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75A - 공명기 휠 - Google Patents

공명기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75A
KR20210066275A KR1020190155301A KR20190155301A KR20210066275A KR 20210066275 A KR20210066275 A KR 20210066275A KR 1020190155301 A KR1020190155301 A KR 1020190155301A KR 20190155301 A KR20190155301 A KR 20190155301A KR 20210066275 A KR20210066275 A KR 2021006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wheel
stopper
annular wall
wheel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현창
이석주
김영식
신경덕
한건기
황인범
Original Assignee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75A/ko
Publication of KR2021006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22Other apurtenances, e.g. for sealing the component parts enabling the use of tubeless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3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1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공명기 휠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휠 림;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제1환형벽과 제2환형벽 사이에서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및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일측에 스토퍼 장착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공명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스토퍼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명기 휠{Resonator Wheel}
본 개시는 공명기 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타이어가 휠 림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이어와 휠 림 사이의 공간, 일명, 공동(cavity)에 공기가 채워진다. 공동에 채워진 공기는, 완충작용을 통해, 차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차량의 주행도중,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는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타이어가 노면에 의해 가진(加振)됨으로써, 타이어의 사이드 월(side wall)에 진동 내지 공진(共振, resonance)이 발생하게 된다.
타이어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공진은 공명음을 발생시킨다. 공명음은 200Hz ~ 300Hz 주파수 대역의 날카로운 피크를 가진다. 이러한 공명음에 의한 소음은 차실 내부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승차감이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원리를 이용한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장착하여, 타이어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을 저감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종래의 공명튜브는, 휠 림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공명튜브의 플랜지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휠 림 상에 장착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공명튜브는, 공명튜브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휠 림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우선적으로 삽입한 후, 공명튜브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휠 림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는, 순차적인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명튜브 장착 방법은, 그 특성상, 양 삽입홈에 삽입되는 공명튜브의 양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정도가 작을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공명튜브는 휠 림 상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잦은 빈도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공명기 휠인 등록특허공보 10-1893350(이하, 특허문헌 1)은, 공명튜브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은 채, 스트랩(strap) 형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체결부재가, 공명튜브에 대하여, 휠 림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휠 림의 폭방향으로 틀어짐으로써, 공명튜브를 휠 림 상에 견고히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공명튜브의 배열을 재정렬하거나, 체결부재를 다시 체결하기 위한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893350(2018.08.24 공개)
이에, 본 개시는 공명튜브에 대하여 체결부재가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체결부재에 의한 공명튜브의 체결을 더 견고히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휠 림;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제1환형벽과 제2환형벽 사이에서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및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일측에 스토퍼 장착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공명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스토퍼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부재에 의한 공명튜브의 체결을 더 견고히 하여, 내구성 높은 공명기 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으로 자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가 소성 변형되기 전의 체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가 소성 변형된 후의 체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폭방향 등의 용어는 휠 림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원주방향, 및 폭방향은 휠 림의 반경방향 및 휠 림의 원주방향, 및 휠 림의 폭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명기 휠(10)은 휠 림(110),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휠 림(110)은, 차량용 휠 상에서, 타이어가 장착되는 환형의 영역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는, 휠 림(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차량 주행시, 휠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명튜브(120)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원리를 이용하여 휠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외부영역을 연통하는 경부(頸部, neck portion)로 구성된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전체로서 진동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경부의 공기 및 내부공간의 공기는 각각 질량 및 스프링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헬름홀츠 공명기는, 특정한 주파수, 일명, 공명주파수에서 공명(共鳴, resonance)이 발생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의 공명주파수는 경부의 실효직경, 경부의 길이, 경부의 단면적 및 내부공간의 부피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공명이 발생하게 되면, 경부의 공기가 경부 내외로 격렬하게 출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부의 관벽과 경부의 공기 사이에서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에 의해, 진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에서 발생한 소음은 흡음될 수 있다.
한편, 공명튜브(120)는 튜브 본체(122)를 포함하고, 튜브 본체(122)는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124)은, 상술한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각각 내부공간 및 경부에 대응될 수 있다.
휠 림(110) 상에, 복수 개의 공명튜브(120)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휠 림(110) 상에는, 하나의 공명튜브(120)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편심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휠 림(110) 상에는, 공명튜브(120)와 비슷한 무게를 가지는 더미(dummy)가 배치될 수 있다.
휠 림(110) 상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명튜브(120)는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소음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명튜브(120)는 휠 림(110)의 외주면 상에서 가장착될 수 있으며, 가장착된 공명튜브(120)는, 체결부재(130)에 의해, 최종적으로 휠 림(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휠 림(110) 상에 가장착된 공명튜브(120)을 둘러싸도록,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를, 휠 림(1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공명튜브(120)를 휠 림(110)의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방향으로 자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 휠(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튜브(1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명기 휠(10)은 제1환형벽(112) 및 제2환형벽(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환형벽(112)은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환형벽(112)의 일측에는, 공명튜브(120)의 제1플랜지(124)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튜브 장착홈(1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환형벽(114)은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휠 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제1환형벽(11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는 제1환형벽(112)과 제2환형벽(114) 사이에서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튜브 본체(122)와 제2환형벽(114) 사이에서 휠 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플랜지(126)의 외측 반경방향 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130)는, 휠 림(110) 상에 가장착된 공명튜브(120)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각각의 공명튜브(120)는 튜브 본체(122), 제1플랜지(124), 제2플랜지(126), 제1스토퍼(127), 제2스토퍼(128), 및 단턱(129)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본체(122)는 공명실(1222), 공명실(1222)로부터 연장되는 연통구멍(1224), 및 공명실(122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공명실(1222) 및 연통구멍(1224)은, 헬름홀츠 공명기로서 기능함으로써, 휠에서 발생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지지부(1226)는 공명실(1222)을 지지(retain)함으로써, 공명실(1222)이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체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명실(1222)의 체적 변화에 따른, 공명기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플랜지(124)는, 튜브 본체(12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제2플랜지(126)는 튜브 본체(122)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플랜지(124) 일단은 제1환형벽(112)의 튜브 장착홈(11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플랜지(126)의 일단은 제2환형벽(1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7)는 제2플랜지(126)의 일면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의 스토퍼 장착홀(도 1의 131)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 장착홀(131)에 삽입된 제1스토퍼(127)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제1스토퍼(127)를 스토퍼 장착홀(131)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제1스토퍼(127)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120) 중 하나의 공명튜브(120)에만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스토퍼(127)는 두 개 이상의 공명튜브(120)에 구비되거나, 모든 공명튜브(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스토퍼(128)는 제2플랜지(126)의 일단으로부터 제2환형벽(114)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제2환형벽(114)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1142)에 수용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홈(1142)에 삽입된 제2스토퍼(128)는, 스토퍼 수용홈(1142)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공명튜브(120)는, 휠 림(1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단턱(129)은 제2플랜지(126)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튜브 본체(122)의 타측 및 단턱(129) 사이에는, 체결부재(130)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부재 수용공간(R)이 정의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체결부재 수용공간(R)에 수용됨으로써, 튜브 본체(122)의 타측 및 단턱(1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130)는, 공명튜브(120)에 대해, 휠 림(110)의 폭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0)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30)는 스토퍼 장착홀(131), 제1걸림홀(133), 제2걸림홀(135), 제1걸림돌기(132), 제2걸림돌기(134), 및 조임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장착홀(131)은 체결부재(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명튜브(120)의 제1스토퍼(127)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조임부(136)는 체결부재(130)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임부(136)는 제1기립부(1362), 제2기립부(1364), 및 연결부(13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립부(1362)는 체결부재(130)로부터 기립될 수 있으며, 제2기립부(1364)는 제1기립부(1362)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체결부재(130)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연결부(1366)는 제1기립부(1362)의 자유단 및 제2기립부(1364)의 자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조임부(136)는, 소성 변형에 의해, 제1기립부(1362)의 고정단 및 제2기립부(1364)의 고정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130)가 조여짐으로써, 제2플랜지(126)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이란, 고체재료의 가소성(可塑性)을 이용해서 누르거나 두들겨서 모양을 바꾸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영구변형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다시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제1걸림홀(133)은 조임부(136)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조임부(136)보다 체결부재(130)의 일단으로부터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걸림홀(135)은 조임부(136)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조임부(136)보다 체결부재(130)의 일단으로부터 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32)는 체결부재(130)의 타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32)는, 체결부재(130)가 제2플랜지(126)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제1걸림홀(133) 내에서 제1걸림홀(133)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34)는 제1걸림돌기(132)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제1걸림돌기(132)보다 체결부재(130)의 타단으로부터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34)는, 체결부재(130)가 제2플랜지(126)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제2걸림홀(135) 내에서 제2걸림홀(135)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34)는 제1후크(1342) 및 제2후크(1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후크(1342)는 체결부재(130)의 일단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후크(1344)는 제1후크(1342)와 체결부재(130)의 타단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의 타단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되기 전에는, 제1후크(1342)가 제2걸림홀(135)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된 후에는, 제2후크(1344)가 제2걸림홀(135)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되기 전의 체결부재(13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된 후의 체결부재(13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30)가 제2플랜지(126)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되기 전에는, 제1후크(1342)가 체결부재(130)의 일단과 인접하는 제2걸림홀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된 후에는, 제2후크(1344)가 체결부재(130)의 타단과 인접하는 제2걸림홀(135)의 타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될 경우, 제1걸림돌기(132)는 제1걸림홀(133)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걸림홀(133)의 위치는 소성 변형되기 전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될 경우, 제1걸림홀(133)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2걸림홀(135)이 제1걸림홀(13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걸림돌기(134)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제2걸림홀(135)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되던 제1후크(1342)는 제2걸림홀(135)의 일측벽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제2걸림홀(135)의 타측벽과 이격되어 있던 제2후크(1344)는, 제2걸림홀(135)의 타측벽과 가까워짐으로써, 제2걸림홀(135)의 타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임부(136) 및 걸림홀(133, 135)가 형성된 체결부재(130)의 일단은, 제1걸림돌기(132)에 의해 제1원주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제2걸림돌기(134)의 제2후크(1344)에 의해 제1원주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원주방향(D2)으로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홀(133, 135)과 걸림돌기(132, 134) 사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체결부재(1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는, 보다 견고히, 휠 림(110)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30)가 제2플랜지(126)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되기 전에는, 제1스토퍼(127)는, 체결부재(130)의 일단과 인접하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30)가, 휠 림(110) 상에 가장착된 공명튜브(120)를, 최초로 둘러쌀 때, 즉,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되기 이전에, 체결부재(130)의 위치를 정렬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스토퍼(127)가 체결부재(130)의 일단과 인접하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일측벽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30)의 일단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에, 체결부재(130)의 타단을 이동시켜, 걸림홀(133, 135)이 걸림돌기(132, 134)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30)가 제2플랜지(126)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된 후에는, 제1스토퍼(127)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일측벽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될 경우, 제1걸림돌기(132)는 제1걸림홀(133)의 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걸림홀(133)의 위치는 소성 변형되기 전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부(136)가 소성 변형될 경우, 제1걸림홀(133)은 고정된 상태에서, 스토퍼 장착홀(131)이 제1걸림홀(13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토퍼(127)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스토퍼 장착홀(131)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되던 제1스토퍼(127)는 스토퍼 장착홀(131)의 일측벽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제1스토퍼(127)가 스토퍼 장착홀(13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토퍼 장착홀(131)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1스토퍼(127)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토퍼(127)의 원주방향 길이에 대한 스토퍼 장착홀(131)의 원주방향 길이의 비는 1.5보다 클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돌기(132) 및 제2돌기(134)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재(130)의 타단이, 돌기(132, 134)가 걸림홀(133, 1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30)의 일단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돌기(132) 및 제2돌기(134)는 절곡되지 않고, 'I'자의 기립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명기 휠 110: 휠 림
112: 제1환형벽 114: 제2환형벽
120: 공명튜브 122: 튜브 본체
124: 제1플랜지 126: 제2플랜지
127: 제1스토퍼 128: 제2스토퍼
129: 단턱 130: 체결부재
131: 스토퍼 장착홀 132: 제1돌기
133: 제1걸림홀 134: 제2돌기
135: 제2걸림홀 136: 조임부
1142: 스토퍼 수용홈 1222: 공명실
1224: 연통구멍 1226: 지지부
1342: 제1후크 1344: 제2후크
1362: 제1기립부 1364: 제2기립부
1366: 연결부 R: 체결부재 수용공간

Claims (14)

  1. 휠 림;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환형벽;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휠 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환형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환형벽;
    상기 제1환형벽과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및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공명튜브의 외측 반경반향 일면을 둘러싸는 체결부재로서, 일측에 스토퍼 장착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명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토퍼 장착홀을 관통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장착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공명튜브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의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공명튜브를 내측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조임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보다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더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걸림홀; 및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2플랜지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걸림홀 내에서 상기 제1걸림홀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조임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보다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걸림홀; 및
    상기 제1걸림돌기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보다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으로부터 더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2플랜지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2걸림홀 내에서 상기 제2걸림홀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향해 절곡되는 제1후크; 및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이격된 제2후크로서,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을 향해 절곡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기립되는 제1기립부;
    상기 제1기립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기립되는 제2기립부; 및
    상기 제1기립부의 자유단 및 상기 제2기립부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임부는,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1기립부의 고정단 및 상기 제2기립부의 고정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의 원주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스토퍼 장착홀의 원주방향 길이의 비는 1.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가 소성 변형되기 전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과 인접하는 상기 스토퍼 장착홀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가 소성 변형되기 전에는, 상기 제1후크가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과 인접하는 상기 제2걸림홀의 일측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공명튜브의 일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가 소성 변형된 후에는, 상기 제2후크가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과 인접하는 상기 제2걸림홀의 타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명튜브 중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형벽은 상기 제1환형벽의 일측에 형성된 튜브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튜브는, 튜브 본체, 상기 튜브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상기 튜브 장착홈에 삽입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튜브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상기 제2환형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튜브 본체와 상기 제2환형벽 사이에서 상기 휠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플랜지의 외측 반경방향 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제2플랜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환형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환형벽은 상기 제2스토퍼를 수용하는 스토퍼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튜브는 상기 제2플랜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 본체의 타측 및 상기 단턱 사이에,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부재 수용공간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기 휠.
KR1020190155301A 2019-11-28 2019-11-28 공명기 휠 KR20210066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01A KR20210066275A (ko) 2019-11-28 2019-11-28 공명기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01A KR20210066275A (ko) 2019-11-28 2019-11-28 공명기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75A true KR20210066275A (ko) 2021-06-07

Family

ID=7637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01A KR20210066275A (ko) 2019-11-28 2019-11-28 공명기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50B1 (ko)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50B1 (ko)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622B (zh) 共振器车轮
US11193552B2 (en) Frequency tuned damp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amper
US9431000B2 (en) Vehicle wheel
US9381772B2 (en) Rim, vehicle wheel, and vehicle with such a rim
KR101941419B1 (ko) 홀딩 부재 및 상기 홀딩 부재를 구비한 제어 모듈
JP2015171876A (ja) レゾネータ
CN102483116B (zh) 用于固定机组的支架
KR102262129B1 (ko)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KR20180070123A (ko) 차량용 공명관 휠
KR101897623B1 (ko)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KR102421784B1 (ko) 공명기 휠
KR20210066275A (ko) 공명기 휠
US11571927B2 (en) Wheel with sound absorber
KR102044206B1 (ko) 슬라이딩 장착 공명기 휠
KR10148864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KR20200057270A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CN111532085A (zh) 车辆用轮毂
KR102302964B1 (ko) 고정력이 향상된 공명기 휠
KR20190085333A (ko) 타이어의 소음 저감장치
CN213425939U (zh) 一种减震环和应用该减震环的电子水泵电机的安装结构
KR102552503B1 (ko) 자동차 휠의 공명기
CN212242808U (zh) 一种轮毂谐振器的安装固定结构
KR20210123579A (ko) 자동차 휠의 공명기 결합장치
KR20220076256A (ko) 파장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장관 휠
KR200223902Y1 (ko) 자동차 팬모터용 플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