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36B1 -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 Google Patents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36B1
KR102078636B1 KR1020180142355A KR20180142355A KR102078636B1 KR 102078636 B1 KR102078636 B1 KR 102078636B1 KR 1020180142355 A KR1020180142355 A KR 1020180142355A KR 20180142355 A KR20180142355 A KR 20180142355A KR 102078636 B1 KR102078636 B1 KR 10207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cissors
handle
fasten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주
Original Assignee
남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주 filed Critical 남윤주
Priority to KR102018014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에 탈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리부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 행거 바 등의 대상물에 가위를 바로 걸어서 수납 및 건조가 가능하여 더욱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을 중심으로 X자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위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위날의 후단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손잡이 및 제 2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손잡이의 상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홈; 및 걸이가 가능한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홈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Hook is possible Function 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에 탈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리부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 행거 바 등의 대상물에 가위를 바로 걸어서 수납 및 건조가 가능하여 더욱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두 개의 칼날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천이나 가죽 또는 종이 등을 자르는 도구로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주방에서는 고기, 야채 등의 음식물을 자르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위는 사용후 세척한 뒤 하부가 밀폐된 수저통 등의 수납함에 꽂은 상태로 건조 및 보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위날의 하단부와 수저통이 밑면이 접촉된 상태로 건조 및 보관되는 바, 이는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생적인 환경에서 가위를 건조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s자 등의 고리 형태의 걸쇠에 가위의 손잡이 부분을 걸어서 보관해야 한다. 그런데 가위를 걸어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걸쇠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며, 걸쇠가 없는 경우에는 가위를 걸어서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위날이 바닥에 닿지 않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기능성 가위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11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2개의 날(엄지걸이가 연결된 동인부와, 나머지 손가락걸이가 연결된 정인부)이 하나의 피봇나사로 연결교차되어, 가공물을 물고 자르는데 사용하는 통상의 가위에 있어서, 가위를 길이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똑바로 세울 수 있게 엄지 및 나머지손가락걸이에 직립받침대를 형성하거나, 또는 가위의 길이방향을 바닥면과 나란하게 세울 수 있게 동인부 하단에 동인와립받침대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와립기능을 구현하도록 선회축에 피봇와립받침대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작업테이블을 더럽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가위를 수월하게 잡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가위날이 바닥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눕히거나 세워서 거치함에 따라, 위생적인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인 바, 거치할 만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사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 또한 보관 공간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걸어서 건조 및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여전히 고리 형태의 걸쇠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KR 20-010-0005115 U 2010.05.1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부에 탈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리부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 행거 바 등의 대상물에 가위를 바로 걸어서 수납 및 건조가 가능하여 더욱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축을 중심으로 X자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위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위날의 후단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손잡이 및 제 2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제 1손잡이의 상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홈; 및 걸이가 가능한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홈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체결홈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이 상기 체결홈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의해 상기 체결홈으로의 인입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321)가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형성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 상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패이되,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상단 둘레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이 방사상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배치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손잡이에는, 상기 체결홈의 상부를 감싸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2손잡이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 2손잡이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접이가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에 탈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리부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 행거 바 등의 대상물에 가위를 바로 걸어서 수납 및 건조가 가능하여 더욱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리부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손잡이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고리부의 분실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위치 및 주변 환경에 따라 고리부를 회전시켜 손잡이와 체결할 수 있는 바, 가위를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와 손잡이의 체결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고정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1실시예의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고정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2실시예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용 실시예의 개략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100)에 탈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고리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 행거 바 등의 대상물(T)에 가위를 바로 걸어서 수납 및 건조가 가능하여 더욱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와 손잡이의 체결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고정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1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가 고정홈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 2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5(A), 도 7(A), 도 9(A)는 가위의 사시도이고, 5(B), 도 7(B), 도 9(B)는 가위의 평면도이며, 도 6(A), 도 8(A), 도 10(A)는 체결홈과 고리부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 도 8(B), 도 10(B)는 도 6(A), 도 8(A), 도 10(A) 각각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C), 도 8(C), 도 10(C)는 도 6(B), 도 8(B), 도 10(B) 각각의 A-A'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용 실시예의 개략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은 고리부가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고리부가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X자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위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손잡이부(100), 체결홈(200) 및 고리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0)는 손가락 삽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위날의 후단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손잡이(110) 및 제 2손잡이(120)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 1손잡이(110)와 제 2손잡이(120)는 가위날을 벌리거나 오므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손가락 삽입구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홈(200)은 고리부(300)를 체결하기 위한 홈으로써, 상기 제 1손잡이(110)의 상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홈(200)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210)이 상기 체결홈(20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200)의 내주면 상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패이되, 상기 삽입홈(210)의 하단부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홈(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홈(210)을 통과한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회전홈(220)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홈(220)의 상단 둘레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230)이 방사상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배치된다.
상술하면, 상기 고정홈(230)은 상기 회전홈(2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홈(230)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홈(220)과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회전홈(220)의 상부측 둘레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200)에는 상기 체결홈(2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홈(200)의 하면과 면대향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가압면(240) 및 상기 체결홈(200)의 하면과 가압면(24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용 탄성체(250)가 더 구비된다.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면(240)은 상기 체결홈(200)의 단면적보다는 크고 상기 회전홈(220)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홈(2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24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면(240)의 상면이 상기 회전홈(220)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면(240)에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압용 탄성체(250)가 압축되면서 상기 가압면(240)이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압면(240)의 하면은 상기 회전홈(220)의 하부면과 면접촉되면서 배치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체결홈(200)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손잡이(110)에는 상기 체결홈(200)의 상부를 감싸는 커버(40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제 1손잡이(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 1손잡이(110)의 상단측 전후면에는 상기 제 1손잡이(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111)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제 1손잡이(110)의 상단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돌기(4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안내돌기(410)가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체결홈(200)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안내돌기(41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체결홈(200)은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410)는 상기 커버(400)의 연장방향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홈(111)의 연장방향 양끝단은 상기 안내돌기(410)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홈(111)의 중심부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끝단은 점차 폭이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돌기(410)는 원형 단면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400)를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강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410)가 상기 가이드홈(110)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억지 이동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리부(300)는 걸이가 가능한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홈(200)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300)는 걸이가 가능하게 곡률진 걸쇠부(310)와 상기 걸쇠부(31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리부(300)의 하단부, 즉 상기 연결부(3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홈(210)에 의해 상기 체결홈(200)으로의 인입이 안내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321)가 상기 삽입홈(210)에 대응되도록 형성 구비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321)는 상기 삽입홈(210)과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도록 하되, 이는 상기 삽입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고리부(30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고리부(300)를 체결하여 수납장의 손잡이, 행거 등에 걸어서 세척 및 수납할 수 있으며, 이때, 가위를 수납하는 공간의 환경에 따라 상기 고리부(300)를 체결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 내지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체결돌기(321)가 상기 삽입홈(210)에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상기 고리부(300)를 상기 체결홈(200)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300)의 하단부가 점차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면(240)을 하방으로 밀어 넣게 되며, 상기 체결돌기(321)가 상기 삽입홈(210)을 통과하여 고정홈(230)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 고리부(300)를 일정각도로 축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돌기(321)가 상기 고정홈(230)을 따라 회전되며, 회전된 체결돌기(321)가 일정 위치의 고정홈(230)과 매칭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300)를 상단으로 끌어올리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321)가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리부(30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걸쇠부(310)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고정되며, 이 상태로 손잡이나 행거 등에 걸어서 가위를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21)가 체결되는 고정홈(2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쇠부(310)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지는 바,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면(240)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홈(230)의 하단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체결돌기(321)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300)는 일정한 각도로 체결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21)와 고정홈(230)이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돌기(321)와 고정홈(230)은 억지 끼움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돌기(321)는 원구형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홈(230)은 상기 체결돌기(321)에 대응되는 원구형의 홈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가 상기 회전홈(220)과 연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321)와 고정홈(230)은 억지 끼움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강한 고정력을 갖게 되고, 고정홈(230)의 하부에서는 상기 가압면(240)이 상기 체결돌기(321)를 가압하는 바, 상기 고리부(300)가 안정적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300)는 필요치 않은 경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리하여 보관하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30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2손잡이(120)에 수납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제 2손잡이(120)의 둘레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손잡이(120)에는 상기 고리부(300)가 삽입 체결되는 수납홈(121)이 상기 제 2손잡이(120)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수납홈(121)은 상기 제 2손잡이(120)의 상단측의 곡률진 부분으로부터 외형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300)는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홈(121)에 삽입 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홈(121)의 내측면은 상기 고리부(30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2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리돌기(122) 및 상기 체결돌기(321)가 삽입되는 제 1홈(미도시)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리부(300)에는 상기 고리돌기(122)가 삽입 체결되는 제 2홈(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부(300)의 체결돌기(321)는 상기 제 1홈(123)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리돌기(122)가 상기 제 2홈(330)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리부(300)가 상기 수납홈(12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행거 등의 하부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가위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리부(300)는 접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걸쇠부(310)와 연결부(320)의 사이에는 힌지부(340)가 구비되어 상호 구성이 접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부(320)는 상기 걸쇠부(310)의 고리부분이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부(320)의 외측면과 상기 걸쇠부(310)의 외측면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쇠부(310)는 상기 연결부(320)가 맞닿는 면상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돌기(3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320)에는 상기 보조돌기(311)가 삽입되는 보조홈(322)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돌기(311)가 상기 보조홈(3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쇠부(310)와 연결부(320)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320)의 하단부는 상방을 향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상기 제 1손잡이(110)와 체결되는 경우, 가위날의 끝단이 상방을 향하여 배치된 상태로 걸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리부(300)와 체결홈(200)은 억지끼움에 의해 체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300)의 하단부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00)은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리부(300)의 단면 장축의 길이(a1*2)는 상기 체결홈(200)의 단면 장축의 길이(a2*2)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300)의 단면 단축의 길이(b1*2)는 상기 체결홈(200)의 단면 단축의 길이(b2*2)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체결홈(200)과 동일 또는 이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타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홈(220)은 상기 체결홈(200)의 내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고정홈(220)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20) 단면의 단축(b3*2)의 길이는 상기 고리부(300)의 단면 장축의 길이(a1*2)보다 작고, 상기 고리부(300) 및 체결홈(200)의 단면 단축의 길이(b1*2, b2*2)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성분의 길이는 b1≤b2<b3<a1≤a2의 관계를 갖는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300)가 상기 체결홈(2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300)의 장축 끝단측은 상기 체결홈(200)의 내벽과 회전하면서 압축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300)의 상단은 밀폐된 상태가 되고, 상기 고리부(300)의 끝단은 상기 체결홈(200)와 억지 끼움된 상태가 되는 바, 상기 고리부(300)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리부(30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고리부(300)와 손잡이부(10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바, 사용이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T : 대상물
100 : 손잡이부 110 : 제 1손잡이
111 : 가이드홈
120 : 제 2손잡이 121 : 수납홈
122 : 고리돌기
200 : 체결홈 210 : 삽입홈
220 : 회전홈 230 : 고정홈
240 : 가압면 250 : 가압용 탄성체
300 : 고리부 310 : 걸쇠부
311 : 보조돌기 320 : 연결부
321 : 체결돌기 322 : 보조홈
330 : 제 2홈 340 : 힌지부
400 : 커버 410 : 안내돌기

Claims (6)

  1. 힌지축을 중심으로 X자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위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위날의 후단측에 각각 체결되는 제 1손잡이(110) 및 제 2손잡이(12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100);
    상기 제 1손잡이(110)의 상단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홈(200); 및
    걸이가 가능한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홈(200)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고리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200)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210)이 상기 체결홈(20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210)에 의해 상기 체결홈(200)으로의 인입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321)가 상기 삽입홈(210)에 대응되도록 형성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200)의 내주면 상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패이되, 상기 삽입홈(210)의 하단부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220)의 상단 둘레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230)이 방사상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배치되며,
    상기 체결돌기(321)가 상기 고정홈(230)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손잡이(110)에는,
    상기 체결홈(200)의 상부를 감싸는 커버(40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제 1손잡이(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300)는,
    상기 제 2손잡이(120)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300)는 접이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KR1020180142355A 2018-11-19 2018-11-19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KR10207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55A KR102078636B1 (ko) 2018-11-19 2018-11-19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55A KR102078636B1 (ko) 2018-11-19 2018-11-19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36B1 true KR102078636B1 (ko) 2020-02-19

Family

ID=6966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55A KR102078636B1 (ko) 2018-11-19 2018-11-19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06U (ko) * 2007-12-21 2009-06-25 박승부 결착구
KR20160047135A (ko) * 2014-10-22 2016-05-02 이장우 야채가위
CN108237562A (zh) * 2016-12-23 2018-07-03 余媛 剪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06U (ko) * 2007-12-21 2009-06-25 박승부 결착구
KR20160047135A (ko) * 2014-10-22 2016-05-02 이장우 야채가위
CN108237562A (zh) * 2016-12-23 2018-07-03 余媛 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835A (en) Food handling implement
US20030155783A1 (en) Self-closing bag holder and assembly
US8695838B1 (en) Bowl with utensil holder
JP2004531431A (ja) 分離可能な顎部を有するクリップ
US11490750B1 (en) Versatile tableware device
KR102078636B1 (ko)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US5237749A (en) Hand tool for peeling elongated vegetables
US5599228A (en) Clamp for holding oysters and like mollusc while being pryed opened
US4683607A (en) Vacuum cleaner accessory bracket
KR200331121Y1 (ko) 포장백용 손잡이
KR20140064320A (ko) 포장용 랩 홀더
US1753815A (en) Meat fork
KR101695321B1 (ko) 다용도 접이식 걸이
CN209807913U (zh) 一种便捷食品夹
GB2363095A (en) A storage device for compact discs (CDs)
JP3221840U (ja) ポーチ保持具
JP3192349U (ja) 握り鋏
KR101488709B1 (ko) 개량 집게
US20220371213A1 (en) Knife Ring
US10065330B1 (en) Utility scissors assembly
KR20210021166A (ko) 국자
JPH042621Y2 (ko)
JP2567865Y2 (ja) テーブル用掛け具
JPS5936199Y2 (ja) ミ−トペンチ
KR20160119946A (ko) 두 몸체로 구성되는 식품취급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