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664A -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664A
KR20210019664A KR1020190098544A KR20190098544A KR20210019664A KR 20210019664 A KR20210019664 A KR 20210019664A KR 1020190098544 A KR1020190098544 A KR 1020190098544A KR 20190098544 A KR20190098544 A KR 20190098544A KR 20210019664 A KR20210019664 A KR 2021001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e
bucky tray
display unit
compens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750B1 (ko
Inventor
서영민
권성필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9009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64A/ko
Priority to KR1020210105802A priority patent/KR2021010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라인 표시장치를 구비한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는, 버키 트레이와, 버키 트레이의 일측에서 테이블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바와, 연장바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와, 지지바의 일측에 구비되며 테이블의 상측으로 센터라인을 투사하는 센터라인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Table bucky tray and center line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테이블 버키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라인 표시장치를 구비한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대상체에 조사하고, 그 투과된 엑스선의 에너지 강도 분포 차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말하며, 검출수단으로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을 받으면 빛을 발하는 증감지(형광판)와 은염 필름을 조합하여, 증감지에서 발생한 빛으로 은염 필름상에 잠상을 형성한 후, 이 은염 필름을 화학 처리하여 가시상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증감지와 은염 필름을 암 상태로 보관하고 촬영에 이용하는 필름 카세트가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 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적 신호를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어서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구성한 후, 적절한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모니터 또는 프린터로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디지털 방식에 이용되는 엑스선 검출기(X-ray detector)는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한 CCD 검출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평판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등이 있다.
이러한 검출기(Detector) 중에서 영상의 질이나 환자 피폭선량의 감소, 검사 효율성, 및 장착 수월성 등을 고려할 때, 평판검출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영상을 얻는 방식이 근래의 추세이며, 평판검출기는 버키 트레이(bucky tray) 안에 전자 카세트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키 트레이(3)가 구비된 테이블(5)의 상부에 엑스선을 투사하는 콜리메이터(10; collimator)가 배치되어, 콜리메이터(10)의 내부에 배치된 할로겐 램프(미도시)가 턴온되면, 할로겐 램프의 빛이 콜리메이터(10)에 장착된 레퍼런스 플레이트(미도시)를 통해 테이블(10)의 상면에 투사됨으로써, 테이블(10)에 십자 영상(20)이 투영된다.
이때, 촬영기사는 투영된 십자 영상(20)의 중심에 버키 트레이(3)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투영된 십자 영상(20)과 버키 트레이(3)의 중심을 일치시키는데, 테이블(5) 상판이 재질상 불투명할 뿐더러, 테이블(5) 위에 환자가 눕게 되면 환자의 몸에 의해 버키 트레이(3)의 위치가 가려지므로, 버키 트레이(3)의 중심을 십자 영상(20)과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라인이 표시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에 구비되는 센터라인 표시부에서 센터라인을 투사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촬영시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도촬영시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 및 대상물의 두께를 고려하여 센터라인 표시지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에 있어서, 버키 트레이; 상기 버키 트레이의 일측에서 테이블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 센터라인을 투사하는 센터라인 표시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에서 라인 레이저가 투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라인 레이저가 십자선 형태로 투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 방향으로 제1 라인을 투사하는 제1 레이저 투사부와, 상기 테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라인을 투사하는 제2 레이저 투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키 트레이의 이온 챔버 필드를 표시하도록 복수 개의 필름 마스크가 부착되는 LED 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에서 투사되는 센터라인이 상기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버키 트레이는 엑스선 검출기,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레이저를 투사하여 상기 센터라인을 지시하는 레이저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표시부에서 투사되는 센터라인이 상기 검출기의 센터라인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상기 검출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두께를 센싱하는, 대상체 두께 센싱부; 상기 검출기를 향해 엑스선을 투사하는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는,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 상기 센싱한 대상체의 두께 및 상기 센싱한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표시부가 투사하는 상기 검출기의 센터라인의 위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길이 또는 보상 각도를 계산하는,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 및 상기 계산한 보상 길이 또는 보상 각도만큼 상기 레이저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레이저 투사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상 길이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L1= H2 X tanθ1
상기 L1은 상기 보상 길이, 상기 H2는 상기 센싱한 대상체의 두께, 상기 θ1은 상기 센싱한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상 각도는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상기 θ2는 상기 보상 각도, 상기 L1은 상기 보상 길이, 상기 r1은 상기 레이저 표시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레이저 투사부까지의 거리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이저 투사 이동부는, 상기 보상 길이만큼 상기 레이저 투사부를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보상 각도만큼 상기 레이저 투사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에 의하면, 센터라인 표시부에 의해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이 표시되므로, 엑스선 촬영시 버키 트레이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에 의하면, 버키 트레이의 일측에 센터라인 표시부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버키 트레이의 이동에 관계없이 정확한 지점에 센터라인이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
도 5는 대상체 존재에 따라 센터라인 표시부가 표시하는 센터라인 표시 지점의 보상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부 및 지지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투사부가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보상 길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투사부가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보상 각도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길이/각도를 획득하기 위한 보상부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버키 트레이(100)는 테이블(200)의 일측에 장착되는 버키 트레이(300)와, 버키 트레이(300)의 일측에서 테이블(2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400)과, 지지 프레임(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터라인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키 트레이(300)는 검출기(detector)(미도시)가 내부에 전자 카세트 형태로 장착된 것으로, 테이블 상판(210)의 하부 공간에 테이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엑스선 촬영시 촬영 부위에 따라 버키 트레이(300)를 테이블(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400)은 센터라인 표시부(500)를 테이블(200)의 상부 외측에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키 트레이(300)의 일측에서 테이블(200)의 외측으로 연장바(410)가 돌출되며, 연장바(410)의 끝단에서 지지바(420)가 상향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420)의 일측에는 테이블(200)의 상측으로 센터라인(CL)을 투사하는 센터라인 표시부(500)가 구비된다. 즉, 연장바(410)와 지지바(420)에 의해, 센터라인 표시부(500)가 테이블(200)의 상부 외측에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테이블(200)의 상측 즉, 테이블 상판(210)의 표면에 센터라인(CL)을 투사한다.
일 예로서,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십자선 형태의 라인 레이저(Line laser)를 투사하는 레이저 투사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복수 개의 레이저 투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테이블(200)의 폭 방향으로 제1 라인(수직선)(VL)을 투사하는 제1 레이저 투사부(미도시)와, 테이블(2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라인(수평선)(HL)을 투사하는 제2 레이저 투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터라인 표시부(500)에서 투사되는 센터라인(CL)은 테이블(200)의 상측에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라인을 표시한다. 즉, 센터라인 표시부(500)의 라인 레이저에 의해 테이블(200) 상측에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라인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센터라인 표시부(500)가 버키 트레이(300)의 일측에 버키 트레이(300)와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움직임에 따라, 테이블(200)의 승강에 따른 버키 트레이(300)의 높이 변화, 테이블 상판(Table Top Plate)(210)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이동, 또는 버키 트레이(300)의 슬라이드 이동 등 버키 트레이(300)의 위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항상 테이블(200)의 상측에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라인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센터라인 표시부(500)의 일측에 LED 램프부(600)가 구비되며, LED 램프부(600)의 전면에는 복수 개의 필름 마스크(610)가 부착된다. 각각의 필름 마스크(610)는 검출기(detector)의 이온 챔버 필드(ion chamber field)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환자의 척추 부위 및 양쪽 폐 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에 이온 챔버 필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LED 램프부(600)에서 투사된 빛이 각각의 필름 마스크(61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필름 마스크(610)의 색상 또는 투과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라인(CL)의 주변에 이온 챔버 필드 대응 영역(620)이 색상 또는 음영으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튜브가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수직 상부에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 경사져서 각도촬영하는 경우, 테이블 상판 및 환자 등 대상체의 두께를 감안하여 센터라인 표시지점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 이에 따른 센터라인 표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대상체 존재에 따라 센터라인 표시부가 표시하는 센터라인 표시 지점의 보상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배경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엑스선 촬영을 위해서는, 검출기의 센터와 콜리메이터(10)의 센터간의 일치가 요구된다. 만일,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가 검출기의 센터와 일치/대응되도록 구성된 경우, 본 발명의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결국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이자 검출기의 센터를 표시하게 되며, 촬영 기사는 버키 트레이(300)/검출기의 센터와 콜리메이터(10)의 센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검출기의 센터로 통일하여 설명하며, 검출기의 센터는 버키 트레이(300)의 센터로 대체될 수 있다.
정확한 엑스선 촬영을 가이드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터라인 표시부(500)를 구비하여 검출기의 센터라인을 지시/표시해줄 수 있으며, 촬영 기사는 이러한 검출기의 센터라인과 콜리메이터(10)의 센터를 표시하는 십자 영상을 상호 일치시킴으로써 엑스선 촬영을 한다.
이때 만일, 콜리메이터(10)가 대상체에 대하여 수직 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위치에서 촬영하는 각도 촬영을 진행하는 경우, 센터라인 표시부(500)가 지시하는 센터(p)와 콜리메이터(10) 입장에서 바라보는 실제 검출기의 센터(p') 사이에는 대상체의 두께에 따른 일정한 오차(d)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검출기의 센터를 수직/하측 방향으로 지시하기 때문에, 수직/길이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위치에서 각도 촬영하는 콜리메이터(10) 입장에서 검출기의 센터는 p' 지점인데도 불구하고, p 지점을 지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촬영 기사는 콜리메이터(10)의 십자 영상을 센터라인 표시부(500)가 지시하는 p 지점과 일치시켜 촬영을 수행하게 되어, 실제로 콜리메이터(10)는 검출기의 센터로부터 수직/길이 방향으로 d만큼 떨어진 영역을 촬영하게 되므로, 두 센터가 일치되지 않아 엑스레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는, 콜리메이터(10)가 수직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촬영하는 수직 촬영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도 촬영 시 대상체의 두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여 검출기의 센터라인을 정확히 지시/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는 검출기(또는 버키 트레이) 상측에 위치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대상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5 실시예의 경우 테이블 상판 및 환자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상체로서 테이블 상판만 존재하는 경우의 보상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부 및 지지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테이블 버키 트레이(100)는 대상체(210)의 두께를 센싱/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두께 검출 센서(O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버키 트레이(100)의 지지바(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OS)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OS)는 버키 트레이의 지지바(420)에 일직선으로 배치/나열되어 대상체(210)의 두께를 센싱/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두께 검출 센서(OS)로서 테이블 버키 트레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두께 검출 센서(OS)로부터 수신한 센싱 결과인 대상체(210)의 두께만큼 레이저 투사부(510)를 이동시켜 검출기의 센터라인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레이저 투사부(510)의 위치 및/또는 이동 형태 등에 따라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검출기의 센터라인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투사부(510)가 센터라인 표시부(500) 내에서 직선 이동하는 경우(c2)와, 레이저 투사부(510)가 센터라인 표시부(500) 내에서 회전 이동하는 경우(c1)에 따라 보상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c2),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레이저 투사부(510)를 고려하여 보상 '길이'를 획득해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c1), 센터라인 표시부(500)는 회전하는 레이저 투사부(510)를 고려하여 보상 '각도'를 획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 경우별(c1, c2)로 보상 길이/각도를 획득하여 보상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투사부가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보상 길이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체(210)의 두께를 H2, 콜리메이터(10)가 수직/길이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θ1이라고 했을 때, 보상 길이 L1을 획득하기 위한 수학식은 수학식 1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즉, 레이저 투사부가 직선 이동하는 경우, 센터라인 표시부는 대상체(210)의 두께(H2) 및 콜리메이터(10)가 기울어진 각도(즉, 촬영 각도)(θ1)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보상 길이(L1)를 획득하고, 획득한 보상 길이(L1)만큼 레이저 투사부를 이동시켜 콜리메이터(10)에 대한 검출기 센터의 위치 지시를 보상할 수 있다.
다만, 수학식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대상체(210)의 두께(H2) 및 콜리메이터(10)가 기울어진 각도(θ1)를 이용하여 보상 길이(L1)가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학식 1을 기초로 레이저 투사부가 회전하는 경우의 보상 각도가 획득될 수 있으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투사부가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보상 각도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투사부가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으로부터 레이저 투사부까지의 거리를 r1, 보상 길이를 L1이라고 했을 때, 보상 각도 θ2를 획득하기 위한 수학식은 수학식 2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즉, 레이저 투사부가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센터라인 표시부는 대상체(210)의 두께(H2), 콜리메이터(10)가 기울어진 각도(θ1), 및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으로부터 레이저 투사부까지의 거리(r1)를 수학식 1 및 2에 대입하여 보상 각도(θ2)를 획득하고, 획득한 보상 각도(θ2)만큼 레이저 투사부를 회전시켜 콜리메이터(10)에 대한 검출기 센터의 위치 지시를 보상할 수 있다.
다만, 수학식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보상 길이(L1)와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으로부터 레이저 투사부까지의 거리(r1)를 이용하여 보상 각도(θ2)가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센터라인 표시부는 대상체(210)의 두께(H2) 및 콜리메이터의 각도(θ1)를 고려하여 검출기의 센터 지시 위치를 보상해주므로, 대상체(210)의 두께 및 콜리메이터의 각도(θ1)에 따른 영향 없이 엑스선 촬영이 항상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길이/각도를 획득하기 위한 보상부의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상부는 앞서 상술한 보상 길이/각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보상 길이/각도만큼 레이저 투사부를 이동시키는 구성/유닛/모듈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상부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보상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프로세서, 센서, 모터, 안테나, 통신 모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보상부에 포함된 구성/유닛/모듈들은 보상부의 기능별로 구분된 서브 구성/유닛/모듈에 해당하며, 보상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구성/유닛/모듈은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제어 신호/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보상부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하나의 구성으로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센터라인 표시부에 설치/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센터라인 표시부는 보상부와 동일시되어 설명될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보상부는 대상체 두께 센싱부,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 레이저 투사 이동부 및/또는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여 대상체(예를 들어, 테이블 상판, 환자 등)의 두께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터라인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바에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대상체의 두께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 터치 센서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센싱한 대상체의 두께 정보를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로 전송해줄 수 있다.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여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예를 들어, 수직 촬영으로부터 수직/길이 방향으로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기울어졌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경사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콜리메이터에 설치되어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터치 센서, 회전 센서, 가속도 센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튜브 스탠드(Tube stand)로부터 콜리메이터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는 센싱한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 정보를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로 전송해줄 수 있다.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는 대상체 두께 센싱부 및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저 투사부의 이동 길이/각도를 계산/획득할 수 있다.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가 보상 각도/길이를 계산하는 실시예는 앞서 도 7 및 8에 상술한 바와 같다.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는, 계산/획득한 보상 각도/길이만큼 이동할 것을 지시/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레이저 투사 이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레이저 투사 이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비하여 레이저 투사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투사부는 레이저 투사 이동부의 제어에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센터라인 표시부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투사부는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보상 길이만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보상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보상부는 버키 트레이가 수직/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를 기준으로 수직/길이 방향의 각도 촬영 시의 길이/각도를 보상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키 트레이가 수평/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방향만 상이할 뿐, 상술한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하여 계산된 보상 각도/길이만큼 레이저 표시부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온 챔버 필드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각도 촬영 시에는 대상체의 두께에 따라 검출기 센터와 같은 오차가 발생하므로, 이온 챔버 필드는 새로운 대상체(예를 들어, 환자)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지시/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센터라인 표시부를 벽면 또는 천정에 부착하여 응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00 : 테이블 버키 트레이
200 : 테이블
210 : 테이블 상판
300 : 버키 트레이
400 : 지지 프레임
410 : 연장바
420 : 지지바
500 : 센터라인 표시부
510 : 레이저 투사부
600 : LED 램프부
610 : 필름 마스크
620 : 이온 챔버 필드 대응 영역

Claims (13)

  1. 테이블의 일측에 장착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에 있어서,
    버키 트레이;
    상기 버키 트레이의 일측에서 테이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 센터라인을 투사하는 센터라인 표시부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버키 트레이의 일측에서 테이블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에서 라인 레이저가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인 레이저가 십자선 형태로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 방향으로 제1 라인을 투사하는 제1 레이저 투사부와, 상기 테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라인을 투사하는 제2 레이저 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키 트레이의 이온 챔버 필드를 표시하도록 복수 개의 필름 마스크가 부착되는 LED 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에서 투사되는 센터라인이 상기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엑스선 검출기,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레이저를 투사하여 상기 센터라인을 지시하는 레이저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표시부에서 투사되는 센터라인이 상기 검출기의 센터라인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 표시부는,
    상기 검출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상체의 두께를 센싱하는, 대상체 두께 센싱부;
    상기 검출기를 향해 엑스선을 투사하는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를 센싱하는, 콜리메이터 각도 센싱부;
    상기 센싱한 대상체의 두께 및 상기 센싱한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표시부가 투사하는 상기 검출기의 센터라인의 위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길이 또는 보상 각도를 계산하는, 보상 각도/길이 계산부; 및
    상기 계산한 보상 길이 또는 보상 각도만큼 상기 레이저 표시부를 이동시키는, 레이저 투사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 두께 센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길이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수학식 1]
    L1= H2 X tanθ1
    상기 L1은 상기 보상 길이, 상기 H2는 상기 센싱한 대상체의 두께, 상기 θ1은 상기 센싱한 콜리메이터의 촬영 각도에 각각 해당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상 각도는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θ2는 상기 보상 각도, 상기 L1은 상기 보상 길이, 상기 r1은 상기 레이저 표시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레이저 투사부까지의 거리에 각각 해당함.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투사 이동부는,
    상기 보상 길이만큼 상기 레이저 투사부를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보상 각도만큼 상기 레이저 투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버키 트레이.
KR1020190098544A 2019-08-13 2019-08-13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KR10229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44A KR102290750B1 (ko) 2019-08-13 2019-08-13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KR1020210105802A KR20210102145A (ko) 2019-08-13 2021-08-11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44A KR102290750B1 (ko) 2019-08-13 2019-08-13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02A Division KR20210102145A (ko) 2019-08-13 2021-08-11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64A true KR20210019664A (ko) 2021-02-23
KR102290750B1 KR102290750B1 (ko) 2021-08-18

Family

ID=746882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44A KR102290750B1 (ko) 2019-08-13 2019-08-13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KR1020210105802A KR20210102145A (ko) 2019-08-13 2021-08-11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02A KR20210102145A (ko) 2019-08-13 2021-08-11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0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8982A (zh) * 2022-03-30 2022-07-01 北京市真我本色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托盘的厚度补偿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200A (ja) * 1982-10-20 1984-05-18 Toshiba Corp アライメント装置
KR950030991A (ko) * 1994-04-26 1995-12-18 디터 크리스트, 게르하르트 퀼 방사선 진단장치
KR970001432A (ko) * 1995-06-23 1997-01-24 이덕림 항균수지 조성물
KR20080006248U (ko) * 2007-06-12 2008-12-17 윤병찬 엑스레이 촬영기
CN104799873A (zh) * 2014-01-27 2015-07-29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X射线成像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200A (ja) * 1982-10-20 1984-05-18 Toshiba Corp アライメント装置
KR950030991A (ko) * 1994-04-26 1995-12-18 디터 크리스트, 게르하르트 퀼 방사선 진단장치
KR970001432A (ko) * 1995-06-23 1997-01-24 이덕림 항균수지 조성물
KR20080006248U (ko) * 2007-06-12 2008-12-17 윤병찬 엑스레이 촬영기
CN104799873A (zh) * 2014-01-27 2015-07-29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X射线成像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8982A (zh) * 2022-03-30 2022-07-01 北京市真我本色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托盘的厚度补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750B1 (ko) 2021-08-18
KR20210102145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0099B2 (en) Portable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a radiation image detection device equipped with an angular signal output means
US8821017B2 (en) Projector as collimator light
EP2557997B1 (en) Tube alignment for mobile radiography system
US9380985B2 (en) X-ray tomosynthesis imaging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of an X-ray tomosynthesis imaging device
CN104737056B (zh) 图像获取装置及测量载片倾度的方法
US7014362B2 (en) Device for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of an X-ray source and an image receiver
US9462982B2 (en) Imaging stand
JP2011019707A (ja) X線撮影装置、x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74768B (zh) 移动辐射成像系统及其对齐方法
KR20070008459A (ko) 휴대용 방사선 촬영 장치
JP2011092612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180086709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740687A (zh) X射线照相装置
US11207048B2 (en) X-ray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52466A (ja) X線撮影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30059489A (ko)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JP2011067509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撮影制御方法
KR102290750B1 (ko) 테이블 버키 트레이 및 테이블 버키 트레이의 센터라인 표시방법
KR101473531B1 (ko) 적응형 센서유닛, 그를 이용한 x-선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7506974A (ja) 干渉x線撮像のための補助システムおよび投影x線装置
JP5137252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CN102342844A (zh) 放射线图像摄影显示方法及装置
JP2006305105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CN102429675A (zh) 放射线照相成像装置与放射线照相成像方法和程序
JP5027711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