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877B1 -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877B1
KR102063877B1 KR1020190153562A KR20190153562A KR102063877B1 KR 102063877 B1 KR102063877 B1 KR 102063877B1 KR 1020190153562 A KR1020190153562 A KR 1020190153562A KR 20190153562 A KR20190153562 A KR 20190153562A KR 102063877 B1 KR102063877 B1 KR 10206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subcontractor
trust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완
박원규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중앙 서버가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하고, 계약의 상대방의 단말로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수급인 및 제1 하수급인 사이의 제1 하수급 계약을 승인 처리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계약 체결 신호 및 제1 수급인 단말 또는 제1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금, 계약 기간,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을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기초로 중도금 관련 신호 및 잔금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등록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 및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좌를 신탁 서버로 자동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은 수급인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되며, 하도급인 단말의 수락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성립되며, 하도급인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노무자 단말과 연계되어 설립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OF MANAGING A TRUST AGREEMENT AND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명세서는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건설 공사는 발주 기관에 의해 경쟁 입찰이 이루어지면 경쟁 입찰에 선정된 원도급자와 발주 기관의 계약에 의해 실행된다. 원도급자는 건설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자재, 장비, 몫, 인력 등을 공급 받기 위해서 하도급자와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이때, 건설 공사의 당사자가 발주 기관 및 원도급자 사이의 계약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건설 공사에 대한 의무를 수행하고도 하도급자에게 전달하지 않음에 따른 체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체불 임금은 2012년 1조 1772억원, 2013년 1조 1930억원, 2014년 1조 3195억원 등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달청 하도급 지킴이, 서울시 대금 e 바로, 철도 시설공단 채불 e 제로 등과 같은 직접 청구가 가능한 사이트들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지불 관리 시스템은 발주자, 도급자, 하수급자가 모두 등록이 되어야 하며, 실제적 계약 관계자인 도급-하도급 업체가 아닌 발주자의 의사가 반영되면서 계약 자유의 원칙과 계약 이행과 대가의 지급이라는 거래 관행을 침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지불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하도급 계약 체결시 수급자 또는 하도급 업체가 3-4개의 계좌를 개설, 등록해야 함에 따른 업무 부담이 가중되게 된다.
또한, 지불 관리 시스템은 월 약정일에만 지급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지급일을 자유롭게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불 관리 시스템은 노무자가 자신의 계좌를 등록해야 함에 따라 신용 불량 등의 이유를 통해 자기 계좌 개설이 어려운 노무자에게는 도움이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불관리 시스템은 계약 내용을 등록해야 함에 따라 공사 원가 등이 외부로 유출되어 하도급 공사의 이익율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불관리 시스템은 원도급자의 채권자가 계좌를 압류 또는 가압류를 하게 되면 이와 같은 피해를 하도급 및 이하의 업체들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 하도급된 계약에 대해서, 계약의 직접 당사자가 아닌 재 하수급인에게 안전하게 자금이 전달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급-하도급자 간의 신탁 계약을 통해 발주자의 영향력을 낮출 수 있으며, 거래 관행의 침해 여부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하도급 계약과 대응하여 1개의 계좌 만을 등록 시켜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합의에 의해 지급일을 자유롭게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도급의 신용 악화 상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융통성 있는 자금 지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약 내용에 대한 등록 없이 신탁 계약에 대한 이행 만을 하도록 함에 따라 경영 정보 노출 및 원가 공개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탁 게약에 의해 제3자의 권리 침해를 받지 않고 재하도급의 임금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은 중앙 서버가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하고, 계약의 상대방의 단말로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수급인 및 제1 하수급인 사이의 제1 하수급 계약을 승인 처리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계약 체결 신호 및 제1 수급인 단말 또는 제1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금, 계약 기간,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을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기초로 중도금 관련 신호 및 잔금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등록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 및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좌를 신탁 서버로 자동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은 수급인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되며, 하도급인 단말의 수락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성립되며, 하도급인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노무자 단말과 연계되어 설립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기간 내에, 중도금 청구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도급인 단말에 의해 중도금에 부과되는 작업의 수행 여부 및 완료 여부를 수급인 단말, 또는 하도급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행 여부 및 상기 완료 여부가 참인 경우, 중도금 청구 신호와 대응되는 이체 신호를 생성하여, 뱅킹 서버에 등록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인과 관련된 본 계약에서의 미지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계약의 진행 상황 중에서, 하나의 미지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노무자로부터 직접 체불 신호를 접수한 경우,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하수급인과 관련된 타 계약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하수급인의 채권자인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지급 상황을 추가로 확인하고,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은 신용 정보 조회 기관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하수급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하수급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의 하락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하고, 계약의 상대방의 단말로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수급인 및 제1 하수급인 사이의 제1 하수급 계약을 승인 처리하고, 상기 계약 체결 신호 및 제1 수급인 단말 또는 제1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금, 계약 기간,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을 등록시키는 계약 관리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기초로 중도금 관련 신호 및 잔금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등록 시키는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 및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좌를 신탁 서버로 자동 등록시키는 신탁 계약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은 수급인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되며, 하도급인 단말의 수락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성립되며, 하도급인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노무자 단말과 연계되어 설립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탁 계약 관리부는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기간 내에, 중도금 청구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도급인 단말에 의해 중도금에 부과되는 작업의 수행 여부 및 완료 여부를 수급인 단말, 또는 하도급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행 여부 및 상기 완료 여부가 참인 경우, 중도금 청구 신호와 대응되는 이체 신호를 생성하여, 뱅킹 서버에 등록 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탁 계약 관리부는 상기 제1 하수급인과 관련된 본 계약에서의 미지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계약의 진행 상황 중에서, 하나의 미지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노무자로부터 직접 체불 신호를 접수한 경우,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탁 계약 관리부는 상기 제1 하수급인과 관련된 타 계약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하수급인의 채권자인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지급 상황을 추가로 확인하고,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탁 계약 관리부는 신용 정보 조회 기관의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하수급인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하수급인 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의 하락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상기 신탁 계좌로 상기 계약금에서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생된 하도급 계약의 직접 당사자인 수급인 및 하수급인 사이의 금전 거래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급인에게 발생된 사정(지급 불능, 체불 등)으로 인해 하도급 계약의 직접 당사자가 아닌 협력업체(노무자, 장비업자, 자재 업자 등)에게 대금이 지급되지 않음에 따라 협력업체들이 도산, 파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9 에서는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에 의해 등록된 중도금 관련 신호 또는 잔금 관련 신호에 대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중앙 서버, 수급인 단말, 하수급인 단말,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서버(100),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 은행 서버(301), 법원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 은행 서버(301), 법원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와 데이터,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수급인 단말(201) 및 하수급인 단말(202) 사이의 계약을 체결, 승인, 관리, 종료 업무를 수행한다.
중앙 서버(100)는 수급인 단말(201) 및 하수급인 단말(202) 사이에 체결된 계약의 진행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서버(100)는 계약의 진행 상황에 대응되는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등록된 계약의 선납금 입금, 의무 이행, 의무 불이행, 중도금, 잔금 등의 청구 및 지급 내역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수급인 단말(201) 및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 사이의 계약과 대응되는 신탁 계약을 체결, 승인, 관리, 종료 업무를 수행한다. 신탁 계약의 계좌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업무도 수행한다. 신탁 계약에 따라서, 수급인에서 하수급인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계약금은 신탁 계좌에서 관리되며, 신탁 계약의 1종 수익자인 하수급인에게 특정 사유가 발생하게 되면 하수급인의 계좌로 지급이 중지된다. 지급이 중지된 신탁 계좌의 계약과 관련된 금액은 2종 수익자인 수급인의 요청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하수급인의 신용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타 기관의 서버(은행 서버, 법원서버, 신용평가기관 서버 등)로부터의 신호들을 이용하여 하수급인의 신용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계약 당사자들의 지급 불능, 청구된 금액의 지급 지연, 미 지급 등의 사유의 발생을 관리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하수급인의 신용 상태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하수급인과 관련된 수급인의 계좌에서 일정 금액을 신탁 계좌로 이체시키도록 신호를 생성하여 은행 서버(30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장비자재업자 단말(203)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일 수도 있다.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장비자재업자 단말(203)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장비자재업자 단말(203)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계약의 당사자들의 신용 상태, 계약에 대한 계좌 관리를 위해서, 은행 서버(301), 법원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은행 서버(301), 법원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 은행 서버(301), 법원 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중앙 서버(100)는 상기에서 기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저장 매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저장 매체(13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다른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단일 처리 유닛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일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다수의 컴퓨팅 유닛 또는 다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 상태 기계, 논리 회로, 및/또는 조작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신호들을 처리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많은 능력 가운데 특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저장 매체(130) 각각에 또는 다른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인출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 은행 서버(301), 법원 서버(302), 신용평가기관 서버(303)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계약 및 신탁 계약을 관리하기 위해서, 계약 관리부(131), 신탁 계약 관리부(132),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 불이행 모니터링부(135), 선납금 관리부(136), 신호 수신부(137), 이체 관리부(138),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관리부(131)는 신탁을 할 매출 채권과 관련된 계약의 신청, 등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계약 관리부(131)는 수급인 단말(201) 또는 하수급인 단말(202)로부터의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하고, 후속적으로 해당 계약의 상대방인 수급인 단말(201) 또는 하수급인 단말(202)로부터의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계약을 등록 시킬 수 있다. 등록된 계약은 선납금 관리부(136)에 의해 감시된 선납금 이체에 의해 승인 처리될 수 있다. 선납금 이체 신호는 은행 서버(301)로부터 수신된 선납금 이체 신호에 의해 승인 처리될 수 있다. 선납금은 계약 내용을 기초로 결정되나,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약금의 10프로로 설정될 수 있다. 선납금의 이체 신호를 통해 이체된 금액이 계약금의 10프로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선납금의 완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납금의 처리는 하수급인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선납금은 하수급인에 의해 입력된 옵션에 따라 즉시 하수급인 계좌로 지급되거나, 향후 체불 등 유동성의 문제 발생시 이를 즉각적, 자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여유 자금으로 신탁 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신탁 계좌에 있는 선납금은 하수급인의 요청에 의해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계약 관리부(131)는 수급인 단말(201), 하수급인 단말(202),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20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종료, 해지, 취소 등의 신호에 의해 해당 등록되고 승인된 계약을 종료 시킬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등록된 계약의 채권의 신탁 계약을 체결하도록 관리하고, 계약과 관련된 금전 거래를 신탁 계좌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계약은 하도급 계약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계약의 채권자 및 채무자, 계약의 종류, 내용 등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발주자와는 무관하게 신탁 계약의 등록 및 체결이 가능하다. 하도급 계약 조건의 등록 없이 당사자, 계약의 기본적인 사항 만의 등록이 가능하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수급인(2종 수익자) 및 하수급인(1종 수익자)을 당사자로 체결되는 것으로, 신탁 계약을 위탁자인 수급인에 대해서 하수급인이 가지는 채권에 대해서 발생되도록 한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기 설정된 지급 중지 조건이 발생되면, 신탁 계약의 일정 금액을 2종 수익자인 수급인에 의해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등록된 신탁 계약과 관련된 수급인의 계좌, 하수급인의 계좌,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도록 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수급인 계좌, 하수급인 계좌,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는 명의 확인 절차 없이 개인 또는 타인의 계좌를 설정할 수 있다. 당사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계좌 등록으로 신탁 계약의 체결 및/또는 승인이 가능하다. 신탁 계약의 신탁 계좌가 당사자들의 계좌와 별개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신탁 계좌는 복수의 매출 채권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1개의 계좌일 수 있고, 복수의 매출채권 각각을 관리하는 복수의 계좌들 일 수 있다. 신탁 계좌에서의 금전 이체는 지정된 일괄 이체 일자에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등록된 하도급 계약의 금전을 수급인 계좌로부터 신탁 계좌로 이체 시키고,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청구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따라 신탁 계좌에서 하수급인 계좌로 일정 금액을 이체시킬 수 있다. 또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로부터의 청구 신호의 유무에 따라 총 금액 중에서, 노무비, 자재비, 장비비 등을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계좌로 이체 시킬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계약과 관련된 금전을 관리하는 신탁 계좌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청구 신호에 따라 신탁 계좌에서 지정된 계좌로 이체를 실행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청구인들이 있는 경우, 각 청구인들의 분배 비율로 분배금들이 이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일반적으로는 하도급 계약과 관련된 금전을 수급인 계좌에 그대로 유지하고,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또는 체불 여부 등이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 또는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에 의해 감지되면, 수급인 계좌에서 해당 계약과 등록된 신탁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때,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203)로부터 청구 신호가 수신되면, 신탁 계좌로부터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청구 금액이 이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체 행위는 이체 관리부(1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신탁 계좌는 등록된 하도급 계약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1개의 계좌이거나, 복수의 하도급 계약 별로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계좌들 중 정해진 하나 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하도급 계약의 돈을 수급인 계좌로부터 신탁 계좌로 이체한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로부터의 직접 청구 요청이 수신되면, 직접 청구 요청의 대상 금액을 신탁 계좌에서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계좌로 이체 시키도록 제어한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하수급인의 신용 상태에 따라 지급이 중지된 금전을 수급인의 요청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또는 체불 여부 등이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 또는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를 중지하다가 수급인의 요청을 대기하고,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수급인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금전을 수급인의 계좌 또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이체하게 된다.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이 만료되면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또는 체불 여부 등의 신호가 발생되고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이 확인되면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해당 금전을 신탁 계좌에서 하수급인의 계좌로 이체 시킨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 신호, 자금 회복 상황 등을 수집하여, 체불의 해결 여부, 신탁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판단된 상황 정보 등을 종합하여, 신탁 계좌에서,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상기 제1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탁 계좌에서 상기 제1 하수급인 계좌로 지급되지 않은 금액을 이체시킬 수 있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2종 수익자 상환일을 종료 시점으로 신탁 계약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2종 수익자는 수급인 또는 하수급인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해당 계약의 위탁자 단말로 신탁에 대한 보수를 청구할 수 있다. 위탁자는 계약금 외에 신탁 보수를 이체해야 한다. 신탁 계약 관리부(132)는 신탁 보수의 이체가 완료된 경우, 신탁 계약이 완전히 체결 및 승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는 하나 이상의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지급 불능 여부에 따라서 입금 계좌 및 입금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지급 불능시에는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는 법원 서버(302)에 의한 하수급인의 개인 회생 신호, 도산 신호, 파산 신호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는 은행 서버(301)에 의한 하수급인의 부도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는 하수급인과 계약을 진행한 하나 이상의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로부터 하수급인에 대한 미지급, 지불 지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는 하나 이상의 하수급인의 체불 또는 체불 해제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 또는 수급인 단말로부터 하수급인에 대한 체불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체불 또는 체불 해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불이행 모니터링부(135)는 하나 이상의 하수급인의 계약 불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불이행 모니터링부(135)는 하수급의 계약과 관련된 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의 이행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불이행 모니터링부(135)는 수신된 계약의 이행 여부, 계약 불이행 여부 등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하수급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급인 단말로부터 ‘A는 계약을 50프로 이행함’이라는 계약의 이행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불이행 모니터링부(135)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A는 계약을 50프로 이행함’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중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선급급 관리부(136)는 신탁 계약을 등록하기 전에 계약의 선납금이 완전히 이체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계약의 선납금이 수급인 계좌에서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된 이체 확인증이 확인된 경우, 수급인 및 하수급인 사이에 체결된 하도급 계약을 등록 시킨다.
신호 수신부(137)는 하나 이상의 계약에 대한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수신부(137)는 등록된 제1 하도급 계약의 정해진 시간 또는 조건에 발생되는 계약 시작 신호, 계약 존속 신호, 계약 종료 신호, 계약 진행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37)는 생성된 신호를 정해진 수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정해진 수신자 단말은 수급인, 하수급인,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단말 중 하나 일 수 있다. 신호 수신부(137)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게 된다.
이체 관리부(138)는 신탁 계약 관리부(132)로부터 수신한 이체 신호 또는 이체 내역에 따라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실행한다. 이체 관리부(138)는 계약의 식별 번호에 따라 관련된 수급인 계좌, 하수급인 계좌, 신탁 계좌,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계좌를 검색하고, 해당 이체 신호 또는 이체 내역에 따라서 수급인 계좌에서 신탁 계좌로, 신탁 계좌에서,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계좌로 이체되도록 실행한다.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는 등록된 하도급 계약의 진행 상황과 관련된 신호들을 생성한다.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는 하도급 계약에 포함된 의무 내용들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진행 상황 확인 및 그에 대한 이중 확인을 위한 내용을 단말들로 전달할 수 있다.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는 등록된 계약과 관련된 이벤트를 자동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는 입력된 계약 내용에서 중도금 및 잔금 관련 사항을 추출하고, 중도금의 청구가 예상되는 시점으로부터 임의의 앞선 시점에 충도금 관련 신호, 잔금 청구가 예상되는 시점에 잔금 관련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는 진행 상황과 관련된 기타 다른 사항들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하도급 계약 및 하도급 계약의 매출 채권,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서버(100)는 하도급 계약의 특정, 진행 상황을 관리하며, 그에 따라 신탁 계약의 수익자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금융적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사정 변경(체불 신호, 청구 신호, 지연 신호, 미지급 신호 등)을 각종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하도급 계약의 매출 채권의 수익자를 결정하며, 하도급 계약의 2차, 3차 협력사들로 대금이 지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계약 및 신탁 계약의 진행 및 진행 중에 발생되는 이벤트 등을 고려하여 하수급인의 레벨을 관리하기 위한 하수급인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수급인 관리부는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133),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134), 불이행 모니터링부(135),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139) 등을 통해 획득된 하수급인의 지급 완료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하수급인의 신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체불 신호 또는 미지급 신호 등이 발생되지 않거나, 체불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이후 성실히 체불을 해결하고 신용을 회복시킨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증가하게 된다.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계약의 이행 여부 및 계약의 실행되는 일정, 체불 유무, 비용 지급 완료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점수로 계산될 수 있다. 체불 신호가 발생되고 바로 페업을 하거나 다시 다른 법인으로 등록하는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감소하게 된다. 등록된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신용도 조회 사이트 등을 통해 조회하도록 구현되며, 향후 건설 계약 체결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소정의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들에게 공유되거나,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한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최저 신용도 이하의 업체는 계약 입찰에서 배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신용도에 따라 소정의 기간 동안 계약 입찰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도급 계약의 매출채권을 신탁하는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한다.
S12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계약의 상대방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매출 채권의 당사자 그룹에 대해 충분한 고지 후에 매출 채권에 대한 신탁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서버는 계약의 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2차 하수급인, 3차 하수급인 단말에게 해당 계약 체결 신호를 충분히 고지 시킨다.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계약 당사자인 2 이상의 단말로부터 계약의 제목, 계약의 당사자, 계약 기간, 계약 조건, 계약 내용 등과 같은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13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수급인 및 제1 하수급인 사이의 제1 하수급 계약을 승인 처리한다.
S14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수급인 단말 또는 제1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금, 계약 기간,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 등을 추출한다.
S15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 계약을 등록 한다.
S16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7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기초로 중도금 관련 신호 및 잔금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S170의 후속적으로, S180에서는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신탁 계약에 따라서 제1 수급인 계좌에서 신탁 계좌로 일정 금액을 이체시킨다.
S181에서는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하수급인으로부터 청구 신호를 수신한다. S182에서는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청구 신호에 따른 금액을 신탁 계좌에서 제1 하수급인의 계좌로 이체한다.
S170의 후속적으로, S21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 계약 기간 내의 중도금 청구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중도금에 부과되는 작업의 수행 여부 및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중앙 서버는 중도금의 청구자인 하수급인 단말, 하수급인과 관련된 단말로부터 중도금에 해당하는 작업의 수행 여부, 및 완료 여부를 요청하여 수신 받을 수 있다.
S23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중도금 청구 신호와 대응되는 이체 신호를 생성하여 은행 서버에 등록한다. 중앙 서버는 중도금의 수신자를 확인하여, 신탁 계좌에서, 중도금의 수신자인 하수급인 계좌 또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이체 시킨다.
S170의 후속적으로, S31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미지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2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신탁 계좌로 계약금에서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 시킨다.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 계약과 관련하여, 지급된 내역인 지급금 및 아직 지급되지 않은 내역인 미지급금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S170의 후속적으로, S41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인과 관련된 타 계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2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3자 단말로부터 지급 상황을 추가로 확인한다.
S43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신탁 계좌로 계약금에서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 시킨다.
S170의 후속적으로, S51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인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S52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의 하락 여부를 판단한다. 중앙 서버는 신용평가관리기관 서버(303)으로부터 등록된 하나 이상의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과 관련된 신호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들 중에서, 개별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을 하락 시키는 신호가 포함된 경우, 이를 하수급인의 신용 등급의 하락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30에서는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제1 수급인 계좌로부터 신탁 계좌로 계약금에서 제1 하수급 계약의 지급금을 뺀 차액의 금액을 이체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사정 변경에 의해 하수급인의 계좌로의 이체를 중지한 이후에,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하수급인의 계좌로 이체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는 사정 변경에 의해 하수급인의 계좌로의 이체를 중지한 이후에는 수급인의 요청에 의해 해당 금전을 처리하게 된다. 수급인의 요청에 의해, 해당 금전은 수급인의 계좌로 이체되거나, 노무자,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직접 이체될 수 있다.
도 9 에서는 중앙 서버(100)는 진행 상황 모니터링부에 의해 등록된 중도금 관련 신호 또는 잔금 관련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중앙 서버(100)는 등록된 제1 중도금 관련 신호의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수급인 단말(201), 제1 하수급인 단말(202)로 제1 중도금 관련 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S802, S803). 제1 수급인 단말(201) 및 제2 하수급인 단말(202)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제1 중도금 관련 신호의 응답이 입력되도록 제어된다(S804, S805).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중도금 관련 신호에 포함된 함수에 의해 응답이 입력된다. 입력된 제1 응답 및 제2 응답은 중앙 서버(100)로 전송된다. 중앙 서버(100)는 수신된 제1 응답 및 제2 응답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1 중도금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8). 판단 결과, 중앙 서버(100)는 제1 중도금의 이체를 실행 시킨다. 이때, 이체를 실행 시키기 전에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등의 사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체불 등의 사유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중도금을 하수급인의 계좌로 이체 시키지 않는다. 중도금은 수급인 계좌 또는 신탁 계좌에 가지고 있게 되며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직접 지급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단말(203)으로부터 직접 지급 청구권이 수신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 서버(100)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단말(203)으로부터 직접 지급 청구권이 수신된 경우,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급인 단말(202), 및 하수급인 단말(203)로 전송하고, 수급인 단말(202) 및 하수급인 단말(203)으로부터 ack가 수신된 경우에 한해서,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노무비, 자재비, 장비비가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수급인 단말(202)로부터는 ack가 수신되고, 하수급인 단말(203)로부터 무응답의 경우에는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체불에 대한 내용 증명을 생성하여, 하수급인 단말(203)로 전송한 후에 내용 증명을 확인하는 신호가 수신된 때에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노무비, 자재비, 장비비가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중앙 서버
201: 수급인 단말
202: 하수급인 단말
203: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
301: 은행 서버
302: 법원 서버
303: 신용평가기관 서버
400: 통신망

Claims (2)

  1. 중앙 서버가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 계약 체결 신호를 수신하고, 계약의 상대방의 단말로 계약 체결 신호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에 따라 수급인 및 하수급인 사이의 제1 하수급 계약을 승인 처리하고,
    상기 계약 체결 신호 및 수급인 단말 또는 하수급인 단말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금, 계약 기간,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을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계약 의무 및 계약 종료 조건을 기초로 중도금 관련 신호 및 잔금 관련 신호를 생성하여 등록 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선납금의 입금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 및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좌를 신탁 서버로 자동 등록시키고 청구 신호에 따라 상기 신탁 계좌에서 지정된 계좌로 이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법원 서버에 의한 상기 하수급인의 개인 회생 신호, 도산 신호, 파산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은행 서버에 의한 상기 하수급인의 부도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 단말 또는 수급인 단말로부터 하수급인에 대한 체불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체불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중앙 서버가 획득된 하수급인의 지급 완료 상황을 고려하여 하수급인의 신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수급 계약의 신탁 계약은
    상기 수급인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생성되며, 상기 하수급인 단말의 수락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성립되며, 상기 하수급인 단말에 의해서 지정된 노무자 단말과 연계되어 설립되고,
    상기 이체를 실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청구인들이 있는 경우 각 청구인들의 분배 비율로 분배금들이 이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수급인의 신용 상태에 따라 지급이 중지된 금전을 상기 수급인 단말의 요청에 의해 처리하되,
    상기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여부를 상기 지급 불능 모니터링부에 의해 감지되거나 체불 여부가 상기 체불 신호 모니터링부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 하는 것을 중지하고 수급인의 요청을 대기하다가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수급인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중지된 금전을 수급인의 계좌 또는 노무자 및 자재장비업자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하수급인의 지급 불능 또는 체불 여부가 감지된 이후 상기 대기 시간이 만료되고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상기 하수급인의 신용 회복 신호, 자금 회복 상황을 수신한 경우, 발생되었던 체불의 해결 여부, 및 신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신탁 계좌에 잔존하는 금전을 상기 신탁 계좌에서 상기 하수급인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신탁 계좌에 잔존하는 금전은
    지급 불능 및 체불 여부에 의해 이체가 중지된 금전이고,
    상기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신탁 계약의 이행 여부, 계약의 실행되는 일정, 체불 유무, 비용 지급 완료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점수로 산출되고,
    상기 하수급인의 신용도는
    신용도 조회 사이트를 통해 조회하도록 구현되며 향후 건설 계약 체결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는,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2.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3562A 2019-11-26 2019-11-26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6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62A KR102063877B1 (ko) 2019-11-26 2019-11-26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62A KR102063877B1 (ko) 2019-11-26 2019-11-26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71A Division KR102055779B1 (ko) 2018-08-27 2018-08-27 중앙 서버,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877B1 true KR10206387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62A KR102063877B1 (ko) 2019-11-26 2019-11-26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94B1 (ko) * 2020-05-08 2020-12-31 강도혁 건설 규제를 간소화하기 위한 실시간 건설 공사대금 지급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45338A (ko) * 2020-10-05 2022-04-12 김병태 복수 기성금 지분 분리 신탁 방법 및 그 실행을 위한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424A (ko)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페이컴스 금융기관 연계 대가지급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1608B1 (ko) * 2016-04-13 2017-10-30 김순태 체불의 해소를 위한 매출채권신탁 자금 직불 시스템 및 그 운용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424A (ko) *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페이컴스 금융기관 연계 대가지급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1608B1 (ko) * 2016-04-13 2017-10-30 김순태 체불의 해소를 위한 매출채권신탁 자금 직불 시스템 및 그 운용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94B1 (ko) * 2020-05-08 2020-12-31 강도혁 건설 규제를 간소화하기 위한 실시간 건설 공사대금 지급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45338A (ko) * 2020-10-05 2022-04-12 김병태 복수 기성금 지분 분리 신탁 방법 및 그 실행을 위한 서버
KR102513044B1 (ko) * 2020-10-05 2023-03-21 김병태 복수 기성금 지분 분리 신탁 방법 및 그 실행을 위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923B1 (en) Automated fulfilling of currency exchange requests over a computer network
US201200360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erving and Completing Purchases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CN107392578B (zh) 一种数字货币的间接支付方法和系统
US20130036047A1 (en) Method, system and process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control of a budget and electronic mass distribution of funds
CN110706110A (zh) 基于换汇平台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9050006A (ja) 給与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829960B1 (en) Supplemental data transmission for network transactions
KR102063877B1 (ko) 하도급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5802B1 (ko)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US20210142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raud in real-time payment transactions
JP2004005334A (ja) クレジット債権担保付即時貸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565208B1 (ko) 부동산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EP4116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backed by crypto assets
EP36716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ditional payment transaction
CN116362903A (zh) 一种资金协同管理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00948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ditional payment transaction
KR102055779B1 (ko) 중앙 서버, 매출 채권의 신탁 계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36056B1 (ko) 전자 상거래용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금융서버
US20200219153A1 (en) Transaction Model for Bank Balance Sheets
CN114066615A (zh) 受托支付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613980A (zh) 交易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19320A (ko)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CN111415263A (zh) 数据匹配方法和装置
KR102318699B1 (ko)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