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00A -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00A
KR20210019700A KR1020190098637A KR20190098637A KR20210019700A KR 20210019700 A KR20210019700 A KR 20210019700A KR 1020190098637 A KR1020190098637 A KR 1020190098637A KR 20190098637 A KR20190098637 A KR 20190098637A KR 20210019700 A KR20210019700 A KR 2021001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nstruction site
binding
horizont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188B1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9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용접도구나 결속도구에 의하지 않고도 단순히 가로대의 가장자리를 연결구와 세로재 사이에 형성된 끼움공간에 끼워넣기만 하면 스냅링의 변형 동작에 의해 가로재와 세로재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현장 설치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건비 절감 및 시공시간을 줄여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Temporary unit for construction site work}
본 발명은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대를, 더욱 편리하게 조립하여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대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지면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원활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설대는, 파이프 형태의 세로재들과 세로재들 사이사이를 연결시키는 가로재들과, 그 가로재들 사이에 놓여져 작업자들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가설대에는, 가설대를 이루는 세로재들과 가로재들을 현장에서 용접 방식으로 결속하여 주기 때문에, 현장 설치작업성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18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 설치작업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재들; 상기 세로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세로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재들; 및 상기 각 세로재와 가로재들을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각 세로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의 결합을 위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들과, 그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들과, 상기 비접촉부들 중 인접한 비접촉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간을 형성시키며 원주라인을 따라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홈 형성부들을 포함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홈 형성부들에 끼워지는 것으로, 탄성변형 및 형상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가 상기 끼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고, 그 결속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서 그 결속부를 고정시키는 스냅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는, 상기 스냅링의 형상복원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스냅링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재와 연결구는, 그 연결구의 세로재에 대한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나사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은, 별도의 용접도구나 결속도구에 의하지 않고도 단순히 가로대의 가장자리를 연결구와 세로재 사이에 형성된 끼움공간에 끼워넣기만 하면 스냅링의 변형 동작에 의해 가로재와 세로재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현장 설치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건비 절감 및 시공시간을 줄여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Ⅱ부분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가설대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의 사용상태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부분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가설대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재들과 가로재들과 결속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재들과 가로재들은, 각각 간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대의 뼈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각 세로재는, 예컨대 파이프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가로재는 상기 세로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세로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로재들 사이에는 도 1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발판이 배치된다.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각 세로재와 가로재들을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구와 스냅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각 세로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들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들과, 상기 비접촉부들을 연결시키는 홈 형성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의 결합을 위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부분이고,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부분으로 상기 홈 형성부와 함께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가 끼워지는 끼움공간을 형성시킨다.
상기 홈 형성부는, 상기 비접촉부들 중 인접한 비접촉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비접촉부들과 함께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간을 형성시키며, 원주라인을 따라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는 상기 세로재 또는 가로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시 상기 세로재에 용접되는 것도 가능하나, 현장 작업 이전에 상기 세로재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냅링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의 홈 형성부들에 끼워지는 것으로, 스프링과 같이 탄성변형 및 형상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냅링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가 상기 끼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고,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속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서 그 결속부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은, 별도의 용접도구나 결속도구에 의하지 않고도 단순히 가로대의 가장자리를 연결구와 세로재 사이에 형성된 끼움공간에 끼워넣기만 하면 스냅링의 변형 동작에 의해 가로재와 세로재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현장 설치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건비 절감 및 시공시간을 줄여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는, 도 4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냅링과의 결속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스냅링의 형상복원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스냅링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연결구(102)의 세로재(101)에 대한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구(102)와 세로재(101) 각각에 형성된 나사결합부(102a)(10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작업환경에 따라 가로재의 설치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가로재의 세로재에 대한 높이조절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구(102)의 세로재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른 높이조절을 통해 상기 가로재의 지면으로부터의 상대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세로재들을 서로 견고히 결속시켜 주기 위한 안전키(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키(200)는, 상기 세로재들을 상호 관통하여 결속시켜 주는 핀부(201)와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결속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링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세로재 2:가로재
21:결속부 21a:위치고정홈
3:연결구 30:끼움공간
31:접촉부 32:비접촉부
33:홈 형성부 33a:절개홈
4:스냅링 A:발판

Claims (3)

  1. 건설현장에서의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재들; 상기 세로재들 중 인접한 한 쌍의 세로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재들; 및 상기 각 세로재와 가로재들을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각 세로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의 결합을 위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들과, 그 접촉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세로재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들과, 상기 비접촉부들 중 인접한 비접촉부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끼움공간을 형성시키며 원주라인을 따라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홈 형성부들을 포함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홈 형성부들에 끼워지는 것으로, 탄성변형 및 형상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가 상기 끼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고, 그 결속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서 그 결속부를 고정시키는 스냅링;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재의 결속부는, 상기 스냅링의 형상복원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스냅링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재와 연결구는, 그 연결구의 세로재에 대한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나사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KR1020190098637A 2019-08-13 2019-08-13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KR10236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37A KR102361188B1 (ko) 2019-08-13 2019-08-13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37A KR102361188B1 (ko) 2019-08-13 2019-08-13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00A true KR20210019700A (ko) 2021-02-23
KR102361188B1 KR102361188B1 (ko) 2022-02-23

Family

ID=7468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37A KR102361188B1 (ko) 2019-08-13 2019-08-13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987A (ja) * 2005-07-25 2007-02-08 Jun Yasuda 結合装置
KR20110018601A (ko) * 2009-08-18 2011-02-24 박명숙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051819B1 (ko) 2008-10-28 2011-07-25 (주)재경건설 이동식 가설펜스
JP2017110421A (ja) * 2015-12-17 2017-06-22 鹿島建設株式会社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987A (ja) * 2005-07-25 2007-02-08 Jun Yasuda 結合装置
KR101051819B1 (ko) 2008-10-28 2011-07-25 (주)재경건설 이동식 가설펜스
KR20110018601A (ko) * 2009-08-18 2011-02-24 박명숙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JP2017110421A (ja) * 2015-12-17 2017-06-22 鹿島建設株式会社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88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6952C2 (ru) Сейсм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т-образной детали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шва решетча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US11035114B2 (en) Pillar fixing metal fitting
KR10197832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20210019700A (ko) 건설현장 작업용 가설대 유닛
JP4943747B2 (ja) 鋼管柱の柱脚構造及び建方方法
KR101872080B1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KR101895448B1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JP5648928B2 (ja) 建築外装材取付用固定具
KR20100056662A (ko) 건식공법 건축물용 모듈러의 체결구조 및 조립방법
CN204843209U (zh) 一种角钢切割设备
JP2020197039A (ja) 連結構造
JP7264467B2 (ja) 仮設足場用の縦支柱、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設足場システム
KR200477314Y1 (ko) 작업용 발판 및 이의 연결 구조
JP2525362Y2 (ja) 仮設構造物の継手部構造
JP7079623B2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4482854B2 (ja) 木造建物の梁の取替方法
JP2011220046A (ja) 連結金具
CN209293201U (zh) 一种装配式钢管砼框架连接结构
JP2013213359A (ja) 建築用接合構造
CN215062777U (zh) 一种角钢法兰结构及带有该结构的风管
KR102386170B1 (ko) 내진 및 방진기능을 갖는 파이프랙 구조물
KR200332022Y1 (ko)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JP6959645B2 (ja) 配管支持装置
KR200343621Y1 (ko) 결합받침대와 접착제를 이용한 조립식 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