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46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446A
KR20210020446A KR1020190099756A KR20190099756A KR20210020446A KR 20210020446 A KR20210020446 A KR 20210020446A KR 1020190099756 A KR1020190099756 A KR 1020190099756A KR 20190099756 A KR20190099756 A KR 20190099756A KR 20210020446 A KR20210020446 A KR 2021002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water
flow path
opening
cover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규
박은규
서성진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446A/ko
Publication of KR2021002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를 집수하기 위한 잔수 집수부 및 커버부를 포함한다.
잔수 집수부는 잔수가 유입되는 잔수 개구부, 잔수가 물통으로 배출되는 배출 개구부 및 잔수 개구부와 배출 개구부를 연통하는 잔수 유로부를 포함한다.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와 배출 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잔수 개구부에서 잔수 유로부를 향하는 잔수의 유동에 대한 저항이 감소된다. 그 결과, 잔수의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Clothes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에 포집된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감소시키고,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 표백, 헹굼, 탈수 또는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상기와 같이 다양한 의류 처리 과정 중 특정 처리 과정만을 수행하기 위한 의류 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보다 한 가지 또는 소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처리 효과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기후 변화에 따라 습한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처리된 의류를 건조하기 어려워짐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의류 처리 장치는 냉동 사이클을 역으로 작동시키는 히트 펌프(heat pump)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의류에 존재하는 습기가 고온의 건조 공기에 흡수되어, 의류에서 제거된다. 습기를 흡수한 고온의 건조 공기는 고온의 습증기 상태가 된 후, 히트 펌프 시스템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습증기에 포함된 습기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되어 분리된다. 또한, 고온의 습증기는 고온의 건조 공기가 되어 다시 의류로부터 습기를 흡수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때, 고온의 습증기에서 분리된 습기는 의류 처리 장치의 하측에 포집된다. 포집된 습기가 의류 처리 장치 내부에 체류하는 것은 위생 및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 효율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의류 처리 장치에는 포집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41824호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의 하단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잔수배출관을 이용하여 잔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의류 처리 장치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나, 잔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술한 유형의 의류 처리 장치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 작동되는 임펠러 및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잔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모터 등이 회전되고, 물과 공기 등 서로 다른 유체가 접촉, 충돌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유형의 의류 처리 장치는 잔수의 배출 자체만을 고려할 뿐, 잔수 배출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과 관련된 구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65615호는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여 스팀발생기의 잔수를 회수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물공급원과 스팀발생기 사이에 펌프를 구비하여, 스팀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잔수를 회수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의류 처리 장치 또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할 뿐, 잔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더욱이,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추가 모터 등이 구동됨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의 효율이 하락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의류 처리 장치의 의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41824호 (2011.06.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65615호 (2013.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응축된 잔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와류(turbulence)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가 특정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고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가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 수단의 내구 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측을 향해 상기 증발기에 대향하는 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되어 낙하된 상기 수분이 유동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는 잔수 개구부,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를 연통하는 잔수 유로부를 포함하는 잔수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잔수 개구부에서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유로부는,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로 구획부; 및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제1 유로 구획부와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된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배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 유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과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타측과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타측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에서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 선; 및 상기 잔수 개구부의 상기 중심에서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선 사이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가상의 제1 선 및 상기 가상의 제2 선 사이의 상기 사잇각은 4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배출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상기 타측을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3 선; 및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상기 타측을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 4선 사이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가상의 제3 선 및 상기 가상의 제4 선 사이의 상기 사잇각은 10˚ 내지 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개구부 및 상기 배출 개구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배출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잔수 집수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잔수 개구부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외주부;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커버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주부; 상기 배출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부와 연통되는 포집 공간부; 상기 커버 내주부에서 상기 포집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포집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유로 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잔수 집수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부; 및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잔수 집수부의 상기 하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접촉되고, 상기 커버 내주부는 상기 내주부와 접촉되며, 상기 유로 벽체부는 상기 잔수 유로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덕트부의 하류 측을 향해 상기 증발기에 대향하는 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되어 낙하된 상기 수분이 유동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는 잔수 개구부,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를 연통하는 잔수 유로부를 포함하는 잔수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잔수 개구부에서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유로부는,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로 구획부; 및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개구부 및 상기 배출 개구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배출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잔수 집수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부와 연통되는 포집 공간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외주부;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주부; 상기 커버 내주부의 방사상 내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부; 및 상기 커버 내주부에서 상기 포집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포집 공간부를 둘러싸고,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유로 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잔수 집수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부; 및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잔수 집수부의 상기 하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접촉되고, 상기 커버 내주부는 상기 내주부와 접촉되며, 상기 유로 벽체부는 상기 잔수 유로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응축된 잔수는 잔수 개구부에 유입된다. 잔수 개구부는 잔수 유로부에 의해 배출 개구부와 연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에서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를 향해 유동되어, 물통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의 중심인 제1 축 및 배출 개구부의 중심인 제2 축을 잇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잔수 유로부와 잔수 개구부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된 잔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잔수 유로부와 잔수 개구부가 연통되는 부분은 작은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에서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된 잔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소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여 공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와류가 최소한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에서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잔수 유로부를 유동하는 잔수는 배출 개구부를 향할수록 유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잔수 유로부는 잔수 개구부의 중심인 제1 축 및 배출 개구부의 중심인 제2 축을 잇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선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잔수 유로부에 진입되는 잔수의 유동은 특정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게 된다. 잔수는 잔수 유로부의 폭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며 배출 개구부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잔수가 유동될 때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잔수 유로부의 형상에 의해, 잔수가 배출 개구부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저속으로 회전 작동되어도, 잔수가 유동되기에 충분한 이송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잔수가 유동될 때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와류의 형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잔수가 잔수 유로부 등과 충돌되어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저속으로 회전 작동되어도, 잔수가 유동하기에 충분한 이송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가 작동되어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잔수가 유동될 때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와류의 형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모터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 잔수의 유동을 위한 이송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모터는 저속으로, 그리고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모터가 고속으로, 그리고 가변 속도로 회전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모터의 내구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투명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 조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잔수 회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잔수 집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 및 커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잔수 집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잔수 집수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8은 도 5의 잔수 집수부의 부분 확대도(a) 및 도 5의 잔수 집수부에 커버부 및 임펠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 및 커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잔수 집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잔수 집수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12는 도 9의 잔수 집수부의 부분 확대도(a) 및 도 9의 잔수 집수부에 커버부 및 임펠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b)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효과를 대비하는 비교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효과를 대비하는 비교표이다.
도 15는 도 14의 1차 실험에 대한 데이터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4의 2차 실험에 대한 데이터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유동되는 잔수의 유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잔수의 양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라는 용어는 의류를 세척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의류의 처리"라는 용어는 의류에 행해지는 임의의 처리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의류의 처리는 의류를 건조하는 처리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잔수"라는 용어는 의류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 또는 수분 등의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는 의류의 처리 과정에 이용되지 않고, 의류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유체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잔수는 의류 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되어 분리된 물 또는 수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하우징(100), 드럼(200), 제어부(300), 공기 조화부(400) 및 잔수 회수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를 포함한다.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는 의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잔수를 포집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하우징(100)의 설명
하우징(100)은 의류 처리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의류 처리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에는 후술될 드럼(200), 제어부(300), 공기 조화부(400), 잔수 회수부(500),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에 의해, 외부의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에 의해, 공기 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유체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정사각형 내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하우징(100)은 의류 처리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각 모서리 및 각 모서리가 만나는 꼭지점은 모따기(taper)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모서리 및 꼭지점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우징(100)은 프레임(110), 전면(120), 후면(130), 상면(140), 하면(150) 및 도어(16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하우징(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110)은 충분한 강성을 갖되,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다. 즉, 프레임(110)의 상측, 하측,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각 개방된 부분에는 전면(120), 후면(130), 상면(140), 하면(150), 도어(160) 및 좌우 측면(미도시)이 결합된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전면(120)은 하우징(100)의 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전면(120)의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드럼(200)의 의류 수용부(220)와 연통된다.
전면(120)은 프레임(110)의 전방 측 개구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1200의 상측에 입력 모듈(310) 및 물통(520)이 구비됨에 기인한다.
전면(120)에는 도어(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면(120)과 도어(160)는 힌지(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후면(130)은 하우징(100)의 후방 측 면을 형성한다.
후면(13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냉매 또는 유체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면(140)은 하우징(100)의 상측 면을 형성한다.
상면(140)은 하우징(100)을 상측에서 덮도록 구성된다. 상면(140)의 하측에는 물통(520)이 위치될 수 있다.
하면(150)은 하우징(100)의 하측 면을 형성한다.
하면(15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면(150)은 공기 조화부(400), 잔수 회수부(500) 및 잔수 집수부(600, 80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도어(160)는 의류 수용부(220)와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 수용부(220)에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도어(160)는 하우징(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어(160)는 전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160)는 전면(1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60)는 전면(12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어(160)는 의류 수용부(220)의 개구부(2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어(160)가 개방되면, 전면(12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의류 수용부(220)의 개구부(221)는 외부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류를 의류 수용부(220)에 수용할 수 있다.
도어(160)의 내부 중 전면(12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의류 수용부(220)의 개구부(221)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처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드럼(200)의 설명
드럼(200)은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는 과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드럼(20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모터(미도시) 및 롤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의류가 수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공간은 "의류 수용부(220)"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드럼(20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드럼(200)의 형상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고, 회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드럼(200)은 모터(미도시) 또는 롤러(미도시) 등과 연결된다. 모터(미도시) 또는 롤러(미도시)가 회전되면, 드럼(20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드럼(200)이 회전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럼(200)은 드럼 외주면(210) 및 의류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드럼 외주면(210)은 드럼(200)의 외측 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인 바, 드럼 외주면(210)은 드럼(200)의 옆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드럼 외주면(210)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드럼(2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드럼(20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롤러(미도시)와의 접촉을 통해 드럼(20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의류 수용부(220)는 처리 대상인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의류 수용부(220)는 드럼(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즉, 의류 수용부(220)는 드럼(200)의 내주면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의류 수용부(220)는 드럼(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드럼(200)은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인 바, 의류 수용부(220)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도어(160)가 개방되면, 의류 수용부(220)는 하우징(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류를 의류 수용부(220)에 수납할 수 있다.
의류 수용부(220)는 외부와 연통된다. 의류 수용부(220) 내부에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공기는 의류 수용부(2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류 수용부(220)는 공기 조화부(400)의 덕트부(45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의류 수용부(220)는 개구부(221)를 포함한다.
개구부(221)는 의류 수용부(22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개방 형성된다. 개구부(221)는 의류 수용부(220)와 외부를 연통한다.
즉, 도어(160)가 개방되면, 의류 수용부(220), 개구부(221), 전면(12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외부의 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처리 대상인 의류가 의류 수용부(220)에 수납될 수 있다.
개구부(221)의 위치 및 형상은 전면(120)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도어(16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구부(221)는 전면(120)에 형성된 개구부 및 도어(160)에 겹쳐지도록 위치된다. 또한, 개구부(221)는 전면(120)에 형성된 개구부 및 도어(160)의 형상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3) 제어부(300)의 설명
제어부(30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0)는 드럼(200), 공기 조화부(400) 및 잔수 회수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가 작동되기 위한 전력은 상기 통전에 의해 제어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을 위해, 제어부(300)와 외부의 전원(미도시)은 도선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외부의 단말기(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단말기(미도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smartphone)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어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제어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보의 입출력, 연산 및 저장 등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CPU), SSD(Solid State Drive), Flash Memory, Micro SD(Secure Di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입력 모듈(310) 및 연산 모듈(320)을 포함한다.
입력 모듈(310)은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 모듈(310)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연산 모듈(320)로 전달되어,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 신호로 연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10)은 하우징(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입력 모듈(310)은 전면(120) 및 도어(16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입력 모듈(310)은 다이얼(311) 및 디스플레이(312)를 포함한다.
다이얼(311)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해, 사용자는 수행하고자 하는 의류 처리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touch)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한 의류 처리 과정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12)를 통해 추가로 수행할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12)를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이얼(311)과 디스플레이(312)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310)은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10)은 터치 패널(미도시) 또는 버튼(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310)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는 연산 모듈(320)로 전달된다. 입력 모듈(310)과 연산 모듈(32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산 모듈(320)은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를 연산한다.
연산 모듈(320)에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입력 모듈(3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연산 모듈(320)은 저장 장치에 기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 신호를 연산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은 자주 수행되는 의류 처리 과정을 진행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연산 모듈(320)은 의류 처리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산 모듈(320)이 연산한 작동 신호는 드럼(200), 공기 조화부(400) 및 잔수 회수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연산 모듈(320)은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산 모듈(320)에는 의류 처리 장치(10)가 작동되기 위한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연산 모듈(320)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연산 모듈(3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산 모듈(32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기나 물 등에 의해 연산 모듈(3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연산 모듈(320)은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이 회전되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연산 모듈(320)이 임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4) 공기 조화부(400)의 설명
공기 조화부(40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된다. 드럼(200)의 내부와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에 의해,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의 내부와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의류를 처리하기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400)를 유동하는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는 임의의 유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매는 R410a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400)는 드럼(2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 조화부(400)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 조화부(400)와 접촉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400)는 드럼(200)의 의류 수용부(220)와 연통된다. 공기 조화부(400)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의류 수용부(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수용부(220)에서 의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된 공기는 공기 조화부(400)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이에, 공기 조화부(400)의 구성 요소 중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는 "열교환부"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기 조화부(400)는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기 조화부(400)에 구비되는 고중량의 구성 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400)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덕트부(44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 조화부(400)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 중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는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냉매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폐로(close path) 내부를 순환 유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매가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 내부를 순환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하는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410)는 저온 저압의 액상(liquid phase) 냉매를 증발시켜, 저온 저압의 기상(gas phase) 냉매로 상변화 시킨다.
상기 과정에 의해, 냉매는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410)의 외부에서 증발기(4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 열이 흡수되는 흡열 과정이 진행된다.
증발기(410)는 팽창기(미도시)와 연통된다.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팽창기(미도시)에서 감압된 후 증발기(410)로 유입된다.
증발기(410)는 압축기(420)와 연통된다. 상변화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420)로 유입된다.
압축기(420)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상태를 변화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과정은 단열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압축기(4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압축기(420)의 외부와 유의미한 열교환을 진행하지 않는다.
압축기(420)에는 기액 분리기(421)가 구비될 수 있다.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420)에 유입되기 전, 기액 분리기(421)를 먼저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온 저압의 기상의 냉매에 잔존하는 액상 냉매가 추가로 분리될 수 있어, 압축기(420)의 압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기액 분리기(421)는 증발기(410) 및 압축기(42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압축기(420)는 증발기(410)와 연통된다.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증발기(410)에서 기상으로 상변화된 후 압축기(420)로 유입된다.
압축기(420)는 응축기(430)와 연통된다.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응축기(430)로 유입된다.
응축기(430)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시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화시킨다.
상기 과정에 의해, 냉매는 외부에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응축기(4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서 응축기(430)의 외부로 열이 배출되는 발열 과정이 진행된다.
응축기(430)는 압축기(420)와 연통된다.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압축기(420)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430)로 유입된다.
응축기(430)는 팽창기(미도시)와 연통된다.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는 팽창기(미도시)로 유입된다.
팽창기(미도시)는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로 변화시킨다.
팽창기(미도시)는 응축기(430)와 연통된다.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는 응축기(430)에서 응축된 후 팽창기(미도시)로 유입된다.
팽창기(미도시)는 증발기(410)와 연통된다. 팽창된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증발기(410)로 유입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를 차례로 통과하며 흡열, 상변화 및 발열 과정을 되풀이한다. 이에 의해, 히트 펌프 사이클이 구성될 수 있다.
덕트부(440)는 드럼(200)에 유입되는 공기 및 드럼(2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이다. 덕트부(440)는 드럼(200)과 연통된다.
덕트부(440)는 폐로를 구성한다. 즉, 덕트부(44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드럼(200)으로 유입되거나 드럼(200)에서 배출될 수 있되, 덕트부(440)의 외부로 임의 유동되지 않는다.
덕트부(440)에는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미도시)은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부(440)를 유동한 후, 다시 드럼(2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덕트부(440)의 내부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미도시)는 드럼(200)에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덕트부(440)는 관형(pipe sha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덕트부(440)의 내부에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가 수용된다. 덕트부(440)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와 열교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를 차례로 지나도록 배치된다. 공기의 상기 유동에 의해,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덕트부(440)는 제1 덕트(441), 제2 덕트(442) 및 제3 덕트(443)를 포함한다.
제1 덕트(441)는 드럼(200)의 내부 공간과 제2 덕트(442)를 연통한다. 제1 덕트(441)는 드럼(2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덕트(441)는 드럼(200)의 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1 덕트(441)는 드럼(200)의 의류 수용부(220)와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441)는 드럼(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덕트(441)는 드럼(200)의 전방의 하측과 연통된다.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 덕트(441)를 통해 덕트부(4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제1 덕트(441)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부(440)로 유입될 때 가장 먼저 통과되는 통로이다. 제1 덕트(44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이다.
제1 덕트(441)는 제2 덕트(442)와 연통된다. 제1 덕트(441)에 유입된 공기는 제2 덕트(44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2 덕트(442)는 제1 덕트(441)와 제3 덕트(443)를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덕트(442)는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덕트(442)는 제1 덕트(441)와 제3 덕트(443) 사이에 위치된다.
제2 덕트(442)는 제1 덕트(441) 및 제3 덕트(443)와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442)의 내부에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10)는 제1 덕트(441)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증발기(41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서 응축기(430)보다 상류 측에 위치된다.
또한, 응축기(430)는 증발기(410)보다 제3 덕트(443)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응축기(43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서 증발기(410)보다 하류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덕트(441)를 통과한 후 제2 덕트(442)에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와 열교환된 후, 다시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200)에서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한 공기는 의류에 잔존하는 습기를 흡수한다. 또한, 의류 처리 과정은 고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공기는 높은 온도를 갖게 된다.
즉,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이다. 상기 공기는 증발기(410)의 외부를 지나며, 증발기(41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흡열 과정에 의해 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며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된다. 그 결과, 증발기(410)의 외부를 통과한 공기는 저온의 건조 공기로 변화된다. 이때, 공기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되어 낙하된다. 상기 수분은 "잔수"로 정의될 수 있다.
저온의 건조 공기는 응축기(430)의 외부를 지나며, 응축기(4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발열 과정에 의해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 공기는 고온으로 상승된 후, 드럼(20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 의류 수용부(220)에 수납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제2 덕트(442)는 제1 덕트(441)와 연통된다. 드럼(200)에서 배출되어 제1 덕트(441)를 통과한 공기는 제2 덕트(4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덕트(442)에 유입되는 공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이다.
제2 덕트(442)는 제3 덕트(443)와 연통된다. 제2 덕트(442)를 통과한 공기는 제3 덕트(44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덕트(443)로 유입되는 공기는 고온 건조한 공기이다.
제3 덕트(443)는 제2 덕트(442)와 드럼(20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덕트(443)는 드럼(200)의 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3 덕트(443)는 제2 덕트(442)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3 덕트(443)는 제2 덕트(442) 및 드럼(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덕트(443)는 제2 덕트(442)와 연통된다. 제2 덕트(442)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제3 덕트(44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덕트(443)는 드럼(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3 덕트(443)에 유입된 공기는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의류 수용부(220)에 수납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덕트(443)와 드럼(200)의 내부 공간은 의류 처리 장치(10)가 작동될 경우에만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브 부재(미도시)가 제3 덕트(443) 또는 제3 덕트(443)와 드럼(200)이 연통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는 드럼(200) 및 덕트부(450)의 내부를 순환한다. 드럼(200)에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드럼(20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410)와 열교환되어 함유된 수분이 응축됨에 따라 저온 건조한 공기가 된다. 또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430)와 열교환되어 다시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된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다시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의류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냉매는 증발기(410), 압축기(420), 응축기(430) 및 팽창기(미도시)의 내부를 순환한다. 냉매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압력, 온도 및 상이 변화되며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냉매가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에 의해,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의류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변화되어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5) 잔수 회수부(500)의 설명
잔수 회수부(500)는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를 포집하고, 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410)의 외부를 유동하며 냉각된다. 이에 따라, 고온 다습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어, 덕트부(450)의 하측에 잔수로 포집된다.
이때, 잔수가 덕트부(450)의 내부에 계속 체류할 경우, 잔수 자체의 열용량에 의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잔수는 수분으로 구성되므로, 잔수에 의해 드럼(200)으로 유입될 공기의 습도가 상승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잔수는 덕트부(45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잔수에 의해 세균 등이 번식하여, 의류 처리 장치(10) 내부 공간의 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잔수 회수부(500)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잔수 회수부(500)는 베이스(510), 물통(520), 물통 프레임(530), 호스부(540), 잔수 스크롤(550)을 포함한다.
또한, 후술될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 또한 잔수 회수부(5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서술하기 위해,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를 별항으로 설명한다.
잔수 회수부(500)는 베이스(510), 물통(520), 물통 프레임(530), 호스부(540) 및 잔수 스크롤(550)을 포함한다.
베이스(510)는 하면(150)에서 소정 거리만큼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510)는 잔수 회수부(500)의 구성 요소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510)는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베이스(510)는 공기 조화부(4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공기 조화부(400)에서 열교환되어,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되어 분리된 수분은 베이스(510)로 낙하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400)와 베이스(510) 사이에는 워터 커버(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덕트부(450)의 하측을 형성할 수 있다. 덕트부(450)를 유동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는 베이스(510)를 향해 낙하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510)는 잔수 집수부(600, 800)가 위치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베이스(510)의 경사면은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베이스(510)의 경사면은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공기 조화부(400)에 대향하는 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베이스(510)의 경사면의 상기 형상에 의해,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잔수 집수부(600, 800)가 위치되는 일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물통(520)은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되어, 잔수 집수부(600, 800)에 포집된 잔수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물통(520)은 하우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통(520)은 잔수 집수부(600, 8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통(520)과 잔수 집수부(600, 800)의 상기 연통은 호스부(54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통(520)은 탈거 가능하게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물통(520)은 슬라이드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된 물통 프레임(53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물통(520)은 드럼(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물통(520)은 하우징(100)의 전방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물통(520)은 입력 모듈(310)의 우측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입력 모듈(310)을 조작하고, 왼손으로 물통(520)을 탈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보다 오른손잡이인 경우가 대다수임에 기인한다.
물통(520)에는 잔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가 감지한 잔수량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통(520)과 제어부(3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통(520)의 전방 측에는 손잡이(521)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521)를 파지하여, 물통(520)을 탈거할 수 있다.
손잡이(521)에 대향하는 물통(5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호스부(540)가 삽입되어, 물통(520)과 잔수 집수부(600, 800)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씰링(sealing)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씰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잔수의 임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물통(520)에는 제1 호스(541) 및 제2 호스(542)가 연결되어 잔수 집수부(600, 8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집수부(600, 800)에 집수된 잔수는 제1 호스(541)를 통해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의 양이 소정의 양을 초과할 경우,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는 제2 호스(542)를 통해 다시 잔수 집수부(600, 80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물통(520)에 구비되는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물통 프레임(530)은 물통(520)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통 프레임(530)은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물통 프레임(53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물통(520)이 탈거 가능하게 슬라이드 삽입된다.
물통 프레임(530)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물통(520)의 형상 또한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물통 프레임(530)의 형상은 물통(52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통 프레임(5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호스부(54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물통(520)은 물통 프레임(530)을 매개로 하여 호스부(540)와 연결된다.
호스부(540)는 물통(520)과 잔수 집수부(600, 800)를 연통한다.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는 호스부(540)를 통해 잔수 집수부(600, 800)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잔수 집수부(600, 800)에 집수된 잔수는 호스부(540)를 통해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호스부(5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물통(520)은 상측에 배치되고, 잔수 집수부(600, 800)는 하측에 배치됨에 기인한다.
호스부(540)는 어느 정도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스부(540)는 러버(rubber)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부(540)를 통한 잔수의 유동이 조절되도록, 호스부(540)에는 밸브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호스부(540)는 제1 호스(541) 및 제2 호스(542)를 포함한다.
제1 호스(541)는 잔수 집수부(600, 800)에 집수된 잔수가 물통(520)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제1 호스(541)는 잔수 집수부(600, 800)와 물통(520)을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호스(541)는 잔수 집수부(600, 800)의 배출 개구부(636, 836)와 물통(520)을 연통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잔수 집수부(600, 800)에 집수된 잔수는 배출 개구부(636, 836)를 통해 잔수 집수부(600, 8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 호스(541)는 배출 개구부(636, 836)를 연통하여, 배출된 잔수가 물통(520)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경우, 하측에 위치되는 잔수 집수부(600, 800)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물통(520)으로 잔수가 유동되기 위해서는 이송력이 필요하다. 상기 이송력은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제공된다.
제2 호스(542)는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가 잔수 집수부(600, 800)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제2 호스(542)는 물통(520)과 잔수 집수부(600, 800)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호스(542)는 물통(520)과 잔수 집수부(600, 800)의 잔수 포집부(612, 812)를 연통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의 양이 증가되면, 물통(520)이 넘칠 염려가 있다. 이 경우, 제2 호스(542)는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 중 일부가 다시 잔수 집수부(600, 800)로 유동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즉, 제2 호스(542)는 잔수 집수부(600, 800)에서 집수되어 물통(520)으로 유동된 잔수가, 다시 잔수 집수부(600, 800)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이에, 제2 호스(542)는 "리턴 호스"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집수부(600, 800)에 집수된 잔수가 물통(520)을 향해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한다(도 8 및 도 12 참조).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집수부(600, 80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집수부(600, 800)의 잔수 개구부(634, 83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개구부(634, 834)에서 회전될 수 있다. 잔수 스크롤(550)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잔수 스크롤(550)은 스크롤 경판부(551), 축 결합부(552) 및 임펠러(impeller)(553)를 포함한다.
스크롤 경판부(551)는 잔수 스크롤(550)의 몸체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크롤 경판부(551)는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크롤 경판부(551)는 각 꼭지점과 축 결합부(552)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리는 잔수 개구부(634, 834)의 직경보다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경판부(551)는 각 꼭지점이 인접한 꼭지점과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잔수 개구부(634, 834)를 둘러싸는 내주부(632)와 스크롤 경판부(551)의 각 곡선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을 통해, 유입된 잔수가 스크롤 경판부(55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스크롤 경판부(551)의 형상은 잔수 스크롤(550)이 잔수 개구부(634, 834)에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스크롤 경판부(551)는 연통공(551a)을 포함한다.
연통공(551a)은 스크롤 경판부(551)에 관통 형성된다. 잔수 개구부(634, 834)로 유입된 잔수는 스크롤 경판부(551)의 하측에서 차오르는 방향으로 집수된다.
연통공(551a)은 스크롤 경판부(551)의 하측과 상측을 연통하여, 유입된 잔수가 스크롤 경판부(55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연통공(551a)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공(551a)은 4개 구비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연통공(551a)은 축 결합부(552)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연통공(551a)은 스크롤 경판부(551)의 상측과 하측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축 결합부(552)는 잔수 스크롤(550)이 모터(미도시)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축 결합부(552)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공부(미도시)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미도시)에는 모터(미도시)의 축 또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축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축 결합부(552)는 스크롤 경판부(551)의 중심에 위치된다. 잔수 개구부(634)에 수용된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개구부(634, 834)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 결합부(552)는 잔수 개구부(634, 834)의 중심 상에 위치된다.
임펠러(553)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잔수 개구부(634, 834)에 유입된 잔수를 배출 개구부(636, 836)를 향해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펠러(553)는 스크롤 경판부(55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임펠러(553)는 축 결합부(552)에서 스크롤 경판부(551)의 각 꼭지점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임펠러(55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임펠러(553)는 각 연통공(551a) 사이에 위치되어, 총 4개 구비된다. 임펠러(553)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잔수 스크롤(550)이 회전되면, 서로 인접한 임펠러(553) 사이에 위치되는 잔수는 임펠러(553)에 의해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잔수 개구부(634, 8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 83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즉, 임펠러(553)는 잔수를 유동시키는 블레이드(blade)로 기능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 및 커버부(700)의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잔수 집수부(600) 및 커버부(700)를 포함한다. 잔수 집수부(600)와 커버부(700)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를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잔수 집수부(600)와 커버부(700)는 잔수의 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잔수 회수부(5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부각하기 위해 잔수 집수부(600)와 커버부(700)가 별항으로 설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 및 커버부(7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잔수 집수부(600)의 설명
잔수 집수부(600)는 공기 조화부(400)에서 생성된 잔수가 집수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덕트부(440)를 유동하며 증발기(410) 및 응축기(430)와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 과정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잔수가 생성된다.
생성된 잔수는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510)를 따라 유동되어, 잔수 집수부(600)로 유입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는 베이스(51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잔수 집수부(600)는 베이스(51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도 4 참조).
잔수 집수부(600)는 베이스(510)의 경사면과 연통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된 잔수는, 잔수 집수부(600)로 유입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는 베이스(510)의 상기 일측에서,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잔수 집수부(600)와 베이스(510)의 경사면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된 잔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잔수 집수부(600)로 유입된다.
이에, 상기 개구부는 "잔수 유입부(611a)"로 정의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는 물통(520)과 연통된다. 잔수 집수부(600)에 집수된 잔수는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통(520)에 수용된 잔수는 잔수 집수부(600)로 유동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잔수 집수부(60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유입된 잔수는 상기 소정의 공간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소정의 공간은 "유동 공간부(620)"로 정의될 수 있다.
잔수 집수부(600)는 집수부 하우징(610), 유동 공간부(620) 및 커버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집수부 하우징(610)은 잔수 집수부(6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집수부 하우징(610)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집수부 하우징(6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유동 공간부(620)"로 정의될 수 있다.
집수부 하우징(610)은 벽체부(611), 잔수 포집부(612), 지지 리브(613), 센서 개구부(614) 및 체결 홀(615)을 포함한다.
벽체부(611)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외주면을 형성한다. 벽체부(6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유동 공간부(6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벽체부(611)는 집수부 하우징(610)이 베이스(510)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향하는 벽체부(611)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베이스(510)의 경사면과 접촉된다.
벽체부(611)는 잔수 유입부(611a)를 포함한다.
잔수 유입부(611a)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된 잔수가 집수부 하우징(610)의 내부, 구체적으로 유동 공간부(620)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다.
잔수 유입부(611a)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향하는 벽체부(611)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집수부 하우징(610)이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결합되면, 잔수 유입부(611a)는 잔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될 수 있다.
잔수 포집부(612)는 물통(520)에서 유동된 잔수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잔수 포집부(612)는 제2 호스(542)에 의해 물통(520)과 연통된다. 물통(520)에서 배출된 잔수는 제2 호스(542)를 통과하여 잔수 포집부(612)로 유동될 수 있다.
잔수 포집부(612)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잔수 포집부(612)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즉, 잔수 포집부(612)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호스(542)를 통해 유입된 잔수가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면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연통 홀(612a)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포집부(612)는 그 외주에서 연통 홀(612a)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잔수 포집부(612)는 연통 홀(612a)을 포함한다. 연통 홀(612a)은 잔수 포집부(612)와 유동 공간부(620)를 연통한다. 잔수 포집부(612)에 유입된 잔수는 연통 홀(612a)을 통과하여 유동 공간부(620)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잔수 포집부(612) 및 연통 홀(612a)은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잔수 포집부(612)와 연통 홀(612a)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리브(613)는 유동 공간부(620) 상에 위치되어, 집수부 하우징(6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 리브(613)에 의해, 집수부 하우징(6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지지 리브(613)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리브(613a) 및 제1 지지 리브(613a)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리브(613b)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 하우징(610)이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결합되면, 제1 지지 리브(613a)의 하측 단부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제1 지지 리브(613a)의 연장 방향이 유동 공간부(620) 내부를 유동하는 잔수의 유동 방향에 상응함에 기인한다.
반면, 제2 지지 리브(613b)의 하측 단부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2 지지 리브(613b)의 연장 방향이 유동 공간부(620) 내부를 유동하는 잔수의 유동 방향에 수직함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잔수는 지지 리브(613)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유동 공간부(620)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다.
센서 개구부(614)는 센서(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센서(미도시)는 잔수 집수부(600)에 집수된 잔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미도시)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달된 정보에 기반하여 의류 처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센서 개구부(614)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센서 개구부(614)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 개구부(614)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두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체결 홀(615)은 집수부 하우징(610)이 베이스(510)의 경사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체결 홀(615)은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면 및 벽체부(611)에 관통 형성된다.
체결 홀(615)은 집수부 하우징(61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체결 홀(615)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체결 홀(615)에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미도시)는 나사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유동 공간부(620)는 잔수 집수부(600)의 내부에 유입된 잔수가 유동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유동 공간부(620)는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된 잔수가 잔수 유입부(611a)를 통과하여, 잔수 개구부(634)를 향해 유동되는 공간이다.
유동 공간부(620)는 벽체부(61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동 공간부(620)는 잔수 유입부(611a)와 연통된다. 베이스(510)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된 잔수는 잔수 유입부(611a)를 통과하여 유동 공간부(620)에 유입될 수 있다.
유동 공간부(620)는 잔수 개구부(634)와 연통된다. 유동 공간부(620)를 유동한 잔수는 잔수 개구부(634)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 공간부(620)의 깊이, 즉 베이스(510)의 경사면과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면 사이의 거리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잔수 포집부(612)가 형성된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의 유동 공간부(620)의 깊이는, 잔수 개구부(634)가 형성된 집수부 하우징(6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유동 공간부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에 의해, 집수부 하우징(610)에 결합되는 커버부(700)의 커버 개구부(730)가 베이스(510)의 경사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공간부(620)에 소량의 잔수가 유동되는 경우에도, 잔수가 잔수 개구부(634)로 유입되어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 결합부(630)는 커버부(70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커버 결합부(630)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커버 결합부(630)는 유동 공간부(620)와 연통된다. 유동 공간부(620)를 유동하는 잔수는 커버 결합부(630)를 통해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630)는 유동 공간부(620)와 연통된다. 유동 공간부(620)로 유입된 공기는 커버 결합부(630)의 잔수 개구부(634)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630)는 후방 측에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원 형상이다. 커버 결합부(63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630)는 외주부(631), 내주부(632), 완충 공간부(633), 잔수 개구부(634), 잔수 유로부(635), 배출 개구부(636) 및 공기 연통공(637)을 포함한다.
외주부(631)는 커버 결합부(630)의 외측 경계를 형성한다. 외주부(631)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외주부(631)는 커버 결합부(630)의 외측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외주부(631)는 커버 결합부(630)의 원형 부분 및 돌출된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외주부(631)의 방사상 내측에는 완충 공간부(633) 및 내주부(632)가 차례로 위치된다.
외주부(631)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커버 결합부(630)를 향하는 커버부(700)의 커버 외주부(721)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완충 공간부(633)와 유동 공간부(620)는 공기 개구부(631a)를 통한 연통 외에 다른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외주부(631)는 공기 개구부(631a)를 포함한다. 공기 개구부(631a)는 유동 공간부(620)로 유입된 공기가 완충 공간부(633)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즉, 공기 개구부(631a)는 완충 공간부(633)와 유동 공간부(620)를 연통한다.
공기 개구부(631a)는 외주부(631)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 개구부(631a)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의 내면까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내주부(632)는 커버 결합부(630)의 내측 경계를 형성한다. 내주부(632)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내주부(632)는 잔수 개구부(634)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잔수 개구부(634)가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내주부(632)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배출 개구부(636)를 향하는 내주부(6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우측은 개방 형성된다. 즉, 내주부(632)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부(632)의 양 단부, 즉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잔수 유로부(635)가 연장 형성된다.
내주부(632)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커버 결합부(630)를 향하는 커버부(700)의 커버 내주부(722)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완충 공간부(633)와 잔수 개구부(634) 사이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외주부(631) 및 내주부(632)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완충 공간부(633)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완충 공간부(633)는 외주부(631), 내주부(632) 및 잔수 유로부(635)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완충 공간부(633)는 공기 개구부(63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다. 완충 공간부(633)는 공기 개구부(631a)에 의해 유동 공간부(620)와 연통된다.
완충 공간부(633)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 연통공(637)을 통해 잔수 개구부(634)로 유동될 수 있다. 완충 공간부(633)는 공기 연통공(637)에 의해 잔수 개구부(634)와 연통된다.
완충 공간부(633)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완충 공간부(633)의 상기 형상은 외주부(631), 내주부(632) 및 잔수 유로부(635)의 형성 방식에 기인한다.
완충 공간부(633)에 유입된 공기는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잔수 스크롤(55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완충 공간부(633)는 잔수 스크롤(550)이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완충할 수 있다. 즉, 완충 공간부(633)는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잔수 개구부(634)는 유동 공간부(620)에 유입된 잔수가 집수되는 공간이다. 잔수 개구부(634)에 집수된 잔수는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유동된다.
잔수 개구부(634)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잔수 개구부(634)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잔수 개구부(634)의 형상은 내부에서 잔수 스크롤(550)이 회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잔수 개구부(634)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길이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잔수 개구부(634)의 반경은 임펠러(553)의 연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잔수 개구부(634)는 유동 공간부(620)와 연통된다. 유동 공간부(620)에 유입된 잔수는 잔수 개구부(634)로 유동될 수 있다.
잔수 개구부(634)는 커버부(700)의 커버 개구부(730)와 연통된다. 유동 공간부(620)에 유입된 잔수는 커버 개구부(730)를 통과하여 잔수 개구부(634)로 유동될 수 있다.
잔수 개구부(634)는 배출 개구부(636)와 연통된다.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는 잔수 유로부(635)를 통해 배출 개구부(636)로 유동될 수 있다.
원형의 단면을 갖는 잔수 개구부(634)의 중심은 제1 축(634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축(634a)은 잔수 개구부(634)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선이다.
잔수 유로부(635)는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잔수 유로부(635)는 잔수 개구부(634)와 배출 개구부(636)를 연통한다.
잔수 유로부(635)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제2 유로 구획부(635b)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를 포함한다. 제1 유로 구획부(635a), 제2 유로 구획부(635b)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잔수 유로부(6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잔수 유로부(635)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제2 유로 구획부(635b)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잔수 유로부(635)의 일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내주부(632)의 일 단부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배출 개구부(636)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1 유로 구획부(635a)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커버부(700)의 제1 유로 벽체부(723a)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다.
제1 유로 구획부(635a)는 제2 유로 구획부(635b)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잔수 유로부(635)의 타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내주부(632)의 타 단부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배출 개구부(636)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커버부(700)의 제2 유로 벽체부(723b)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다.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제1 유로 구획부(635a)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잔수 유로부(635)의 다른 일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배출 개구부(636)를 향하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각 일 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배출 개구부(636)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제1 유로 구획부(635a)의 상기 일측 단부에서,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상기 일측 단부를 향해 연장되되, 배출 개구부(636)의 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유로 구획부(635c)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내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3 유로 구획부(635c)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커버부(700)의 제3 유로 벽체부(723c)의 일측 단부와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유로부(635)는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각 유로 구획부(635a, 635b, 635c)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개구부(634)에 집수된 잔수가 잔수 집수부(600)의 외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개구부(634) 및 물통(520)과 연통된다.
배출 개구부(636)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 개구부(636)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배출 개구부(636)는 물통(520)과 연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단면을 갖는 배출 개구부(636)의 중심은 제2 축(636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축(636a)은 배출 개구부(636)의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선이다.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개구부(634)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유로부(635)에 의해 잔수 개구부(634)와 연통된다. 잔수 개구부(634)에 집수된 잔수는 잔수 유로부(635)를 따라 유동되어 배출 개구부(636)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 개구부(636)는 제2 호스(542)에 의해 물통(520)과 연통된다. 제2 호스(542)는 배출 개구부(636)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배출 개구부(636)와 제2 호스(542)의 연결 부분에서 잔수가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씰링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 개구부(636)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제2 유로 구획부(635b)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축(634a)과 제2 축(636a)을 지나는 가상의 선에 수직한 방향의 배출 개구부(636)의 양 측은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에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잔수 개구부(634)에서 멀어지는 배출 개구부(636)의 일측은 제3 유로 구획부(635c)에 둘러싸일 수 있다.
공기 연통공(637)은 완충 공간부(633)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잔수 개구부(634)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다.
공기 연통공(637)은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내면과 내주부(632)가 접촉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된다. 즉, 공기 연통공(637)의 일부는 집수부 하우징(610)의 상측 내면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공기 연통공(637)의 다른 일부는 내주부(632)에 관통 형성된다.
공기 연통공(637)은 잔수 개구부(634)와 완충 공간부(633)를 연통한다. 완충 공간부(633)에 유동되는 공기는 잔수 개구부(634)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잔수 스크롤(55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기 연통공(637)은 잔수 개구부(634)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형성된다. 공기 연통공(637)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2) 커버부(700)의 설명
커버부(700)는 잔수 집수부(600)와 함께, 잔수가 집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커버부(700)는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700)는 잔수 집수부(600)의 커버 결합부(63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700)는 잔수 집수부(6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유동 공간부(620)에 유입된 잔수는 커버 개구부(730)를 통과하여 잔수 개구부(634)로 유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700)는 일측이 돌출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부(700)의 형상은 커버 결합부(63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부(700)는 상면(710), 하면(720), 커버 개구부(730), 포집 공간부(740) 및 결합 돌출부(750)를 포함한다.
상면(710)은 커버부(7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을 형성한다. 상면(710)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는 면의 반대 면이다.
즉,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상면(710)은 잔수 집수부(600)가 아닌 베이스(51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하게 된다.
상면(710)은 돌기부(711) 및 보스부(712)를 포함한다.
돌기부(711)는 사용자가 커버부(700)의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돌기부(711)를 인지하여 커버부(700)의 결합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700)를 잔수 집수부(6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돌기부(711)는 상면(710)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돌기부(711)의 돌출 거리는 유동 공간부(620)를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710)의 외주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돌기부(711)는 상면(71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기부(711)는 총 세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보스부(712)는 유동 공간부(620)를 유동하는 냉매가 커버 개구부(730)를 향해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보스부(712)는 상면(710)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보스부(712)는 돌기부(711)의 방사상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보스부(712)는 커버 개구부(73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보스부(712)는 상면(710) 중 돌출 형성된 일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보스부(712)의 형상은 하면(720)에서 돌출 형성되는 유로 벽체부(72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스부(712)의 단면과 유로 벽체부(723)의 단면은 하면(720)에 대해 면대칭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면(720)은 커버부(700)의 하측 면을 형성한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하면(720)은 잔수 집수부(600)를 향하는 방향, 즉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하면(720)은 상면(710)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하면(720)은 일측이 돌출된 원형 형상이다.
하면(720)은 커버 외주부(721), 커버 내주부(722) 및 유로 벽체부(723)를 포함한다.
커버 외주부(721)는 하면(720)의 외측 경계를 형성한다. 커버 외주부(721)는 하면(72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커버 외주부(721)는 하면(720)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외주부(721)의 돌출 길이는 하면(720)의 돌출된 상기 일측을 향할수록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외주부(721)의 형상은 커버 결합부(630)의 외주부(631)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잔수 집수부(600)를 향하는 커버 외주부(721)의 일측 단부는 커버 결합부(630)의 외주부(631)의 하측 단부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유동 공간부(620)와 커버 외주부(721) 내부의 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커버 내주부(722)는 하면(720)의 내측 경계를 형성한다. 커버 내주부(722)는 커버 외주부(721)의 방사상 내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커버 외주부(721)와 커버 내주부(72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완충 공간부(633)와 연통된다. 즉, 상기 공간은 완충 공간부(633)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커버 내주부(722)는 커버 개구부(73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커버 내주부(722)는 커버 개구부(7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 내주부(722)는 포집 공간부(740)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커버 내주부(722)는 하면(720)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커버 내주부(722)의 돌출 길이는 하면(720)의 돌출된 상기 일측을 향할수록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내주부(722)의 형상은 커버 결합부(630)의 내주부(632)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잔수 집수부(600)를 향하는 커버 내주부(722)의 일측 단부는 커버 결합부(630)의 내주부(632)의 하측 단부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잔수 개구부(634) 및 커버 개구부(730)가 커버 내주부(722)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되지 않게 된다.
유로 벽체부(723)는 커버 개구부(730)와 포집 공간부(740)를 연통한다. 커버 개구부(730)로 유입된 잔수는 유로 벽체부(723)를 통해 포집 공간부(740)로 유동될 수 있다.
유로 벽체부(723)는 커버 내주부(722)에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로 벽체부(723)는 커버 내주부(722)에 형성된 공간을 사이에 두는 양측 단부에서 포집 공간부(74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유로 벽체부(723)는 하면(720)에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유로 벽체부(723)의 돌출 거리는, 포집 공간부(740)를 향할수록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로 벽체부(723)는 제1 유로 벽체부(723a), 제2 유로 벽체부(723b) 및 제3 유로 벽체부(723c)를 포함한다.
제1 유로 벽체부(723a)는 커버 내주부(722)의 일측 단부에서 포집 공간부(74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유로 벽체부(723a)는 포집 공간부(74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벽체부(723a)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내주부(722)의 일측 단부에 대향하는 제1 유로 벽체부(723a)의 타측 단부는 제3 유로 벽체부(723c)와 연결된다. 제1 유로 벽체부(723a)는 제2 유로 벽체부(723b)와 소정 거리 이격된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제1 유로 벽체부(723a)는 제1 유로 구획부(635a)와 접촉된다.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커버 내주부(722)의 타측 단부에서 포집 공간부(74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포집 공간부(74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내주부(722)의 타측 단부에 대향하는 제2 유로 벽체부(723b)의 타측 단부는 제3 유로 벽체부(723c)와 연결된다.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제1 유로 벽체부(723a)와 소정 거리 이격된다.
제3 유로 벽체부(723c)는 제1 유로 벽체부(723a) 및 제2 유로 벽체부(723b)를 연결한다. 제3 유로 벽체부(723c)는 제1 유로 벽체부(723a)의 일측 단부에서 제2 유로 벽체부(723b)의 일측 단부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제2 유로 구획부(635b)와 접촉된다.
제3 유로 벽체부(723c)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포집 공간부(740)가 형성된 하면(720)의 일측은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3 유로 벽체부(723c)는 하면(720)의 상기 일측의 형상에 상응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제3 유로 벽체부(723c)는 제3 유로 구획부(635c)와 접촉된다.
따라서, 커버부(700)와 잔수 집수부(600)가 결합되면, 잔수 개구부(634) 및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유로부(635) 및 유로 벽체부(723)에 의해 연통된다.
마찬가지로, 커버 개구부(730) 및 포집 공간부(740) 또한 잔수 유로부(635) 및 유로 벽체부(723)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잔수 유로부(635) 및 유로 벽체부(723)는 잔수 개구부(634), 배출 개구부(636), 커버 개구부(730) 및 포집 공간부(740)와 완충 공간부(633)를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따라서, 유동 공간부(620)에서 커버 개구부(730)를 통과하여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는 배출 개구부(636) 또는 포집 공간부(740)를 향해서만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는 완충 공간부(633)를 향해 임의 유출되지 않는다.
커버 개구부(730)는 유동 공간부(620)와 잔수 개구부(634)를 연통한다.
커버 개구부(730)는 커버부(700)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개구부(730)는 원형으로 형성되나, 그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커버 개구부(73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커버 개구부(730)의 중심은 제3 축(73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제3 축(731)은 잔수 개구부(634)의 제1 축(634a)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축(731)과 제1 축(634a)은 같은 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가 커버 개구부(730)를 통해 잔수 개구부(634)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73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개구부(730)의 직경은 잔수 개구부(634)의 직경 또는 잔수 스크롤(550)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잔수 개구부(634)에 잔수 스크롤(550)이 삽입된 후, 커버부(700)가 결합됨에 기인한다. 또한, 잔수 스크롤(550)은 잔수 개구부(634)의 직경보다 짧은 대각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개구부(730)의 직경이 잔수 개구부(634)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클 경우, 잔수 개구부(634)에 삽입된 잔수 스크롤(550)이 임의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커버 개구부(730)의 직경은 잔수 개구부(634)의 직경 또는 잔수 스크롤(550)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700)와 잔수 집수부(600)가 결합되면, 커버 개구부(730)는 커버 외주부(721)와 커버 내주부(7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잔수의 임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포집 공간부(740)는 커버 개구부(730)를 통해 유입된 잔수가 포집되는 공간이다.
커버부(700)가 잔수 집수부(600)에 결합되면, 포집 공간부(740)는 배출 개구부(636)의 하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집 공간부(740)는 배출 개구부(636)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포집 공간부(740)는 배출 개구부(636)와 연통된다. 따라서, 포집 공간부(740)로 유동된 잔수는 배출 개구부(636)를 통해 물통(5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포집 공간부(740)는 유로 벽체부(72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다. 즉, 포집 공간부(740)는 제1 유로 벽체부(723a), 제2 유로 벽체부(723b) 및 제3 유로 벽체부(72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 벽체부(723)는 커버 개구부(730)에서 포집 공간부(740)를 향할수록 하면(720)에서 돌출된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집 공간부(740)에 유입된 잔수는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결합 돌출부(750)는 커버부(700)를 커버 결합부(63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결합 돌출부(750)는 커버부(700)의 외주에 복수 개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750)는 커버부(700)와 커버 결합부(630)를 스냅 체결(snap fi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7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돌출부(75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700)와 커버 결합부(63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3) 잔수의 원활한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잔수 유로부(635)의 형상의 설명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효과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잔수 유로부(635) 및 유로 벽체부(72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유로부(635)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수 유로부(635)는 내주부(623)의 각 단부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내주부(623)의 각 단부, 즉 제1 유로 구획부(635a)와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연장되는 부분은 잔수 개구부(634)의 제1 축(634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소정의 각도(θ1)는 제1 축(634a)에서 제1 유로 구획부(635a)가 내주부(623)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직선인 가상의 제1 선과, 제1 축(634a)에서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내주부(623)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직선인 가상의 제2 선 사이의 사잇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1)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θ1)는 40˚ 내지 60˚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각도(θ1)는 51.5 ± 8˚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1)에 의해,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로 유동되기 위한 입구의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각도(θ1)에 의해,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연결되는 내주부(623)의 각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정의된다.
상기 소정의 각도(θ1)의 각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치, 즉 59.5˚를 초과할 경우, 잔수가 내주부(623)의 상기 각 단부 사이를 통과할 때 난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잔수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됨에 따라, 51.5 ± 8˚의 범위에서 발생되지 않는 난류가 발생된다.
난류가 발생되면 잔수와 잔수 유로부(635) 간의 충돌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유동될 때 발생되는 소음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소정의 각도(θ1)의 각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즉 43.5˚ 미만일 경우, 잔수가 내주부(623)의 각 단부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렵게 된다.
즉, 잔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내주부(623)의 각 단부 사이에 체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각도(θ1)는 40˚ 내지 60˚, 구체적으로 51.5 ± 8˚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635a)와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잔수 개구부(634)의 제1 축(634a) 및 배출 개구부(636)의 제2 축(636a)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유로 구획부(635a)의 연장 길이와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연장 길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가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유동될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선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잔수가 유동되는 경로는 편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잔수가 유동될 때 잔수 집수부(600)의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flow resistance)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잔수 스크롤(550)의 회전 방향과 무관하게 잔수가 잔수 유로부(635)로 진입될 수 있다. 즉, 잔수 유로부(635)가 선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잔수가 임의의 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잔수 유로부(6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잔수 스크롤(550)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잔수가 잔수 유로부(6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스크롤(550) 및 잔수 스크롤(55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주부(623)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유로 구획부(635a)의 일측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제3 유로 구획부(635c)와 연결되는 제1 유로 구획부(635a)의 타측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타측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유로 구획부(635a)와 제2 유로 구획부(635b) 사이의 거리는, 제1 축(634a)에서 제2 축(636a)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이에,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를 각각 연장한 직선은 소정의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소정의 각도(θ2)는, 제1 유로 구획부(635a)가 내주부(623)와 연결되는 일 단부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와 연결되는 타 단부를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3 선과,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내주부(623)와 연결되는 일 단부 및 제3 유로 구획부(635c)와 연결되는 타 단부를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 4선이 이루는 사잇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2)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θ2)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각도(θ2)는 13.2 ± 3˚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유로부(635)는 잔수 개구부(634)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 길이가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잔수 유로부(635)가 배출 개구부(636)와 연통되는 부분의 폭 방향 길이는, 배출 개구부(636)의 직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유로부(635)에서 유동되는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잔수 개구부(634)의 외주와 배출 개구부(636)의 외주 사이의 최단 거리(L1) 또한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최단 거리(L1)는,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되기에 가장 적합한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최단 거리(L1)는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제공되는 이송력에 의해 잔수가 배출 개구부(636)를 지나 물통(520)까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는 거리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최단 거리(L1)는 24 mm 내지 26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단 거리(L1)은 24.9 ± 5 m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는 최적의 거리만큼 유동되어 배출 개구부(636)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700)의 유로 벽체부(723)는 잔수 유로부(635)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 벽체부(723a) 및 제2 유로 벽체부(723b)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유로 벽체부(723c) 또한 제3 유로 구획부(635c)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형성, 배치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800) 및 커버부(900)의 설명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잔수 집수부(800) 및 커버부(900)를 포함한다. 잔수 집수부(800)와 커버부(900)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응축된 잔수를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800)와 커버부(900) 또한 잔수의 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점에서, 잔수 집수부(800)와 커버부(900)는 잔수 회수부(5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부각하기 위해 잔수 집수부(800)와 커버부(900)가 별항으로 설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800) 및 커버부(900)를 설명한다.
(1) 잔수 집수부(800)의 설명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80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잔수 집수부(800)는 집수부 하우징(810), 유동 공간부(820) 및 커버 결합부(830)를 포함한다.
집수부 하우징(810)은 집수부 하우징(610)과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유동 공간부(820) 또한 유동 공간부(62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또한, 커버 결합부(830)는 커버 결합부(63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800)는 잔수 유로부(835)의 구조 및 형상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유로부(635)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이는 별항으로 설명하되, 잔수 유로부(835)의 구조 및 형상과 관련된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커버부(900)의 설명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90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70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커버부(900)는 상면(910), 하면(920), 커버 개구부(930), 포집 공간부(940) 및 결합 돌출부(750)를 포함한다.
상면(910), 하면(920), 커버 개구부(930), 포집 공간부(940) 및 결합 돌출부(750)는, 상면(710), 하면(720), 커버 개구부(730), 포집 공간부(740) 및 결합 돌출부(75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900)는 유로 벽체부(923)의 구조 및 형상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유로 벽체부(923)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이는 별항으로 설명하되, 유로 벽체부(923)의 구조 및 형상과 관련된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잔수의 원활한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잔수 유로부(835)의 형상의 설명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잔수 개구부(8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효과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잔수 유로부(835) 및 유로 벽체부(92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유로부(835)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수 유로부(835)는 내주부(823)의 각 단부에서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내주부(823)의 각 단부, 즉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각각 연장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제3 유로 구획부(835c)와 각각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와 같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는 잔수 개구부(834)의 제1 축(834a) 및 배출 개구부(836)의 제2 축(836a)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유로 구획부(835a)의 연장 길이와 제2 유로 구획부(835b)의 연장 길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 개구부(834)에 유입된 잔수가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유동될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835a) 및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선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잔수가 유동되는 경로는 편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잔수가 유동될 때 잔수 집수부(800)의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잔수 스크롤(550)의 회전 방향과 무관하게 잔수가 잔수 유로부(835)로 진입될 수 있다. 즉, 잔수 유로부(835)가 선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잔수가 임의의 방향으로 유동되더라도 잔수 유로부(8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잔수 스크롤(550)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잔수가 잔수 유로부(8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스크롤(550) 및 잔수 스크롤(550)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이격된 거리, 즉 잔수 유로부(835)의 폭 방향 길이는 배출 개구부(836)의 직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유로부(835)에서 유동되는 잔수가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수가 배출 개구부(836)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잔수 개구부(834)의 외주와 배출 개구부(836)의 외주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최단 거리(L2)는, 잔수 개구부(834)에 유입된 잔수가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되기에 가장 적합한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최단 거리(L2)는 잔수 스크롤(550)에 의해 제공되는 이송력에 의해, 잔수가 배출 개구부(836)를 지나 물통(520)까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는 거리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최단 거리(L2)는 24 mm 내지 26 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단 거리(L1)은 24.9 ± 5 m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 개구부(834)에 유입된 잔수는 최적의 거리만큼 유동되어 배출 개구부(836)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900)의 유로 벽체부(923)는 잔수 유로부(835)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 벽체부(923a) 및 제2 유로 벽체부(923b)는, 제1 유로 구획부(835a) 및 제2 유로 구획부(835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유로 벽체부(923c) 또한 제3 유로 구획부(835c)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형성, 배치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의 효과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집수된 잔수가 효과적으로 물통(52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600, 800) 및 커버부(700, 900)의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 잔수의 유동 및 잔수의 유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역류량이 도시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의 잔수의 유동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좌상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우하측에 잔수 유입부가 형성됨을 전제한다. 즉, 잔수는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때, 배출구에 도달한 잔수 중 상당한 양은 배출구에 대향하는 방향, 즉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는, 잔수의 유동 과정에서 높은 유동 저항이 발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배출구와 잔수 유입부를 연통하는 유로의 형상에 기인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잔수의 유로는, 길이 방향의 구조가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잔수는 배출구를 향해 균일하게 유동되지 못하고, 보다 넓은 공간이 형성된 방향으로 편중된다. 따라서, 잔수의 일부는 배출구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고 다시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역류하게 된다.
상기 역류에 의해, 잔수의 와류(turbulence)(T)가 발생된다. 따라서, 잔수가 원활하게 배출되기 어렵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의 잔수의 유동(F)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좌상측에 배출 개구부(636)가 위치되고, 우하측에 잔수 개구부(634)가 위치됨을 전제한다. 잔수 개구부(634)와 배출 개구부(636)는 잔수 유로부(635)에 의해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유로 구획부(635a) 및 제2 유로 구획부(635b)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잔수 유로부(635)의 폭 방향 길이는 잔수 개구부(634)에서 배출 개구부(636)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635a)와 제2 유로 구획부(635b)는 제1 축(634a)과 제2 축(634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잔수가 잔수 개구부(634)에서 잔수 유로부(635)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가 잔수 유로부(6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잔수 유로부(635)에 진입된 잔수의 유동(F)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해 진행된다.
잔수 유로부(635)는 배출 개구부(636)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잔수의 유동(F)은 배출 개구부(636)를 향할수록 유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잔수 개구부(634)에 유입된 잔수가 물통(520)을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잔수의 역류량과, 도 13의 (b)에 도시된 잔수의 역류량의 차이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의 잔수의 유동(F)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좌상측에 배출 개구부(836)가 위치되고, 우하측에 잔수 개구부(8340가 위치됨을 전제한다. 잔수 개구부(834)와 배출 개구부(836)는 잔수 유로부(835)에 의해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유로 구획부(835a) 및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잔수 유로부(835)의 폭 방향 길이는 잔수 개구부(834)에서 배출 개구부(836)를 향하는 방향에서 일정하다.
또한,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는 제1 축(834a)과 제2 축(834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잔수가 잔수 개구부(834)에서 잔수 유로부(835)에서 진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가 잔수 유로부(835)에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잔수 유로부(835)에 진입된 잔수의 유동(F)은 배출 개구부(836)를 향해 진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구획부(835a)와 제2 유로 구획부(835b)가 이격된 거리, 즉 잔수 유로부(835)의 폭 방향 길이는 배출 개구부(826)의 직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 유로부(835)에 진입된 잔수가 유동되는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잔수 개구부(834)에 유입된 잔수가 물통(520)을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잔수의 역류량과, 도 13의 (c)에 도시된 잔수의 역류량의 차이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각각 구비되어,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하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세기와 관련된 실험 결과가 도시된다.
상기 실험 결과는 각 차수당 10 회씩 총 2차로 진행된 실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된 것이다. 상기 수치는 데시벨(dB) 단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기재된 "제1 모터" 및 "제2 모터"는 잔수의 유동을 위한 이송력을 생성하는 모터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는 잔수 스크롤(550)의 축 결합부(552)와 결합되어, 잔수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다. 즉, 제1 모터 및 제2 모터는 서로 다른 모터로서,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도 14 내지 도 16에 기재된 "평균"은 복수 회 진행된 실험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14에 기재된 "Min-Max"는 복수 회 진행된 실험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이로 이해될 것이다.
도 14의 (a), 도 15의 (a) 및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될 경우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도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잔수가 잔수 개구부에서 배출 개구부를 향해 유동되는 유로의 입구가 후술될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잔수 개구부(634, 834)와 잔수 유로부(635, 835)가 연통되는 부분보다 넓게 형성됨을 전제한다.
먼저, 1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5.2 dB, Min-Max 값 3.0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5.0 dB, Min-Max 값 5.1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2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5.5 dB, Min-Max 값 3.7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5.3 dB, Min-Max 값 4.6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평균값은 모두 65 dB 내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는 모터가 작동될 경우,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잔수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난류가 발생되거나, 잔수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는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Min-Max 값은 최저 3.0 dB에서 최대 5.1 dB로, 최저 소음과 최고 소음 사이의 편차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는 모터가 작동될 경우,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잔수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비주기적으로 난류가 발생되거나, 잔수에 함유되었다가 유로의 내벽 등에 부착되는 이물질 등의 양이 가변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는 일정한 양의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높은 속도로 회전되어야 한다. 또한, 잔수의 유량이 의도치 않게 계속 변화되므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잔수를 유동시킬 때 높은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내구 연한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도 14의 (b), 도 15의 (b) 및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될 경우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 예는, 잔수 집수부(600, 800)가 상술한 소정의 각도(θ1)가 51.5 ± 8˚의 범위 중 최대값, 즉 59.5˚로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 개구부(634, 834)와 잔수 유로부(635, 835)가 연통되는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먼저, 1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1.1 dB, Min-Max 값 1.5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1.1 dB, Min-Max 값 1.1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2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1.2 dB, Min-Max 값 1.4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0.9 dB, Min-Max 값 0.9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평균값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약 4 dB 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Min-Max 값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약 3 dB 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의 (c), 도 15의 (c) 및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 구비될 경우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 예는, 잔수 집수부(600, 800)가 상술한 소정의 각도(θ1)가 51.5 ± 8˚의 범위 중 최소값, 즉 43.5˚로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 개구부(634, 834)와 잔수 유로부(635, 835)가 연통되는 부분의 폭이 좁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먼저, 1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1.6 dB, Min-Max 값 1.5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61.2 dB, Min-Max 값 1.2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2차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모터가 작동된 경우 평균값 59.3 dB, Min-Max 값 2.8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제2 모터가 발생된 경우, 평균값 60.1 dB, Min-Max 값 3.2 dB의 소음이 발생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평균값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약 5 dB 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의 Min-Max 값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약 2 dB 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됨을 의미한다.
즉, 잔수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난류의 양이 최소화되거나, 잔수에 함유된 이물질 등에 의해 잔수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되어도,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됨을 의미한다.
즉, 잔수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난류가 보다 주기적으로 발생되거나, 잔수에 함유되었다가 유로의 내벽 등에 부착되는 이물질 등의 양이 소량으로 유지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도,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의 잔수 수용 용량에 따른 잔수의 유량의 비교 결과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 예는, 잔수 집수부(600, 800)가 상술한 소정의 각도(θ1)가 51.5 ± 8˚의 범위 중 최대값, 즉 59.5˚로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 개구부(634, 834)와 잔수 유로부(635, 835)가 연통되는 부분의 폭이 좁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잔수 수용 용량이란, 의류 처리 장치 내부에 잔류될 수 있는 잔수의 최대 용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잔수 수용 용량(a)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잔수 수용 용량(b)을 의미한다. 상기 잔수 수용 용량은 그램 (g) 단위이다.
도 17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워터 펌프(미도시) 등이 작동된 경우 유동되는 잔수의 유량을 의미한다. 상기 잔수의 유량은 초당 그램 수(g/sec) 단위이다.
도 17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먼저 잔수 수용 용량이 클수록 잔수의 유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잔수 수용 용량(a)이 2,000 g, 1,700 g, 1,200 g 및 700 g으로 감소됨에 따라 잔수의 유량이 121. 9 g/sec, 120.6 g/sec, 105 g/sec 및 65.8 g/sec로 감소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경우, 잔수 수용 용량(b)이 이 2,000 g, 1,700 g, 1,200 g 및 700 g으로 감소됨에 따라 잔수의 유량이 137 g/sec, 133.2 g/sec, 109.6 g/sec 및 68.4 g/sec로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 유동되는 잔수의 유량은, 잔수 수용 용량이 변화되는 전 구간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유동되는 잔수의 유량보다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됨에 기인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에서의 잔수 수용 용량에 따른 잔수량의 비교 결과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 예는, 잔수 집수부(600, 800)가 상술한 소정의 각도(θ1)가 51.5 ± 8˚의 범위 중 최대값, 즉 59.5˚로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 비해 잔수 개구부(634, 834)와 잔수 유로부(635, 835)가 연통되는 부분의 폭이 좁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잔수 수용 용량(a)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잔수 수용 용량(b)을 의미한다. 상기 잔수 수용 용량은 그램 (g) 단위이다.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의류 처리 장치 내부에서 잔류하는 잔수량을 의미한다. 상기 잔수량은 그램 (g) 단위이다.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잔수량은 잔수 수용 용량(a)과 비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잔수 수용 용량(a)이 2,000 g, 1,700 g, 1,200 g 및 700 g으로 감소됨에 따라 잔수량이 201 g, 197.5 g, 202.5 g 및 213.5 g으로 변화된다. 즉, 잔수량은 잔수 수용 용량(a)이 감소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감소된 후, 다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잔수 수용 용량(a)이 낮아질수록,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잔수의 양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즉,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경우, 잔수 수용 용량(b)이 2,000 g, 1,700 g, 1,200 g 및 700 g으로 감소됨에 따라 잔수량이 198.7 g, 190.7 g, 182. 7 g 및 182 g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 내부의 잔수량은, 잔수 수용 용량(b)이 변화되는 전 구간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내부의 잔수량보다 많음을 알 수 있다.
이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됨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저속으로 회전되어도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도 잔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내구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잔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작동될 경우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 및 편차가 감소되므로, 사용자의 편의 및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의류 처리 장치
100: 하우징
110: 프레임
120: 전면
130: 후면
140: 상면
150: 하면
160: 도어
200: 드럼
210: 드럼 외주면
220: 의류 수용부
221: 개구부
300: 제어부
310: 입력 모듈
311: 다이얼
312: 디스플레이
320: 연산 모듈
400: 공기 조화부
410: 증발기
420: 압축기
421: 기액 분리기
430: 응축기
440: 덕트부
441: 제1 덕트
442: 제2 덕트
443: 제3 덕트
500: 잔수 회수부
510: 베이스
520: 물통
521: 손잡이
530: 물통 프레임
540: 호스부
541: 제1 호스
542: 제2 호스
550: 잔수 스크롤
551: 스크롤 경판부
551a: 연통공
552: 축 결합부
553: 임펠러(impeller)
600: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
610: 집수부 하우징
611: 벽체부
611a: 잔수 유입부
612: 잔수 포집부
612a: 연통 홀
613: 지지 리브
613a: 제1 지지 리브
613b: 제2 지지 리브
614: 센서 개구부
615: 체결 홀
620: 유동 공간부
630: 커버 결합부
631: 외주부
631a: 공기 개구부
632: 내주부
633: 완충 공간부
634: 잔수 개구부
634a: 제1 축
635: 잔수 유로부
635a: 제1 유로 구획부
635b: 제2 유로 구획부
635c: 제3 유로 구획부
636: 배출 개구부
636a: 제2 축
637: 공기 연통공
700: 커버부
710: 상면
711: 돌기부
712: 보스부
720: 하면
721: 커버 외주부
722: 커버 내주부
723: 유로 벽체부
723a: 제1 유로 벽체부
723b: 제2 유로 벽체부
723c: 제3 유로 벽체부
730: 커버 개구부
731: 제3 축
740: 포집 공간부
750: 결합 돌출부
800: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수 집수부
810: 집수부 하우징
811: 벽체부
811a: 잔수 유입부
812: 잔수 포집부
812a: 연통 홀
813: 지지 리브
813a: 제1 지지 리브
813b: 제2 지지 리브
814: 센서 개구부
815: 체결 홀
820: 유동 공간부
830: 커버 결합부
831: 외주부
831a: 공기 개구부
832: 내주부
833: 완충 공간부
834: 잔수 개구부
834a: 제1 축
835: 잔수 유로부
835a: 제1 유로 구획부
835b: 제2 유로 구획부
835c: 제3 유로 구획부
836: 배출 개구부
836a: 제2 축
837: 공기 연통공
900: 커버부
910: 상면
911: 돌기부
912: 보스부
920: 하면
921: 커버 외주부
922: 커버 내주부
923: 유로 벽체부
923a: 제1 유로 벽체부
923b: 제2 유로 벽체부
923c: 제3 유로 벽체부
930: 커버 개구부
931: 제3 축
940: 포집 공간부
950: 결합 돌출부
θ1: 제1 축에 대해 제1 유로 구획부 및 제2 유로 구획부가 이루는 중심각
θ2: 제1 유로 구획부 및 제2 유로 구획부 사이의 사잇각
L1: 잔수 유로부의 외주와 배출 개구부의 외주의 최단 거리
F: 잔수의 흐름
T: 와류

Claims (17)

  1.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측을 향해 상기 증발기에 대향하는 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되어 낙하된 상기 수분이 유동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는 잔수 개구부,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를 연통하는 잔수 유로부를 포함하는 잔수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잔수 개구부에서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유로부는,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로 구획부; 및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로 구획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와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된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배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 유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과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타측과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타측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에서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 선; 및
    상기 잔수 개구부의 상기 중심에서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2 선 사이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 선 및 상기 가상의 제2 선 사이의 상기 사잇각은 40˚ 내지 60˚인,
    의류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의 상기 타측을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3 선; 및
    상기 내주부의 상기 일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일측 및 상기 제3 유로 구획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로 구획부의 상기 타측을 지나는 직선인 가상의 제 4선 사이의 사잇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3 선 및 상기 가상의 제4 선 사이의 상기 사잇각은 10˚ 내지 20˚인,
    의류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개구부 및 상기 배출 개구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배출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 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집수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잔수 개구부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외주부;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커버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주부;
    상기 배출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부와 연통되는 포집 공간부;
    상기 커버 내주부에서 상기 포집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포집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유로 벽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잔수 집수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부; 및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잔수 집수부의 상기 하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접촉되고, 상기 커버 내주부는 상기 내주부와 접촉되며, 상기 유로 벽체부는 상기 잔수 유로부와 접촉되는,
    의류 처리 장치.
  12.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덕트부의 하류 측을 향해 상기 증발기에 대향하는 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되어 낙하된 상기 수분이 유동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과 연통되는 잔수 개구부,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를 연통하는 잔수 유로부를 포함하는 잔수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수 유로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와 상기 배출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잔수 개구부에서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유로부는,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유로 구획부; 및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며, 상기 제1 유로 구획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잔수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유로 구획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개구부 및 상기 배출 개구부는 각각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구획부 및 상기 제2 유로 구획부는,
    상기 잔수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배출 개구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선대칭 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집수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 개구부와 연통되는 포집 공간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외주부;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주부;
    상기 커버 내주부의 방사상 내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부; 및
    상기 커버 내주부에서 상기 포집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포집 공간부를 둘러싸고, 상기 잔수 집수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는 유로 벽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집수부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잔수 집수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주부; 및
    상기 커버부를 향해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잔수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잔수 집수부의 상기 하측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접촉되고, 상기 커버 내주부는 상기 내주부와 접촉되며, 상기 유로 벽체부는 상기 잔수 유로부와 접촉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90099756A 2019-08-14 2019-08-14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0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56A KR20210020446A (ko) 2019-08-14 2019-08-14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756A KR20210020446A (ko) 2019-08-14 2019-08-14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46A true KR20210020446A (ko) 2021-02-24

Family

ID=7468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756A KR20210020446A (ko) 2019-08-14 2019-08-14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4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24B1 (ko) 2009-03-20 2011-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265615B1 (ko) 2006-07-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15B1 (ko) 2006-07-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041824B1 (ko) 2009-03-20 2011-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U2019265183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CN112639200B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EP242337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423371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3103719B (zh) 滚筒式洗涤干燥机
JP6486197B2 (ja) 衣類乾燥機
KR20220069779A (ko) 건조기
JP6509527B2 (ja) 乾燥機
JP5819103B2 (ja) 衣類乾燥装置
JP5948661B2 (ja) 乾燥装置
KR102302545B1 (ko) 제습기
KR20210020446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0445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15016186A (ja) 衣類乾燥機
CN116457524A (zh) 干燥机
EP2990517B1 (en) Laundry dryer including a heat pump system
CN106436229A (zh) 洗衣机
US11592030B2 (en) Fan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4018448A (ja) 衣類乾燥機
EP2594689A1 (en) Laundry drying machine
US20220162795A1 (en) Dryer
CN113260756B (zh) 衣物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