 걸림홈(224)이 복수 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명튜브(220) 상에서, 하나의 걸림홈(224)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걸림홈(224)은, 공명튜브(220)의 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20)의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걸림부(254)가 폭방향을 따라 단일 개 배치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걸림부(254)가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지지부(250)는 제1환형벽(212) 및 제2환형벽(214) 사이에서 휠 림(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254)가 걸림홈(224)에 수용됨으로써, 공명튜브(220)의 폭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공명튜브(220)는 걸림부(254)가 걸림홈(224)에 끼워짐으로써, 휠 림(210) 상에 가고정될 수 있으며, 가고정된 공명튜브(220)는 체결부재(230)에 둘러싸임으로써, 휠 림(210) 상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후술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와는 달리, 걸림부가 기립부 및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걸림돌기 상에 제1캠면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320)가 휠 림(310) 상에 장착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명기 휠(30)의 횡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재(33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지지부(350)는 걸림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54)는, 제1환형벽(312) 및 제2환형벽(314) 사이에서, 휠 림(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공명튜브(320)에 형성된 걸림홈(324)에 끼워질 수 있다.
걸림부(354)는, 기립부(3542) 및 걸림돌기(3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354)는 전체로서 'T'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립부(3542)는 휠 림(310)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기립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3544)는 기립부(3542)의 외측 반경방향 일단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3544)는, 걸림돌기(3544)의 폭방향 일단으로부터 기립부(3542)의 반경방향 일단을 향해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제1캠면(354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324)은 걸림부(354)의 'T'자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324)은 제1벽(3241), 제2벽(3243), 및 제3벽(3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벽(3241)은 기립부(3542)의 반경방향 일단과 대면할 수 있으며, 제2벽(3243)은 걸림돌기(3544)의 폭방향 일단과 대면할 수 있다.
제3벽(3245)은 제2벽(3243)으로부터 내측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3544)의 내측 반경방향 일단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공명튜브(320)의 걸림홈(324)이 걸림부(354)에 끼워질 때, 휠 림(310)과 대면하는 제3벽(3245)의 일면은 걸림돌기(3544)의 제1캠면(3546)과 캠 작용(cam ac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벽(3245)은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1캠면(3546)과의 캠 작용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벽(3245)의 내측 폭방향 일단은, 제1캠면(3546)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벽(3241)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벽(324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3벽(3245) 사이의 거리는 계속해서 멀어질 수 있으며, 걸림부(354)는 걸림홈(324)에 더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354)가 걸림홈(324)에 더 깊숙이 삽입될수록 두 개의 제3벽(3245) 사이의 거리는 계속해서 멀어질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걸림부(354)가 걸림홈(324)에 다 삽입될 경우, 제3벽(3245)과 제1캠면(3546) 사이의 캠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벽(3546)은, 제3벽(3245) 내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최초의 위치로 돌아온 제3벽(3245)은 걸림돌기(3544)와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320)는, 휠 림(310) 외주면 상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30)은, 휠 림(310)의 걸림부(354)에 공명튜브(320)의 걸림홈(324)을 끼움으로써, 공명튜브(320)를 휠 림(310) 상에 가고정할 수 있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30)은,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단순한 공정을 통해, 공명튜브(320)를 휠 림(310) 상에 가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30)의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354)는 제1걸림돌기(3541) 및 제1걸림돌기(3541)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2걸림돌기(35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돌기(3541)는 제1걸림홈(32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걸림홈(3242)에 끼워질 수 있다. 제2걸림돌기(3543)는 제2걸림홈(324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걸림홈(3244)에 끼워질 수 있다.
걸림홈(324)은 걸림부(354)의 원주방향 일단과 대면하는 제4벽(3247)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걸림부(354)의 원주방향 일단은 제4벽(324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320)는, 휠 림(3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후술될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와는 달리, 걸림홈의 제3벽이 제2캠면을 포함하고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420)가 휠 림(410) 상에 장착되는 것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명기 휠(40)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재(43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휠 림(410)과 대면하는 제3벽(4245)의 일면은 제2캠면(42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캠면(4249)은 제2벽(4243)으로부터 제3벽(4245)의 폭방향 일단을 향해 상향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걸림부(154)가 걸림홈(424)에 삽입될 때, 제2캠면(4249)은 걸림돌기(4544)의 외측 반경방향 일면과 캠 작용(cam action)할 수 있다.
제3벽(4245)은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캠면(4249)과 걸림돌기(4544)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벽(1245)의 내측 폭방향 일단은, 걸림돌기(454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벽(4241)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벽(424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3벽(4245) 사이의 거리는 계속해서 멀어질 수 있으며, 걸림부(454)는 걸림홈(424)에 더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454)가 걸림홈(424)에 더 깊숙이 삽입될수록 두 개의 제3벽(4245) 사이의 거리는 계속해서 멀어질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걸림부(454)가 걸림홈(424)에 다 삽입될 경우, 제2캠면(4249)과 걸림돌기(4544) 사이의 캠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벽(4245)은, 제3벽(4245) 내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최초의 위치로 돌아온 제3벽(4245)은 걸림부(4544)와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420)는, 휠 림(410) 외주면 상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2캠면(4249)이 평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캠면(4249)은, 보다 부드러운 캠 작용을 위해,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420)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40)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걸림부(454)는 휠 림(410)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424) 또한, 걸림부(454)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40)은, 제3벽(4245)과 걸림돌기(4544) 사이에 대면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제3벽(4245)과 걸림돌기(4544) 사이의 후크 결합을 더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5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부가 장착 홈을 포함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50)의 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지지부(550)의 장착 홈(556)이 폭방향을 따라 단일 개 배치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지지부(550)의 장착 홈(556)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지지부(550)는 제1환형벽(512) 및 제2환형벽(514) 사이에서 휠 림(5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장착 홈(5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명튜브(520)는, 휠 림(510)과 대면하는 공명튜브(5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 돌기(5228)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돌기(5228)의 적어도 일부는 장착 홈(556)에 수용될 수 있다. 장착 돌기(5228)가 장착 홈(556)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명튜브(520)의 폭방향 이동은 저지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장착 홈(556)이 단순한 홈 형상을 가지고 장착 돌기(5228) 또한 장착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단순한 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착 홈(556)은 'T'자 형상을 가지고 장착 돌기(5228) 또한 그와 대응되는 'T'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착 홈(556)과 장착 돌기(5228)는 후크 결합할 수 있다.
후술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6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부가 제1지지영역 및 제2지지영역을 포함하고 공명튜브가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62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60)의 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공명튜브(620)는, 튜브 본체(622), 튜브 본체(6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플랜지(624), 및 튜브 본체(6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플랜지(62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50)는 제1환형벽(612)에 형성된 제1지지영역(658) 및 제2환형벽(614)에 형성된 제2지지영역(6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624)는 제1지지영역(658)에 의해 지지되고, 제2플랜지(626)는 제2지지영역(65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620)는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제1플랜지(624) 및 제2플랜지(626)는 제1지지영역(658) 및 제2지지영역(659)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각각, 제1기립벽(625) 및 제2기립벽(6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립벽(625) 및 제2기립벽(629)은 제1지지영역(658) 및 제2지지영역(659)의 형상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각 플랜지(624, 62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후술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7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걸림부가 휠 림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720)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70)의 종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걸림부(754)는 휠 림(7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휠 림(710)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754)는 전체로서 환형(ring shape)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724) 또한, 환형의 걸림부(754)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공명튜브(720)의 저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홈(72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벽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지 않으며, 공명튜브(720)의 원주방향 양단은, 걸림홈(724)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70)은, 공명튜브(720)가, 휠 림(7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명튜브(720)의 저면과 휠 림(710)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명튜브(720)의 폭방향 일측 또는 공명튜브(7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측방 스토퍼(7225)가 휠 림(710) 상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됨으로써, 공명튜브(720)의 원주방향 이동이 저지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측방 스토퍼(7225)와 스토퍼 수용홈(미도시)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70)은, 공명튜브(720)를 휠 림(710)의 모든 위치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명튜브(720)의 가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18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8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공명튜브가 지지 돌기를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앞선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820)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공명튜브(820)는 튜브 본체(822) 및 튜브 본체(822)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돌기(8229)를 포함할 수 있다.
공명튜브(820)의 지지 돌기(8229)는 그 공명튜브(820)와 이웃하는 다른 공명튜브(8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명튜브(820)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830)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돌기(8229)의 외측 반경방향 일측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830)는 공명튜브(820)들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도 지지될 수 있으며, 공명튜브(820), 예컨대, 체결부재 수용홈(826) 상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명기 휠 110: 휠 림
112: 제1환형벽 114: 제2환형벽
120: 공명튜브 122: 튜브 본체
126: 체결부재 수용홈 127: 스토퍼
130: 체결부재 131: 스토퍼 장착홀
136: 조임부 150: 지지부
152: 지지벽 224: 걸림홈
254: 걸림부 556: 장착 홈
624: 제1플랜지 628: 제2플랜지
658: 제1지지영역 659: 제2지지영역
1225: 측방 스토퍼 1226: 함몰부
1522: 제1지지벽 1524: 제2지지벽
3546: 제1캠면 4249: 제2캠면
5228: 장착 돌기 8229: 지지 돌기

Claims (22)

  1. 휠 림;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상기 제1환형벽과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상기 공명튜브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휠 림 상에 형성되는 지지부로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공명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환형벽 및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벽은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상기 제1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지지벽 및 상기 제2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타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상기 제1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2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타측은 상기 제2환형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상기 제2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타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지지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환형벽과 인접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일측은 상기 제1환형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환형벽 및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휠 림과 대면하는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휠 림으로부터 기립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외측 반경방향 일단으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기립부의 반경방향 일단과 대면하는 제1벽;
    상기 걸림돌기의 폭방향 일단과 대면하는 제2벽; 및
    상기 제2벽으로부터 내측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벽으로서,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 반경방향 일단과 후크 결합하는 제3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의 폭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립부의 반경방향 일단을 향해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제1캠면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1캠면은 상기 휠 림과 대면하는 상기 제3벽의 일면과 캠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휠 림과 대면하는 상기 제3벽의 일면은,
    상기 제2벽으로부터 상기 제3벽의 폭방향 일단을 향해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제2캠면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2캠면은 상기 걸림돌기와 캠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휠 림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공명튜브의 원주방향 일단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1걸림홈 및 상기 공명튜브의 원주방향 타단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홈에 끼워지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홈에 끼워지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림과 상기 공명튜브의 내측 반경방향 일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환형벽 및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장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휠 림과 대면하는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 돌기가 상기 장착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공명튜브의 폭방향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환형벽에 형성된 제1지지영역 및 상기 제2환형벽에 형성된 제2지지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공명튜브는, 튜브 본체, 상기 튜브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튜브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의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공명튜브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방향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부재 수용홈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휠 림과 대면하는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 수용홈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는 상기 체결부재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공명튜브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공명튜브의 지지 돌기는 다른 공명튜브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다른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 돌기의 외측 반경방향 일측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토퍼 장착홀을 관통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장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장착홀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형벽, 상기 제2환형벽, 및 상기 지지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공명튜브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측방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는 스토퍼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KR1020200074266A 2019-08-19 2020-06-18 공명기 휠 KR10242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0888 2019-08-19
KR1020190100888 201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905A true KR20210021905A (ko) 2021-03-02
KR102421784B1 KR102421784B1 (ko) 2022-07-19

Family

ID=7516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266A KR102421784B1 (ko) 2019-08-19 2020-06-18 공명기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64B1 (ko) * 2021-05-14 2021-09-16 주식회사 대유글로벌 고정력이 향상된 공명기 휠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8870A (ja) * 2008-04-09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03A (ja) *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4226992A (ja) * 2013-05-21 2014-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WO2016139317A1 (en) * 2015-03-05 2016-09-09 Jaguar Land Rover Limited A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JP2016172553A (ja) * 2013-02-28 2016-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KR20170067951A (ko) * 2015-12-08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KR20170116321A (ko) * 2016-04-11 2017-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알루미늄 휠
KR20180013177A (ko) * 2016-07-28 2018-02-07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멀티 공명기
KR101893350B1 (ko)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KR101897623B1 (ko) * 2018-06-27 2018-09-12 엔디케이테크(주)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8870A (ja) * 2008-04-09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03A (ja) *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6172553A (ja) * 2013-02-28 2016-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2014226992A (ja) * 2013-05-21 2014-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WO2016139317A1 (en) * 2015-03-05 2016-09-09 Jaguar Land Rover Limited A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KR20170067951A (ko) * 2015-12-08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KR20170116321A (ko) * 2016-04-11 2017-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알루미늄 휠
KR20180013177A (ko) * 2016-07-28 2018-02-07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멀티 공명기
KR101893350B1 (ko)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KR101897623B1 (ko) * 2018-06-27 2018-09-12 엔디케이테크(주)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64B1 (ko) * 2021-05-14 2021-09-16 주식회사 대유글로벌 고정력이 향상된 공명기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784B1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366B2 (en) Resonator wheel
JP6218651B2 (ja) レゾネータ
US20140300177A1 (en) Rim, vehicle wheel, and vehicle with such a rim
US20140346842A1 (en) Vehicle wheel
KR20170067951A (ko)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JP2013107599A (ja) レゾネータ
CN111196109B (zh) 车辆用车轮
KR102421784B1 (ko) 공명기 휠
JP2010095103A (ja) 車両用ホイール
CN110871647A (zh) 车辆用轮毂
KR20180070123A (ko) 차량용 공명관 휠
KR101897623B1 (ko)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WO2017138358A1 (ja) 自動車用ホイール
US20190070894A1 (en) Vehicle wheel
JP2006335162A (ja) 周波数調整部材および車両用ホイール
KR102044206B1 (ko) 슬라이딩 장착 공명기 휠
CN111532085A (zh) 车辆用轮毂
JP2015174502A (ja) 車両用ホイール
KR20210066275A (ko) 공명기 휠
CN110626121A (zh) 车辆用轮毂
KR102302964B1 (ko) 고정력이 향상된 공명기 휠
JP2010095104A (ja) 車両用ホイール
US11318789B2 (en) Ultrasonic welding type wheel resonator
US20200009923A1 (en) Vehicle wheel
JP2010095041A (ja) 車両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