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166A - 국자 - Google Patents

국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166A
KR20210021166A KR1020190099415A KR20190099415A KR20210021166A KR 20210021166 A KR20210021166 A KR 20210021166A KR 1020190099415 A KR1020190099415 A KR 1020190099415A KR 20190099415 A KR20190099415 A KR 20190099415A KR 20210021166 A KR20210021166 A KR 2021002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head
bowl
broth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연
Original Assignee
박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연 filed Critical 박성연
Priority to KR102019009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1166A/ko
Publication of KR2021002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 및 상기 국자 헤드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쪽 형성되며 국자를 걸었을때 상기 파지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걸기 위한 국자걸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자{The ladle}
본 발명은 국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척된 국자를 거꾸로 보관함으로써 건조가 용이하고, 받침대를 구비하여 국자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게하여 수인성 전염병등을 방지할수 있으며, 바닥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주방 환경을 제공하는 국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는 국자를 사용 후 씻어서 국자의 손잡이 상단에 있는 구멍을 이용하여 걸어놓으면 하단에 위치한 음식물이 담기는 몸체부분에 물이 고여 있어 먼지 등이 묻으면서 서서히 말라 지저분한 얼룩이 생겨 보기나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정의 주방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을 조리 할 때 음식물 속에 넣어 젖거나 퍼는 등의 용도로 주걱, 국자와 같은 각종 주방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음식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 비치를 바닥에 위치하거나, 별도의 용기나 걸이형태의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도구를 바닥에 비치 시 음식이 묻은 부분이 바닥과 직접 접촉하게 되어 음식물이 바닥에 묻거나 바닥의 오염된 균으로 인한 수인성 전염병 등의 감염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자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세척된 국자를 거꾸로 보관함으로써 건조가 용이하고, 받침대를 구비하여 국자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게하여 수인성 전염병등을 방지할수 있으며, 바닥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주방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국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자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 및 상기 국자 헤드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쪽 형성되며 국자를 걸었을때 상기 파지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걸기 위한 국자걸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는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 및 상기 국자 헤드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 또는 파지부의 일정부분에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일정형상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국자 헤드부를 상기 파지부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국자 헤드부쪽에 형성되며 상기 국자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 보다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공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파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국자의 직립시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공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울의 내측 테두리에는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국자를 직립시키거나, 상기 국자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일정중량의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국자 헤드부는 상기 파지부에 인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국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국자를 직립시키기 위한 압착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국자는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세척된 국자를 거꾸로 보관함으로써 건조가 용이하고 또한, 받침대를 구비하여 국자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게하여 수인성 전염병등을 방지할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주방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국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국자 헤드부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는 파지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상태도다.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국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국자 헤드부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파지부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상태도다.
먼저,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국자(100)는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bowl)(111)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110) 및 상기 국자 헤드부(110)와 연결되는 파지부(120)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110)쪽 형성되며 국자(100)를 걸었을때 상기 파지부(120)가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걸기 위한 국자걸이 홈이(112)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국자걸이 홈(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된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국자 헤드부(110)의 일측이 개방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200)는 파지부(2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국자 헤드부(210)를 상기 파지부(220)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대(2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20)의 일면에 도출된 형태로 상기 파지부(2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20)의 일단에 접철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221)는 상술한 실시 예 외에 지면쪽으로 도출된 받침대(221)가 상기 파지부(22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국자 헤드부(210)쪽에는 상기 국자 헤드부(210)가 상기 파지부(220) 보다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울(211)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일정형상의 제1저장공간(2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저장공간(212)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의 일부분 즉, 보울(211)쪽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제1저장공간(212)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이유는 국자의 사용시 상기 제1저장공간(212)에 임시 저장된 국물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국물이 담겨져 있는 냄비 또는 국자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2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211)의 내측 테두리에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상기 제1저장공간(212)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보울(211)의 표면에 잔존하는 물 또는 국물을 상기 제1저장공간(212)으로 깔끔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국자(100)(20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20)(220)의 말단에 상기 국자를 직립시키기 위한 일정중량의 무게추(2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222)의 중량은 국자의 전체 무게를 고려하여 선택된 적절한 중량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무게추(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20)(220)의 타단에 삽입되어 국자의 전체 외관을 해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120)(220)의 말단에는 국자를 걸기 위한 고리구멍(224)이 타공될 수 있으며 이때, 타공된 상기 고리구멍(224)에 삽입되는 고리(도시되지 않음)는 일정중량을 갖도록 구비하여 상술한 무게추(222)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국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국자를 용이하게 직립시키기 위해 상기 무게추(222)를 이용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파지부(120)(220)의 말단에 압착패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상기 국자를 직립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패드는 다양한 고무소재 또는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200)는 상기 파지부(22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국자(200)의 직립시 상기 보울(211)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일정형상의 제2저장공간(2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저장공간(223)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임시 저장된 물 또는 국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국자(100)(200)는 상기 국자 헤드부(110)(210)가 상기 파지부(120)(220)에 인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국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는 상기 파지부(120)(220)에 국자의 헤드부(110)(210)가 결합되어 국자(100)(200)의 기능을 수행함을 예로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는 상기 국자 외에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도 5), 거품 발생기(도 6), 뒤집기(도 7) 및 채칼(도 8) 이 각각 또는 한 세트로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됨으로써 상술한 국자의 목적 및 효과를 동일하게 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국자 헤드부(110)(210)는 사용 태양에 따라 주걱 헤드부(310), 거품 발생기 헤드부(410), 뒤집기 헤드부(510) 및 채칼 헤드부(610)로 대체될 수 있으며, 나머지 기술적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국자(100)(200)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국자는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해 먼저, 세척된 국자를 거꾸로 보관함으로써 건조가 용이하고 또한, 받침대를 구비하여 국자가 바닥면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게하여 수인성 전염병등을 방지할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주방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자
110 : 국자 헤드부
111 : 보울
112 : 국자걸이 홈
120 : 파지부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자
210 : 국자 헤드부
211 : 보울
212 : 제1저장공간
213 : 가이드 홈
220 : 파지부
221 : 받침대
222 : 무게추
223 : 제2저장공간
224 : 고리구멍
310 : 주걱 헤드부
410 : 거품 발생기 헤드부
510 : 뒤집기 헤드부
610 : 채칼 헤드부

Claims (9)

  1.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 및 상기 국자 헤드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쪽 형성되며 국자를 걸었을때 상기 파지부가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걸기 위한 국자걸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2. 물 또는 국물을 저장하여 운반하는 보울이 구비된 국자 헤드부 및 상기 국자 헤드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 또는 파지부의 일정부분에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일정형상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국자 헤드부를 상기 파지부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국자 헤드부쪽에 형성되며 상기 국자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 보다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파지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국자의 직립시 상기 보울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내측 테두리에는 흘러내리는 물 또는 국물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국자를 직립시키거나, 상기 국자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일정중량의 무게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 헤드부는 상기 파지부에 인출 또는 인입되어 상기 국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국자를 직립시키기 위한 압착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KR1020190099415A 2019-08-14 2019-08-14 국자 KR20210021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15A KR20210021166A (ko) 2019-08-14 2019-08-14 국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15A KR20210021166A (ko) 2019-08-14 2019-08-14 국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166A true KR20210021166A (ko) 2021-02-25

Family

ID=7473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15A KR20210021166A (ko) 2019-08-14 2019-08-14 국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1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763B2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AU2014405291B2 (en) Holding assembly
EP3188641B1 (en) Holding assembly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US20140284293A1 (en) Shower Storage Caddy
KR20210021166A (ko) 국자
US20040149877A1 (en) Spray bottle hanger
KR102131561B1 (ko) 티백용 컵 뚜껑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US20210315343A1 (en) Container
KR102078636B1 (ko)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KR102407302B1 (ko) 젓가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스푼 헤드 장치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JP2018196647A (ja) 上部開口容器
CN211834118U (zh) 一种三孔电动牙刷支架
US20210316774A1 (en) Methods relating to combat sport equipment
KR200258670Y1 (ko) 위생컵
KR101898883B1 (ko) 일회용 주방용품 포장케이스 수납용 디스펜서
JPH0722201Y2 (ja) 食器乾燥機
CN209122012U (zh) 一种用于酒店的收纳盒
JP2016034384A (ja) まな板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JP2003038391A (ja) 掃除用伸縮ピンセット
KR200241642Y1 (ko) 한벌의 수저
KR20230001683A (ko) 컵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