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20A -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20A
KR20210019320A KR1020190098368A KR20190098368A KR20210019320A KR 20210019320 A KR20210019320 A KR 20210019320A KR 1020190098368 A KR1020190098368 A KR 1020190098368A KR 20190098368 A KR20190098368 A KR 20190098368A KR 20210019320 A KR20210019320 A KR 2021001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subcontractor
equipment
amount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024B1 (ko
Inventor
김대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9009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공사에 있어서 신용도가 낮은 장비자재업체에게 하도급사의 명의로 대출을 실시하는 금융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은 원도급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로부터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대금지급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원도급사의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한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각각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 및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FINANCIAL SUPPORT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건설 공사에 있어서 신용도가 낮은 장비자재업체에게 하도급사의 명의로 대출을 실시하는 금융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는 발주기관, 발주기관과 도급 계약을 체결한 원도급사, 원도급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 및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에 의해 수행된다.
건설 공사의 경우 각 기관은 자신이 맡은 공사의 완성 정도에 따라 기성금을 청구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발주가관에서 지급된 기성금이 원도급사, 하도급사, 장비자재업체에 각각 지급된다.
자본 규모가 큰 기관의 경우 보유 자본으로 자신이 맡은 공사를 진행하고, 공사 진행 정도에 따라 기성금을 청구하여 기성금을 지급받는다.
그러나, 현장에서 시공 및 용역을 담당하는 장비자재업체의 경우 보유 자본이 없어 자신이 맡은 공사의 진행을 위해 자금을 충당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장비자재업체의 경우 신용도가 낮아 금융 기관을 통한 금융 지원을 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장비자재업체에게 적절한 금융 지원을 실시함으로써 전체적인 건설 공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급 계약과 하도급 계약이 체결된 건설 공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장비자재업체에게 하도급사의 명의로 대출을 실시하는 금융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은 원도급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로부터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대금지급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원도급사의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한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각각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 및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비자재업체는 금융기관과 하도급사 간의 대출금리로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 낮은 신용도로 인한 금융 접근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도급사는 이자 부담 없이 장비자재업체에 기성금 지급이 가능하므로 종래 장비자재업체의 기성청구 시 본인 부담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기성금을 지급해야 하는 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도급사 및 발주기관은 하도급사뿐만 아니라 장비자재업체에 대한 금융 지원 강화로 인해 건설 공사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금융 서버가 하도급사의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장비자재업체의 대출 필요 금액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대출 가능 여부를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하도급사 및 장비자재업체에 대한 대출 실행 및 대출 상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건설 공사에 있어서 신용도가 낮은 장비자재업체에게 하도급사의 명의로 대출을 실시하는 금융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시스템과, 시스템 내에서 금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금융 지원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금융 서버가 하도급사의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장비자재업체의 대출 필요 금액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대출 가능 여부를 통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하도급사 및 장비자재업체에 대한 대출 실행 및 대출 상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공사를 위한 기관은 발주기관(10), 발주기관(10)과 도급 계약을 체결한 원도급사(20), 원도급사(20)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30) 및 하도급사(30)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40)로 구성될 수 있다.
발주기관(10)은 건설 공사를 발주하는 기관으로서, 예컨대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사업장 승인을 받은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발주기관(10)은 건설 공사를 위해 원도급사(20)와 도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원도급사(20)는 종합 건설 회사로서 건설 공사의 종합적인 계획, 관리 및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원도급사(20)는 건설 공사의 완료를 위해 하도급사(30)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하도급사(30)는 전문 건설 회사로서, 건설 공사 내에 포함된 각 분야(예컨대, 비계(scaffolding), 철근 콘크리트, 미장(plastering))의 건설을 담당할 수 있다. 하도급사(30)는 각 분야의 건설 완료를 위해 장비자재업체(40)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장비자재업체(40)는 장비와 자재를 공급하는 업체로서, 각 분야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자재업체(40)는 장비나 자재를 판매 및 대여하거나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장비자재업체(40)는 시공 정도에 따라 하도급사(30)에 기성금을 청구하고, 하도급사(30)는 각 분야의 건설 정도에 따라 원도급사(20)에게 기성금을 청구하며, 원도급사(20)는 건설 공사의 완료 정도에 따라 발주기관(10)에 기성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금의 이동을 관리하기 위해,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시스템(1)은 전술한 기관 외에도, 각 기관의 계좌를 생성하는 금융 서버(100), 각 기관의 계좌의 지급을 관리하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 및 보증기관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금융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금융기관의 서버로서, 계좌 생성, 대출 실행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은행의 서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은, 하도급사(30)로부터 대출 약정서를 접수하고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S10),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원도급사(20)의 기성승인내역을 접수하는 단계(S20),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 하도급사(30)로부터 총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접수하는 단계(S40) 및 총 대출필요금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각각 송금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금융 지원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발명을 이루는 각 단계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를 도 1에 도시된 각 기관 및 서버의 동작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후술되는 발주기관(10), 원도급사(20), 하도급사(30), 장비자재업체(40)는 독자적인 서버를 구축하고 있을 수 있고,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발주기관(10)이나 원도급사(20)의 경우 회사 자체 서버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잇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하도급사(30)나 장비자재업체(40)의 경우 서버 대신에 단말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동작 주체를 기관의 명칭(예컨대, 발주기관(10), 원도급사(20), 하도급사(30), 장비자재업체(40))로 설명하나, 발명의 각 동작은 기관 내에 구축된 서버(예컨대, 발주기관(10)의 서버, 원도급사(20)의 서버 등) 또는 기관이 포함하고 있는 단말(예컨대, 하도급사(30)의 단말, 장비자재업체(40)의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로부터 대출 약정서를 접수하고,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S10). 여기서 대출 약정서는 대출 거래의 약정 내용을 명시한 문서로서, 대출금액, 이자율, 상환방법, 지연배상금 등에 관한 내용이 기재될 수 있다.
하도급사(30)는 건설 공사 내에 포함된 각 분야의 건설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수 있고, 이러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금융 서버(100)에 대출 약정서를 접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도급사(30)는 금융 서버(100)에 직접 대출 약정서를 제공할 수 있고, 기성금의 지급 내역을 관리하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대출 약정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금융 서버(100)는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대출한도는 하도급사(30)의 신용도나 대금 거래 이력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하도급사(30)에서 제공한 담보의 가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도급사(30)가 장비자재업체(40)의 대금까지 자신의 명의로 대출을 신청해야 하는 패널티를 보상하기 위해, 대출한도는 하도급사(30)에서 제공한 담보가 아닌 하도급사(30)의 신용도 및 대금 거래 이력에 따라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금융 서버(100)는 보증기관 서버(300)와 연계 동작하여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도급사(30)는 금융 서버(100)에 대출 약정서를 제출할 수 있다(S31).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금융 서버(100)는 보증기관 서버(300)로 하도급사(30)에 대한 보증한도를 문의할 수 있다(S120).
보증기관 서버(300)는, 금융 서버(100)의 대출 실행 시 하도급사(30) 대신 자신이 발급한 보증서를 담보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증기관 서버(300)는 하도급사(30)의 사업장 승인정보, 신용정보, 과거 대출정보, 원도급사(20) 및 하도급사(30) 간의 하도급 계약 정보, 과거 하도급사(30)의 기성청구 내역, 과거 원도급사(20) 및 하도급사(30)의 대금지급 정보, 공사 진행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보증서를 발급할 수 있으며, 보증기관 서버(3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증기관 서버(300)는 앞서 언급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발급한 보증서를 통해 최대로 보증할 수 있는 보증한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보증한도를 금융 서버(100)에 통지할 수 있다(S310).
금융 서버(100)는 보증기관 서버(300)로부터 통지된 보증한도에 기초하여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S130).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로부터 별도의 담보를 제공받지 않고, 보증기관 서버(300)에서 발급한 보증서를 담보로 대출을 실행하게 되므로, 금융 서버(100)에서 결정하는 대출한도는 보증기관 서버(300)에서 결정한 보증한도보다 같거나 낮을 수 있다.
한편, 금융 서버(100)는 보증서를 발급받기 위해 보증기관 서버(300)의 계좌로 보증료를 지급할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보증기관 서버(300)의 계좌로 보증료를 지급하면서 보증기관에 보증서 발급 및 하도급사(30)에 대한 보증한도를 문의할 수 있고, 보증기관 서버(300)는 금융 서버(100)에 하도급사(30)에 대한 보증한도를 통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도급사(30)는 장비자재업체(40)의 대금까지 자신의 명의로 대출하는 일부 패널티를 갖는 바,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담보(보증서)를 위한 비용을 자신이 지불함으로써, 하도급사(30)의 패널티를 보상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과정을 통해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 명의의 대출을 위한 대출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결정된 대출한도를 하도급사(30)에 통지할 수 있고(S140), 금융 서버(100)와 하도급사(30)는 대출한도에 대한 약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원도급사(20)의 기성승인내역을 접수할 수 있다(S20). 여기서 기성승인내역은 원도급사(20)가 승인한 기성청구의 내역을 의미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각 기관의 대금 지급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원도급사(20)는 하도급사(30)의 기성청구를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승인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원도급사(20)의 기성승인내역을 금융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고, 금융 서버(100)는 기성승인내역을 확인하여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을 확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도급사(20)는 하도급사(30)의 기성청구를 승인함으로써, 하도급사(30)가 원도급사(20)에게 갖는 기성채권을 인정한 것이므로,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원도금사의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아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을 확정할 수 있다.
한편, 기성승인내역은 장비자재업체(40)의 기성금과 하도급사(30)의 기성금에 대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도급사(30)는 원도급사(20)에, 장비재자업체의 기성금과 자신의 기성금에 대한 기성청구를 할 수 있고, 원도급사(20)는 각 기성금에 대한 기성청구를 승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장비자재업체(40)의 기성금에 대한 기성승인내역 및 하도급사(30)의 기성금에 대한 기성승인내역을 모두 제공받을 수 있다.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음으로써 대출이 확정되면, 금융 서버(100)는 실제 실행되어야 할 대출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
하도급사(30)는 건설 공사를 위해 대출이 필요한 금액을 제1 대출필요금액으로 결정할 수 있고, 장비자재업체(40)는 시공을 위해 대출이 필요한 금액을 제2 대출필요금액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에서,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하도급사(30) 및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에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의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도급사(30) 및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에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고,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문의 내용을 하도급사(30) 및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에 전달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의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도급사(30) 및 각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금융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저장된 하도급사(30)의 연락처와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의 연락처를 통해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원도급사(20)로부터 기성승인내역이 제공되면(S210),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참조하여 하도급사(30)의 연락처와, 하도급사(30)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의 연락처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S140).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는, 도급, 하도급, 재하도급 계약이 체결된 발주기관(10), 원도급사(20),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연락처가 모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금융 서버(100)는 식별된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연락처를 통해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다(S150).
예컨대,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저장된 하도급사(30)의 이메일 주소를 통해 하도급사(30)에 제1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저장된 각 장비자재업체(40)의 핸드폰 번호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다.
하도급사(30) 및 각 장비자재업체(40)는 이메일 및 SMS를 통해 각각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회신함으로써,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금융 서버(100)에 통지할 수 있다(S32, S41, S41')
한편, 금융 서버(100)는 대출필요금액의 문의 이전에, 원도급사(20)의 기성승인내역에 대한 정보를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에 통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음으로써 대출이 확정되면, 기성승인내역을 하도급사(30)와 장비자재업체(40)게 각각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도급사(30)와 장비자재업체(40)는 자신의 기성채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금융 서버(100)로부터 대출필요금액이 문의되기 이전에 대출필요금액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하도급사(30) 및 각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대출필요금액이 통지되면, 금융 서버(100)는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먼저, 금융 서버(100)는 앞서 결정된 대출한도와 하도급사(30)로부터 통지된 제1 대출필요금액을 비교하여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이 대출한도보다 적은 경우,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이 대출한도보다 많은 경우 대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도급사(30)는 금융 서버(100)로부터 대출한도를 통지받은 이후 제1 대출필요금액을 결정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제1 대출필요금액은 대출한도보다 적게 결정될 수 있다.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이 가능한다고 판단된 경우, 금융 서버(100)는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에서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장비자재업체(40)의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많은 경우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장비자제업체에 대출이 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S170). 반면에,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에서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적은 경우 장비자제업체에 대한 대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장비자재업체(40)에 대출이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S170).
즉,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에 따라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을 실행하므로, 먼저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을 실행한 후, 대출한도에서 하도급사(30)의 몫(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한도로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금융 서버(100)는 각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버(100)는 제1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제2 장비자재업체(40)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 제1 및 제2 장비자재업체(40)에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할 수 있고(S150), 제1 장비자재업체(40)는 제2 장비자재업체(40)보다 먼저 제2 대출필요금액을 통지할 수 있다(S41).
먼저, 금융 서버(100)는 대출한도에서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제1 장비자재업체(40)의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많은 경우 제1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장비자재업체(40)에 대출이 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융 서버(100)는 대출한도에서 제1 대출필요금액과 제1 장비자재업체(40)의 제2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제2 장비자재업체(40)의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적은 경우 제2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2 장비자재업체(40)에 대출이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
즉,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대출한도에 따라 하도급사(30)와 복수의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을 실행하므로, 먼저 하도급사(30)에 대한 대출을 실행한 후, 대출한도에서 하도급사(30)의 몫(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한도로 순차적으로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1 장비자재업체(40)가 제2 장비자재업체(40)보다 먼저 제2 대출필요금액을 통지하였으므로, 대출한도에서 하도급사(30)의 몫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한도로 제1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어서, 대출한도에서 하도급사(30)의 몫과 제1 장비자재업체(40)의 몫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한도로 제2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도급사(30)와 각 장비자재업체(40)에 대출 가능 여부를 통지한 후,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하도급사(30)로부터 접수할 수 있다(S40).
다시 말해,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 몫인 제1 대출필요금액과 장비자재업체(40) 몫인 제2 대출필요금액을 합한 총 대출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하도급사(30)로부터 접수할 수 있다.
대출 신청서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접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도급사(3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의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몫과 장비자재업체(40)의 몫을 합한 총 대출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자신의 명의로 제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출 신청서는 은행 서버에서 제공하는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하도급사(30)는 금융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몫과 장비자재업체(40)의 몫을 합한 총 대출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자신의 명의로 제출할 수 있다.
대출 신청서가 접수되면, 금융 서버(100)는 대출 실행 내역을 보증기관 서버(300)로 통지할 수 있고, 대출한도 내에서 대출필요금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S50).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을 하도급사(30)의 계좌로 송금할 수 있고, 제2 대출필요금액을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로부터 대출 신청서를 접수할 수 있다(S33). 이후, 대출금의 송부를 위해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를 각각 조회할 수 있다(S1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각 기관의 계좌의 지급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는 각 기관의 계좌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계좌로 제1 대출필요금액을 송금하고(S130'),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제2 대출필요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S140').
한편, 대출필요금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송부하기 전에, 금융 서버(100)는 이자를 선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과 제2 대출필요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한 이자를 선취할 수 있다(S120'). 금융 서버(100)는 이자가 선취된 나머지 금액을 하도급사(30)의 계좌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각각 송금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간은 제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하도급법 상 원도급사(20)가 하도급사(30)의 건설 완료 이후 60일 내로 기성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하도급법 위반으로 처벌되므로, 미리 설정된 기간은 60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서버(100)는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서 60일에 대한 이자를 선취한 후, 나머지 금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각각 송금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금융 서버(100)는 제1 대출필요금액을 하도급사(30)의 계좌에 송금한 이후, 하도급사(30)에 대한 상환용 가상계좌(110)를 생성할 수 있다(S150').
금융 서버(100)는 하도급사(30)의 명의로 대출을 실행하였으므로 하도급사(30)에 대한 상환청구권은 존재하나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상환청구권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금융 서버(100)는 대출금액을 상환받기 위한 상환용 가상계좌(110)를 하도급사(30)의 명의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금융 서버(100)는 생성된 상환용 가상계좌(110)를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통지할 수 있다(S160').
한편,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기성금을 주고받아야 하는 기관의 계좌를 고정계좌와 일반계좌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하도급사(30)에게 기성금을 주고 발주기관(10)에서 기성금을 받아야 하는 원도급사(20)의 계좌를 고정계좌(21)와 일반계좌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고, 장비자재업체(40)에 기성금을 주고 원도급사(20)에서 기성금을 받아야 하는 하도급사(30)의 계좌를 고정계좌(32)와 일반계좌(31)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계좌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한 지급 신청이 있는 경우에 한해 자금이 유동될 수 있는 계좌이고, 일반계좌를 지급 신청 유무와 관계 없이 자금이 유동될 수 있는 계좌일 수 있다. 고정계좌의 선택적인 자금 유동은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발주기관(10)에서 원도급사(20)로 기성금이 지급되는 경우, 해당 기성금은 원도급사(20)의 고정계좌(21)에 입금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원도급사(20)의 고정계좌(21)에 입금된 기성금 중에서 원도급사(20)의 몫을 원도급사(20)의 일반계좌로 송금하고, 나머지 금액을 하도급사(30)의 고정계좌(32)로 송금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하도급사(30)의 고정계좌(32)에 입금된 기성금 중에서 하도급사(30)의 몫을 하도급사(30)의 일반계좌(31)로 송금하고, 나머지 금액을 장비자재업체(40)의 일반계좌(41)로 송금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금융 서버(100)로부터 상환용 가상계좌(110)가 통지되면, 하도급사(30)의 고정계좌(32)를 상환용 가상계좌(110)로 변경하고(S220), 계좌변경사실을 원도급사(20)에 통지할 수 있다(S230).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원도급사(20)는 기성금의 지급을 위해 자신의 고정계좌(32)에 기성대금을 입금할 수 있고(S21),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입금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S22).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를 통해 원도급사(20)에서 지급한 기성금 중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상환용 가상계좌(110)로 입금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도급사(20)에 의해 입금사실이 통지되면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원도급사(20)의 고정계좌(21)에 입금된 기성금 중에서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상환용 가상계좌(110)로 입금하고(S240), 나머지 금액을 하도급사(30)의 새로운 고정계좌(32)로 입금할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상환용 가상계좌(110)에 대출금액이 입금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금융 서버(100)에 입금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S250).
추가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하도급사(30)의 새로운 고정계좌(32)로 입금된 금액 중에서 하도급사(30)의 몫을 하도급사(30)의 일반계좌(31)로 송금하고, 나머지 금액을 장비자재업체(40)의 일반계좌(41)로 송금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의 동작에 의해 금융 서버(100)는 대출을 실행한 총 대출금액을 상환용 가상계좌(110)로 입금받을 수 있다.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로부터 입금사실이 통지되면, 금융 서버(100)는 선취 이자의 차액을 환급할 수 있다(S170').
보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100)는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상환 시 상환 일자에 따라 선취한 이자 중 일부를 하도급사(30)의 계좌 및 장비자재업체(40)의 계좌로 각각 환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금융 서버(100)는 선취한 이자와 실제 발생한 이자의 차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에 환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서버(100)가 60일에 대한 이자를 선취하여 대출금액을 지급한 경우에, 원도급사(20)가 하도급사(30)의 건설 완료 이후 40일째 되는 날 기성금을 지급하면 금융 서버(100)는 선취한 60일 분의 이자와 실제 발생한 40일 분의 이자의 차액인 20일 분의 이자금액을 하도급사(30) 및 장비자재업체(40)에 환급할 수 있다.
이후, 금융 서버(100)는 대금지급확인 서버(200)에 대출상환내역을 통지할 수 있고(S180'), 대금지급확인 서버(200)는 금융기관과 하도급사(30) 사이에 발생하였던 대출내역을 누적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도급사(30)의 명의로 대출이 실시됨에 따라 장비자재업체(40)는 금융기관과 하도급사(30) 간의 대출금리로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 낮은 신용도로 인한 금융 접근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비자재업체(40)가 자신의 몫에 대한 대출금액의 이자를 부담하게 되며, 원도급사(20)의 기성금 지급 시 장비자재업체(40)의 기성금이 장비자재업체(40)의 일반계좌로 자동 지급되므로, 하도급사(30)는 이자 부담 없이 장비자재업체(40)에 기성금 지급이 가능하므로 종래 장비자재업체(40)의 기성청구 시 본인 부담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기성금을 지급해야 하는 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도급사(20) 및 발주기관(10)은 하도급사(30)뿐만 아니라 장비자재업체(40)에 대한 금융 지원 강화로 인해 건설 공사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4)

  1. 원도급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로부터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대금지급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원도급사의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한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각각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 및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급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하도급사로부터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출 약정서가 접수되면 보증기관 서버로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보증한도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보증기관 서버로부터 보증한도를 통지받고, 상기 통지된 보증한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기관 서버로부터 보증한도를 통지받고, 상기 통지된 보증한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증기관 서버의 계좌로 보증료를 지급한 후 상기 보증한도를 통보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원도급사의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기성금과 상기 하도급사의 기성금에 대한 상기 기성승인내역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하도급사 및 복수의 장비자재업체에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하거나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하도급사의 연락처와 복수의 장비자재업체의 연락처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급사의 기성승인내역이 제공되면 상기 하도급사 및 상기 장비자재업체에 상기 기성승인내역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한도에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장비자재업체에 대출이 가능함을 통보하고, 상기 대출한도에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장비자재업체에 대출이 불가함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제1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하도급사와 재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제1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제2 장비자재업체로부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한도에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상기 제1 장비자재업체의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1 장비자재업체에 대출이 가능함을 통보하고, 상기 대출한도에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1 장비자재업체의 제2 대출필요금액을 제한 금액이 상기 제2 장비자재업체의 제2 대출필요금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장비자재업체에 대출이 불가함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신청서를 상기 하도급사로부터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대출 신청서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한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각각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 및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는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하도급사 및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를 각각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된 하도급사의 계좌로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을 송금하고, 상기 조회된 장비자재업체의 계좌로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을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한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각각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 및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출필요금액과 상기 제2 대출필요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한 이자를 선취한 후 나머지 금액을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 및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로 각각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에 대한 대출 상환 시 상기 상환 일자에 따라 상기 선취한 이자 중 일부를 상기 하도급사의 계좌 및 상기 장비자재업체의 계좌로 각각 환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급사에 대한 상환용 가상계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환용 가상계좌를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금지급확인 서버를 통해 상기 원도급사에서 지급한 기성금 중 상기 제1 및 제2 대출필요금액을 상기 상환용 가상계좌로 입금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KR1020190098368A 2019-08-12 2019-08-12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KR10230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68A KR102308024B1 (ko) 2019-08-12 2019-08-12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68A KR102308024B1 (ko) 2019-08-12 2019-08-12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20A true KR20210019320A (ko) 2021-02-22
KR102308024B1 KR102308024B1 (ko) 2021-09-30

Family

ID=7468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68A KR102308024B1 (ko) 2019-08-12 2019-08-12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79B1 (ko) * 2021-06-01 2022-01-05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637A (ko) * 2001-12-21 2002-03-27 대한설비건설공제조합 인터넷을 이용한 공인기관의 전자보증서 발급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68371A (ko) * 2003-01-25 2004-07-31 김철원 인터넷에서 전자 상거래 이용과 대출을 연동시켜 이자를감액하는 방법과 이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067795A (ko) * 2008-12-12 2010-06-22 이동훈 다자 기업간의 대금결제 방법
KR20110137557A (ko) * 2010-06-17 2011-12-23 중소기업은행 가상계좌를 통한 대출금 상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9288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코렘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기업 대상 선금성 자금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3647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나이스디앤비 기업 간 전자결제 지원시스템
KR20170034508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앞집 개인 자산 및 신용 분석과 주택 환경 분석에 따른 주택담보대출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1839925B1 (ko) * 2017-09-18 2018-03-19 주식회사 지에이엠파트너스 P2p 대출 연계 즉시결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637A (ko) * 2001-12-21 2002-03-27 대한설비건설공제조합 인터넷을 이용한 공인기관의 전자보증서 발급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68371A (ko) * 2003-01-25 2004-07-31 김철원 인터넷에서 전자 상거래 이용과 대출을 연동시켜 이자를감액하는 방법과 이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067795A (ko) * 2008-12-12 2010-06-22 이동훈 다자 기업간의 대금결제 방법
KR20110137557A (ko) * 2010-06-17 2011-12-23 중소기업은행 가상계좌를 통한 대출금 상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9288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코렘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기업 대상 선금성 자금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3647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나이스디앤비 기업 간 전자결제 지원시스템
KR20170034508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앞집 개인 자산 및 신용 분석과 주택 환경 분석에 따른 주택담보대출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1839925B1 (ko) * 2017-09-18 2018-03-19 주식회사 지에이엠파트너스 P2p 대출 연계 즉시결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879B1 (ko) * 2021-06-01 2022-01-05 주식회사 일감플러스 일감 연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24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7975A1 (en) Processes and systems employing multiple sources of funds
US20070038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al hedging
US20050144125A1 (en) Expense tracking, electronic ordering, invoice presentment,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KR101266147B1 (ko) 장기간 공사시의 공사비 안전 거래방법
MX2010007984A (es) Sistema para procesar pagos basado en inventario y procedimiento.
US20180012203A1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with option to accept or reject a proffered payment
KR101076735B1 (ko) 재개발 재건축을 위한 보증, 대출 운영방법과 이를 통해 생성된 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KR20110123326A (ko)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63877B1 (ko)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8024B1 (ko)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CN111401873A (zh) 一种任务创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220230154A1 (en) Method and system to dynamically route funding to virtual payment cards to resell subscription merchandise
KR20110123186A (ko)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889189B2 (ja) 支払代行対応資金管理システム、支払代行対応資金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729965B1 (ko) 구매현금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1360173B1 (ko) 특정금전신탁기능이 구비된 뱅킹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1170202A (ja) 資金調達支援装置、資金調達支援方法、資金調達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資金調達支援システム
KR20190136898A (ko)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2545B1 (ko) 건설공사 대금의 선지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38193B1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부동산 임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55779B1 (ko) 중앙 서버,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50222A (ko) 결제 대금 정산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KR102532996B1 (ko)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JP6668444B2 (ja) 賃貸料決済システム及び賃貸料決済方法
KR102155311B1 (ko) 수익형 부동산 임대료 카드 납부 중개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