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04A -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 Google Patents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04A
KR20210020704A KR1020190100596A KR20190100596A KR20210020704A KR 20210020704 A KR20210020704 A KR 20210020704A KR 1020190100596 A KR1020190100596 A KR 1020190100596A KR 20190100596 A KR20190100596 A KR 20190100596A KR 20210020704 A KR20210020704 A KR 2021002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customer
personal information
hosp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141B1 (ko
Inventor
이규민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스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스마트
Priority to KR102019010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전자 의무기록을 유/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하되, 상기 의료기관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 및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의료기관 창구단말(100);과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는 병원중계서버(200a);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의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전자 의무기록을 수신하고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보험사서버(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창구단말(100)이외에도 무인 수납기 등을 이용하여 의료보험 청구과정을 적극적으로 간소화 시킬 수 있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Easy Insurance Billing Service}
본 발명은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기관의 망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창구단말 또는 무인 수납기중 하나이상을 이용하여 해당 내역에 대한 의료보험 청구과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국내 의료보험은 높은 보험 가입률을 가지며, 특히 실손 보험의 경우 국내 3,300만명이 가입되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고객들은 보험청구시에 설계사 또는 우편/팩스와 같은 오프라인 방식으로 보험을 청구하며, 많은 실손 청구 서류를 고객이 직접 작성 및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객의 불편사항이 높은 실정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보험청구 한도를 증액 시키고, 상기 보험청구를 위해 구비하여야 하는 청구서류를 간소화 및 표준화 시키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청구 접수 방식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대하여 모바일 또는 웹 등으로 보험청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청구접수 방식의 일예로 국내 출원 특허 제 10-2013-0106604호에 의하면, 보험금 청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바일 또는 웹 등으로 보험청구 접수 방식으로는 여전히 전산화 비용 및 인적오류, 행정업무 부담 등이 발생되고 있으며, 의료기관의 의료망과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보험청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보험청구 서비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기관망과 직접적으로 연결 된 창구단말 또는 무인 수납기를 이용하여 진료비 수납부터 실손 보험청구 업무를 하나의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편의를 증대하고, 또한 실손 보험청구에 따른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험청구 과정의 편리성이 확보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전자 의무기록을 유/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 및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의료기관 창구단말(100);과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는 병원중계서버(200a);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의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전자 의무기록을 수신하고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보험사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된 것이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진료비정보를 저장하는 진료DB;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진료DB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진료비를 수납하는 수납모듈;과 상기 수납모듈에서 수납이 완료 된 고객의 실손 보험청구 동의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결과값을 수집하는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과 상기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에서 수집 된 결과값이 '동의'인 고객의 리스트를 독출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정보 처리모듈에서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창구단말(100)의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서버(400)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보험가입여부를 확인하여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조회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창구단말(100)에서 보험가입여부 조회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보험에 가입한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와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에 포함 된 개인정보와,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에 저장 된 개인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모듈(420);을 포함하되 상기 대조모듈을 통해 대조한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보험가입상태' 또는 '보험 비 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험사 서버(400)는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가입된 해당 보험의 실손 보험 청구접수에 필요한 청구서류와 해당 보험사 서버의 ID를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하고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해당 보험사 서버의 ID를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100)은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고객의 개인정보를 탑재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하나이상의 보험사서버(400)에 대한 ID를 저장하고 있는 보험사DB(270);를 포함하되 중계기에서 전달한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중계기를 통해 보험사DB에 저장된 또 다른 보험사서버(400a)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조회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되, 목록에 포함된 모든 보험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결과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에 조회결과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100)은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과 처방전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영수증과 세부내역, 처방전을 생성함으로써 전자 의무기록을 제공하는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와 상기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포함 된 청구서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암호화하여 전문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안 모듈(230);과 상기 보험사서버에 실비를 청구하기 위한 전자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실비청구기록DB(240);을 포함하되, 상기 병원서버(200)는 상기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로부터 생성 된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 의무기록DB(250);과 상기 창구단말에서 입력받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DB(260);를 포함하되,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의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는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 된 조회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에서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안 모듈(230)로부터 생성 된 전문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100)은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DB(250);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의무기록을 독출 하고, 상기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독출 된 전자 의무기록을 창구단말(100)에 전송 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데이터 송수신부(310);와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복호화모듈(320);을 포함하되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한 전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 된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상기 보험사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한 후 종래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삭제모듈(33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청구접수부(430);와 상기 청구접수부로부터 청구접수가 완료 될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또는 고객단말기(120);중 하나 이상에 청구접수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440);와 상기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포함하되 상기 청구접수부(43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에 포함 된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는 고객단말기 ID와, 고객의 이름과, 진료기록과 환자등록번호 또는 주민번호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은 의료기관에 구비된 태블릿 또는 모바일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APP)이거나, 입력장치가 구비 된 모니터일수 있으며 상기 창구단말에 고객이 직접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구접수부(430)로부터 실손 보험 청구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중계기에 청구접수완료 정보에 개인정보를 탑재하여 송신하고,상기 중계기는 상기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에 전달하되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고객의 개인정보 처리동의서, 실손 보험 청구 동의 여부 정보,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 된 조회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동의징구불필요 결과를 탑재하여 상기 창구단말(10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동의징구 불필요 결과를 수신한 창구단말(100)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와 보험사서버의 ID를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의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가 불일치할 경우,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동의징구필요 결과를 탑재하여 상기 창구단말(100)에 송신하되, 상기 창구단말(100)은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동의징구필요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개인정보제공 동의정보, 서비스 이용 동의정보, 위임 동의정보를 수집하여 동의징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창구단말(100)은상기 동의징구 결과 데이터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보험사서버의 ID를 탑재하여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의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서류가 유/무선으로 송신됨에 따라 보험청구 편의성이 증대되고, 보험청구정보 입력의 자동화로 인적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보험청구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고객, 병원, 보험사서버 모두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실손 보험 청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납기에서 독출 된 전자 의무기록에 대해 실손 보험을 청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납기에 전자 의무기록리스트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무인 수납기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입력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전자 의무기록을 유/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 및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의료기관 창구단말(100);과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는 병원중계서버(200a);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의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전자 의무기록을 수신하고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보험사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창구단말은 의료기관에 구비된 태블릿 또는 모바일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앱(APP)이거나, 입력장치가 구비 된 모니터일수 있으며 상기 창구단말에 고객이 직접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인정보는 고객단말기 ID와, 고객의 이름과, 진료기록과 환자등록번호 또는 주민번호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영수증과 세부내역, 처방전을 생성함으로써 전자 의무기록을 제공하는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와 상기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포함 된 청구서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암호화하여 전문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안 모듈(230);과 상기 보험사서버에 실비를 청구하기 위한 전자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실비청구기록DB(240);을 포함하되, 상기 병원서버(200)는 상기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로부터 생성 된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 의무기록DB(250);과 상기 창구단말에서 입력받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DB(260);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모듈(230)에서 생성한 전문데이터는 공인인증서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데이터 송수신부(310);와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복호화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호화 모듈(320)에서 생성 한 실손 보험 청구 요청 정보는 공인인증서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계기는 의료기관에서 공인인증서 기반한 암호화 된 전자 처방전을 생성하여 중계기중개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은 중계기이외에도 진료기록을 안전하게 보험사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중개 플랫폼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한 후 종래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삭제모듈(330);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보험에 가입한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와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에 포함 된 개인정보와,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에 저장 된 개인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모듈(420);과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청구접수부(430);와 상기 청구접수부로부터 청구접수가 완료 될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또는 고객단말기(120);중 하나 이상에 청구접수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440);와 상기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하나이상의 보험사서버(400)에 대한 ID를 저장하고 있는 보험사DB(270);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실손 보험 청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창구단말을 통해 대면으로 본인확인과정을 거치고, 진료/처방받은 내역을 보험청구할 수 있다.
상기 창구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된 것이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진료비정보를 저장하는 진료DB;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진료DB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진료비를 수납하는 수납모듈;과 상기 수납모듈에서 수납이 완료 된 고객의 실손 보험청구 동의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결과값을 수집하는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과 상기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에서 수집 된 결과값이 '동의'인 고객의 리스트를 독출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정보 처리모듈에서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은 상기 실손 보험청구 동의 여부 결과가 '비동의'일 경우, 고객으로부터 실손 보험 청구 동의를 징구함으로써 상기 실손 보험청구 동의 여부 결과가 '동의'가 되도록 한다.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창구단말(100)의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서버(400)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보험가입여부를 확인하여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조회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은 상기 실손 보험청구 동의 여부 결과가 '동의'일 경우, 상기 수납모듈에서 수납이 완료된 고객으로부터 직접 가입된 보험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구단말은 상기 수집된 보험사 정보를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에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가입된 보험사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창구단말(100)의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가입된 보험사 정보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가입된 보험사 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 DB(270)에서 병원중계서벌부터 전달한 상기 보험사 정보와 일치하는 보험사 ID를 독출하고 해당 보험사서버(400)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보험가입여부를 확인하여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조회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보험사서버(400)는 대조모듈(420);을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에 포함 된 개인정보와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에 저장 된 개인정보를 대조한다.
그리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대조 결과가 일치할 경우 상기 고객이 해당 보험사서버에 보험가입 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험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보험의 실손 보험 청구접수에 필요한 청구서류와 보험사서버(400)의 ID를 상기 '보험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한다.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대조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고객이 해당 보험사서버에 보험 비 가입 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험 비 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보험사서버(400)의 ID를 상기 '보험 비 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한다.
상기 창구단말(100)은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고객의 개인정보를 탑재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송신한다.
상기 중계기(300)는 중계기에서 전달한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중계기를 통해 보험사DB에 저장된 또 다른 보험사서버(400a)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조회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되, 목록에 포함된 모든 보험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결과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에 조회결과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창구단말(100)은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과 처방전을 출력한다.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의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는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 된 조회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에서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안 모듈(230)로부터 생성 된 전문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중계기의 제2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한 전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 된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상기 보험사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삭제모듈(330)은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한 후 종래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삭제한다.
그리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청구접수부(430)로부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에 포함 된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청구접수부로부터 청구접수가 완료 될 경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440)는 상기 창구단말(100)또는 고객단말기(120);중 하나 이상에 청구접수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창구단말(100)은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자 의무기록DB(250);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의무기록을 독출하고, 상기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독출 된 전자 의무기록을 창구단말에 전송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을 통해 의료기관의 원내망에 접속된 무인 수납기(11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진료/처방받은 내역을 보험청구하고자 할 때 상기 무인 수납기를 활용하여 전자 처방전을 보험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전자 처방전을 전송한 후 보험가입여부 조회 동의 창을 제공한다.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동의 창으로부터 미동의 결과가 입력되면 영수증/처방전을 출력하되,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동의 창으로부터 동의결과가 입력되면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생성하고, 고객이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본인인증 창을 제공하고 상기 본인확인 창을 통해 본인확인이 완료되면 실손 보험 가입여부를 조회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본인인증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인 인증 창을 통한 본인인증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본인인증 창으로부터 본인인증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중계기에 상기 입력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는 본인인증서버(500)에 상기 본인확인을 위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본인인증서버로부터 인증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본인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실손 보험 가입여부를 조회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인 수납기는 고객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송신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창구단말(100)의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서버(400)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보험가입여부를 확인하여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조회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무인 수납기(11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실손 보험 청구 동의 창을 디스플레이 하되,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영수증과 처방전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실손 보험 청구 동의 창으로부터 '미동의' 결과가 전송될 경우 영수증/처방전을 출력하되, 상기 실손 보험 청구 동의 창으로부터'동의' 결과가 전송될 경우, 청구 동의 전문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청구 동의전문과 상기 고객이 가입 한 보험사서버(400)의 ID를 송신하고 실비보험 청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실비보험 청구완료 안내창 생성 및 보험금이 청구 된 영수증/처방전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는 상기 무인 수납기(110)로부터 전송한 고객의 개인정보와 청구 동의전문과 보험사서버의 ID가 수신될 경우, 상기 보안 모듈(230)로부터 생성 된 전문데이터를 상기 중계기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의 제2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한 전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 된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상기 보험사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서버의 청구접수부(43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에 포함 된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청구접수부(430)로부터 실손 보험 청구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중계기에 청구접수완료 정보에 개인정보를 탑재하여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에 전달하되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고객의 개인정보 처리동의서, 실손 보험 청구 동의 여부 정보,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된 청구접수 완료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 된 조회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동의징구불필요 결과를 탑재하여 상기 무인 수납기(110)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동의징구 불필요 결과를 수신한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와 보험사서버의 ID를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의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는 상기 실비청구기록DB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고객의 개인정보가 불일치할 경우,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동의징구필요 결과를 탑재하여 상기 무인 수납기(110)에 송신하되,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된 동의징구필요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개인정보제공 동의정보, 서비스 이용 동의정보, 위임 동의정보를 수집하여 동의징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상기 동의징구 결과 데이터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보험사서버의 ID를 탑재하여 상기 병원 중계서버(200a)의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송신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수납기에 전자 의무기록리스트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고객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을 제공하여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수신했을 때, 전자 의무기록DB(250);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의무기록을 독출하고, 상기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독출 된 전자 의무기록을 무인 수납기(110)에 전송 한다.
그리고 상기 무인 수납기는 상기 병원서버에서 전달한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하나이상의 전자 의무기록을 목록화한 전자 의무기록리스트 선택 창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전자 의무기록 리스트 선택 창에서 하나이상의 전자 의무기록이 선택될 경우 가입된 보험사 정보를 수집하는 보험사 선택 창을 생성할 수 있되, 상기 보험사 선택 창으로부터 보험사가 선택되면 '보험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첨부 된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무인 수납기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입력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고객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이고
도 6의 (b)는 고객이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본인인증 창;이고
도 6의 (c)는 전자 의무기록을 목록화한 전자 의무기록리스트 선택 창;이고
도 6의 (d)는 수납확인창 및 결제 창;이고
도 6의 (e)는 결제 된 전자처방전의 전송상태를 제공하는 전자처방전 전송안내창;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인 수납기(110)는 고객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개인정보입력창을 제공하여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고객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의무기록리스트 선택 창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리스트 선택 창에서 보험 청구를 진행할 전자의무기록이 선택되면 본인인증 창을 제공하고, 상기 본인인증 창으로부터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중계기를 통해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보험사에 전송함으로써 보험청구접수를 하되, 보험청구가 완료되면 상기 무인 수납기는 수납확인 창 및 결제 창을 제공하고 상기 수납확인창 및 결제 창으로부터 진료비가 수납되면 실손 보험 청구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무인 수납기를 사용하게 되면 재증명 발급 대기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대기시간 감소로 인해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환자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창구단말 110 무인 수납기
200 병원서버 200a 병원중계서버
210 제1 데이터 송수신부 220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
230 보안 모듈 240 실비 청구기록DB
250 전자 의무기록DB 260 고객정보DB
270 보험사DB 300 중계기
310 제2 데이터 송수신부 320 복호화모듈
330 데이터 삭제모듈 400 보험사서버
410 고객보험가입정보DB 420 대조모듈
430 청구접수부 440 메시지 송수신부
450 제3데이터 송수신부 500 본인인증서버

Claims (14)

  1.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전자 의무기록을 유/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보험사서버에 실손 보험을 청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 및 전자 처방전을 출력하는 의료기관 창구단말(100);과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병원서버(200);와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는 병원중계서버(200a);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기관의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전자 의무기록을 수신하고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300)로부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보험사서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된 것이며
    고객의 개인정보 및 진료비정보를 저장하는 진료DB;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진료DB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진료비를 수납하는 수납모듈;과
    상기 수납모듈에서 수납이 완료 된 고객의 실손 보험청구 동의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결과값을 수집하는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과
    상기 보험 청구 의사 수집모듈에서 수집 된 결과값이 '동의'인 고객의 리스트를 독출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의 개인정보에 대해 개인정보 처리 동의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정보 처리모듈에서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개인정보처리동의서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창구단말(100)의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 후, 보험사서버(400)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통해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의 보험가입여부를 확인하여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는 조회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전송하고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상기 조회결과데이터를 상기 창구단말(1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창구단말(100)에서 보험가입여부 조회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보험에 가입한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와
    상기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에 포함 된 개인정보와, 고객보험가입정보DB(410);에 저장 된 개인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모듈(420);을 포함하되
    상기 대조모듈을 통해 대조한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보험가입상태' 또는 '보험 비 가입상태' 조회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보험사 서버(400)는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가입된 해당 보험의 실손 보험 청구접수에 필요한 청구서류와 해당 보험사 서버의 ID를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하고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해당 보험사 서버의 ID를 상기 조회결과 데이터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100)은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고객의 개인정보를 탑재하여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하나이상의 보험사서버(400)에 대한 ID를 저장하고 있는 보험사DB(270);를 포함하되
    중계기에서 전달한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중계기를 통해 보험사DB에 저장된 또 다른 보험사서버(400a)에 보험가입여부 조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조회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되, 목록에 포함된 모든 보험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결과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에 조회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100)은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결과 데이터가 '보험 비 가입상태'일 경우
    진료비를 수납하고 영수증과 처방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영수증과 세부내역, 처방전을 생성함으로써 전자 의무기록을 제공하는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와
    상기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조회결과데이터에 포함 된 청구서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암호화하여 전문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안 모듈(230);과
    상기 보험사서버에 실비를 청구하기 위한 전자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실비청구기록DB(240);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서버(200)는
    상기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로부터 생성 된 전자 의무기록을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 의무기록DB(250);과
    상기 창구단말에서 입력받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DB(260);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중계서버(200a)의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는 상기 창구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개인정보가 탑재 된 조회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 생성부(220)에서 전자 의무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보안 모듈(230)로부터 생성 된 전문데이터를 상기 중계기(3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100)은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에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와 전자 의무기록 열람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의무기록DB(250);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와 일치하는 전자 의무기록을 독출하고, 상기 제1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독출 된 전자 의무기록을 창구단말(100)에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데이터 송수신부(310);와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복호화모듈(320);을 포함하되
    상기 제2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한 전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 모듈에 의해 생성 된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상기 보험사서버(4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30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송신한 후 종래 수신한 전문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삭제모듈(3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서버(40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청구접수부(430);와
    상기 청구접수부로부터 청구접수가 완료 될 경우 상기 창구단말(100)또는 고객단말기(120);중 하나 이상에 청구접수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440);와 상기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데이터 송수신부(450);를 포함하되
    상기 청구접수부(430)는 상기 실손 보험청구 요청정보에 포함 된 전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실손 보험청구 접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고객단말기 ID와, 고객의 이름과, 진료기록과 환자등록번호 또는 주민번호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보험 청구서비스.












KR1020190100596A 2019-08-16 2019-08-16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KR10226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596A KR102260141B1 (ko) 2019-08-16 2019-08-16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596A KR102260141B1 (ko) 2019-08-16 2019-08-16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04A true KR20210020704A (ko) 2021-02-24
KR102260141B1 KR102260141B1 (ko) 2021-06-07

Family

ID=7468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596A KR102260141B1 (ko) 2019-08-16 2019-08-16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81A (ko)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에임스 보험금청구 가능여부 확인 및 예상보험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400B1 (ko) 2023-07-28 2023-10-16 진승범 의료기기 관련 보조금 청구 간소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423A (ko) * 2006-02-07 2007-08-10 주식회사 포씨게이트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3881A (ko) * 2014-10-14 2016-04-22 윤성식 전자의무기록 전송을 이용한 보험청구 시스템 및 보험청구 방법
KR20160109246A (ko) * 2015-03-10 2016-09-21 안미림 보험 서비스 통합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21952A (ko) * 2016-04-26 2017-11-03 (주)프리원 보험금 청구 장치 및 보험금 청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423A (ko) * 2006-02-07 2007-08-10 주식회사 포씨게이트 보험급여 원격 자동 신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3881A (ko) * 2014-10-14 2016-04-22 윤성식 전자의무기록 전송을 이용한 보험청구 시스템 및 보험청구 방법
KR20160109246A (ko) * 2015-03-10 2016-09-21 안미림 보험 서비스 통합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21952A (ko) * 2016-04-26 2017-11-03 (주)프리원 보험금 청구 장치 및 보험금 청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81A (ko)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에임스 보험금청구 가능여부 확인 및 예상보험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141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17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CN106934673A (zh) 一种电子发票系统
KR101041118B1 (ko) 환전전용계좌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EP1904968A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ross enterprise data sharing in a healthcare setting
KR20210020704A (ko)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KR102093600B1 (ko) 전자문서 발급 업무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63930B1 (ko) 스캐닝 데이터 보험 상품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80086948A (ko) 보험 계약 대출을 이용한 지불 보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0703A (ko) 간편 보험 청구시스템.
KR20090001688A (ko) 전화번호 계좌를 이용한 금융거래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90003449A (ko)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전자서명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보험청약의 전자화 시스템
KR20160006652A (ko) 결제계좌와 결제수단 연계 방법
KR101861292B1 (ko) 은행계좌를 이용한 본인확인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9732B1 (ko) 안전한 edi 청구를 위한 신용카드 정보 보호 방법 및 시스템
EP16220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ome-healthca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therefor
KR20240061843A (ko)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용 전자문서 통합관리 시스템
CN114283016A (zh) 医疗报销业务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03006330A (ja) 健康保険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0963922B1 (ko) 쌍방향 통신요금 자동이체 계좌 개설 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240017995A (ko) 공공데이터 세트 수집을 위한 api 입출력 레이아웃 생성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008935B1 (ko) 무형자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21149717A (ja) 特典情報管理方法、特典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83730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현금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2285B1 (ko) 카드 이용한도 설정 방법
KR101072929B1 (ko)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현지 금융계좌 운영방법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