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898A -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898A
KR20190136898A KR1020180168979A KR20180168979A KR20190136898A KR 20190136898 A KR20190136898 A KR 20190136898A KR 1020180168979 A KR1020180168979 A KR 1020180168979A KR 20180168979 A KR20180168979 A KR 20180168979A KR 20190136898 A KR20190136898 A KR 2019013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guarantee
insuranc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571B1 (ko
Inventor
이광석
권병태
전성희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엠씨지컨설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지컨설팅(주) filed Critical 엠씨지컨설팅(주)
Publication of KR2019013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 보증/보험기관서버,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 및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를 연결을 통해 시스템화하여 보증 및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유동화 시장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기업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증이나 보험에 대한 신용 여유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신용능력을 제3자에게 제공하여 추가적인 수익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신용 유동화 시장의 활성화를 통하여 사업에 필요한 사업자금을 필요로 하는 한도초과기업이 금융기관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일시적인 부족한 한도에 해당하는 신용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도에 여유가 있는 기업에게 한도사용에 대한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보증/보험기관이 기업들이 보증/보험기관에 출자한 출자금을 가상화폐로 발행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므로, 한도 공여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주 또는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장 평가를 통해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운용함과 더불어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문제 발생 소지가 없으므로 단기자금도 지원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증한도와 연계하여 출자금을 인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업의 출자금 증가가 필요한 경우 가상화폐를 타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하고 차입하여 탄력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Smart 계약서로 관리하여 신용의 가상화폐 기반의 유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financial asset securitization service for corporate odering business activating}
본 발명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 보증/보험기관서버,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 및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를 연결을 통해 시스템화하여 보증 및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대한 신용 유동화 시장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기업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증이나 보험에 대한 신용 여유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신용능력을 제3자에게 제공하여 추가적인 수익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신용 유동화 시장의 활성화를 통하여 사업에 필요한 사업자금을 필요로 하는 한도초과기업이 금융기관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일시적인 부족한 한도에 해당하는 신용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도에 여유가 있는 기업에게 한도사용에 대한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증/보험기관이 기업들이 보증/보험기관에 출자한 출자금을 가상화폐로 발행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며, 한도 공여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주 또는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장 평가를 통해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운용함과 더불어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문제 발생 소지가 없으므로 단기자금도 지원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증한도와 연계하여 출자금을 인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업의 출자금 증가가 필요한 경우 가상화폐를 타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하고 차입하여 탄력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Smart 계약서로 관리하여 신용의 가상화폐 기반의 유동화가 가능하며, 가상화폐 거래는 블록체인 거래방식을 도입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에는 기존의 건설업체가 오프라인 상에서 사업용지를 확보함에 있어서 때때로 사업목적을 위장한 채 개별토지별로 매입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렇게 하다 보니 용지를 확보하는 기간이 장기화되고, 그 사이에 토지가가 속등함으로써 초기 매도자는 상실감과 함께 개발이익을 받지 못함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등을 느끼게 되며, 한편으로 이런 현상을 옆에서 보는 다른 토지 소유자는 자신의 소유지 매도를 거부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갖가지 민원이 발생함과 더불어 개발 사업이 발목을 잡히는 등, 기존 오프라인상의 사업추진 방식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건설자금의 조달에 있어서는 사업성 및 사업시행자의 신용평가에 두지 않고 토지 등의 담보물이나 시공사의 준공 보증 위주로 건설자금 대출을 제공하는 관행으로 인해, 조달금액의 한계성과 조달창구의 경색으로 인해 건설자금의 적기투입에 차질이 나기 쉬었고, 이는 기업부도나 부실공사의 화근이 되고 있다.
한편, 서민들이 주택이나 아파트 등을 구입함에 있어서 고액의 목돈이 일시적으로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택 구입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구입할 주택이나 아파트를 담보로 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금액의 대출을 받게 된다.
이때, 금융기관(채권자)과 주택구입자(채무자)간에 채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주택저당채권(Mortgage)이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주택저당채권은 장기(통상 20년 내외)에 걸쳐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게 되는 장기채권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자산보유자)으로서는 유동성(자금) 문제에 직면하게 되어 다른 주택자금대출 희망자에게 대출을 할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들은 일반서민들에게 주택구입 자금 대출을 꺼리게 되고, 서민들의 자금력 부족으로 인한 채무의 체납 및 채무불이행에 따른 위험성 때문에 주택자금대출자(차주)는 담보물에 비해 소액의 자금만을 대출받을 뿐만 아니라 고리의 이자를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부로서는 국민들의 주택문제가 시장에서 자체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재정을 지출하여 주택건설 또는 주택자금의 융자 등을 통해서 주택난 해결을 도모하게 되는데, 이는 정부로서는 상당한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보증한도 등이 낮은 기업의 경우 보증지원을 받을 수 없어 추가적인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증기관의 자본으로 편입하는 추가 출자를 통하여 보증한도를 상향 조정하고 있으나, 추가 출자 금액에 따라 한도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므로 신규 사업규모가 상당한 경우 출자를 위한 자금을 외부로부터 차입해야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추가사업을 위해 단기차입금이 증가하고 재무구조 악화 현상이 발생하여 악순환이 지속되는 경향이 발생한다.
또한, 사업이 종료된 경우 출자금을 인출하여 차입금을 상환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일시적인 부족한 한도에 해당하는 신용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도에 여유가 있는 기업에게 한도사용에 대한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증/보험기관이 기업들이 보증/보험기관에 출자한 출자금을 가상화폐로 발행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며, 한도 공여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주 또는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장 평가를 통해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운용함과 더불어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문제 발생 소지가 없으므로 단기자금도 지원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증한도와 연계하여 출자금을 인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업의 출자금 증가가 필요한 경우 가상화폐를 타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하고 차입하여 탄력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Smart 계약서로 관리하여 신용의 가상화폐 기반의 유동화가 가능하며, 가상화폐 거래는 블록체인 거래방식을 도입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5-0099432(2005. 10. 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한도초과기업의 경우, 신규 사업 진출의 영업활동을 수행함으로써, 한도 부족시 참여 불가능한 사업에 참여하여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신규 사업으로 인한 일시적인 자금부족을 해소할 수 있고, 출자를 위한 차입금 감소로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도여유기업의 경우, 사업을 영위하는 규모 이상의 한도 보유시 여유한도를 시장에 제공하여 유사 영업 기업의 영업활성화 지원을 함으로써, 한도 전용 수수료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한도를 제공받은 기업과 추가적인 약정을 통하여 영업수익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증/보험기관의 경우, 일반 영업활동 기업에 대한 신용 제공과 보증/보험 한도거래소에 피보증 및 보험기업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도초과 기업의 보증 유치로 보증 수수료의 수입이 증가하고 가입고객의 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위험평가기관의 경우, 한도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정보공유로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정보 공유를 통한 사업장의 위험 수준을 관리하여 효율적인 시장참여를 제고하여 줌으로써, 건설 사업장의 전문 인력 고용으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평가 수수료의 수입이 발생하고, 평가정보 유통에 따른 정보제공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의 경우, 보증 및 보험기관의 피보증/보험기업 고객 정보 입수와, 한도초과기업의 한도 전용 요청 접수와, 사업장 평가정보와 한도초과기업 정보의 공유와, 한도여유기업에게 한도 전용 참가를 요청함과, 한도 전용계약정보의 등록 및 관리와, 서비스와 관련된 수수료 결정 및 배분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고액의 자금을 부담 없이 신용을 거래할 수 있는 유동화 시장을 조성함과 더불어 거래 수수료의 수입이 발생하고 정보공유를 통하여 자본시장이 활성화되게 기여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의 경우, 신규사업장 공사 수행시 필요시 되는 일시적 운영자금을 선급금, 중도금, 기성고 확인 기반의 매출 채권담보대출을 지원함으로써, 금리 수익이 발생하고, 단기자금 지원이므로 사업성 평가 기반으로 위험이 낮은 사업장 자금지원으로 부실율이 낮을 가능성이 있으며, 한도공여자와 수여자간의 사업장 준공확약 혹은 공동시공의 특약이 부여된 경우 사업장 사고율은 현저히 낮고 이로 인하여 여신 부실화의 위험을 매우 낮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보증 및 보험기관이 신용을 제공한 상품의 경우는 사고발생시 보증 및 보험회사에 대출금액을 청구하여 손실율이 발생하지 않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시적인 부족한 한도에 해당하는 신용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도에 여유가 있는 기업에게 한도사용에 대한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보증/보험기관이 출자금을 가상화폐로 발행하여 가상화폐를 통한 거래방식이므로, 한도 공여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주 또는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장 평가를 통해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운용함과 더불어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문제 발생 소지가 없으므로 단기자금도 지원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증한도와 연계하여 출자금을 인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업의 출자금 증가가 필요한 경우 보증/보험기관이 기업의 출자금을 기반으로 발행한 가상화폐를 출자금 및 보증한도의 여유가 있는 타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하고 임차하여 탄력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Smart 계약서로 관리하여 신용의 가상화폐 기반의 유동화가 가능하며, 가상화폐 거래는 블록체인 거래방식을 도입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은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한 기업이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위탁하는 기능과,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신청하고 승인받는 기능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한도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단기자금을 송금 받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기능과,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에게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부터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받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하는 기능과, 한도 여유기업으로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한도변경정보 또는 융자실행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 받는 기능을 갖으며, 출자금 기반의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보증/보험기관서버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 평가를 위탁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와;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이나 보험 관련 기업의 한도 거래 및 기업정보,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부터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받고 승인하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고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으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승인하는(Smart 계약) 기능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한도거래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청구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단계(a)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고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전송하여 위탁하는 단계(b)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c)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보험의 한도가 초과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신청하는 단계(d)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의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의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Smart 계약) 단계(e)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부터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가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실행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f)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융자승인정보(Smart 계약)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g)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정보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단계(h)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i);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한도여유기업의 한도사용료의 수익이 발생하는 과정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단계(e-1)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지원 동의(Smart 계약)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e-2)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초과 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e-3)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을 승인받은 내용을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고,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수수료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송금 받는 단계(e-4)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 전용 승인 내용을 전송하고 한도변경 정보 및 융자지원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e-5)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e-6)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e-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f)에서, 보증/보험 한도거래소 한도전용 승인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수주사업을 수주하는 단계(f-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수주한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의뢰하는 단계(f-2)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는 의뢰받은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평가결과를 전송하는 단계(f-3)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업장 평가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 보험 한도 여유가 있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f-4)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하는 단계(f-5)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전송받은 사업장 정보 및 한도초과기업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의 여유한도를 공여해 줄 것인지를 판단하여 제공의사가 있는 경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참여의사를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에 따른 수수료와 사업장의 위험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전송하는 단계(f-6)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이 승인되면(Smart 계약) 승인된 정보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 보증/보험기관서버,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거래가 완성되는 단계(f-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f-2)에서는 사업장에 관련된 계약서, 도급내역서, 사양서, 대금지급 계약 정보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장의 사업성, 위험성을 평가받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f-4)에서는 사업장 평가 정보와 한도초과 기업의 신용도(신용등급), 출자관련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입수하여 동시에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h)에서, 한도초과기업이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와 융자가능여부 정보를 부여받는 단계(h-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여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전송하여 평가받는 단계(h-2)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h-3)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받는(Smart 계약) 단계(h-4)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h-5)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h-6)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지원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h-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i)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이 자금지원 및 사업장 사고시 청구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자금지원을 의뢰하면,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신규사업장 평가결과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와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i-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한도여유기업으로부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를 통하여 승인받은 전용한도 금액 및 융자지원 거래 승인을 수신 받는 단계(i-2)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가 승인된 한도변경거래 정보와 융자지원 통지 내용을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i-3)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승인받은 한도를 기반으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보증(보험)을 신청하여 승인받고, 이와 동시에 동 승인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i-4)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신청 정보, 사업장 평가정보, 한도 전용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공사진행에 따른 단계별 필요 자금인 선급금, 중도금, 기성 확인 후 매출채권담보 대출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단계(i-5)와, 상기 한도초과기업의 사업 수행 중의 사고 발생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공사이행 후 손실을 청구하는 단계(i-6)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사고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보증사고 대위변제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송금하여 지급하는 단계(i-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i-5)에서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단계별 운전자금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단계별 지원이므로 사고 발생시 손실이 최소화되고, 자금 운용기간이 사업장 준공 시점이므로 자금의 사용기간이 단기일 가능성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규모에 따른 부담이 매우 작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고시 한도제공기업이 제3자 위험 경감방안의 공사 준공 확약, 공사이행 확약을 부수적 조건으로 참여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의 위험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에 전가되는 위험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i-7)에서, 보증/보험기관 및 피보증/보험기업의 사고 청구하는 과정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시 한도(융자)제공 관련 약정을 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 약정시 한도전용 사용 수수료, 융자사용 이자, 지급보증 수수료를 청구하는 단계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사고를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보증사고 대위변제하는 단계와,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사고시 변제 청구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계약종료시 보증약정 및 융자 기간 종료 후 한도사용 및 융자사용 이자를 예치금에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한도초과기업의 경우, 신규 사업 진출의 영업활동을 수행함으로써, 한도 부족시 참여 불가능한 사업에 참여하여 추가적인 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신규 사업으로 인한 일시적인 자금부족을 해소할 수 있고, 출자를 위한 차입금 감소로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한도여유기업의 경우, 사업을 영위하는 규모 이상의 한도 보유시 여유한도를 시장에 제공하여 유사 영업 기업의 영업활성화 지원을 함으로써, 한도 전용 수수료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한도를 제공받은 기업과 추가적인 약정을 통하여 영업수익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보증/보험기관의 경우, 일반 영업활동 기업에 대한 신용 제공과 보증/보험 한도거래소에 피보증 및 보험기업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도초과 기업의 보증 유치가 가능해져 보증 수수료의 수입이 증가하고 가입고객의 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건설위험평가기관의 경우, 한도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정보공유로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정보 공유를 통한 사업장의 위험 수준을 관리하여 효율적인 시장참여를 제고하여 줌으로써, 건설 사업장의 전문 인력 고용으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평가 수수료의 수입이 발생하고, 평가정보 유통에 따른 정보제공 사업을 확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의 경우, 보증 및 보험기관의 피보증/보험기업 고객 정보 입수와, 한도초과기업의 한도 전용 요청 접수와, 사업장 평가정보와 한도초과기업 정보의 공유와, 한도여유기업에게 한도 전용 참가를 요청함과, 한도 전용계약정보의 등록 및 관리와, 서비스와 관련된 수수료 결정 및 배분을 수행함으로써, 추가적인 고액의 자금을 부담 없이 신용을 거래할 수 있는 유동화 시장을 조성함과 더불어 거래 수수료의 수입이 발생하고 정보공유를 통하여 자본시장이 활성화되게 기여한다.
여섯째, 본 발명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의 경우, 신규사업장 공사 수행시 필요시 되는 일시적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선급금, 중도금, 기성고 확인 및 매출채권담보대출을 지원함으로써, 금리 수익이 발생하고, 단기자금 지원이므로 사업성 평가 기반으로 위험이 낮은 사업장 자금지원으로 부실율이 낮을 가능성이 있으며, 한도공여자와 수여자간의 사업장 준공확약 혹은 공동시공의 특약이 부여된 경우 사업장 사고율은 현저히 낮고 이로 인하여 여신 부실화의 위험을 매우 낮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보증 및 보험기관이 신용을 제공한 상품의 경우는 손실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곱째, 본 발명은 일시적인 부족한 한도에 해당하는 신용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도에 여유가 있는 기업에게 한도사용에 대한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증/보험기관이 기업들이 보증/보험기관에 출자한 출자금을 가상화폐로 발행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며 한도 공여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주 또는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장 평가를 통해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운용함과 더불어 우수한 사업장의 경우 문제 발생 소지가 없으므로 단기자금도 지원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덟째, 본 발명은 보증한도와 연계하여 출자금을 인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기업의 출자금 증가가 필요한 경우 가상화폐를 타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지급하고 차입하여 탄력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Smart 계약서로 관리하여 신용의 가상화폐 기반의 유동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초과기업이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으로 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여유기업의 한도사용료의 수익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증/보험 한도거래소 한도전용 승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 자금지원 및 사고 청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증/보험기관 및 피보증/보험기업의 사고 청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 보증/보험기관서버(300),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은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한 기업이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 위탁하는 기능과,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신청하고 승인받는 기능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은 한도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단기자금을 송금 받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와;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는 기능과,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에게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부터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 받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하는 기능과, 한도 여유기업으로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한도변경정보 또는 융자실행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 받는 기능을 갖으며, 출자금 기반의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보증/보험기관서버(300)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 평가를 위탁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와;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이나 보험 관련 기업의 한도 거래 및 기업정보,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부터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받고 승인하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고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기능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으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승인하는(Smart 계약) 기능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400)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은 한도거래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청구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는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한 기업이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 위탁하는 기능과,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신청하고 승인받는 기능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은 한도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단기자금을 송금 받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는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는 기능과,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에게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300)는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부터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 받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하는 기능과, 한도 여유기업으로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한도변경정보 또는 융자실행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 받는 기능을 갖으며, 출자금 기반의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것이다.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는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 평가를 위탁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는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이나 보험 관련 기업의 한도 거래 및 기업정보,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부터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받고 승인하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고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기능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으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승인하는(Smart 계약) 기능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는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400)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제공받은 한도거래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청구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초과기업이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으로 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한도여유기업의 한도사용료의 수익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증/보험 한도거래소 한도전용 승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 자금지원 및 사고 청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단계(a)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고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 전송하여 위탁하는 단계(b)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단계(c)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보험의 한도가 초과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신청하는 단계(d)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신규 사업의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의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Smart 계약) 단계(e)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부터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가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실행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f)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융자승인정보(Smart 계약)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는 단계(g)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정보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단계(h)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i); 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의 상기 단계(e)에서, 한도여유기업의 한도사용료의 수익이 발생하는 과정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 및 보험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다. 이후에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신규 사업에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지원 동의(Smart 계약)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초과 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을 승인받은 내용을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수수료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송금 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한도 전용 승인 내용을 전송하고 한도변경 정보 및 융자지원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의 상기 단계(f)에서, 보증/보험 한도거래소 한도전용 승인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신규 수주사업을 수주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신규 수주한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 전송하여 의뢰한다. 다음으로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서는 의뢰받은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평가결과를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사업장 평가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 보험 한도 여유가 있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전송받은 사업장 정보 및 한도초과기업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의 여유한도를 공여해 줄 것인지를 판단하여 제공의사가 있는 경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참여의사를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에 따른 수수료와 사업장의 위험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이 승인되면(Smart 계약) 승인된 정보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 보증/보험기관서버(300),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하여 거래가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규 수주한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로 전송하여 의뢰시에는 사업장에 관련된 계약서, 도급내역서, 사양서, 대금지급 관련 계약 정보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장의 사업성, 위험성을 평가받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업장 평가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사업장 평가 정보와 한도초과 기업의 신용도(신용등급), 출자관련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부터 입수하여 동시에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의 상기 단계(h)에서, 한도초과기업이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와 융자가능여부 정보를 부여받는다. 이후에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여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 전송하여 평가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서 한도초과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받는다(Smart 계약). 다음으로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정보를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5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부터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단기자금을 지원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의 상기 단계(i)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이 자금지원 및 사업장 사고시 청구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자금지원을 의뢰하면,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400)에서 신규사업장 평가결과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와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한도여유기업으로부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를 통하여 승인받은 전용한도 금액 및 융자지원 거래 승인을 수신 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를 통하여 거래가 승인된 한도변경거래 정보와 융자지원 통지 내용을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500)로부터 승인받은 한도를 기반으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부터 보증(보험)을 신청하여 승인받고, 이와 동시에 동 승인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보증신청 정보, 사업장 평가정보, 한도 전용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공사진행에 따른 단계별 필요 자금인 선급금, 중도금, 기성 확인 후 매출채권담보 대출을 송금하여 지원한다. 이후에 상기 한도초과기업의 사업 수행 중의 사고 발생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공사이행 후 손실을 청구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보증사고를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보증사고 대위변제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송금하여 지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업장 단계별 필요자금인 선급금, 중도금, 기성 확인 후 매출채권담보 대출을 송금하여 지원시에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단계별 운전자금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단계별 지원이므로 사고 발생시 손실이 최소화되고, 자금 운용기간이 사업장 준공 시점이므로 사용기간이 단기일 가능성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부담이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고시 한도공여기업의 제3자 위험 경감방안 내용인 공사 준공 확약, 공사이행 확약을 부수적 조건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의 위험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에 전가되는 위험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의 상기 단계(i-7)에서, 보증/보험기관 및 피보증/보험기업의 사고 청구하는 과정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사고시 한도(융자)제공 관련 약정을 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 약정시 한도전용 사용 수수료, 융자사용 이자, 지급보증 수수료를 청구한다. 이후에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300)로 보증사고를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600)로 보증사고 대위변제한다. 다음으로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100)로 사고시 변제 청구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한도여유기업 단말기(200)로 계약종료시 보증약정 및 융자 기간 종료 후 한도사용 및 융자사용 이자를 예치금에서 지급한다. 여기서,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300)에서 한도 및 융자 이자를 예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Smart 계약서를 기반으로 한 Block Chain 거래 방식으로, 금융기관과 연계된 여신분야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한도초과기업 단말기 200 : 한도여유기업 단말기
300 : 보증/보험기관서버 400 :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
500 :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
600 :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

Claims (10)

  1.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한 기업이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을 필요로 하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위탁하는 기능과,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신청하고 승인받는 기능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한도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단기자금을 송금 받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기능과,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에게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부터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받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하는 기능과, 한도 여유기업으로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한도변경정보 또는 융자실행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 받는 기능을 갖으며, 출자금 기반의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보증/보험기관서버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위험여부 평가를 위탁받는 기능과,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와;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이나 보험 관련 기업의 한도 거래 및 기업정보,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부터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의 한도가 초과된 기업이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받고 승인하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고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한도가 여유 있는 참여기업이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으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을 승인하는(Smart 계약) 기능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한도거래 정보 및 보증기관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기능과,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금액을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청구하는 기능을 갖으며, 가상화폐 거래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2.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단계(a)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고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전송하여 위탁하는 단계(b)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c)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사업을 수주하고 보증/보험의 한도가 초과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한도 여유가 있는 참여기업의 한도 또는 융자를 전용할 수 있도록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신청하는 단계(d)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의 평가정보를 근간으로 한도가 초과된 기업의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승인하는(Smart 계약) 단계(e)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부터 한도전용을 승인받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가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실행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f)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이 승인된 정보와 융자승인정보(Smart 계약)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g)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신규 사업 평가정보와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정보 및 보증/보험기관정보를 기반으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단계(h)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 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i);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한도여유기업의 한도사용료의 수익이 발생하는 과정은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 및 보험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 융자가능 여부를 부여받는 단계(e-1)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지원 동의(Smart 계약)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e-2)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초과 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e-3)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을 승인받은 내용을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고, 한도전용 사용 및 융자수수료를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송금 받는 단계(e-4)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 전용 승인 내용을 전송하고 한도변경 정보 및 융자지원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e-5)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e-6)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e-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에서, 보증/보험 한도거래소 한도전용 승인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수주사업을 수주하는 단계(f-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수주한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의뢰하는 단계(f-2)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는 의뢰받은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평가결과를 전송하는 단계(f-3)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는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사업장 평가결과를 보증 및 보험한도가 초과한 한도초과기업을 위하여 보증, 보험 한도 여유가 있는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f-4)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하는 단계(f-5)와, 상기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는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전송받은 사업장 정보 및 한도초과기업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의 여유한도를 공여해 줄 것인지를 판단하여 제공의사가 있는 경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참여의사를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에 따른 수수료와 사업장의 위험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전송하는 단계(f-6)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한도전용 및 융자지원이 승인되면(Smart 계약) 승인된 정보는 한도초과기업 단말기, 보증/보험기관서버,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거래가 완성되는 단계(f-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2)에서는 사업장에 관련된 계약서, 도급내역서, 사양서, 대금지급 관련 계약정보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장의 사업성, 위험성을 평가받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4)에서는 사업장 평가 정보와 한도초과 기업의 신용도(신용등급), 출자관련 정보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입수하여 동시에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h)에서, 한도초과기업이 단기자금 지원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을 신청하고 승인 및 한도와 융자가능여부 정보를 부여받는 단계(h-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이나 보험에 한도가 초과하여 신규 사업을 수주하여 추가적으로 보증이나 보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신규 사업에 대한 사업성 및 위험여부를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 전송하여 평가받는 단계(h-2)와, 상기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의 신규 사업 평가정보를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h-3)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를 신청하고 승인받는(Smart 계약) 단계(h-4)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한도변경정보 및 융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h-5)와, 상기 보증/보험한도 거래소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한도전용(융자)이 승인된 정보와 보증/보험기관 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h-6)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단기자금을 지원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발생금액을 청구하는 단계(h-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이 자금지원 및 사업장 사고시 청구하는 과정은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자금지원을 의뢰하면, 건설위험평가기관서버에서 신규사업장 평가결과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와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i-1)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한도여유기업으로부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를 통하여 승인받은 전용한도 금액 및 융자지원 거래 승인을 수신 받는 단계(i-2)와, 상기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를 통하여 거래가 승인된 한도변경거래 정보와 융자지원 통지 내용을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i-3)와, 상기 보증/보험 한도 거래소 단말기로부터 승인받은 한도를 기반으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부터 보증(보험)을 신청하여 승인받고, 이와 동시에 동 승인정보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i-4)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신청 정보, 사업장 평가정보, 한도 전용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공사진행에 따른 단계별 필요 자금인 선급금, 중도금, 기성 확인 후 매출채권담보 대출을 송금하여 지원하는 단계(i-5)와, 상기 한도초과기업의 사업 수행 중의 사고 발생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공사이행 후 손실을 청구하는 단계(i-6)와, 상기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사고를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보증사고 대위변제를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송금하여 지급하는 단계(i-7)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5)에서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단계별 운전자금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단계별 지원이므로 사고 발생시 손실이 최소화되고, 자금 운용기간이 사업장 준공 시점이므로 사용기간이 단기일 가능성이 높아 금융기관의 자금 부담이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고시 한도공여기업의 제3자 위험 경감방안 내용인 공사 준공 확약, 공사이행 확약을 부수적 조건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보증/보험기관의 위험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금융기관에 전가되는 위험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7)에서, 한도여유기업 단말기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사고시 한도(융자)제공 관련 약정을 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한도전용 및 융자신청 약정시 한도전용 사용 수수료, 융자사용 이자, 지급보증 수수료를 청구하는 단계와,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에서 보증/보험기관서버로 보증사고를 청구하면,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단기 자금지원 금융기관서버로 보증사고 대위변제하는 단계와, 상기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초과기업 단말기로 사고시 변제 청구하고, 보증/보험기관서버에서 한도여유기업 단말기로 계약종료시 보증약정 및 융자 기간 종료 후 한도사용 및 융자사용 이자를 예치금에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방법.
KR1020180168979A 2018-05-30 2018-12-26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5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707 2018-05-30
KR20180061707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98A true KR20190136898A (ko) 2019-12-10
KR102135571B1 KR102135571B1 (ko) 2020-07-20

Family

ID=6900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979A KR102135571B1 (ko) 2018-05-30 2018-12-26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18A (ko) * 2020-04-10 2021-10-20 (주)오아시스펀딩 소상공인 대출자를 위한 금융 중계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432A (ko) 2004-04-10 2005-10-13 정송옥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KR20160099288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코렘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기업 대상 선금성 자금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432A (ko) 2004-04-10 2005-10-13 정송옥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KR20160099288A (ko) * 2015-02-12 2016-08-22 주식회사 코렘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기업 대상 선금성 자금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18A (ko) * 2020-04-10 2021-10-20 (주)오아시스펀딩 소상공인 대출자를 위한 금융 중계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571B1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626B1 (en) Inside money
US8311911B2 (en) Global foreign exchange system
US20020111901A1 (en) Loan servicing system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020087454A1 (en) Global trading system
US20120047062A1 (en) Exchange traded instruments directed to managing risk
CN110892439A (zh) 薪酬管理装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
JP2011520191A (ja) 証券のカストディおよびプリンシパル方式レンディング改良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EA010935B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счета и её применение
Arjani et al. A Primer on Canada's Large Value Transfer System
JP5451692B2 (ja) 金銭債権交換システム
KR20100094297A (ko) 개인간 금융거래 지원방법 및 시스템
US20180012203A1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with option to accept or reject a proffered payment
KR100808059B1 (ko) 커뮤니티를 활용한 대출 중개 시스템
US20140156558A1 (en) Collateral Mechanisms
KR102135571B1 (ko) 기업의 발주사업 활성화를 위한 금융 유동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4885B1 (ko) 온라인을 통한 자금 조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934265B1 (ko) 중소협력사의 발주서 담보대출상품의 구성에 따른 운영관리시스템
US200701922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rporate overdraft
US20140156509A1 (en) Collateral Mechanisms
US20100274703A1 (en)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hanced custody and principal lending of securities
US20160210599A1 (en) Automated Payment System for Consumer Bills
TWM590281U (zh) 消費者債務清理系統
KR20130089963A (ko) 에스크로 제도를 이용한 인터넷 부동산 담보 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22007A1 (en) In-cash foreign currency tra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